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20 No.2 pp.71-80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24.20.2.08

Effect of Visual Feedback Squat Exercise Using a Ball on Muscle Activity and Q Angle of the Vastus Medialis and Vastus Lateralis in
Men with Varus Knee

jeho Kim1, youngjun Kim2, dongki Min1*
1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aegu University of Health, Professor
2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aegu University of Health, Professor
* 교신저자: 민동기(Dong-Ki Min) E-mail: limp0206@hanmail.net
November 21, 2024 December 5, 2024 December 15, 2024

Abstract

Purpose:

An adult male with stage 2 varus knee was provided a squat exercise combining visual feedback using mirror and ball exercises to examine changes in the Q-angle and the muscle activity of the medial and lateral muscl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effective methods for correcting alignment and achieving normal alignment of the lower extremities.


Methods:

A total of 30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rough random sampling.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the visual feedback squat exercise group using a ball, 15 participants) and control (\the visual feedback squat exercise group without a ball, 15 participants) groups. The exercise intervention comprised four exercises designed based on prior research, performed over 3 weeks. Muscle activity and lower extremity alignment measurement equipment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the paired samples t-test for within-group comparisons and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for between-group comparison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Q-angle and muscle activity of the medial and lateral muscl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 <.05).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visual feedback squat exercise using a ball is more effective than visual feedback squat exercises alone.



볼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이 안굽이무릎 남성의 안쪽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와 Q각에 미치는 영향

김제호1, 김영준2, 민동기1*
1대구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교수
2대구보건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교수

