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9 No.2 pp.91-100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23.19.2.10

Influence of Trunk Traction - Oscillation on Low Back Pain and Quality of Life

Jae-Eun Heo1, Se-Jun Oh2, Gun-Hee Jang1, Seong-Kuk Kim1, Bum-Chul Yoon3*
1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Public Health Sciences Major in Rehabilitation Science, professor
2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Public Health Sciences Major in Rehabilitation Science, researcher
3Korea University Human Behavior & Genetic Institute Associate Research Center, Research Professor
* 교신저자: 윤범철 E-mail: yoonbc@korea.ac.kr
November 29, 2023 December 22, 2023 December 23, 2023

Abstract

Purpose:

The aging population is contributing to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chronic and degenerative diseases. According to the 2020 National Survey of the Elderly,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among the elderly is 84.0%, with musculoskeletal disorders – arthritis, low back pain, and sciatica – ranking among the top five chronic diseases. The primary complaint of individuals with chronic musculoskeletal conditions is pain, and the spine is the most common site of pain. Chronic low back pain is a major cause of functional limitations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older adults, affecting not only physical function but also psychological aspects. These problems ultimately lead to a decreased quality of life and increased societal cost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effective and accessible methods to manage chronic low back pain at home on a regular basis. In this study, we aimed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effects of applying a traction and vibration device to the body of elderly people with chronic low back pain to determine the multifaceted effects of the device.


Methods:

Twenty-one subjects aged 65 years or older with chronic low back pain applied an interbody traction-vibration device for approximately 10 minutes twice a week for four weeks. Outcome measures included pain intensity (VAS), muscle biomechanical properties (Myoton PRO), quality of life (EQ-5D), level of functional disability (ODI), stress (uBioMacpa), and device safety and satisfaction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Results: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ain intensity (p<0.01), muscle stiffness (p<0.05), functional disability level (p<0.05), and stress (p<0.05) were observed at pre- and post-test after the intervention, but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quality of life and muscle tone and elasticity. More than 80% of the subjects were satisfied with the interbody traction and vibration device, and no other adverse events were reported.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multifaceted effects of interbody traction and vibration on pain intensity, muscle biomechanical properties, quality of life, level of functional disability, and stress in older adul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s well as the safety and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device.



체간의 견인-진동이 요통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허재은1, 오세준2, 장건희1, 김성국1, 윤범철3*
1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재활과학 전공, 연구원
2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인간행동과 유전자 연구소, 연구교수
3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재활과학 전공, 교수

초록


    Ⅰ. 서 론

    한국은 OECD 주요 국가 중 가장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으 며, 2050년에는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전체 인구의 40.1% 를 차지할 전망이다(Korea, 2022). 인구의 고령화는 만성 및 퇴행성 질환의 유병률 증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Pereira et al., 2014;Allegri et al., 2016). 2020년도 노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노인의 만성질환보유율은 84.0%이며, 만성질환 중 근골격계 질환 즉, 관절염, 요통 및 좌골신경통 이 상위 5위 내에 포함되었다(Lee, 2020). 만성 근골격계 질환을 가진 개인의 주 호소는 통증과 움직임의 제한이며 척추는 가장 흔한 장애 부위 중 하나이다(Miranda et al., 2012).

    척추의 질환 중 요통(Low back Pain)은 12번 늑골과 둔부 하부 라인 사이의 통증이나 불편감으로 정의된다(Jensen & Harms-Ringdahl, 2007). 지속기간에 따라 급성, 아급성 및 만성으로 나뉘며, 신경, 근육, 근막 구조, 뼈, 관절, 추간 판과 복강 내 여러 기관의 해부학적, 병리적 등 여러 복합적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Allegri et al., 2016). 만성요통은 노인의 일상생활활동 수행과 관련된 기능 제한의 주요 원인 이 되며(Garcez et al., 2021), 신체적 기능 손상 뿐 아니라 수면장애, 사회 및 여가활동의 위축, 스트레스, 우울증 및 불안과 같은 심리적 측면에도 영향을 미친다(Wong et al., 2017). 이러한 요통과 관련된 문제점은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사회적인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Robinson, 2007).

    특히나, 65세 이상 노인의 만성요통 유병률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노인의 통증은 과소 평가되어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 보고되고 있다(Saggini et al., 2016). 집에서 거주하는 노인의 대부분은 만성요통을 경 험하고 있으며(Rapo-Pylkkö et al., 2016), 이로 인한 삶 의 활동의 제약은 재가노인 돌봄 서비스의 필요성 증가로 이어지고, 인구 고령화와 탈시설화로 인해 향후 지속적으 로 증가될 전망이다(Van Leeuwen et al., 2019).

