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어깨관절은 인체의 다양한 관절 중에서 가장 다양한 운 동 범위를 가지고 있다(Cailliet, 1981). 어깨관절이 최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팔을 움직일 때 어깨뼈를 고정 시키고,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Mottram, 1997). 또한 어 깨뼈의 움직임과 조절은 근육 활성화 패턴에 의해 동시에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어깨뼈의 위쪽돌림은 위등세모 근, 아래등세모근, 그리고 앞톱니근의 짝힘에 의해서 형 성되며, 팔이 움직이는 동안 어깨등관절의 움직임을 만드 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근육들의 결합으로 인 하여 어깨뼈는 적절한 안정성과 위치를 유지하며, 어깨뼈 에 필요한 움직임을 만들어 낸다(Ebaugh et al., 2005;Ekstrom et al., 2003;Ludewig et al., 2004;Yoo, 2014).
상체의 근골격계 질환 중 둥근 어깨 자세는 신체 중력 선을 기준으로 어깨봉우리가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어 깨의 올림과 내림, 아래쪽 회전을 동반한 무너진 자세를 발생시켜 어깨가 안쪽으로 말리고 등이 굽는 자세가 되고 이는 위등세모근, 작은가슴근, 어깨올림근에서의 유연성 감소와 중간 및 아래등세모근의 약화를 발생시키며, 장시 간 유지될 경우 어깨뼈 뒷면의 안정화 근육들이 약화되어 상부에 여러 만성 통증을 유발한다(강주현, 2020;이도 연, 2015). 둥근 어깨 자세에서 작은가슴근의 단축은 팔을 위쪽으로 움직일 때 어깨뼈 들임, 위쪽 돌림, 뒤쪽 기울임 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근력과 움직임을 능동적으로 회복 시키기 위해서는 아래등세모근과 앞톱니근을 강화시켜야 한다(Borstad & Ludewig, 2006;Lukasiewicz et al., 1999;Smith et al., 2002;Wang et al., 1999).
최근 다양한 어깨 질환의 증가 및 효과적인 어깨뼈의 기능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어깨 안정화 운동 및 치료 프 로그램에 대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Başkurt et al., 2011;Cools et al., 2002;Kibler et al., 2008). 어깨 안정성과 관련된 많은 근육들 중 주된 근육으 로 아래등세모근와 앞톱니근을 강조하였다(Mottram, 1997). 그리고 임상에서도 둥근 어깨 자세를 가진 환자에 게 적절한 중재 운동 프로그램으로 아래등세모근 강화 운 동이 많이 적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어깨뼈 정렬과 움직 임 향상을 위해 닫힌사슬운동을 통해 상지 운동프로그램 을 시행하는 경향이 많다(Blackard et al., 1999;Ludewig et al., 2004).
이 중 대표적인 닫힌 사슬 운동(CKC)은 데드리프트 (Dead Lift)와 스쿼트(Squat)가 있는데 체중 부하 운동으 로 기능적인 부분이 높게 평가되며 이러한 형태의 동작은 발목관절과 엉덩관절, 무릎관절 움직임을 동시에 발생시 켜 이루어지는 복합 관절 운동으로(Lake & Lauder, 2012;McGill & Marshall, 2012;Tsatsouline, 2006), 스쿼트는 풀스쿼트, 하프 스쿼트, 와이드 스쿼트, 오버헤드 스쿼트 등으로 분류되는데, 그 중 오버헤드 스쿼트 운동은 팔을 머리 위로 들어 올려 등세모근과 척추세움근을 강조하는 운동이다(Bautista et al., 2019). 또한 한 선행연구에서 차은애 등(2021)는 힙 힌지 동작에 따른 둥근 어깨와 정상 인의 근활성도 비교에서 힙 힌지 동작이 둥근 어깨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하였다.
생체 되먹임은 신체에서 일어나는 불수의적인 과정을 수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얻을 수 있는 기술이 며, 실시간으로 움직임에 대한 시각적, 청각적 정보를 제 공함으로써 운동학습을 촉진시키고 정상적인 움직임을 만들어 내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하였다(박승규 & 강재 영, 2014; Frank et al., 2010). 흔히 시각적 신호를 이용 한 피드백은 몸의 감각과 위치에 대해 중추신경계로 의식 적인 정보를 전달하여 적절한 운동 반응을 이끌어낸다 (Palm et al., 2009).
이처럼 오버헤드 스쿼트 운동을 중재로 한 연구에서 닫 힌 사슬 운동으로 시행된 중재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 고 있지만,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오버헤드 스쿼트 운 동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시각적 피드백 적용 여부에 따른 오버헤드 스쿼트 운동을 시행한 후 어깨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근육들의 활성도와 안정 시 정렬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운 동치료 프로그램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구에 있는 D 병원에 내원한 성인 남성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모든 실험 대상자들은 실험을 진행하기 전 연구방법과 목적에 대해 충분한 설명 과 함께 이해하였고, 자발적으로 참여를 원하는 사람에 한해서만 동의서를 받은 후 본 실험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연구 대상자 선별을 위한 포함 기준은 다음과 같이 설 정하였다.
