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9 No.1 pp.1-8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23.19.1.01

Investig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Motivation, Adherence and Self-perceived Health Status in Exercise Participant Group

Youngdoo Kwon1, Jaehyuk Lee2*
1Gachon University
2Hanshin University
* 교신저자: 이재혁 E-mail: jhl7589@naver.com
March 20, 2023 May 2, 2023

Abstract

Purpo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group characteristics such as purpose, motivat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adults who participated in exercise across various periods and also describe exercise guidance strategies to improve exercise participation and adher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Methods:

The study included 69 participants who underwent short- or long-term exercise. Participants were provided a mixed questionnaire containing optional questions regarding the purpose of exercise participation and descriptive questions regarding their motivation for exercise participation. Perceived health status was measured using a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Results:

Participants indicated muscle training (37.5%) and physical strength improvement (30.15%) as the main purpose of exercise, and the instructor (26.74%), self-realization (24.42%), and educational environment (13.95%) as motivators for exercise. Perceived health status severity and exercise persistenc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R=-0.27) in contrast to exercise time per day (R=0.14) and the number of exercise sessions per week (R=0.07).


Conclusion:

Similar to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our study highlights that in contrast to external factors, exercise motivation for adherence should focus on improved intrinsic factors such as encouragement during exercise coaching and that gentle guidance methods including goal setting should be used to improve exercise persistence.



운동 참여자의 운동 동기와 지속성, 지각된 건강 상태에 관한 집단 특성 조사

권영두1, 이재혁2*
1가천대학교
2한신대학교

초록


    Ⅰ. 서 론

    현재의 건강 상태에 대한 자기 인식, 즉 지각된 건강 상 태는 객관적 측정에 기반한 건강 지표가 아님에도 불구하 고 개인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데 임상적 정보 측면에서 중요하게 여겨져 왔으며, 병력, 심혈관 질환, 교육 수준 등 과 함께 개인의 수명을 예측하는데 필요한 지표 중 하나이 다(Wolinsky & Johnson, 1992). 실제 선행연구를 통해 지각된 건강 상태는 병력과 건강 관리 시설 이용 유무 등 건강 관련 객관적 지표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수명을 예측 하는데 강력한 인자로 검증되었으며(Dube & Rishi, 2017), 그 밖에도 다양한 개인의 건강 행동 의지와 노력 정도를 예측할 수도 있다고 보고되었다(Griva, Tseferidi & Anagnostopoulos, 2015).

    이러한 이유로 지각된 건강 상태는 많은 연구에서 임 상적 지표로서 활용되었으며(Xiao & Barber, 2008;Thorlindsson, Vilhjalmsson & Valgeirsson, 1990), 특 히 지금까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중심으로 사용되 어 노인의 건강관리 시설 이용 유무, 만성 질환 유무, 운동 참여 유무, 병리학적 건강 지표 등과의 상관성도 검증되었 다(Barreto & Figueiredo, 2009;Stuifbergen, 1997). 그 러나, 운동 참여 여부를 넘어 운동 지속성과 지각된 건강 상 태 사이의 관계적 메커니즘은 아직 명확하지 않으며, 단지 운동 참여가 지각된 건강 상태를 높일 수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운동 지속성이 높을수록 지각된 건강 상 태도 높을 것이라는 상관성을 추론해볼 수 있다(Pohjonen & Ranta, 2001).

    꾸준하게 운동을 지속하는 것은 연령대에 걸쳐 다양한 신체적, 심리적 건강상 이점과 관련이 깊다(Stonerock, G. L., & Blumenthal, 2017). 지금까지 많은 연구를 통해 운동 참여 자체가 우울증(Cooney et al., 2013), 비만 (Donnelly et al., 2004), 당뇨병(Chipkin, Klugh & Chasan-Taber, 2001), 고혈압(Wallace, 2003), 만성 폐 쇄성 폐질환(Aliverti & Macklem, 2001), 골관절염 (Ytterberg, Mahowald & Krug, 1994), 나아가 암과 같은 많은 만성 질환 예방 및 치료 수단으로서 그 효과가 검증되 었다(Rajarajeswaran & Vishnupriya, 2009). 또한 만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 목적 외에도, 적당한 강도로 운동을 수 행하면 심혈관계, 뼈, 근육 등 신체 기능의 강화뿐만 아니 라 인지 기능과 전반적인 삶의 질을 높인다고 보고되었다 (Yu et al., 2013).