초록


    Ⅰ. 서 론

    최근 하지와 관련한 불균형 중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 는 문제는 안굽이무릎이 대표적이다 Choi 등(2013). 다리 의 변형 중에서 안굽이무릎은 관상면에서 무릎의 잘못된 정렬 상태를 말하며, 무릎관절을 포함하는 다리 전체의 올바른 정렬에 문제를 야기한다(Jeong & Lim, 2016; Park 등, 2014). 넙다리네갈래근로 인해 생긴 힘의 방향 과 크기는 무릎뼈의 중심에서 앞위엉덩뼈가시(anterior superior iliac spine)를 통해 연결한 선과 정강뼈의 거친 면(tibia tuberosity)에서 무릎뼈 중심을 연결한 선 사이에 만들어진 각을 Q각으로 정의하며, 많은 학자들마다 Q각 에 대한 정상범위는 의견의 차이를 보이지만, 연구에 의 하면 정상 성인의 경우에 Q각은 남성이 14°, 여성이 17° 라고 하였다(Neumann, 2016). 바르게 서 있을때 발목관 절이 맞닿았는데 두 무릎 사이에 간격이 생긴다면 이 경우 에는 안굽이무릎으로 간주한다(Chae 등, 2012; KAOMT, 2014). 무릎간격의 변형단계로는 1단계 간격 2.5 cm, 2단 계 2.5-5.0 cm, 3단계 5.0-7.5 cm, 4단계 7.5 cm 이상으 로 간격 5 cm 이하에서는 정교한 운동으로 교정이 가능하 나 그 이상에서는 정형외과적 중재를 필요로하게 된다(유 병규, 2015). 안굽이무릎의 변형은 하지에 연결된 근육과 인대들의 불균형을 야기하며 넙다리뼈 가쪽 관절 융기의 비후와 길이가 증가, 반막근과 반힘줄근의 단축, 넙다리 뼈 가쪽돌림, 정강뼈 안쪽돌림을 유발하므로 무릎의 안쪽 부위가 비정상적인 압박과 가쪽부위에 비정상적인 장력 증가가 나타나는데 이로인해 관절의 손상을 야기하게된 다(강권영등, 2018). 다리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력강 화 운동방법 중에서 스쿼트 운동은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Oh 등, 2015). 많은 종류의 스포츠 종목에서 뛰어 난 경기력 향상을 위해 사용될 뿐만 아니라 무릎관절 수술 후 재활 과정에서도 효과적인 운동이므로 재활프로그램 에서 많이 활용된다(Hyeon, 2013). 스쿼트 운동 기본자세 는 발을 어깨너비 만큼 벌린 상태에서 허리는 바르게 펴 고, 팔은 앞으로 뻗고 무릎을 90° 굽힘하는 동작이며, 시 상면에서 무릎뼈의 방향은 두번째발가락을 향하는 자세 이다(고규철, 2018). 무릎관절의 정상적인 근활성비율은 무릎 안정화의 기능적인 근육인 안쪽 넓은근과 가쪽 넓은 근의 근활성화 비율이 정상사람에서 1:1로 보고되고 있다 (Souza & Gross, 1991), 기존의 스쿼트 운동의 운동방식 에 변형을 주어 추가적으로 운동 강도를 조절하여 제공하 거나, 보조물 등을 사용하여 기능해부학적인 또는 운동역 학적인 많은 효과들로 코어 근육 강화 뿐만 아니라 하지 근육 활성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형태의 효과적인 많 은 운동방법들이 이슈화되고 있으며(Hyeon, 2013;Shon & Lim, 2016), Kim(2016) 은 볼을 사용한 스쿼트 운동이 넙다리네갈래근의 근활성도에서유의한 증가를 보인다고 하였다. McClelland 등(2012)은 시각적인 피드백 장비를 이용하여 대칭적인 패턴 재교육 훈련방법이 무릎관절 운 동에 효과적이라고 제시하였다. Loughlin과 Redfern(2001) 은 시각적인 피드백은 자세 조절에 관여하는 구심성 정보 와 통합을 이루며, 흔들림을 줄여 자세 조절 능력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Hwangbo(2015)의 연구 에서는 거울을 사용하여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을 통 한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비에 유의한 증 가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많은 연구에서 거울을 사용한 시각적 피드백 운동의 장점과 안굽이 무릎을 가진 사람에 게 공을 이용한 다양한 중재 방법은 알려져 있으나, 안굽 이 무릎을 가진 사람에게 거울 사용한 시각적 피드백에 공을 이용한 운동을 결합한 스쿼트 운동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의 거울을 사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과 공 을 이용한 중재 방법을 결합하여 보다 효과적인 운동임을 입증하고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안쪽넓은근과 가쪽넓은 근의 근활성도 및 Q각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발목의 안쪽복사뼈를 서로 최대한 붙인 후 양측 무릎 간의 거리를 측정했을 때 2.5 cm 이상 인 사람을 안굽이무릎 대상자로 선정하여 거울을 사용한 시각적 피드백에 공을 이용한 운동을 결합한 스쿼트 운동 을 통해 안굽이무릎의 O자 형태의 양쪽 무릎 안쪽에 볼을 끼워 모음시켜 무릎이 X자 형태가 되도록 스쿼트 운동을 시행하도록 함으로써 Q각, 안·가쪽 넓은근의 근 활성도 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의 대상자 및 기간

    본 연구는 대구의 O정형외과의원에서 다음의 선정 조 건을 충족하며 자발적으로 참여 의사를 표시하는 연구 동 의서에 승인을 한 대상자 30명을 상대로 실험하였다. 선 정된 3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치 하여 2024년 6월10일부터 7월22일까지 6주간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 선정 기준

    첫째, 연구의 방법과 목적에 대하여 완전히 이해하고 실험 참여에 동의한 자

    둘째,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근골격계 질환을 가지지 않은 자

    셋째, 바로 선 자세에서의 자세측정 결과 무릎 간의 거 리가 2.5–5cm 인 자

    넷째, 무릎에 통증이 없는 자

    2) 제외기준

    첫째, 신경학적 이상으로 감각 이상이나 근 마비가 있 는 자

    2. 연구방법

    1) 연구절차

    볼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그룹(실험군) 15명,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그룹(대조군) 15명으로 무작위 선별을 통하여 총 30명 선발하였다. 본 연구의 연 구절차는 다음과 같다(Table 1)

    Table 1

    General Specific

    AOSPT-20-2-71_T1.gif

    2) 운동 프로그램

    본 연구의 운동 프로그램은 6주간 주 2회 1회당 30회, 3세트 실시하였으며 운동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험의 절 차 및 진행 방법을 알려주기 위해서 시범으로 치료사가 운동을 보인 후, 모든 대상자들에게 스쿼트 운동에 대해 숙지되도록 10분간 연습을 하였다.

