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5 No.1 pp.1-10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19.15.1.01

The Effect of Vibration Foam Roll and Flossing Band Exercise on Muscle Strengthing and Balance in Olders

Sangwan Han*
Gwangju Health University,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교신저자: 한상완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E-mail: rpthan@ghu.ac.kr
20190614 20190623 20190629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lower muscle strengthening and balance when vibration foam roll and flossing band exercises were performed for 4 weeks by the elderly.


Methods:

Twenty elderly participants, aged ≥ 65 year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equally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performed vibrating foam roll exercises. Group B performed flossing band exercises. Each group performed the respective exercises two times per week for 4 weeks and underwent measurements during muscle strength and timed up-and-go test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 independent t 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nd a paired t-test was used to determine statistical differences within the group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at α =.05.


Results:

Both the vibration foam roll and flossing band exercise group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muscle strength and balance in the knee flexors and extensors, ankle dorsi flexors, and ankle plantar flexors between the pre and post intervention values (p<.05). However,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except for the knee extensor.


Conclusion:

In this study, both the vibrating foam roll and flossing band exercises were effective for improving various measures regarding muscle strength and balance.



진동 폼롤러와 플로싱밴드 운동이 노인의 하지 근력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

한 상완*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초록


    Ⅰ. 서 론

    2017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65세 이상의 노인이 인구 의 13.8%, 2040년에는 32.8%로 급격히 증가하여 노인 중 심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통계청, 2017). 이러한 노인 중심사회의 다양한 문제 중 하나가 노인들의 낙상 문제이며, 낙상은 전체 노인의 21.0%가 지난 1년 동안 낙상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낙상으로 인해 병원 치료를 받은 경우는 72.4%, 후유증 경험은 47.4%에 달한다(보건복지부, 2015).

    노인의 낙상 위험 요인 중 노화로 인해 근력 및 유연성 감소로 관절가동 범위 감소(LaStayo 등, 2003), 균형 감각 저하로 인한 보행의 어려움으로 인해 낙상이 증가된다고 보고되고 있다(Bae & Cho, 2014). 낙상 예방을 위한 노인 들에게 치료적 중재 및 운동의 중요성 및 효과에 대한 연구 들이 다양하게 진행되었으며, 가장 적합한 운동 종류에 대한 선택은 여전히 난제로 남아있다(한기훈 & 배강호, 2018). 미국 스포츠의학회(ACSM: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의 권고에 따르면 노인 대상 운동프로그 램은 운동 강도가 낮고 단순한 도구를 사용하며, 상해 위험 성이 적고, 단체로 하는 운동을 추천하고 있어(Thompson, 2016), 임상에서 다양한 소도구들을 이용하여 노인들에게 운동을 적용시키고 있지만 다양한 소도구들을 이용해서 기능수행 능력 및 균형에 대한 연구들이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소도구 중에 폼 롤(foam roll)과 진동효과를 결합 시킨 진동 폼 롤러와 고무 밴드를 이용해 근육 및 관절 부위를 감은 상태에서 운동 시키는 플로싱 밴드(flossing band)가 개발되어 임상에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 기존 폼롤러에 진동을 추가한 진동 폼롤러가 개발되어 많은 재활 전문가 및 트레이너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사용하고 있다. 진동(vibration)은 근수축력에 긍정 적인 효과와 진동 계수 50-200Hz에서 근방추가 민감하고, 진동을 적용하면서 근 수축이 발생하는 동안 근력을 증가시 킨다(유승현 외, 2012). 한상완(2018)의 연구에서 진동 폼롤 러를 이용하였을 때 진동의 기계적 자극으로 운동 중 통증 자각도가 낮게 느껴지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아 일반 폼롤러 그룹보다 더 편하게 접근할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플로싱(flossing)의 의미는 치과에서 사용하는 의학 용 어로 이빨사이에 치석들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치실’ 을 의미한다(한상완, 2017). 또 다른 의미로 재활과 트레이 닝 분야에서 두꺼운 고무 밴드로 관절이나 근육 조직을 감싸고 부분적으로 혈류 제한을 한 상태에서 1-3분 동안 관절가동 운동 또는 기능운동을 실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Blair 등, 2019). Starrett와 Cordozan(2013)는 플로싱 밴 드의 적절한 사용은 관절 표면의 슬라이딩을 개선하고 관 절 통증을 줄이며, 기계적수용기의 강한 자극을 가져오며, 뇌에 이 자극이 전달되어 척수에서 통증을 억제 시킨다. 밴드의 압박 후 수동운동, 능동운동 및 다른 치료적 운동과 같이 부수적인 운동을 할 때 전달력이 발생한다. 압박으로 인해 조직의 피부 아래 조직 층들이 압박되며 수동운동 및 능동운동을 실시하는 동안 개개 층들 사이에 유착된 조직과 조직 층들을 느슨하게 한다. 또한 플로싱 밴드로 조직의 혈류를 제한했을 때 성장 호르몬 분비 및 카테콜라 민 반응, 근육에서의 흥분-수축 결합의 효율성 증가로 근 력이 향상된다고 한다(Driller 등, 2017). 또한 조직을 압박 한 상태에서 대상자의 수동적인 또는 능동적인 움직임을 통해 통증, 뻣뻣함, 근 약화, 감각이상과 역학적 기능부전 의 원인이 되는 근육이나 근막과 같은 연부조직 내에 형성 된 유착을 치료하는 방법이라고 알려져 있다(Starrett & Cordozan, 2013). 추가로, 긴장되거나 유착되어 있는 근막 주변에 플로싱 밴드를 적용했을 때 근막의 기계적 수용기 (fascial mechanoreceptors)가 작용하여 관절가동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Schleip & Müller, 2013), 이런 메카니 즘은 폼롤러로 근육 조직에 압력을 적용한 후 관절가동범 위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과 비슷하다(Kelly & Beardsley, 2016). 최근에 플로싱 밴드는 운동선수들 사이에서 관절가 동 범위 증가, 부상 예방, 재활 및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Driller 등, 2017)

