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최근 하지와 관련한 불균형 중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 는 문제는 안굽이무릎이 대표적이다 Choi 등(2013). 다리 의 변형 중에서 안굽이무릎은 관상면에서 무릎의 잘못된 정렬 상태를 말하며, 무릎관절을 포함하는 다리 전체의 올바른 정렬에 문제를 야기한다(Jeong & Lim, 2016; Park 등, 2014). 넙다리네갈래근로 인해 생긴 힘의 방향 과 크기는 무릎뼈의 중심에서 앞위엉덩뼈가시(anterior superior iliac spine)를 통해 연결한 선과 정강뼈의 거친 면(tibia tuberosity)에서 무릎뼈 중심을 연결한 선 사이에 만들어진 각을 Q각으로 정의하며, 많은 학자들마다 Q각 에 대한 정상범위는 의견의 차이를 보이지만, 연구에 의 하면 정상 성인의 경우에 Q각은 남성이 14°, 여성이 17° 라고 하였다(Neumann, 2016). 바르게 서 있을때 발목관 절이 맞닿았는데 두 무릎 사이에 간격이 생긴다면 이 경우 에는 안굽이무릎으로 간주한다(Chae 등, 2012; KAOMT, 2014). 무릎간격의 변형단계로는 1단계 간격 2.5 cm, 2단 계 2.5-5.0 cm, 3단계 5.0-7.5 cm, 4단계 7.5 cm 이상으 로 간격 5 cm 이하에서는 정교한 운동으로 교정이 가능하 나 그 이상에서는 정형외과적 중재를 필요로하게 된다(유 병규, 2015). 안굽이무릎의 변형은 하지에 연결된 근육과 인대들의 불균형을 야기하며 넙다리뼈 가쪽 관절 융기의 비후와 길이가 증가, 반막근과 반힘줄근의 단축, 넙다리 뼈 가쪽돌림, 정강뼈 안쪽돌림을 유발하므로 무릎의 안쪽 부위가 비정상적인 압박과 가쪽부위에 비정상적인 장력 증가가 나타나는데 이로인해 관절의 손상을 야기하게된 다(강권영등, 2018). 다리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력강 화 운동방법 중에서 스쿼트 운동은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Oh 등, 2015). 많은 종류의 스포츠 종목에서 뛰어 난 경기력 향상을 위해 사용될 뿐만 아니라 무릎관절 수술 후 재활 과정에서도 효과적인 운동이므로 재활프로그램 에서 많이 활용된다(Hyeon, 2013). 스쿼트 운동 기본자세 는 발을 어깨너비 만큼 벌린 상태에서 허리는 바르게 펴 고, 팔은 앞으로 뻗고 무릎을 90° 굽힘하는 동작이며, 시 상면에서 무릎뼈의 방향은 두번째발가락을 향하는 자세 이다(고규철, 2018). 무릎관절의 정상적인 근활성비율은 무릎 안정화의 기능적인 근육인 안쪽 넓은근과 가쪽 넓은 근의 근활성화 비율이 정상사람에서 1:1로 보고되고 있다 (Souza & Gross, 1991), 기존의 스쿼트 운동의 운동방식 에 변형을 주어 추가적으로 운동 강도를 조절하여 제공하 거나, 보조물 등을 사용하여 기능해부학적인 또는 운동역 학적인 많은 효과들로 코어 근육 강화 뿐만 아니라 하지 근육 활성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형태의 효과적인 많 은 운동방법들이 이슈화되고 있으며(Hyeon, 2013;Shon & Lim, 2016), Kim(2016) 은 볼을 사용한 스쿼트 운동이 넙다리네갈래근의 근활성도에서유의한 증가를 보인다고 하였다. McClelland 등(2012)은 시각적인 피드백 장비를 이용하여 대칭적인 패턴 재교육 훈련방법이 무릎관절 운 동에 효과적이라고 제시하였다. Loughlin과 Redfern(2001) 은 시각적인 피드백은 자세 조절에 관여하는 구심성 정보 와 통합을 이루며, 흔들림을 줄여 자세 조절 능력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Hwangbo(2015)의 연구 에서는 거울을 사용하여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을 통 한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비에 유의한 증 가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많은 연구에서 거울을 사용한 시각적 피드백 운동의 장점과 안굽이 무릎을 가진 사람에 게 공을 이용한 다양한 중재 방법은 알려져 있으나, 안굽 이 무릎을 가진 사람에게 거울 사용한 시각적 피드백에 공을 이용한 운동을 결합한 스쿼트 운동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의 