    그러나, 이러한 운동의 건강상 이점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대부분 사람은 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최소한의 운동 지침을 충족하지 못할뿐더러 운동을 계획하고 시작해 도 꾸준히 지속하지 못하고 중단하기 쉽다(Larson et al., 2018).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은 전 세계 인구의 신체적 활 동을 감소시키고 사회적 고립과 팬데믹 종식에 대한 불확 실성 등으로 인해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문제를 유발하였 으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지각된 건강 상태가 팬데믹 이전 대비 유의하게 낮아졌다고 보고하였다(Buneviciene et al., 2022). 이에 운동 참여가 건강 관련 지표에 미치는 직 접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운동을 지속하고 있는 대상군의 특성을 조사함으로써 사회 전반적으로 저하되어있는 지각 된 건강 상태 수준을 지속적으로 높이기 위한 운동지도 전 략에 대해 고찰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운동에 참여 중인 성인을 대상으 로 운동 참여목적과 동기, 지각된 건강 상태 등 다양한 기간 에 걸쳐 운동에 참여하는 자의 집단 특성을 조사하여 조사 결과 및 선행연구 고찰을 기반으로 운동 참여와 지속성을 높이기 위한 운동 지도 전략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는 현재 개인별로 운동에 참여 중인 20대 이상 성 인 남녀 69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모든 대상자는 자 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선정기 준은 일주일에 1회 이상 설계되어있는 운동 프로그램을 규 칙적으로 수행하는 자로 하였으며 운동을 수행하는 횟수가 규칙적이지 않거나 운동 프로그램이 정형화되어 있지 않은 스포츠 활동을 수행하는 자는 제외하였다.

    2. 실험절차 및 측정도구

    연구 대상자 선정기준에 부합한 69명의 연구 대상자는 연구 목적과 방법에 관해 설명을 듣고 자발적 참여에 대 해 동의한 뒤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신체적 특성, 직업, 운동 기간, 1회 운동시간)을 조사 후 운동참여 목적에 관 한 선택형 문항 및 운동참여 동기에 관한 서술형 문항으 로 혼합된 설문지와 일반 건강 설문지(General Health Questionnaire, GHQ)에 답하였다.

    운동참여 목적에 관해서는 체력증진, 지방감소, 근육단 련, 외형관리, 자기계발 5가지에 관해 가장 우선하는 순으 로 선택하도록 하였으며, 운동참여 동기에 관해서는 운동 지속에 도움을 주는 요인을 자유롭게 기술하여 답하도록 하였다. 운동참여 동기에 관해 자유롭게 기술한 답변은 키 워드를 중심으로 홍진배 & 천은구 (2010)가 기술한 3가지 운동동기 요인(결핍욕구, 성장욕구, 만족도)으로 범주화 했다. 결핍욕구에는 신체단련, 스트레스 해소, 소속감이 해당되며, 성장욕구는 자아존중, 성취감, 미적추구, 자아 실현이 해당되고 만족도에는 교육내용, 교육방법, 강사, 교육환경이 해당된다. 지각된 건강 상태에 대해서는 다수 의 선행연구에서 신뢰성과 타당성을 인정받은 12문항으 로 구성된 일반 건강 설문지(GHQ-12)를 사용하여 조사 하였다(del Pilar Sánchez-López, & Dresch, 2008). 12 문항에 대한 답은 리커드 척도를 사용하여 0점(전혀 그렇 지 않다)부터 3점(항상 그렇다) 중 선택하도록 하였다. GHQ-12의 결과값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역 채점 문항(1,3,4,7,12번)을 포함해 모든 문항을 합산하여 0부터 36점 사이의 값으로 산출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현재 지각하고 있는 건강 상태가 심각한 상태임을 나타낸다.

    3. 자료분석

    대상자 일반적 특성은 Shapiro-Wilk 검정을 사용하여 정규분포를 입증하였고 기술통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 상자가 답한 선택형 문항으로 이뤄진 운동 참여 목적은 백 분율로 환산하여 제시하였다. 서술형 문항으로 이뤄진 운 동참여 동기에 관해서는 워드클라우드 분석을 통해 대상자 답변의 경향성을 확인했으며, 홍진배 & 천은구 (2010)가 기술한 3가지 운동동기 요인으로 범주화 후 백분율로 환산 하여 분포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GHQ-12의 총점 과 운동시간, 횟수, 기간 사이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SPSS version 23.0(USA, IBM)을 사용하여 Pearson 상 관 계수를 확인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 았다.