    이와 같이 진동 폼롤러와 플로싱 밴드의 긍정적인 효과 가 있다고 보고되었으나, 다양한 대상자 및 질환자 등에 대한 연구들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신체 기능 개선을 위해 진동 폼롤 러와 플로싱 밴드를 적용했을 때, 하지 근력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 소재의 H복지관에 지속적 으로 방문하는 65세 이상 노인 분들 가운데 사전 설문지 를 통해 당뇨병과 고혈압, 심혈관 질환자, 이상지질혈증, 동맥경화증의 진단을 받고 약물 복용 및 기왕력자들은 제 외하고, 본 연구에 대한 목적 및 실험방법을 충분히 듣고 동의서에 확인을 한 노인 20명을 선정하였다. 플로싱 밴 드 그룹은 사전 조사를 통해 당뇨병과 고혈압의 기왕력을 가진 분들은 제외하였으며, 진동 폼롤러 10명, 플로싱밴 드 10명으로 두 그룹으로 분류하여, 주 2회, 4주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 1).

    2. 운동 프로그램

    1) 진동 폼롤러 운동

    본 연구에서는 넙다리곧은근, 뒤넙다리근, 종아리근 부위 에 각 45초 운동, 15초 휴식, 5회를 실시하였으며, 운동 속도는 1비트 당 1.2초정도의 속도로 적용하였다(한상완, 2017). 사용된 진동 폼 롤러는 EPP(Expanded Polyproplyene) 소재의 TRATAC Acive Roll(나음케어, 대한민국)으로써 총 4단계의 진동 모드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위별로 적용 한 폼 롤러 운동과 진동 폼 롤러 운동은 다음과 같다(Figure 1).

    (1) 넙다리곧은근

    엎드린 자세에서 실시하였으며, 먼저 폼롤러를 위앞엉 덩뼈가시로 부터 약 3inch(7.62㎝) 낮은 곳에 위치시킨다. 한쪽 다리는 반대쪽 다리 위로 교차시고 자신의 팔꿈치를 이용해 무릎 힘줄의 위쪽 위치까지 움직이도록 하였다 (Gregory 등, 2015). 양쪽 다리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2) 뒤넙다리근

    엉덩이가 바닥에 닫지 않은 상태에서 엉덩이 주름 아래 쪽으로 운동을 실시하였다. 양쪽발을 폼롤러 위에 놓고, 자신의 팔로 몸이 지지하고, 엉덩이 주름 아래부터 오금 뒷면의 위쪽부분 까지 움직이도록 하였다(Gregory 등, 2015). 양쪽 다리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3) 종아리근