거울을 사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과 공 을 이용한 중재 방법을 결합하여 보다 효과적인 운동임을 입증하고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안쪽넓은근과 가쪽넓은 근의 근활성도 및 Q각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발목의 안쪽복사뼈를 서로 최대한 붙인 후 양측 무릎 간의 거리를 측정했을 때 2.5 cm 이상 인 사람을 안굽이무릎 대상자로 선정하여 거울을 사용한 시각적 피드백에 공을 이용한 운동을 결합한 스쿼트 운동 을 통해 안굽이무릎의 O자 형태의 양쪽 무릎 안쪽에 볼을 끼워 모음시켜 무릎이 X자 형태가 되도록 스쿼트 운동을 시행하도록 함으로써 Q각, 안·가쪽 넓은근의 근 활성도 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의 대상자 및 기간
본 연구는 대구의 O정형외과의원에서 다음의 선정 조 건을 충족하며 자발적으로 참여 의사를 표시하는 연구 동 의서에 승인을 한 대상자 30명을 상대로 실험하였다. 선 정된 3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치 하여 2024년 6월10일부터 7월22일까지 6주간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 선정 기준
첫째, 연구의 방법과 목적에 대하여 완전히 이해하고 실험 참여에 동의한 자
둘째,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근골격계 질환을 가지지 않은 자
셋째, 바로 선 자세에서의 자세측정 결과 무릎 간의 거 리가 2.5–5cm 인 자
넷째, 무릎에 통증이 없는 자
2) 제외기준
첫째, 신경학적 이상으로 감각 이상이나 근 마비가 있 는 자
2. 연구방법
1) 연구절차
볼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그룹(실험군) 15명,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그룹(대조군) 15명으로 무작위 선별을 통하여 총 30명 선발하였다. 본 연구의 연 구절차는 다음과 같다(Table 1)
2) 운동 프로그램
본 연구의 운동 프로그램은 6주간 주 2회 1회당 30회, 3세트 실시하였으며 운동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험의 절 차 및 진행 방법을 알려주기 위해서 시범으로 치료사가 운동을 보인 후, 모든 대상자들에게 스쿼트 운동에 대해 숙지되도록 10분간 연습을 하였다.
스쿼트 자세는 첫 번째 미니 스쿼트(mini-squat)에 적 합한 무릎관절 굽힘 30°범위, 세미 스쿼트(semi-squat)에 적합한 무릎관절 굽힘 60°범위, 하프 스쿼트(half squat) 에 적합한 무릎관절 굽힘 90° 자세에서 실시하였다. 시선 의 위치에 따라 운동학적인 변인들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스쿼트 동작을 할 때 대상자들의 시선은 정면을 향하도록 하여 시행시켰다.
첫 번째,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
대조군에는 편평한 지지면에서 양 발의 간격을 어깨 넓 이보다 크게 11자로 벌린 자세에서 팔은 앞으로 뻗고 허리 를 곧게 세우고 시선은 정면으로 향하게 하였으며, 무릎 이 발 보다 앞쪽으로 나가지 않도록 한 후 스쿼트를 시행 하였다. 거울을 통한 시각적 피드백만 적용하여 단계별 스쿼트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단순히 거울을 통해 자세의 정렬을 조절하여 실시하였다(Figure 1).
두 번째, 볼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
실험군에는 편평한 지지면에서 양 발의 간격을 어깨 넓 이보다 크게 11자로 벌린 자세에서 팔은 앞으로 뻗고 허리 를 곧게 세우고 시선은 정면으로 향하게 하였으며, 무릎 이 발 보다 앞쪽으로 나가지 않도록 한 후 스쿼트를 시행 하였다. Togu ball 볼을 이용하여 단순히 떨어뜨리지 않을 정도의 강도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을 단계별 스쿼 트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근활성도를 조절 및 활성화시켰 다(Figure 2).