    스쿼트 자세는 첫 번째 미니 스쿼트(mini-squat)에 적 합한 무릎관절 굽힘 30°범위, 세미 스쿼트(semi-squat)에 적합한 무릎관절 굽힘 60°범위, 하프 스쿼트(half squat) 에 적합한 무릎관절 굽힘 90° 자세에서 실시하였다. 시선 의 위치에 따라 운동학적인 변인들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스쿼트 동작을 할 때 대상자들의 시선은 정면을 향하도록 하여 시행시켰다.

    첫 번째,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

    대조군에는 편평한 지지면에서 양 발의 간격을 어깨 넓 이보다 크게 11자로 벌린 자세에서 팔은 앞으로 뻗고 허리 를 곧게 세우고 시선은 정면으로 향하게 하였으며, 무릎 이 발 보다 앞쪽으로 나가지 않도록 한 후 스쿼트를 시행 하였다. 거울을 통한 시각적 피드백만 적용하여 단계별 스쿼트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단순히 거울을 통해 자세의 정렬을 조절하여 실시하였다(Figure 1).

    Figure 1

    squat exercise combining visual feedback using a mirror (start, finish).

    AOSPT-20-2-71_F1.gif

    두 번째, 볼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

    실험군에는 편평한 지지면에서 양 발의 간격을 어깨 넓 이보다 크게 11자로 벌린 자세에서 팔은 앞으로 뻗고 허리 를 곧게 세우고 시선은 정면으로 향하게 하였으며, 무릎 이 발 보다 앞쪽으로 나가지 않도록 한 후 스쿼트를 시행 하였다. Togu ball 볼을 이용하여 단순히 떨어뜨리지 않을 정도의 강도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을 단계별 스쿼 트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근활성도를 조절 및 활성화시켰 다(Figure 2).

    Figure 2

    squat exercise combining visual feedback using a mirror and exercise using a ball (start, finish).

    AOSPT-20-2-71_F2.gif

    3. 측정 도구 및 방법

    1) 근활성도 측정장비

    대상자들의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근전도측정장비인 2EM(4D-MT, Relive, Gimhae, Korea)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표면 근 전도는 무선, 패드 접촉식이며 전극 간의 거리를 2㎝로 유지하며 근섬유 방향에 평행하게 부착하였다. 근전도 신 호 수집을 위한 표본추출률은 1,000㎐로 하며, 주파수 대 역폭은 0〜500㎐를 사용하였다. 근전도의 신호는 제곱 평균 제곱근법(root mean square; RMS)으로 처리하여 분 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을 참고하여 각 근육의 전극 부착위치를 결정하였다. 활성 전극 2개는 무 릎뼈 위 안쪽 가장자리(superomedial patellar border)에 서 위쪽으로 약 4㎝, 안쪽으로 3㎝ 높이의 안쪽빗넓은근 에 무릎뼈 장축(long axis)에서 55°위치에 부착하였고, 가쪽넓은근은 무릎뼈 위쪽 가장자리(patellar superior border)에서 위쪽으로 약 10∼15㎝, 가쪽으로 6∼8㎝ 높 이로 무릎뼈의 장축에서 15°위치에 부착하였다. 접지 전극 은 같은 쪽의 무릎뼈 아래 2-3㎝에 부착하였다(Kirnap et al., 2005). 대상자가 바르게 앉은 자세에서 무릎 폄을 통 증이 없는 범위에서 5초 유지하는 동안 3회 반복 측정하 였고, 처음과 마지막 1초를 제외한 중간 3초 동안의 3회 평균값을 구하였다. 휴식 시간은 10초로 하였으며, 근전 도 분석방법은 특정 동작의 기준 수축 값을 사용하였으 며, 이를 기준 삼아 표준화하는 자발적인 수축의 백분율 (%RVC)로 사용하였다(Cram, 2011)(Figure 3).