    엉덩이가 받침 되지 않는 상태에서 폼롤러에 아킬레스 건 위쪽에 위치시킨다. 양쪽 발을 폼롤러 위에 놓고, 자신 의 팔로 몸을 지지하고, 무릎 바로 밑 부분에서 아킬레스 건 위 부분 까지 움직이도록 하였다. 양쪽 다리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2) 플로싱 밴드 운동 프로그램

    플로싱 밴드 운동 프로그램 방법은 한상완(2017)이 번 역한 플로싱을 참고하여 허벅지와 무릎관절 종아리 발목 관절에 적용하였다. 적용 시간은 각 부위 별로 압박 2분 동안 가동 운동 실시, 제거 후 바로 가동 운동 실시, 휴식 을 30초를 적용하였다. 이때 대상자들에게 통증 척도 (VAS)를 사전 교육을 실시한 후 밴드를 감은 후 운동 중 통증이 10점 중 7점 이상이면 바로 밴드를 제거했으며, 청색증이나 마비가 오면 운동을 중단하고 밴드를 풀도록 하였다. 사용된 플로싱 밴드는 천연고무 소재의 플로싱 밴드(Scantband, malaysia)로서 Lime Green색을 이용하 였다. 노인들이 대상자이기 때문에 제조회사에서 판매하 는 밴드 중 가장 약한 밴드를 이용했으며, 각 부위별로 적용한 밴드를 감는 방법과 운동은 다음과 같다.

    (1) 무릎관절

    대상자는 무릎을 펴고 누운 자세로 누워 있도록 하고 무릎이 자유롭도록 다리를 지지시켰다. 첫 번째 턴에서는 30-50%의 장력으로 무릎 아래 정강뼈 거친면에 고정시켰 다. 밴드는 위쪽으로 올라 감으며 각 턴마다 밴드가 30% 겹치도록 하였다. 밴드를 전체 무릎을 감싼 후 고정시켰다. 밴드를 감은 후에 운동은 대상자가 앉아서 능동적으로 무 릎 폄, 굽힘을 반복하는 동작을 각각 10회 실시하였다. 그 리고 대상자는 일어서서 마주보는 치료사와 양 손을 잡고 스쿼트를 10회 실시하였다. 밴드를 제거 한 후에 다시 앉아 서 무릎 폄, 굽힘 운동을 각각 10회 실시하였다.

    (2) 종아리

    대상자를 바닥에 눕힌 상태에서 무릎은 약간 구부리고 발을 의자에 올려놓았다. 첫 번째 턴을 30-50%의 장력으로 감아서 가쪽 복사뼈 위 3cm 지점에 고정시키고 각 턴마다 밴드가 50% 겹치도록 해서 위쪽으로 감았다. 밴드를 종아 리 근육을 완전히 감싼 후 고정시켰다. 종아리 운동은 대상 자가 앉은 상태에서 발목의 발등굽힘, 발바닥굽힘, 안쪽번 짐, 가쪽번짐과 돌림운동을 각각 10회 실시하였으며, 각각 의 분리된 운동이 아닌 이어지는 동작으로 실시한다. 이어 서 대상자는 일어서서 실험자와 마주보며 치료사의 양 손을 잡고 스쿼트 10회를 실시하였다. 밴드를 제거 한 후에 다시 앉아서 더 율동적으로 발목의 발등 굽힘, 발바닥 굽힘, 안쪽 번짐, 가쪽 번짐과 돌림운동을 각각 10회 실시하였다.

    (3) 발목관절

    대상자를 바닥에 눕힌 상태에서 의자 끝에 발을 올렸다. 환자의 발을 약간 위로 당겨 제 1번 발허리뼈(Metatarsal) 부위에 고정시켜, 첫 번째 턴을 30-50%의 장력으로 밴드를 감았다. 밴드를 발목관절을 완전히 감은 다음 고정시켰다. 발목의 발등 굽힘, 발바닥 굽힘, 안쪽 번짐, 가쪽 번짐과 돌림운동을 각각 10회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분리된 운동이 아닌 이어지는 동작으로 실시한다. 밴드를 제거 한 후에 다시 앉아서 더 율동적으로 발목의 발등 굽힘, 발바닥 굽힘, 안쪽 번짐, 가쪽 번짐과 돌림운동을 각각 10회 실시하였다.