    Table 1

    연구 대상자 일반적 특성

    AOSPT-19-1-1_T1.gif

    2. 운동목적에 관한 우선순위

    Table 2와 같이 1순위로 선택한 운동목적에는 근육단련 (48.53%), 체력증진(42.65%), 외형관리(41.18%), 자기계 발(39.71%), 지방감소(23.5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1, 2순위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상위권 순위를 확인했을 때도 순위는 변동되지 않았으며, 근육단련(37.5%), 체력증진 (30.15%), 외형관리(28.68%), 자기계발(25%), 지방감소 (24.26%) 순으로 확인되었다.

    Table 2

    운동목적에 대한 우선순위 단위:%

    AOSPT-19-1-1_T2.gif

    3. 운동동기에 관한 경향성 및 범주 분포도

    Figure 1과 같이 운동동기에 대한 자유 서술형 답변에 대한 경향성 파악을 위해 워드클라우드를 분석해본 결과, ‘트레이너’라는 용어가 가장 주요하게 등장했음을 확인하 였으며, Figure 2와 같이 운동동기를 범주화하여 분포도 를 확인했을 때 운동동기에서 주요하게 비중을 차지하는 요인에는 강사(26.74%), 자아실현(24.42%), 교육환경 (13.95%) 등이 확인되었다.

    Figure 1

    대상자 운동 동기 답변에 대한 워드 클라우드

    AOSPT-19-1-1_F1.gif
    Figure 2

    대상자의 운동동기 범주화

    AOSPT-19-1-1_F2.gif

    4. GHQ-12와 운동시간, 횟수, 기간 사이의 상관성

    Figure 3과 같이 지각된 건강 상태와 운동 지속성 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GHQ-12와 운동시간(R=0.14), 운 동횟수(R=0.07)는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운동기간은 음의 상관성(R=-0.27)을 보였다.

    Figure 3

    GHQ-12와 운동시간, 횟수, 기간 간 상관관계

    AOSPT-19-1-1_F3.gif

    Ⅳ. 고 찰

    본 연구는 다양한 기간에 걸쳐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자 들의 운동목적, 동기, 지각된 건강 상태 등에 관한 집단 특 성을 조사하여 운동참여와 지속의 필요성, 이를 위한 동기 부여 전략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운 동에 참여하는 자들의 주요한 운동목적은 근육단련, 체력 증진이었으며 운동 동기는 강사, 자아실현, 교육환경 등이 주요했다. 또한 지각된 건강 상태 심각성과 운동 지속성은 운동시간과 횟수와 달리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운동 동기는 내재적 요인과 외재적 요인이 있다고 했으며, 내재적 요인은 무엇인가를 성취하 고 얻을 수 있는 심리적 보상, 성취감, 즐거움, 만족감이라 고 정의했다(Buckworth, 2007). 본 연구 결과에서 확인된 주요한 운동 동기 중 자아실현은 내재적 요인에 해당되므 로 선행 연구결과와 같이 운동 동기로서 상당한 영향을 미 치고 있음을 확인했다. 실제 이러한 내재적 요인의 중요성 은 Deci & Ryan (1985)이 제안한 자기 결정성 이론에서도 강조하고 있다. 과거 운동 동기와 관련된 연구에서는 운동 을 하는 동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재 요인에서 내재 요 인으로 바뀌게 되고, 취약한 심리적 건강 상태는 외적인 동 기와 관련이 있는 반면 견고한 심리적 건강 상태는 내적인 동기와 관련이 있다고 제안했다(Maltby & Day, 2001). 이 는 본 연구에서 운동 참여자들이 운동목적으로서 낮은 우 선순위로 선택한 자기계발에 대한 운동 지도자들의 관심과 유도가 필요하고 주요 운동 동기로 꼽았던 강사와 교육환 경과 같은 외재적 요인을 자아실현과 같은 내재적 요인으 로 변화되도록 운동 지도자가 주력해야 할 것을 시사한다.