3. 측정 도구 및 방법
1) 근활성도 측정장비
대상자들의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근전도측정장비인 2EM(4D-MT, Relive, Gimhae, Korea)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표면 근 전도는 무선, 패드 접촉식이며 전극 간의 거리를 2㎝로 유지하며 근섬유 방향에 평행하게 부착하였다. 근전도 신 호 수집을 위한 표본추출률은 1,000㎐로 하며, 주파수 대 역폭은 0〜500㎐를 사용하였다. 근전도의 신호는 제곱 평균 제곱근법(root mean square; RMS)으로 처리하여 분 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을 참고하여 각 근육의 전극 부착위치를 결정하였다. 활성 전극 2개는 무 릎뼈 위 안쪽 가장자리(superomedial patellar border)에 서 위쪽으로 약 4㎝, 안쪽으로 3㎝ 높이의 안쪽빗넓은근 에 무릎뼈 장축(long axis)에서 55°위치에 부착하였고, 가쪽넓은근은 무릎뼈 위쪽 가장자리(patellar superior border)에서 위쪽으로 약 10∼15㎝, 가쪽으로 6∼8㎝ 높 이로 무릎뼈의 장축에서 15°위치에 부착하였다. 접지 전극 은 같은 쪽의 무릎뼈 아래 2-3㎝에 부착하였다(Kirnap et al., 2005). 대상자가 바르게 앉은 자세에서 무릎 폄을 통 증이 없는 범위에서 5초 유지하는 동안 3회 반복 측정하 였고, 처음과 마지막 1초를 제외한 중간 3초 동안의 3회 평균값을 구하였다. 휴식 시간은 10초로 하였으며, 근전 도 분석방법은 특정 동작의 기준 수축 값을 사용하였으 며, 이를 기준 삼아 표준화하는 자발적인 수축의 백분율 (%RVC)로 사용하였다(Cram, 2011)(Figure 3).
2) 하지 정렬측정 장비
Q-각은 무릎뼈의 중심과 위앞엉덩뼈가시를 연결한 선 과 정강뼈 결절 중심부에서 무릎뼈 중심부를 연결한 선의 교차각을 측정하였다. 방사선 촬영장치를 통해 의료영상 저장전송시스템(PACS)을 사용하여 선 자세에서 촬영하 였다.
4. 분석방법
윈도우용 IBM SPSS Statistics 24 프로그램을 사용하 여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안굽이무릎을 가 진 대상자들 중에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를 한 대조군, 볼 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를 한 실험군 총 2개 그룹 으로 나누었다. 실험기간에 따른 운동효과를 비교하기 위 해 각 집단 내의 운동 전⋅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 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운동 효 과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 정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실험군(볼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군 15 명)과 대조군(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군 15명)에서 실 험 전 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을 위해서 SPSS로 분석한 결과로 모든 변수에 대해 두 집단 간의 평균값는 통계학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두 집단은 동일 집단이 라고 볼 수 있었다(p>.05)(Table 2).
Table 2
Group | P | ||
---|---|---|---|
|
|||
experimental group(N=15) | control group(N=15) | ||
|
|||
Age(year) | 30.9±3.47 | 29.1±3.81 | .28 |
Height(cm) | 175.84±3.66 | 176.24±3.35 | .81 |
Weight(kg) | 73.5±7.12 | 72.5±6.53 | .74 |
Space Between Knees | 3.86±0.33 | 3.90±0.29 | .78 |
*p<.05
2. 실험기간에 따른 Q각의 변화
하지 정렬 분석에는 대조군의 운동 전, 후에 따른 Q-각 변화를 보면 운동 전 8.97±0.48°에서 운동 후 9.93±0.61° 로 0.96°증가하였으며, 실험군의 운동 전, 후에 따른 Q- 각 변화를 보면 운동 전 8.91±0.54°에서 운동 후 10.51± 0.55°로 1.6°증가하였다. 그룹간 운동 후 비교에서는 실험 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효과 검증 (effective size)에서도 실험군이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Table 3).