    Figure 3

    표면 근전도 2EM Electromyograph.

    AOSPT-20-2-71_F3.gif
    Figure 4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PACS system.

    AOSPT-20-2-71_F4.gif

    2) 하지 정렬측정 장비

    Q-각은 무릎뼈의 중심과 위앞엉덩뼈가시를 연결한 선 과 정강뼈 결절 중심부에서 무릎뼈 중심부를 연결한 선의 교차각을 측정하였다. 방사선 촬영장치를 통해 의료영상 저장전송시스템(PACS)을 사용하여 선 자세에서 촬영하 였다.

    4. 분석방법

    윈도우용 IBM SPSS Statistics 24 프로그램을 사용하 여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안굽이무릎을 가 진 대상자들 중에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를 한 대조군, 볼 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를 한 실험군 총 2개 그룹 으로 나누었다. 실험기간에 따른 운동효과를 비교하기 위 해 각 집단 내의 운동 전⋅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 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운동 효 과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 정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실험군(볼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군 15 명)과 대조군(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군 15명)에서 실 험 전 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을 위해서 SPSS로 분석한 결과로 모든 변수에 대해 두 집단 간의 평균값는 통계학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두 집단은 동일 집단이 라고 볼 수 있었다(p>.05)(Table 2).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N=30)

    Group P

    experimental group(N=15) control group(N=15)

    Age(year) 30.9±3.47 29.1±3.81 .28
    Height(cm) 175.84±3.66 176.24±3.35 .81
    Weight(kg) 73.5±7.12 72.5±6.53 .74
    Space Between Knees 3.86±0.33 3.90±0.29 .78

    *p<.05

    2. 실험기간에 따른 Q각의 변화

    하지 정렬 분석에는 대조군의 운동 전, 후에 따른 Q-각 변화를 보면 운동 전 8.97±0.48°에서 운동 후 9.93±0.61° 로 0.96°증가하였으며, 실험군의 운동 전, 후에 따른 Q- 각 변화를 보면 운동 전 8.91±0.54°에서 운동 후 10.51± 0.55°로 1.6°증가하였다. 그룹간 운동 후 비교에서는 실험 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효과 검증 (effective size)에서도 실험군이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Table 3).

    Table 3

    Comparison of Q-angle according to the experiment period(Unit : °)

    Group(Q각) Pre Post t p Effect size

    experimental group 8.91±0.54 10.51±0.55 -23.45 .00* 2.93
    control group 8.97±0.48 9.93±0.61 -16.84 .00* 1.74
    t 3.13
    p .00*

    *p<.05

    3. 근활성도 비교

    대조군의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 비교 에서 안쪽넓은근은 운동 전 32.36±2.33에서 47.33±3.48 으로 증가하였으며, 가쪽넓은근은 19.5±2.60에서 31.22± 3.63으로 증가하였다. 실험군의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 은근의 근활성도 비교에서 안쪽넓은근은 운동 전 30.54± 2.36에서 50.01±2.71으로 증가하였으며, 가쪽넓은근은 19.31±2.68에서 39.89±4.79으로 증가하였다. 그룹간 운 동 후 비교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효과 검증(effective size)에서도 실험군이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Table 4)(Table 5).