    3. 실험절차

    1) 근력 측정

    본 연구에서는 각 근육을 측정하기 위해 AP1110 (Jtech Medial, USA)장비를 이용하였으며 단위는 LBS(pound)를 사용하였다. 각 인체부위의 모든 방향에서 근력을 측정할 수 있어, 각 신체부위 근력을 최대 125lbs(56.7kg)까지 측 정할 수 있으며, 디지털 근력계의 정확도는 99%이고, 측 정자 내 신뢰도와 측정자간 신뢰도는 각각 r=.90~.96, r=.76~.97이다(Koblbauer et al, 2011). 본 연구에서 하지 근력의 측정자세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무릎관 절 폄의 측정은 앉은 자세에서 압력 판을 발목 앞부분에 댄 상태에서 무릎을 펴도록 지시한 후 최대한 힘을 주도록 한 상태에서 측정하였으며, 무릎관절 굽힘은 엎드려 누운 자세에서 하퇴 먼 쪽 부위 아킬레스건에 댄 상태에서 최대 한 힘을 주도록 한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두 번째 발등 굽 힘의 측정은 무릎을 펴고 앉은 자세(long sitting)에서 발등 의 먼 쪽 부위에 압력판을 대고 발등을 들어 올리도록 지시 하고 최대한 힘을 주도록 한 상태에서 측정하였으며, 발바 닥 굽힘은 발바닥의 먼 쪽 부위에 압력판을 대고 최대한 힘을 주도록 한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각각 1회 연습 후 2 회 측정한 값의 평균을 기록하였다(Krebs et. al., 2007).

    2) 동적 균형능력 측정(Time up and go)

    기능적인 운동성과 이동능력, 균형을 빠르게 측정할 수 있는 검사로 팔걸이가 있는 의자에 앉아 실험자의 출발 신호와 함께 의자에서 일어나 3m거리를 걸어서 다시 되돌 아와 의자에 앉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측정자내 신뢰도는 r=0.99이고, 측정자간 신뢰도는 r=0.98로 신뢰 할 만한 도구이다(Podisadlo & Richardson, 1991). 20초 이상이면 기능적인 운동 손상을 지적한다고 하였으며 이 검사는 노인의 균형능력과 기능적인 운동을 평가하여 넘어 짐의 위험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허약 한 노인뿐만 아니라, 뇌졸중, 파킨슨질환, 관절염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도 적용되고 있다(Morris et al, 2001). 치료 사의 출발신호와 함께 의자에서 일어나 3m 거리를 걸어가 다시 되돌아와서 의자에 앉는 속도를 측정한다. 1회 연습과 정을 거친 후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4. 자료분석

    통계분석은 윈도우용 SPSS 21.0(0(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측정된 자료의 동질성 검정을 위해 Shapiro-wilk 검정을 실시하였다. 운동 전, 후 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로 분석 하였으며, 그룹 간 비교를 위해 독립 T-test를 실시하였 다. 모든 자료의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하지 근력의 변화

    무릎 굽힘 및 폄, 발목 발등 굽힘, 발바닥 굽힘 근력 변화에 대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그룹 간 변화 양상 의 차이를 독립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무릎 폄에서만 그룹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무 릎 굽힘, 발등 굽힘, 발바닥 굽힘은 그룹 사이에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룹 별 사전, 사후를 대응표본 T-test로 실시한 결과 폼롤러 그룹에서 무릎 굽힘 근력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9.7Ib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1), 무릎 폄 근력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7.7Ib 증가 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1), 발 등 굽힘 근력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4.2Ib 증가하여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1), 발바닥 굽힘 근력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7.6Ib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플로싱 밴드 그룹에서 무릎 굽힘 근력에서 사전보다 사 후에 11.5Ib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 며(p<0.001), 무릎 폄 근력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5.9Ib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1), 발등 굽힘 근력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7Ib 증가하여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1), 발바닥 굽힘 근력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11.1Ib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2. 동적 균형의 변화

    동적 균형 변화에 대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그룹 간 변화 양상의 차이를 독립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동적 균형은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 별 사전, 사후를 대응표본 T-test로 실시한 결과 진 동 폼롤러 그룹에서 1.36초 감소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4)플로싱 밴드 그룹에서는 1.2초 감소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28)되었다.