    COVID-19 팬데믹은 공중 보건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 으며, 사회적 거리두기로 병원시설의 접근성은 떨어졌다 (Wang et al., 2020). 접근이 용이하고 효과적인 치료 및 관리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며, 특히 가정에서 만성요통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Practice et al., 1996).

    만성요통의 경우 1차적 치료 접근으로 보존적 물리치료 가 있으며 접근이 비교적 용이하다. 미국의사협회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CP) 가이드라인 등 임상진료지침 에서는 만성요통 환자 치료를 위해 비약물적, 비침습적 치료를 권장하고 있다(Qaseem et al., 2017). 요통치료에 사용되는 물리치료 중재 중 견인치료(Traction Therapy)는 다른 물리치료 양식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뼈 구조의 정렬 개선과 신경, 근육 조직의 이완으로 척추 기능 장애로 인한 통증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Koçak et al., 2018). 또 다른 양식으로 재활 분야에서 진동 자극(Oscillation Stimulation)을 치료에 적용하기도 한다(Musumeci, 2017). 진동은 구심성 알파 및 베타 운동신경을 자극하여 통각수용 성 통증 섬유를 억제함으로써 통증을 줄일 수 있으며 (Saggini et al., 2016) 내장 기관의 혈액 순환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어 임상적으로도 여러 활용 가치가 있다(de Sá- Caputo et al., 2022).

    본 연구의 목적은 비특이성 만성요통 노인의 체간에 개 발된 견인-진동 기기를 적용하고 다면적 평가를 통하여 기기의 안전성과 함께 요통의 변화와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세부적으로 본 연구 의 가설은 체간에 견인-진동 기기를 적용한 만성요통 노 인의 요통이 감소할 것이며, 요통의 감소는 만성요통 노 인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러 한 효과를 통해 노인의 요통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기초 적인 연구 결과를 제공하여, 향후 의료 및 재가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근거 기반 통증 완화의 대안을 제시하고, 임 상 의사결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만성요통 노인의 체간에 개발된 견인-진동 기기를 적 용하여 요통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로서,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가 사용되었다.

    2. 연구대상자

    본 연구는 고려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승인번호 KUIRB-2023-0009-0)의 승인을 받아 진행되었다. 대상 자는 연구의 목적, 방법, 잠재적 위험사항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받은 후, 실험 동의서에 서명하였다. 표본 크기는 G*Power 3.1.9.7 (Franz Faul, University Kiel, Kiel, Germany)를 활용하여 계산되었으며, 검정력 80%, 유의 수준 0.05, 효과크기 0.65로 하여 17명이 산출되었다. 모 든 대상자는 선정기준을 충족하였고, 탈락률 20%을 고려 하여 21명을 모집하였다(Table 1). 선정기준은 만 65세이 상, 90세 미만인 자 중 요통이 3개월 이상 지속된 자이며, 제외기준은 조절되지 않는 심혈관 질환을 가진 자, 신경 성 질환을 가진 자, 통제되지 않는 정신질환을 가진 자를 제외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Descriptive data for the subjects in the study (n = 21)

    Characteristics Participant Mean ± SD

    Age (years) 76.80 ± 3.89
    Sex M=5 / F=16
    Weight (kg) 56.97± 6.72
    Height (cm) 154.66 ± 8.68
    BMI (kg/m2) 23.84 ± 2.42

    n = number of responses; BMI: Body mass index

    3. 연구방법

    대상자의 중재는 4주 동안 주 2회씩 총 8회 진행하였 다. 중재에 사용된 기기는 새롭게 개발된 체간 견인-진동 기기(Super Swing 4000, 신광의료기산업㈜, Republic of Korea)를 사용하였다.

    중재 전 약 40분 간 측정 및 평가를 수행하였다. 객관적 평가 항목으로는 통증 강도, 근육의 생체역학적 특성, 삶의 질, 요통 환자의 기능적 장애 수준, 스트레스를 측정 하였으며, 주관적 평가인 기기의 안전성 및 만족도는 반 구조화된 설문으로 평가하였다. 측정과 평가는 해당 검사 에 4년 이상의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물리치료사 2명이 수행하였다.