    특히 선행연구에 따르면, 내재적 요인에서 가장 원초적 이고 기본적인 부분은 바로 즐거움이다(Abuhamdeh & Csikszentmihalyi, 2012). 이에 내재적 요인 중 성취감과 같은 보다 고차원적 요인에 앞서 운동이 즐거울 수 있도록 접근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또한, 완벽한 외형 만들기 위한 운동 자극보다 운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건강상 이점 과 삶의 질 개선 등을 강조해야 한다(Maltby & Day, 2001). 본 연구에서도 운동 참여 지속성이 높은 대상자들 은 운동 동기에 있어 미적 추구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유일하게 운동 기간이 오래될수록 지각된 건강 상태의 심각성은 낮아지는 음의 상관성을 확 인하였다. 다시 말해, 지각된 건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서 는 운동 지속 기간을 높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를 위 해 상기 제시한 내재적 운동동기 강화를 위한 운동 지도자 들의 섬세한 지도 전략도 필요할뿐더러 본 연구 결과에서 운동 동기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자아실현을 위한 목표 설 정(goal setting)에 대한 지도자의 운동 지도가 필요 하다. 다양한 선행연구에서도 운동을 지속하는 사람은 그 렇지 못한 사람과 비교했을 때 운동에 앞서 목표 설정이 있 다고 보고했다(Marcus, B. H., & Stanton, 1993;Nies et al., 2003). 단, 목표 설정은 도전적이되 현실적이어야 하 고 개인별로 달라야 한다. 과거, 이러한 목표 설정에 집중 하여 운동 프로그램을 진행시킨 연구에서는 목표를 설정한 참가자들에게서 유의하게 높은 관심/즐거움과 적극성, 유 의하게 낮은 압박/긴장감, 그리고 유의하게 높은 운동 지 속성을 보였다(Wilson & Brookfield, 2009).

    전 세계를 휩쓴 팬데믹은 다양한 신체적, 심리적 건강 문 제를 유발하여 이를 회복하기 위한 지속적인 운동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운동 지도의 중요성은 한층 높아진 실정이 다. 운동의 이점은 수많은 연구를 통해 잘 알려져 있다. 많 은 연구에서는 이미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사람들 이 더 행복하고, 생산적이며, 의료 서비스 이용도 낮은 경 향이 있다는 것을 보고했다. 그리고 지속적인 운동은 건강 한 생활 습관에 있어 필수적인 부분으로 여겨진다.

    나아가 지속적인 운동은 질병률, 사망률 및 의료 비용을 줄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것이 이미 검증되어 왔다 (Thompson et al., 2020). 그리고 본 연구에서와 같이 스 스로 지각하는 건강 상태도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 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운동 지속성을 높이기 위한 개 별화된 운동 처방법, 목표 설정법, 내재적 동기 강화법과 같은 다양한 운동지도 전략을 개발하고 검증하는 것이 더 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현재 단기부터 장기간 운동에 참여 중인 집단 을 대상으로 운동목적, 동기, 지각된 건강 상태를 조사함으 로써 팬데믹 이전 대비 현저히 낮아진 건강 문제를 개선하 기 위해 운동지도 전략에 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 과, 운동목적에는 근육단련, 체력증진이 높은 비중을 차지 했으며, 운동 동기에는 강사, 자아실현, 교육환경이 주요 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했다. 또한 운동기간이 길 수록 지각된 건강 상태가 긍정적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및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하자면, 운동 지도자들은 지도 시 운동 동기를 외재적 요인에서 내재적 요인으로 변화시켜야 하며, 목표 설정과 같은 섬세한 지도 법을 사용하여 운동 지속성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을 제언한다.