    Ⅳ. 고 찰

    본 연구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진동 폼롤러를 이용한 운동 과 플로싱 밴드 적용 후 하지 관절의 근력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노인들의 하지 근력 약화 에 의해 보행 문제, 계단 오르내리기, 의자에서 일어나기, 낙상 등의 문제가 유발된다(Bohannon, 1995). 노인들의 근력 및 기능수행력을 증가시키기 소도구들을 이용해서 복지관 및 가정에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중재 방법들을 권장하고 있다. 소도구 운동 기구 중 폼롤러는 근육의 불균형을 교정하고 근육통을 완화하며, 관절의 스 트레스를 완화하고 신경근의 효율성을 향상 시키며 관절가 동범위를 향상시킨다(Curran, Fiore, & Crisco, 2008). 또 한 폼롤러 운동 같은 마사지는 근육의 경련을 풀어주기 위하여 근육의 깊숙한 곳까지 자극을 주며, 자극을 주는 과정은 신경을 안정시키고 근육을 풀어주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신체의 피로 회복을 돕는다(Cheatham et al, 2015). 최근에 기존 폼롤러에 진동을 추가한 진동 폼롤 러가 개발되어 많은 재활 전문가 및 트레이너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사용하고 있다. 진동(vibration)은 근수축력 에 긍정적인 효과와 진동 계수 50-200Hz에서 근방추가 민감하고, 진동을 적용하면서 근 수축이 발생하는 동안 근력을 증가시킨다(유승현 외, 2012). Bogaerts 등(2007)의 연구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전신 진동운동을 실시하였을 때 근력, 점프 수행능력이 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해 진동 운동이 노인들의 근신경 적응에 의해 근력이 증가했다고 보고하였다. 한상완(2018)은 진동 폼롤러 와 일반 폼롤러를 적용 한 후 24시간, 48시간 후 수직 점프를 비교한 결과 진동 롬러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아니지만 더욱 수직 점프 높이가 약 7%정도 더 증가하여 진동이 근육의 수축시간 및 생리적 기전 반사를 변화시켜 나타난 결과라고 보고하였다.

    플로싱 밴드에 대한 연구들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으나, 현재 노인들을 대상으로 일정 기간 적용 한 후, 근력 및 균형에 대한 연구가 없는 실정이며, 선행 연구들이 거의 없으며, 다양하지 않다. 플로싱 밴드는 혈 액 제한운동(blood flow restriciton exercise) 또는 가압 운동(occlusion exercise)과 유사한 기전을 가지고 있으며, 이 운동은 건강상의 이유로 무거운 중량 운동을 할 수 없거 나 또는 힘든 운동을 원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특히 적합한 운동이며, 부상이나, 수술 후 또는 관절염 및 노인들에게 특히 적합한 운동이다(Abe et al. 2006, Ohta et al. 2003, Hylden et al. 2015). Abe 등(2006)은 혈액제한 운동은 낮 은 강도에서의 지구력 훈련, 걷기와 자전거와 같은 운동을 통해 근력 강화 및 근섬유 비대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 한상완(2017)에 따르면 플로싱 밴드를 이 용하여 통증 호소 부위, 가동범위의 제한이 있는 관절 또 는 근육과 급성 손상으로 부어 오른 곳을 직접 감은 상태로 수동 운동 또는 능동 운동을 시킨 후, 통증 감소, 가동성 증가, 부종 감소 및 치료과정을 가속화 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동 폼롤러 운동과 플로싱 밴드 운동을 노인들에게 4주간 적용했을 때 두 그룹 모두 무릎 굽힘, 폄 및 발목 발등 굽힘, 발바닥 굽힘 근력이 사전 보다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두 그룹 사이에는 무릎 폄근에서 만 그룹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무릎 폄근에서 차이는 진동 폼롤러 그룹의 평균 연령은 72세, 플로싱 밴드 그룹의 연령은 80세로 두 그룹 사이에 연령차이가 있어 나타난 것으로 생각 된다. 따라서 진동 폼롤러 및 플로싱 밴드 운동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이라 고는 말할 수 없으며, 진동 폼롤러는 한 면의 근육들을 집중적으로 운동할 수 있어 하지 근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정에서 혼자 운동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며, 플로싱 밴 드는 적용 부위의 아래 근육들의 혈류 제한을 가져오며, 밴드가 감싸고 있는 관절 및 근육들이 압박된 상태에서 수축 이완이 발생하여 근력이 증가하지만, 가정에서 혼자 적용할 수 없어 전문교육을 받은 치료사들이 적용하는 것 이 더욱 바람직 할 것으로 생각된다.