    4. 중재 기기 및 측정 도구

    1) 체간 견인-진동 기기

    체간 견인-진동 기기는 상지 고정장치, 요추 운동장치, 하지 고정장치,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성된다(Figure 1). 체간 고정장치는 견인 시 체간을 고정하여 요추의 압력을 낮추고 근육의 신장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사이즈 에 맞도록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체간 운동장치는 둔부와 허리를 감싸는 벨트가 있으며, 벨트 브라켓으로 높이를 조절하고 벨트롤러로 회전을 일으키는 장치로 구성된다 (Figure 2). 하지 고정장치는 발목을 고정한 후 하지를 당겨 견인하며, 진동 시 하지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리모트 컨트롤러는 기기의 견인을 조절하고 회전속도를 조작 가능 하다. 앙와위 자세(Supine position)로 누워 하지와 체간을 당겨 요추 사이 압력을 낮춘 상태에서 사용자의 체간을 진동시켜 견인과 진동의 효과를 동시에 제공한다. 진동 강도는 1단(200rpm), 2단(400rpm), 3단(600rpm)으로 구 분되어 있으며, 대상자가 이완을 느끼는 지점까지 견인하 고, 진동 강도는 1단으로 시작하여 10분 동안 점진적으로 편안하게 견딜 수 있는 상태까지 적용하였다.

    Figure 1

    체간 견인-진동기기(Super Swing 4000)

    AOSPT-19-2-91_F1.gif
    Figure 2

    체간 운동장치

    AOSPT-19-2-91_F2.gif

    2) Visual Analog Scale (VAS)

    Visual Analog Scale (VAS)는 통증 평가 척도로서, 평 가 시점에 대상자의 주관적인 통증의 강도를 정량화 하여 나타내는 척도이며, 10cm 가로선에(0cm-'통증 없음', 10cm-'최악의 통증') 대상자가 현재 통증 상태를 표시하 는 방식으로 측정하였다(Delgado et al., 2018).

    3) Myometric System

    Myometric System (Myoton®PRO, MyotonAS, Estonia) 은 근육의 생체역학적 특성을 측정에 활용하였다. 측정방 법은 엎드린 자세(Prone position)로, 측정 부위에 일정한 압력(0.18N)을 가한 상태에서 빠르게 방출되는 기계적 충 격(15m/s, 0.4N)을 가하고 1회 측정 시 반복 횟수 5회로 설정하여 척추세움근(Erector spinae muscle)의 Dynamic stiffness(N/m), Oscillation frequency(Hz), log decrement 를 측정하였다(Schneider et al., 2015). Dynamic stiffness 는 근육의 초기 모양을 변형시키는 외부 힘에 대한 근육의 저항으로 값이 높을수록 stiffness는 높음을 뜻한다. Oscillation frequency는 휴식 상태에서의 근육의 톤으로, 값이 높을수록 긴장 상태가 높음을 뜻한다. log decrement 는 근육이 변형된 모양을 복원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값이 높을수록 회복의 시간이 길어 짐을 뜻한다(Schneider et al., 2015).

    4) EuroQol-5 Dimension (EQ-5D)

    EQ-5D는 삶의질 평가도구로서, 연구 대상자의 건강 상태와 삶의 질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한국판 EQ-5D는 5가지 항목인 이동능력, 자가관리, 일상생활, 통증, 불안/우울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려움이 거의 없음’ 1점, ‘약간 어려움’2점, ‘어려움 많음’3점으로 측정하였다 (영숙조 & 동문염, 2019).

    5)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ODI는 요통과 관련된 문제로 인한 일상생활의 질을 평 가하는 도구이다. 대상자의 기능적 장애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ODI는 통증에 대한 1개 항목과 일상생 활 활동에 대한 9개 항목인 들기, 걷기, 사회생활, 개인 관리, 앉기, 서기, 수면, 여행, 성생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0점부터 5점까지 점수를 표시한다. 대상자들은 각 항목별로 응답하였고, 최종 점수는 [총 점수/(응답한 항목 수 x 5) x 100] 으로 계산하였다(Fairbank & Pynsent, 2000). 점수가 높을수록 장애 중증도가 높음을 나타낸다 (Koç et al., 2018).

    6) uBioMacpa

    자율신경 스트레스 측정을 위해 uBioMacpa v70(BioSense Creative, Korea)을 사용하였다. uBioMacpa는 손끝 모세혈 관에서 비침습적으로 맥파를 측정하여 심장 맥박을 분석하 며, 인체의 스트레스 정도와 혈관 나이, 자율신경계 이상 등을 측정하는 기기이다. uBioMacpa 스트레스 측정은 북미 심박전기생리학회와 유럽 심장협회의 심박변이도 분석 표 준을 활용하여 스트레스를 나타낸다(Jang et al., 2019). 손 을 편안하게 내려놓고 힘을 뺀 상태로 권총자세를 취하여 검지 손가락에 유비오맥파 측정 단자를 착용하여 측정하 였다.