    Table 4

    Comparison of VM EMG according to the experiment period(단위 : %RVC)

    group EMG t p Effect size

    Pre Post

    experimental group VM 30.54±2.36 50.01±2.71 -52.52 .00* 7.66
    control group VM 32.36±2.33 47.33±3.48 -21.65 .03* 5.05
    t 3.37
    p .03*

    *p<.05

    Table 5

    Comparison of VL EMG according to the experiment period(단위 : %RVC)

    group EMG t p Effect size

    Pre Post

    experimental group VL 19.31±2.68 39.89±4.79 -21.8 .03* 5.30
    control group VL 19.5±2.60 31.22±3.63 -15.75 .03* 3.71
    t 6.43
      p   .00*      

    *p<.05

    Ⅳ. 고 찰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남성의 안굽이무릎 변형에 볼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을 적용하여 Q각과 안 쪽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의 균형에 어떠한 많 은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무릎간격의 변형 단계로는 1단계 간격 2.5 cm, 2단계 2.5-5.0 cm, 3단계 5.0-7.5 cm, 4단계 7.5 cm 이상으로 간격 5 cm 이하에서 는 정교한 운동으로 교정이 가능하나 그 이상에서는 정형 외과적 중재를 필요로 하게 된다(유병규, 2015). 본 연구 에서 무릎 간 간격을 2단계에 해당하는 대상자로 선정한 이유는 볼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위앞엉덩뼈가시(ASIS)와 무 릎뼈 중앙을 이은선과 무릎뼈 중앙과 정강뼈 거친면을 이 은 선의 각도를 Q각이라고 말하며, Q각은 무릎에 대한 넙다리네갈래근을 상대적으로 가쪽 당김을 측정할 수 있는 임상지표이다(Fredericson & Yoon, 2006; Moghtadaei 등, 2017; Park 등, 2011). 김기철(2013)의 연구에서는 하지정 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적 검사로써 Q-각은 정 적인 Q-각과 동적인 Q-각의 검사가 필요하며, 정상적 Q-각의 범위는 성인 남성의 경우 약 8-12°라 하였다. 특 히 안굽이 무릎은 Q-각의 감소가 나타난다고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Q-각의 검사에서 8.97±0.48, 8.91±0.54° 로 나타나 정상범위이다. 하지만 대상자가 성인 남성임을 감안해서 나이가 증가할수록 퇴행성 변화가 진행된다면 Q-각의 감소는 더욱 심해질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 볼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 실험 군의 Q각의 값은 운동 전 8.91±0.54°에서 6주 후 10.51±0.55°로 운동 적용 전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그룹간 운동 후 비교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효과 검증 (effective size)에서도 실험군이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Choi 등(2013)의 스트레칭, 운동프로그램을 수정하여 적 용한 본 실험에서는 양쪽 넙다리뼈의 안쪽위관절융기 사 이에 볼을 떨어지지 않을정도의 강도로 모음을 한 상태로 실시한 스쿼트 운동이 무릎사이 간격을 줄이는데 영향을 주었다는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많은 연구에서 는 Q각을 통해서 골반의 정확한 위치, 엉덩관절의 회전, 정강뼈 비틀림, 무릎뼈 위치, 발 위치를 복합적인 측정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을 하고 있다(Seo 등, 2019). 이 각도가 정상적인 범위일 때 하중이 동일하게 무릎의 안쪽 과 가쪽으로 나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Q각은 볼을 이 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 전에는 정상 범위보다는 감소되어 있으며, 운동을 실시한 결과는 Q각 값이 증가한 값을 보였다. 이는 운동 후에 Q각이 8.00±1.22°에서 11.15±0.68°로 증가한 Han 등(2010)의 연구 결과와 일치 한다. 선행연구와 본 연구 모두 비정상적인 범위의 Q각에 서 정상적인 범위로 가까워진 결과를 보여주므로, 볼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이 다리의 바른 정렬에 있어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고 사료된다. 송상협(2013)은 정상적인 정렬을 가진 사람의 안쪽넓은근과 가쪽넓은근 의 근활성도 비율이 1:1로 비슷하게 보이지만, 정지만 (2016)의 연구에서는 안굽이무릎의 변형을 가지는 경우,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가 안쪽넓은근 보다 더 낮게 나타 남으로써 근육의 근활성도 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고 하 였다. 