    Figure

    AOSPT-19-1-1_F1.gif

    대상자 운동 동기 답변에 대한 워드 클라우드

    AOSPT-19-1-1_F2.gif

    대상자의 운동동기 범주화

    AOSPT-19-1-1_F3.gif

    GHQ-12와 운동시간, 횟수, 기간 간 상관관계

    Table

    연구 대상자 일반적 특성

    운동목적에 대한 우선순위 단위:%

    Reference

    1. 홍진배, & 천은구. (2010). 퍼스널트레이닝 참가자의 참여 동기, 운동만족도 및 몰입도의 관계모형 분석. 한국체 육과학회지, 19(3), 617-631.
    2. Abuhamdeh, S. , & Csikszentmihalyi, M. (2012). The importance of challenge for the enjoyment of intrinsically motivated, goal-directed activiti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8(3), 317-330.
    3. Aliverti, A. , & Macklem, P. T. (2001). How and why exercise is impaired in COPD. Respiration, 68(3), 229-239.
    4. Barreto, S. M. , & Figueiredo, R. C. D. (2009). Chronic diseases, self-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risk behaviors: Gender differences. Revista de Saude Publica, 43, 38-47.
    5. Buckworth, J. , Lee, R. E. , Regan, G. , Schneider, L. K. , & DiClemente, C. C. (2007). Decomposing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for exercise: Application to stages of motivational readiness.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8(4), 441-461.
    6. Buneviciene, I. , Bunevicius, R. , Bagdonas, S. , & Bunevicius, A. (2022). The impact of pre-existing condition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n mental health during the COVID-19 pandemic. Journal of Public Health, 44(1), e88-e95.
    7. Chipkin, S. R. , Klugh, S. A. , & Chasan-Taber, L. (2001). Exercise and diabetes. Cardiology Clinics, 19(3), 489-505.
    8. Cooney, G. M. , Dwan, K. , Greig, C. A. , Lawlor, D. A. , Rimer, J. , Waugh, F. R. , ... & Mead, G. E. (2013). Exercise for depression.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9).
    9. Deci, E. L. ,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10. Del Pilar Sánchez-López, M. , & Dresch, V. (2008). The 12-Item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GHQ-12): Reliability, external validity and factor structure in the Spanish population. Psicothema, 20(4), 839-843.
    11. Donnelly, J. E. , Smith, B. , Jacobsen, D. J. , Kirk, E. , DuBose, K. , Hyder, M. , ... & Washburn, R. (2004). The role of exercise for weight loss and maintenance.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Gastroenterology, 18(6), 1009-1029.
    12. Dube, S. R. , & Rishi, S. (2017). Utilizing the salutogenic paradigm to investigate well-being among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sexual abuse and other adversities. Child Abuse & Neglect, 66, 130-141.
    13. Griva, F. , Tseferidi, S. I. , & Anagnostopoulos, F. (2015). Time to get healthy: Associations of time perspective with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 Psychology, Health & Medicine, 20(1), 25-33.
    14. Larson, H. K. , Mcfadden, K. , McHugh, T. L. F. , Berry, T. R. , & Rodgers, W. M. (2018). When you don't get what you want-and it's really hard: Exploring motivational contributions to exercise dropout.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37, 59-66.
    15. Maltby, J. , & Day, L.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motives and psychological weil-being. The Journal of Psychology, 135(6), 651-660.
    16. Marcus, B. H. , & Stanton, A. L. (1993). Evaluation of relapse prevention and reinforcement interventions to promote exercise adherence in sedentary females.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64(4), 447-452.
    17. Nies, M. A. , Reisenberg, C. E. , Chruscial, H. L. , & Artibee, K. (2003). Southern women's response to a walking intervention. Public Health Nursing, 20(2), 146-152.
    18. Pohjonen, T. , & Ranta, R. (2001). Effects of worksite physical exercise intervention on physical fitnes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work ability among home care workers: Five-year follow-up. Preventive Medicine, 32(6), 465-475.
    19. Rajarajeswaran, P. , & Vishnupriya, R. (2009). Exercise in cancer. Indian Journal of Medical and Paediatric Oncology, 30(02), 61-70.
    20. Stonerock, G. L. , & Blumenthal, J. A. (2017). Role of counseling to promote adherence in healthy lifestyle medicine: Strategies to improve exercise adherence and enhance physical activity. Progress in Cardiovascular Diseases, 59(5), 455-462.
    21. Stuifbergen, A. K. (1997). Physical activit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persons with multiple sclerosis.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29(4), 238-244.
    22. Thompson, W. R. , Sallis, R. , Joy, E. , Jaworski, C. A. , Stuhr, R. M. , & Trilk, J. L. (2020). Exercise is medicine. American Journal of Lifestyle Medicine, 14(5), 511-523.
    23. Thorlindsson, T. , Vilhjalmsson, R. , & Valgeirsson, G. (1990). Sport participat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 study of adolescents. Social Science & Medicine, 31(5), 551-556.
    24. Wallace, J. P. (2003). Exercise in hypertension. Sports Medicine, 33(8), 585-598.
    25. Wilson, K. , & Brookfield, D. (2009). Effect of goal setting on motivation and adherence in a six‐week exercise program.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7(1), 89-100.
    26. Wolinsky, F. D. , & Johnson, R. J. (1992). Perceived health status and mortality among older men and women. Journal of Gerontology, 47(6), S304-S312.
    27. Xiao, H. , & Barber, J. P. (2008). The effect of perceived health status on patient satisfaction. Value in Health, 11(4), 719-725.
    28. Ytterberg, S. R. , Mahowald, M. L. , & Krug, H. E. (1994). Exercise for arthritis. Bailliere's Clinical Rheumatology, 8(1), 161-189.
    29. Yu, F. , Nelson, N. W. , Savik, K. , Wyman, J. F. , Dysken, M. , & Bronas, U. G. (2013). Affecting cognition and quality of life via aerobic exercise in Alzheimer’s disease.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35(1), 24-38.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