    7) 안전성 및 만족도 평가

    체간 견인-진동 기기에 대한 안전성 및 만족도를 평가 하기 위하여 총 5개 항목인 소화능력, 배변활동, 배뇨활 동, 어지러움 여부, 부작용 여부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설 문은 치료사와의 개별적인 1:1 반구조화된 면담으로 진행 하였다.

    8) 통계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for Windows 버전 28(IBM Corp., Armonk, NY, USA)로 분석하였다. VAS, Myoton, EQ-5D, ODI, uBioMacpa 데이터는 정규분포를 보이지 않아 비모수적 검정인 Friedman test를 사용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Wilcoxon signed-rank test로 사후 분석하였고 통계적 검정의 유의 수준은 p<0.05로 설정하였다.

    Ⅲ. 연구 결과

    4주동안 주 2회씩 총 8회의 중재에는 65세에서 80세 사이의 노인 21명(남성: 5명/여성: 16명)이 참여하였고 중 도탈락자는 없었다(Figure 3). 객관적 평가 항목으로, 통 증 강도, 근육의 생체역학적 특성, 스트레스를 중재 1회 차, 4회차, 8회차에 측정하였고, 삶의 질, 요통 환자의 기 능적 장애 수준은 중재 1회차, 8회차에 측정하였다. 주관 적 평가 항목으로, 기기의 안전성 및 만족도에 대한 반구 조화된 설문지는 중재 8회차에 평가하였다. 객관적 평가 항목의 측정된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Table 2, 기기 의 안전성 및 만족도에 대한 평가결과는 Table 3과 같다.

    Figure 3

    체간 견인-진동기기(Super Swing 4000)를 사용한 중재

    AOSPT-19-2-91_F3.gif
    Table 2

    Mean±standard deviations of the outcome measurement scores (n = 21)

    Outcomes Pre-test (Mean ± SD) Mid-test (Mean ± SD) Post-test (Mean ± SD) P value (P<.05)*

    VAS 3.04 ± 1.80 1.69 ± 1.49 0.57 ± 1.02 AOSPT-19-2-91_T2-F1.gif
    Dynamic Stiffness(N/m) 401.19 ± 112.98 374.09 ± 90.94 360.33 ± 74.26 AOSPT-19-2-91_T2-F2.gif
    Oscillation Frequency(Hz) 19.22 ± 3.90 17.80 ± 2.88 17.63 ± 4.38 AOSPT-19-2-91_T2-F3.gif
    Logarithmic Decrement(arb) 1.69 ± 0.47 1.70 ± 0.29 1.73 ± 0.33 AOSPT-19-2-91_T2-F4.gif
    EQ–5D 0.85 ± 0.72 0.86 ± 0.07 AOSPT-19-2-91_T2-F5.gif
    ODI 13.47 ± 7.82 11.71 ± 6.92 AOSPT-19-2-91_T2-F6.gif
    uBioMacpa 60.85 ± 10.58 58.99 ± 9.88 57.67 ± 10.11 AOSPT-19-2-91_T2-F7.gif

    n = number of responses.; Mean: 평균; SD: 표준편차; VAS: 통증강도; Dynamic Stiffness: 근경직도; Oscillation Frequency: 근긴장도; Logarithmic Decrement: 근육탄성; EQ-5D: 삶의 질; ODI: 기능적 장애 수준; uBioMacpa: 스트레스 수준. *: 기준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의미(p<.05).

    1. 통증 강도

    Friedman test 결과, 중재 1회차, 4회차, 8회차 간에 유의 미한 차이가 있었다(χ²=22.265, p<0.01). Wilcoxon signedrank test 결과, 1회차와 4회차(Z=-2.967, p=0.003), 4회차 와 8회차(Z=-2.691, p =0.007), 1회차와 8회차(Z=-3.742, p =0.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있었다.

    2. 근육 생체역학적 특성8

    1) Dynamic Stiffness(N/m)

    Wilcoxon signed-rank test 결과, 중재 1회차와 4회차 (Z=-1.599, P=0.110), 4회차와 8회차(Z=-1.356, p = 0.175)사이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1회차와 8회차 간 에는 유의한 결과가 있었다((Z=-2.207, p =0.027).