본 연구에서도 무릎 간 간격이 2.5 - 5 cm로 2등급 안굽이 무릎변형이 있는 대상자의 실험 전 근전도 검사에 서 안쪽넓은근 30.54±2.36, 가쪽넓은근은 19.31±2.68으 로 약 1.5배 정도 안쪽넓은근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험군과 대 조군의 안쪽넓은근, 가쪽넓은근의 근 활성도의 변화를 분 석한 결과로는 실험 전과 6주 사이에 유의하게 증가하였 으며, 그룹간 운동 후 비교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 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효과 검증(effective size)에서 도 실험군이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Kim(2016)의 연구 에서 볼이라는 도구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 시 넙다리네갈 래근의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는 결과에는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본 연구는 현대인에게서 자세 문 제로 인해 발생하는 안굽이 무릎변형의 경우, 나이가 증 가함에 따라 발생한 변형의 증가 및 퇴행성관절염 및 정형 외과적 하지질환의 많은 다양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예 방의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게 되었다. 현대인들에게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하지 근력운동 중에 스쿼트 운동을 기반으로 안굽이 무릎변형이 있을 경우, 볼을 이용한 시 각적 피드백 스쿼트 형태의 하지근력운동이 근활성도 증 가와 하지정렬에 효과적 중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많은 수의 대상자를 포함시키 지 못하여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이 따른다. 또 한 실험에 참가한 일반인의 생활환경을 통제할 수 없었 다. 다양한 운동 방법을 통해 근활성도의 증가에 대한 결 과는 얻었지만 근활성비에 대한 연구는 진행하지 않았다. 연구에 대한 제한점은 추후의 연구를 통해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볼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을 한 실험군,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을 한 대조군에서 Q각과 안쪽넓은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의 변화를 알아 보았다. 그룹별로 운동을 실시한 후 각각의 변화를 통해서 이와같은 결론을 얻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Q각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실험 전과 6주 사이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 으며, 그룹간 운동 후 비교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효과 검증(effective size)에서도 실 험군이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안쪽 넓은근, 가쪽넓은근의 근 활성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로 는 실험 전과 6주 사이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그룹간 운동 후 비교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효과 검증(effective size)에서도 실험군이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와같은 연구 결과로 볼 때, 볼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이 Q각의 증가를 시킬 수 있는 운동으로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양쪽 안쪽위관절융기 에 볼을 끼워 엉덩관절을 모음한 상태에서 볼을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고정하고 거울을 통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이 거울을 통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에 비해 안쪽넓은근, 가쪽넓은근의 근 활성도가 더 높게 측정된다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Q각의 증가와, 안·가쪽 넓은근의 근 활성도 증가를 보았을 때 볼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이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에 비해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이라 할 수 있다. 향후 안굽이무릎 변형에 따른 볼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서 이를 기초로 한 통계적인 유의한 결론을 얻기 위한 다양한 스쿼트 운동의 형태별 효과 등에 대해 연구가 진행 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AOSPT-20-2-71_F1.gif