Table 3
Group(Q각) | Pre | Post | t | p | Effect size |
---|---|---|---|---|---|
|
|||||
experimental group | 8.91±0.54 | 10.51±0.55 | -23.45 | .00* | 2.93 |
control group | 8.97±0.48 | 9.93±0.61 | -16.84 | .00* | 1.74 |
t | 3.13 | ||||
p | .00* |
*p<.05
3. 근활성도 비교
대조군의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 비교 에서 안쪽넓은근은 운동 전 32.36±2.33에서 47.33±3.48 으로 증가하였으며, 가쪽넓은근은 19.5±2.60에서 31.22± 3.63으로 증가하였다. 실험군의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 은근의 근활성도 비교에서 안쪽넓은근은 운동 전 30.54± 2.36에서 50.01±2.71으로 증가하였으며, 가쪽넓은근은 19.31±2.68에서 39.89±4.79으로 증가하였다. 그룹간 운 동 후 비교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효과 검증(effective size)에서도 실험군이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Table 4)(Table 5).
Table 4
group | EMG | t | p | Effect size | ||
---|---|---|---|---|---|---|
|
||||||
Pre | Post | |||||
|
||||||
experimental group | VM | 30.54±2.36 | 50.01±2.71 | -52.52 | .00* | 7.66 |
control group | VM | 32.36±2.33 | 47.33±3.48 | -21.65 | .03* | 5.05 |
t | 3.37 | |||||
p | .03* |
*p<.05
Table 5
group | EMG | t | p | Effect size | ||
---|---|---|---|---|---|---|
|
||||||
Pre | Post | |||||
|
||||||
experimental group | VL | 19.31±2.68 | 39.89±4.79 | -21.8 | .03* | 5.30 |
control group | VL | 19.5±2.60 | 31.22±3.63 | -15.75 | .03* | 3.71 |
t | 6.43 | |||||
p | .00* |
*p<.05
Ⅳ. 고 찰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남성의 안굽이무릎 변형에 볼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을 적용하여 Q각과 안 쪽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의 균형에 어떠한 많 은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무릎간격의 변형 단계로는 1단계 간격 2.5 cm, 2단계 2.5-5.0 cm, 3단계 5.0-7.5 cm, 4단계 7.5 cm 이상으로 간격 5 cm 이하에서 는 정교한 운동으로 교정이 가능하나 그 이상에서는 정형 외과적 중재를 필요로 하게 된다(유병규, 2015). 본 연구 에서 무릎 간 간격을 2단계에 해당하는 대상자로 선정한 이유는 볼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위앞엉덩뼈가시(ASIS)와 무 릎뼈 중앙을 이은선과 무릎뼈 중앙과 정강뼈 거친면을 이 은 선의 각도를 Q각이라고 말하며, Q각은 무릎에 대한 넙다리네갈래근을 상대적으로 가쪽 당김을 측정할 수 있는 임상지표이다(Fredericson & Yoon, 2006; Moghtadaei 등, 2017; Park 등, 2011). 김기철(2013)의 연구에서는 하지정 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적 검사로써 Q-각은 정 적인 Q-각과 동적인 Q-각의 검사가 필요하며, 정상적 Q-각의 범위는 성인 남성의 경우 약 8-12°라 하였다. 특 히 안굽이 무릎은 Q-각의 감소가 나타난다고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Q-각의 검사에서 8.97±0.48, 8.91±0.54° 로 나타나 정상범위이다. 하지만 대상자가 성인 남성임을 감안해서 나이가 증가할수록 퇴행성 변화가 진행된다면 Q-각의 감소는 더욱 심해질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 볼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 실험 군의 Q각의 값은 운동 전 8.91±0.54°에서 6주 후 10.51±0.55°로 운동 적용 전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그룹간 운동 후 비교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효과 검증 (effective size)에서도 실험군이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Choi 등(2013)의 스트레칭, 운동프로그램을 수정하여 적 용한 본 실험에서는 양쪽 넙다리뼈의 안쪽위관절융기 사 이에 볼을 떨어지지 않을정도의 강도로 모음을 한 상태로 실시한 스쿼트 운동이 무릎사이 간격을 줄이는데 영향을 주었다는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많은 연구에서 는 Q각을 통해서 골반의 정확한 위치, 엉덩관절의 회전, 정강뼈 비틀림, 무릎뼈 위치, 발 위치를 복합적인 측정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을 하고 있다(Seo 등, 2019). 이 각도가 정상적인 범위일 때 하중이 동일하게 무릎의 안쪽 과 가쪽으로 나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Q각은 볼을 이 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 전에는 정상 범위보다는 감소되어 있으며, 운동을 실시한 결과는 Q각 값이 증가한 값을 보였다. 이는 운동 후에 Q각이 8.00±1.22°에서 11.15±0.68°로 증가한 Han 등(2010)의 연구 결과와 일치 한다. 