    2) Oscillation Frequency(Hz)

    Wilcoxon signed-rank test 결과, 중재 1회차와 4회차 (Z=-1.912, p=0.056), 4회차와 8회차(Z=-0.971, p = 0.331), 1회차와 8회차(Z=-1.669, p=0.095)간에 유의한 결 과가 없었다.

    3) Logarithmic Decrement(arb)

    Wilcoxon signed-rank test 결과, 중재 1회차와 4회차 (Z=-0.261, p=0.794), 4회차와 8회차(Z=-0.661, p = 0.509), 1회차와 8회차(Z=-0.597, p=0.550)간에 유의한 결과가 없었다.

    4) 삶의 질

    Wilcoxon signed-rank test 결과, 중재 1회차와 8회차 사이에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Z=-0.597, p=0.550).

    5) 기능적 장애 수준

    Wilcoxon signed-rank test 결과, 중재 1회차와 8회차 사이에 유의한 결과가 있었다(Z=-1.977, p=0.048).

    6) 스트레스 수준

    Wilcoxon signed-rank test 결과, 중재 1회차와 4회차 간에 유의한 변화가 있었고(Z=-1.999, p=0.046), 4회차 와 8회차간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Z=-0.817, p = 0.414), 1회차와 8회차간에서 유의한 결과가 있었다 (Z=-1.999, p=0.046).

    7) 안전성 및 만족도 평가

    체간 견인-진동 기기를 적용한 후 어지럼증, 두통, 요 통과 같은 기타 부작용은 발생하지 않았다. 1명의 대상자 는 기기 사용 후 허리의 뻐근함을 경험하였으나 일시적이 었으며, 2명의 대상자는 초기에 진동이 강하게 느껴졌으 나 3일차부터 적응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설문 조사에 따 르면 대상자의 80% 이상이 체간 견인-진동 기기에 만족 했으며, 16명의 대상자는 체간 견인-진동 기기를 적용 후 장 운동과 소화 활동이 활발해졌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모든 남성 대상자는 기기 사용 후 배뇨 활동이 증가하였다 고 응답하였다(Table 3).

    Table 3

    Safety and satisfaction rating results (n = 21)

    Questions Answers
    How do you think your spinal traction vibration device experience has affected your ability to digest?
    • Digestive capacity has been activated and positively affected (n=16)

    • Don't notice any change in ability to digest (n=5)

    How do you think your experience with a spinal traction vibration device has affected your ability to have a bowel movement?
    • Increased bowel movements and positive impact (n=16)

    • No significant change in bowel activity (n=5)

    How do you think your experience with a spinal traction vibration device has affected your urinary activity?
    • Increased urinary activity and positive impact (n=7, M=5 / F=2)

    • No significant change in urinary activity (n=14)

    Have you ever experienced dizziness after a spinal traction vibration device moderation?
    • No symptoms of dizziness (n=21)

    Side effects after Spinal traction vibration device intervention?
    • No side effects (n=18)

    • Initial lower back stiffness (n=1)

    • Initially felt strong vibration intensity (n=2)

    n = number of responses

    Ⅳ. 논 의

    본 연구에서 4주간 총 8회 체간 견인-진동 기기를 대상 자에게 적용한 결과, 대상자의 요통은 중재 1회차에서 8회 차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 의하였다. 또한 요통과 관련된 기능적 장애 수준과 스트 레스, 근육 생체역학적 특성인 근경직도가 1회차에 비하 여 8회차에서 개선되는 결과를 보여 지속적인 기기 사용 은 요통 완화와 삶의 질 개선에 효과적임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에서 중재에 적용한 체간 견인-진동 기기의 통증 강도와, 기능적 장애 수준 개선 효과는 전신 진동요법 및 견인을 결합한 기기를 바로 선 자세에서 적용한 이전 연구 의 결과와 유사하다(Maddalozzo et al., 2016). 견인과 진 동은 요추 기립근의 근육 피로도를 줄이는데 효과적이며 일반적으로 관절과 근육에 수동적 및 능동적으로 적용한 다. 선행연구에서는 발판을 통한 전신 진동 및 견인이 결 합된 기기를 사용하였으며, 진동이나 견인만 단독으로 적 용하는 것보다 결합하여 적용하는 것이 요추기립근과 상 부승모근의 근육 피로도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고 요통에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한다고 보고하였다(Wang et al., 2014). 기존 연구에서는 체간을 중심으로 원위 부위에 진 동을 적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중력이 제거된 바로 누 운 자세에서 체간에 직접 횡적진동을 적용하여 보다 효과 적인 자극이 가능하였다. 생체 역학 모델에 따르면, 요추 견인은 관절의 신연 및 추간판 내 압력을 감소시키며, 진 동은 혈액 순환을 촉진하여 산소와 영양분의 공급을 증가 시킨다. 이로써 세포와 조직의 환경이 개선되어 통증이 감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de Sá-Caputo et al., 2022) (Cholewicki et al., 2009). 이전 연구에 따르면 통 증 감소와 스트레스 개선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Lee et al., 2020), 본 연구에서도 요통의 지속적인 감소 효과로 스트레스 또한 점차 감소될 수 있었다.