    squat exercise combining visual feedback using a mirror (start, finish).

    AOSPT-20-2-71_F2.gif

    squat exercise combining visual feedback using a mirror and exercise using a ball (start, finish).

    AOSPT-20-2-71_F3.gif

    표면 근전도 2EM Electromyograph.

    AOSPT-20-2-71_F4.gif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PACS system.

    Table

    General Specific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N=30)

    <sup>*</sup><i>p</i><.05

    Comparison of Q-angle according to the experiment period(Unit : °)

    <sup>*</sup><i>p</i><.05

    Comparison of VM EMG according to the experiment period(단위 : %RVC)

    <sup>*</sup><i>p</i><.05

    Comparison of VL EMG according to the experiment period(단위 : %RVC)

    <sup>*</sup><i>p</i><.05

    Reference

    1. Chae, Y. W., Park, J. W., & Park, S. ( 2014). The effect of postural stability on genu varum in young adults. J Kor Phys Ther, 24(6), 419-422.
    2. Choi, K. Y., Kim, J. G., Choi, M. Y., et al. ( 2013).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s on genu varum persons. J Korean Soc Integrative Med, 1(1), 87-96.
    3. Cram, J. R. ( 2011). Cram's introduction to surface electromyography. Jones & Bartlett Learning.
    4. Fredericson, M., & Yoon, K. ( 2006). Physical examination and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Am J Phys Med Rehabil, 85(3), 234-243.
    5. Go, G. C. ( 2018).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squat exercise movements on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6. Han, S. M., Lee, K. K., Ha, S., et al. ( 2010). The effects of correction exercise on hip joint angle, Q angle, and the distance between knees of genu varum patients. KACEP, 13(1), 83-90.
    7. Hwangbo, P. N. ( 2015). The effects of squatting with visual feedback on the muscle activation of the vastus medialis oblique and the vastuslateralis in young adults with an increased quadriceps angl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7(5), 1507-1510.
    8. Hyeon, D. S. ( 2013). The effect of different leg positions during squat performance on power expression of spinal and lower extremities in elite weight lifter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9. Jeong, J. M. ( 2016). Analysis of joint mechanics and muscle activity of the lower extremities during squat movements in women with varus varu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0. Kang, G. Y., Kang, J. I., et al. ( 2018).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for musculoskeletal diseases. Seoul: Beommun Education.
    11. Kim, B. B. ( 2016). Effects of ball squeeze squat with hip external rotation on quadriceps muscle activity and valgus alignment in subjec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12. Kim, K. C. ( 2013). Effects of visual feedback squats on lower extremity alignment and muscle activation in young adul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Unpublished doctoral thesis,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13. Kirnap, M., Calis, M., Turgut, A. O., Halici, M., & Tuncel, M. ( 2005). The efficacy of EMG-biofeedback training on quadriceps muscle strength in patients after arthroscopic meniscectomy. The New Zealand Medical Journal (Online), 118 (1224).
    14. Loughlin, P. J., & Redfern, M. S. ( 2001). Spectral characteristics of visually induced postural sway in healthy elderly and healthy young subjects. IEEE Transactions on Neural Systems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 9(1), 24-30.
    15. McClelland, J., Zeni Jr, J., Haley, R. M., & Snyder-Mackler, L. ( 2012). Functional and biomechanical outcomes after using biofeedback for retraining symmetrical movement patterns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A case report.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42(2), 135-144.
    16. Neumann, D. A. ( 2016).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foundations for rehabilitation (3rd ed.). St Louis, Mosby.
    17. Oh, J. H., Kang, S. R., Kwon, T. K., et al. ( 2015). The effect on muscle activation in the trunk and lower limbs while squatting with slope-whole-body vibration. KJSB, 25(4), 383-391.
    18. Seo, J. H., Chang, J. S., & Lee, M. Y. ( 2019). Effects of squatting with different foot positions on muscle activations in subjects with genu varum. J Kor Phys Ther, 31(2), 76-81.
    19. Shon, J. W., & Lim, H. W. ( 2016). Comparison of muscle activities of trunk and lower limb during bow and squat exercises. J Kor Phys Ther, 28(2), 95-100.
    20. Song, S. H. ( 2013).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of vastus medialis, vastus lateralis, and gluteus medius according to closed chain exercise type. Journal of Kinesiology, 15(3), 25-33.
    21. Souza, D. R., & Gross, M. T. ( 1991). Comparison of vastus medialis obliquus: vastus lateralis muscle integrated electromyographic ratios between healthy subjects and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Physical Therapy, 71(4), 310-316.
    22. Yu, B. G., & Kim, E. H. ( 2015). The effect of a corrective exercise program using elastic band exercise and stretching on changes in inter-knee distance, Q angle, and foot pressure in college students with varus kne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y-Academia-Technology, 16(3), 2064-2072.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