    동적 균형으로 이용되고 있는 time up and go(TUG)는 노인의 기능수행능력을 임상에서 간편하게 평가하기에 유용하며 이를 근거로 노인의 낙상 예측인자 또는 일상생 활동작에서의 기능평가에 대한 기초가 되고 있다(김재현, 2009). 인태성(2009)은 노인들에게 전신 진동 운동을 적 용했을 때 동적 균형이 운동 전 57.14초에서 31.30초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곽철진(2014)의 연구 에서는 탄력 밴드 저항 운동을 적용했을 때 운동 전 11.42±2.24초에서 운동 후 10.41±2.02초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진동 폼롤러 운동 전 10.9±1.21초에서 9.6±1.36초로 1.3초가 감소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플로싱 밴드 그룹에서도 운동 전 12.3±1.71초에서 11.1±1.42초 1.2초가 감소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진동 폼롤러 운동과 플로싱 밴드 운동 모두 동적 균형에 긍정적 인 영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 노인들의 하지 근력 및 균형 능력을 향 상시키기 위해 진동 폼롤러 운동과 플로싱 밴드 운동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폼롤러는 가정에서 쉽 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플로싱 밴드는 전문 교육을 받은 치료사 또는 트레이너들이 쉽게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작아 좁은 공간에서 필요한 환자 또 는 고객에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대상자의 개별적인 운동능력을 고려한 개별 적 운동처방이 이루어 지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했으며, 대상자 수가 충분하지 않아 결과를 일반화가 어렵다. 또 한 연구 기간 동안에 개개인의 생활은 통제하지 못한 연구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광역시에 소재한 H노인 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신체 기능 개선을 위해 진 동 폼롤러와 플로싱 밴드를 적용했을 때, 하지 근력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진동 폼롤러와 플로싱 밴드를 운동하는 그룹을 무작위로 각 10명씩 나누워 무릎 및 발목관절 주변 근육 및 관절에 주 2회, 4주간 적용하였 다. 사전에 각 프로그램들에 대한 내용을 설명한 후 이를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자들로부터 참여 동의서를 받고 운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진동 폼롤러 운동과 플로싱 밴드 운 동을 노인들에게 적용하였을 때 근력과 동적균형에서는 전체적으로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무릎 굽힘, 폄과 발목 발등굽힘, 발바닥 굽힘근의 근력이 두 그룹 모 두 증가하였으며, 두 그룹사이에는 무릎 폄근만 두 그룹 사이에 차이가 나타났다. 동적균형도 두 그룹 모두 사전 보다 시간이 감소되어, 진동 폼롤러 운동과 플로싱 밴드 운동이 노인의 하지 기능 수행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임상적으로 가정에서 근력 및 균형능력 향상을 위해 진동 폼롤러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가정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으며, 플로싱 밴드는 재활센터 및 병원에서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치료사들이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8년도 광주보건대학교 교내연구비의 지 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3018012).

    Figure

    AOSPT-15-1-1_F1.gif

    Using a foam roller to exercise program the lower extremity muscles

    Tabl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10)

    Changes in range of motion on lower extremity joint and dynamic balance between groups