    비정상적인 근경직도는 만성요통에 기여하는 요인이다 (Creze et al., 2019). 근육의 수동적 스트레칭은 근육-힘 줄 복합체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근경직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ay & Blazevich, 2009). 본 연 구에서도 체간의 견인-진동 중재 적용 후 척추세움근의 경직도가 회차를 거듭할수록 낮아졌으며, 1회차와 8회차 간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또한 척추세움근의 근긴장도 는 중재를 지속할수록 낮아졌으나, 근육 탄성은 큰 차이 가 없었으며 근긴장도와 탄성은 중재 지속기간에 따른 유 의한 차이가 없었다. 선행연구에서는 견인시 척추 안정성 에 대한 요구가 감소함에 따라 근육 공동 활성화가 어느정 도 이완되나, 누워있는 자세와 견인력을 적용하는 것 사 이의 근활성도의 차이가 없어 체간 견인 후 척추 근육 긴 장도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보고하 였다(Cholewicki et al., 2009).

    한편, 진동요법은 내장 기관의 혈액 순환 및 말초혈액 순환, 신체 신진대사 기능, 근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 로 보고되었다(de Sá-Caputo et al., 2022); (Cardinale & Wakeling, 2005). 추가적으로 진동자극으로 위장근의 운동성이 증가하였고(Kjellberg & Wikström, 1987), 4주 간의 전신 진동 훈련 적용시 골반기저근 활성화 및 복강 내 수축 증가 효과가 보고되었다(Tantawy et al., 2019). 더불어 골반 기저근 강화는 전립선 치료에 효과도 있었다 (Ali et al., 2022). 이러한 기전에 의해, 본 연구에서 체간 의 견인-진동 적용 후 정성적인 평가를 통해 대상자들의 소화능력 및 배변, 배뇨 활동의 향상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선행연구는 본 기기의 효과로 전립선 기능 개 선을 기대할 수 있음을 뒷받침한다.

    또 다른 선행 연구에 따르면, 낮은 통증 강도는 신체활 동을 증가시키며, 세계보건기구(WHO)의 신체활동에 대 한 권장량(≥ 600 분/주) 이상으로 수행한 대상자는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Schaller et al., 2015). 본 연구의 결과에 서도 통증 강도가 낮아지면서 삶의 질의 점수가 중재 전보 다 높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기기 적용시 지속적인 통증강도의 감소 효과와 기능적 장애수준과 스 트레스 개선, 근육의 생체역학적 특성에 대한 효과가 중 재를 거듭할수록 즉, 마지막 중재 회차에서 유의하게 나 타난 결과는 지속적인 중재 적용 시 다면적 효과로 인하여 삶의 질이 보다 개선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향후 초고령사회의 주요 인구인 노인을 대상 으로 체간에 개발된 견인-진동 기기의 효과를 확인한 연 구이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요통 환자의 효과 적인 치료 전략 개발 및 전반적인 노인 건강 관리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주요 한계점은 대상자 성별의 불균형, 적은 대상자의 수, 대조군의 부재, 짧은 중재 기간과 신체활동 수준을 통제하지 않았던 점, 근육 생체역학적 상태 평가 시 제한된 영역만을 평가하였던 점이 있다. 향후 연구에 서 보다 많은 수의 다양한 대상자를 모집하여, 장기간의 기기 사용 효과 입증과 노인의 만성통증 관리 및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제안한다.