선행연구와 본 연구 모두 비정상적인 범위의 Q각에 서 정상적인 범위로 가까워진 결과를 보여주므로, 볼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이 다리의 바른 정렬에 있어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고 사료된다. 송상협(2013)은 정상적인 정렬을 가진 사람의 안쪽넓은근과 가쪽넓은근 의 근활성도 비율이 1:1로 비슷하게 보이지만, 정지만 (2016)의 연구에서는 안굽이무릎의 변형을 가지는 경우,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가 안쪽넓은근 보다 더 낮게 나타 남으로써 근육의 근활성도 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고 하 였다. 본 연구에서도 무릎 간 간격이 2.5 - 5 cm로 2등급 안굽이 무릎변형이 있는 대상자의 실험 전 근전도 검사에 서 안쪽넓은근 30.54±2.36, 가쪽넓은근은 19.31±2.68으 로 약 1.5배 정도 안쪽넓은근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험군과 대 조군의 안쪽넓은근, 가쪽넓은근의 근 활성도의 변화를 분 석한 결과로는 실험 전과 6주 사이에 유의하게 증가하였 으며, 그룹간 운동 후 비교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 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효과 검증(effective size)에서 도 실험군이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Kim(2016)의 연구 에서 볼이라는 도구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 시 넙다리네갈 래근의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는 결과에는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본 연구는 현대인에게서 자세 문 제로 인해 발생하는 안굽이 무릎변형의 경우, 나이가 증 가함에 따라 발생한 변형의 증가 및 퇴행성관절염 및 정형 외과적 하지질환의 많은 다양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예 방의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게 되었다. 현대인들에게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하지 근력운동 중에 스쿼트 운동을 기반으로 안굽이 무릎변형이 있을 경우, 볼을 이용한 시 각적 피드백 스쿼트 형태의 하지근력운동이 근활성도 증 가와 하지정렬에 효과적 중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많은 수의 대상자를 포함시키 지 못하여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이 따른다. 또 한 실험에 참가한 일반인의 생활환경을 통제할 수 없었 다. 다양한 운동 방법을 통해 근활성도의 증가에 대한 결 과는 얻었지만 근활성비에 대한 연구는 진행하지 않았다. 연구에 대한 제한점은 추후의 연구를 통해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볼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을 한 실험군,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을 한 대조군에서 Q각과 안쪽넓은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의 변화를 알아 보았다. 그룹별로 운동을 실시한 후 각각의 변화를 통해서 이와같은 결론을 얻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Q각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실험 전과 6주 사이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 으며, 그룹간 운동 후 비교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효과 검증(effective size)에서도 실 험군이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안쪽 넓은근, 가쪽넓은근의 근 활성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로 는 실험 전과 6주 사이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그룹간 운동 후 비교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효과 검증(effective size)에서도 실험군이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와같은 연구 결과로 볼 때, 볼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이 Q각의 증가를 시킬 수 있는 운동으로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양쪽 안쪽위관절융기 에 볼을 끼워 엉덩관절을 모음한 상태에서 볼을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고정하고 거울을 통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이 거울을 통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에 비해 안쪽넓은근, 가쪽넓은근의 근 활성도가 더 높게 측정된다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Q각의 증가와, 안·가쪽 넓은근의 근 활성도 증가를 보았을 때 볼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이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에 비해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이라 할 수 있다. 향후 안굽이무릎 변형에 따른 볼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 운동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서 이를 기초로 한 통계적인 유의한 결론을 얻기 위한 다양한 스쿼트 운동의 형태별 효과 등에 대해 연구가 진행 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