    Reference

    1. 곽철진 (2014). 탄력 밴드 저항 운동이 노인의 균형, 보행, 유연성 및 낙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 삼육 대학교 대학원, 한국).
    2. 김재현 (2009). 노인의 보행에 대한 평가 도구와 신뢰도와 타당도 조사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1(1), 41-48.
    3. 보건복지부 (2015). Th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older person in Korea.
    4. 유승현 등. (2012). 얀다의 근육 불균형의 평가와 치료. 한국: 영문출판사.
    5. 인태성 (2008). 전신 진동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근력,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 삼육대학 교 대학원, 한국).
    6. 통계청 (2017). 2017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elderly. Daejeon: Statistics Korea.
    7. 한기훈, 배강호 (2018). 운동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노인기능 체력의 변화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7(2), 635-646.
    8. 한상완 (2017). 플로싱. 서울: 범문에듀케이션.
    9. 한상완 (2018). 폼롤러와 진동 폼롤러 운동이 단기간 압통 역치와 수직점프의 변화. 정형스포츠물리치료학회지, 14(1), 137-145.
    10. Abe, T. , Kearns, C. F. , & Sato, Y. (2006). Muscle size and strength are increased following walk training with restricted venous blood flow from the leg muscle, Kaatsu-walk training.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00(5), 1460-1466.
    11. Bae, J. , & Cho, S. I. (2014). Effects of community-based comprehensive fall prevention program on muscle strength, postural balance and fall efficacy in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6), 697-707.
    12. Bogaerts, A. , Delecluse, C. , Claessens, A. L. , Coudyzer, W. , Boonen, S. , & Verschueren, S. M. (2007). Impact of whole-body vibration training versus fitness training on muscle strength and muscle mass in older men: a 1-yea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62(6), 630-635.
    13. Bohannon, R. W. (1995). Sit-to-stand test for measuring performance of lower extremity muscle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80, 163-166.
    14. Cheatham, S. W. , & Kolber, M. J. (2017). Does Self Myofascial Release With a Foam Roll Change Pressure Pain Threshold of the Ipsilateral Lower Extremity Antagonist and Contralateral Muscle Groups?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Sport Rehabilitation, 2, 1-18.
    15. Cheatham, S. W. , Kolber, M. J. , Cain, M. , & Lee, M. (2015). The effects of self-myofascial release using a foam roll or roller massager on joint range of motion, muscle recovery, and performance: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Physical Therapy, 10(6), 827-838.
    16. Curran, P. F. , Fiore, R. D. , & Crisco, J. J. (2008). A comparison of the pressure exerted on soft tissue by myofascial rollers. Journal of Sport Rehabilitation, 17(4), 432-442.
    17. Driller, M. , Mackay, K. , Mills, B. , & Tavares, F. (2017). Tissue flossing on ankle range of motion, jump and sprint performance: A follow-up study. Physical Therapy in Sport, 28, 29-33.
    18. Han, S. W. , Lee, Y. S. , & Lee, D. J. (2017). The influence of the vibration form roller exercise on the pains in the muscles around the hip joint and the joint performanc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9(10), 1844-1847.
    19. Hylden, C. , Burns, T. , Stinner, D. , & Owens, J. (2015). Blood flow restriction rehabilitation for extremity weakness: A case series. Journal of Special Operations Medicine, 15(1), 50-56.
    20. Kelly, S. , & Beardsley, C. (2016). Specific and cross-over effects of foam rolling on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Physical Therapy, 11(4), 544.
    21. Koblbauer, I. F. , Lambrecht, Y. , van der Hulst, M. L. , Neeter, C , Engelbert, R. H. , Poolman, R. W. , & Scholtes, V. A. (2011). Reliability of maximal isometric knee strength testing with modified hand-held dynamometry in patients awaiting total knee arthroplasty: Useful in research and individual patient settings? A reliability study. BMC Musculoskelet Disord, 31(12), 249.
    22. Krebs, D. E. , Scarborough, D. M. , & McGibbon, C. A. (2007). Functional vs. strength training in disabled elderly out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86(2), 93-103.
    23. LaStayo, P. C. , Ewy, G. A. , Pierotti, D. D. , Johns, R. K. , & Lindstedt, S. (2003). The positive effects of negative work: Increased muscle strength and decreased fall risk in a frail elderly population.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58(5), 419-424.
    24. Mills, B. , Mayo, B. , Tavares, F. , & Driller, M. (2019). The effect of tissue flossing on ankle range of motion, jump and sprinting performance in elite rugby union athletes. Journal of Sport Rehabilitation, 24, 1-8.
    25. Morris, S. , Morris, M. E. , & Iansek, R. (2001).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btained with Parkinson disease. Physical Therapy. 81(2), 810-818.
    26. Ohta, H. , Kurosawa, H. , Ikeda, H. , Iwase, Y. , Satou, N. , & Nakamura, S. (2003). Low-load resistance muscular training with moderate restriction of blood flow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cta Orthopaedica Scandinavica, 74(1), 62-68.
    27. Pearcey, G. E. P. , Bradbury-Squires, D. J. , JonErik, K. , et al. (2015). Foam Rolling for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and Recovery of Dynamic Performance Measures.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50(1), 5–13.
    28. Podisadlo, D. , & Richardson, S. (1991).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39(2), 142‐148.
    29. Schleip, R. , & Müller, D. G. (2013). Training principles for fascial connective tissues: scientific foundation and suggested practical applications. Journal of Bodywork and Movement Therapies, 17(1), 103-115.
    30. Starrett, K. , & Cordozan, G. (2013). Becoming a Supple Leopard: The Ultimate Guide to Resolving Pain, Preventing Injury, and Optimizing Athletic Performance. VB Publishing Inc. 217-220.
    31. Thompson, W. R. (2016). Worldwide survey of fitness trends for 2017. ACSM's Health & Fitness Journal, 20(6), 8-17.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