    Ⅴ. 결 론

    만성요통 노인의 체간에 견인-진동 기기를 적용시 요 통과 삶의 질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대상자들 의 기기에 대한 높은 만족도와 부작용의 보고가 없는 점은 기기의 안전성과 내구성, 효과성을 입증한다. 따라서, 임 상 및 가정에서 체간 견인-진동 기기를 활용하여 요통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신체적 기능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의 만성요통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중요한 기초 연구 결과를 제공하고 만성요통 관리에 대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의료 및 물리치료 분야 에서 임상의사결정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AOSPT-19-2-91_F1.gif

    체간 견인-진동기기(Super Swing 4000)

    AOSPT-19-2-91_F2.gif

    체간 운동장치

    AOSPT-19-2-91_F3.gif

    체간 견인-진동기기(Super Swing 4000)를 사용한 중재

    Table

    Descriptive data for the subjects in the study (n = 21)

    n = number of responses; BMI: Body mass index

    Mean±standard deviations of the outcome measurement scores (n = 21)

    n = number of responses.; Mean: 평균; SD: 표준편차; VAS: 통증강도; Dynamic Stiffness: 근경직도; Oscillation Frequency: 근긴장도; Logarithmic Decrement: 근육탄성; EQ-5D: 삶의 질; ODI: 기능적 장애 수준; uBioMacpa: 스트레스 수준. *: 기준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의미(<i>p</i><.05).

    Safety and satisfaction rating results (n = 21)

    n = number of responses

    Reference

    1. 영숙조, & 동문염 (2019). Latent class analysis fo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middle-aged male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9(1), 104-112.
    2. Ali, M. , Hutchison, D. D. , Ortiz, N. M. , Smith, R. P. , & Rapp, D. E. (2022). A narrative review of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in the management of incontinence following prostate treatment. Translational Andrology and Urology, 11(8), 1200.
    3. Allegri, M. , Montella, S. , Salici, F. , Valente, A. , Marchesini, M. , Compagnone, C. , Baciarello, M. , Manferdini, M. E. , & Fanelli, G. (2016). Mechanisms of low back pain: A guide for diagnosis and therapy. F1000Research, 5.
    4. Cardinale, M. , & Wakeling, J. (2005).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Are vibrations good for you?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39(9), 585-589.
    5. Cholewicki, J. , Lee, A. S. , Reeves, N. P. , & Calle, E. A. (2009). Trunk muscle response to various protocols of lumbar traction. Manual Therapy, 14(5), 562-566.
    6. Creze, M. , Soubeyrand, M. , & Gagey, O. (2019). The paraspinal muscle-tendon system: Its paradoxical anatomy. PloS One, 14(4), e0214812.
    7. De Sá-Caputo, D. D. C. , Seixas, A. , Taiar, R. , & Bernardo-Filho, M. (2022). Vibration therapy for health promotion. Complementary Therapies, 213.
    8. Delgado, D. A. , Lambert, B. S. , Boutris, N. , McCulloch, P. C. , Robbins, A. B. , Moreno, M. R. , & Harris, J. D. (2018). Validation of digital visual analog scale pain scoring with a traditional paper-based visual analog scale in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Global Research & Reviews, 2(3).
    9. Fairbank, J. C. , & Pynsent, P. B. (2000).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Spine, 25(22), 2940-2953.
    10. Garcez, D. R. , Da Silva Almeida, G. C. , Silva, C. F. O. , De Souza Nascimento, T. , De Athayde Costa e Silva, A. , Kleiner, A. F. R. , Da Silva Souza, G. , Yamada, E. S. , & Callegari, B. (2021). Postural adjustments impairments in elderly people with chronic low back pain. Scientific Reports, 11(1), 4783.
    11. Jang, E. J. , Yun, S. Y. , Choi, B. J. , & Kim, Y. G. (2019). The horticultural activity of touching soil and the autonomic nervous stress response of patients with brain disease.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37(1), 151-158.
    12. Jensen, I. , & Harms-Ringdahl, K. (2007). Strategie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musculoskeletal conditions. Neck pain. Best Pract Res Clin Rheumatol, 21(1), 93-108.
    13. Kay, A. D. , & Blazevich, A. J. (2009). Isometric contractions reduce plantar flexor moment, Achilles tendon stiffness, and neuromuscular activity but remove the subsequent effects of stretch.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07(4), 1181-1189.
    14. Kjellberg, A. , & Wikström, B. O. (1987). Acute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Stabilography and electrogastrography.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 Health, 243-246.
    15. Koç, M. , Bayar, B. , & Bayar, K. (2018). A comparison of Back pain functional scale with Roland Morris disability questionnaire, Oswestry disability index, and short form 36-health survey. Spine, 43(12), 877-882.
    16. Koçak, F. A. , Tunç, H. , Sütbeyaz, S. T. , Akkuş, S. , Köseoğlu, B. F. , & Yılmaz, E. (2018). Comparison of the short-term effects of the conventional motorized traction with non-surgical spinal decompression performed with a DRX9000 device on pain, functionali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ssociated with lumbar disc herniation: A single-blind randomized-controlled trial. Turkish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64(1), 17.
    17. Korea, S. (2022). Elderly population statistics. 2022 Elderly Statistics, Statistics Korea. Retrieved from https://kostat.go.kr
    18. Lee, M. H. , Kim, K. E. , Jang, H. Y. , & Cho, I. Y. (2020). The effectiveness of using a spinal column thermal massage device on muscle pain, depression and stres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7), 361-368.
    19. Lee, Y. (2020). The survey of conditions of Korean older persons. 2020 Elderly Survey Repor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eoul, South Korea.
    20. Maddalozzo, G. F. , Kuo, B. , Maddalozzo, W. A. , Maddalozzo, C. D. , & Galver, J. W. (2016). Comparison of 2 multimodal interventions with and without whole body vibration therapy plus traction on pain and disability in patients with nonspecific chronic low back pain. Journal of Chiropractic Medicine, 15(4), 243-251.
    21. Miranda, V. S. , Decarvalho, V. B. , Machado, L. A. , & Dias, J. M. D. (2012). Prevalence of chronic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elderly Brazilian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13(1), 1-11.
    22. Musumeci, G. (2017). The use of vibration as physical exercise and therapy. Journal of Functional Morphology and Kinesiology, 2(2), 17.
    23. Pereira, L. V. , Vasconcelos, P. P. D. , Souza, L. A. F. , Pereira, G. D. A. , Nakatani, A. Y. K. , & Bachion, M. M. (2014). Prevalence and intensity of chronic pain and self-perceived health among elderly people: A population-based study. Revista Latino- Americana de Enfermagem, 22, 662-669.
    24. Practice, C. E. , Group, O. O. C. , Velez, M. , Lugo-Agudelo, L. H. , Patiño Lugo, D. F. , Glenton, C. , Posada, A. M. , Mesa Franco, L. F. , Negrini, S. , Kiekens, C. , & Spir Brunal, M. A. (1996).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ovision of home‐based rehabilitation services for people needing rehabilitation: A qualitative evidence synthesi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23(2).
    25. Qaseem, A. , Wilt, T. J. , McLean, R. M. , Forciea, M. A. , & Physicians, C. G. C. O. T. A. C. O. (2017). Noninvasive treatments for acute, subacute, and chronic low back pain: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66(7), 514-530.
    26. Rapo-Pylkkö, S. , Haanpää, M. , & Liira, H. (2016). Chronic pain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A population-based clinical study. Scandinavian Journal of Primary Health Care, 34(2), 159-164.
    27. Robinson, C. L. (2007). Relieving pain in the elderly. Health Progress(Saint Louis, Mo.), 88(1), 48-53, 70.
    28. Saggini, R. , Carmignano, S. M. , Palermo, T. , & Bellomo, R. G. (2016). Mechanical vibration in rehabilitation: state of the art. Journal of Novel Physiotherapies, 6(06).
    29. Schaller, A. , Dejonghe, L. , Haastert, B. , & Froboese, I. (2015).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A cross-sectional study.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16(1), 1-8.
    30. Schneider, S. , Peipsi, A. , Stokes, M. , Knicker, A. , & Abeln, V. (2015). Feasibility of monitoring muscle health in microgravity environments using Myoton technology. Medical & Biological Engineering & Computing, 53, 57-66.
    31. Tantawy, S. A. , Elgohary, H. M. , Abdelbasset, W. K. , & Kamel, D. M. (2019). Effect of 4 weeks of whole-body vibration training in treating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fter prostate cancer surgery: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Physiotherapy, 105(3), 338-345.
    32. Van Leeuwen, K. M. , Van Loon, M. S. , Van Nes, F. A. , Bosmans, J. E. , De Vet, H. C. , Ket, J. C. , Widdershoven, G. A. , & Ostelo, R. W. (2019). What does quality of life mean to older adults? A thematic synthesis. PloS One, 14(3), e0213263.
    33. Wang, C. C. , Chao, J. K. , Chang, Y. H. , Chou, C. L. , & Kao, C. L. (2020). Care for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pai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hysical therapy and rehabilitation suggestions for pain management. Journal of the Chinese Medical Association, 83(9), 822.
    34. Wang, L. , Zhao, M. , Ma, J. , Tian, S. , Xiang, P. , Yao, W. , & Fan, Y. (2014). Effect of combining traction and vibration on back muscles,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Medical Engineering & Physics, 36(11), 1443-1448.
    35. Wong, A. Y. , Karppinen, J. , & Samartzis, D. (2017). Low back pain in older adults: Risk factors, management options and future directions. Scoliosis and Spinal Disorders, 12(1), 1-23.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