-
1) 둥근 어깨에 대한 측정 거리가 2.5cm 이상(p≥cm)으 로 측정된 자(Sahrnmann, 2002).
-
2) 모든 대상자는 우세한 쪽이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Yoshizaki et al., 2009).
-
3) 어깨뼈 들임 운동 시 제한 및 통증이 없는 자.
-
4) 오버헤드 스쿼트를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자를 선정 하였다.
연구 대상자를 위한 제외 기준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2. 측정 도구 및 방법
1) 표면 근전도
어깨 굽힘을 시행할 때 60°, 90°, 120° 각도에 따라 아래 등세모근, 앞톱니근, 위등세모근, 큰가슴근의 근전도 자 료수집을 위해 무선 표면 근전도기를 이용하였다.
선택된 근육들의 근전도를 측정하기 위해 근섬유와 평 행하게 표면전극을 부착하였으며, 이는 기존 연구들을 참 고하여 부착부위를 결정하고 실시하였다(Kasman et al., 1998). 정확한 부위에 부착하기 위해 가능한 해부학적 위 치를 유성펜으로 표시하였으며, 도수근력검사(manual muscle testing)를 통해 최대 근수축 시 근힘살 부위를 최 종적으로 지정하였다. 근전도 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 하기 위해 부착할 위치에 알코올 솜 소독 및 피부 각질층 제거를 실시하였다(Cram et al., 1998). 최종적으로 불필 요한 신호를 최소화하기 위해 근전도 전극패드를 약 2cm 정도로 하여 부착한 뒤 각 근육의 신호가 정상적으로 출력 하는지 확인하였다.
위등세모근은 제7번째 목뼈의 가시돌기와 봉우리 가쪽 의 중간지점이 되는 부위에 부착하였고, 아래등세모근은 어깨뼈의 가시뿌리에서 아래쪽으로 약 5cm 정도 되는 지 점에 부착하였다. 앞톱니근은 어깨 관절을 90도 정도 굽 힘시킨 후 넓은등근 앞쪽 부분인 어깨뼈 아래각의 가쪽 지점에 부착하였고, 큰가슴근은 겨드랑이 주름에서 몸쪽 으로 2cm 들어온 지점에 부착하였다.
근전도 측정은 개인 차이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같은 측정자에 의해 진행되었고, 선택된 근육들의 최대 등척성 수축(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을 통해 맨손 근력검사 자세에서 측정 하였다(Kendall, 2005). 근전도 신호는 5초를 유지하는 동안 각 근육의 최대 등척성 수축을 수집하였다. 각 근육 의 신호는 설정해 놓은 구간마다 3회 반복 측정하였으며, 근피로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측정 기간 사이에 2분간 휴 식 시간을 제공하였다. 이후 수집된 근전도 기록의 앞, 뒤 1초를 제외하고 3초 동안의 신호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 하였다(Hansson et al., 2000). 기록된 근전도 신호는 평 균평방근(root mean square, RMS) 방법을 사용하여 처리 하였다. 이후 각 60°, 90°, 120°의 굽힘 시 기록된 근전도는 최대 등척성 수축의 백분율을 이용하여 기록하였다 (%MVIC).
2) 둥근 어깨 자세 측정
둥근 어깨 자세(RSP)는 둥근 어깨 자세를 평가하기 위 한 측정 방법으로 바로 누운 자세에서 테이블 바닥과 어깨 봉우리의 후면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였다(Sahrman, 2002). RSP 측정 시 캘리퍼스의 바닥에서부터 0의 눈금 까지의 거리는 1cm로 더하여 계산하였다. 이러한 평가 방 법은 둥근 어깨 자세와 어깨뼈 위치에 대한 방법으로 높은 신뢰도를 가진다(Lewis & Valentine, 2007). 본 연구에서 대상자는 테이블과 어깨 봉우리 후면부 사이의 거리가 2.5cm 이상(p≥cm)인 자를 대상자로 선정하였다(Sahrman, 2002). 둥근 어깨 자세(RSP) 측정하기 위해 캘리퍼스를 사용하였다.
3) 시각적 피드백 장비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오버헤드 스쿼트 운동 시 시 각적 피드백을 적용하기 위하여 독일에서 제작된 토구 챌린지 디스크 2.0(TOGU Challenge disc 2.0)이라는 장 비를 사용하였고, 이는 의사, 물리치료사 등 척추 전문가 들로만 구성된 독일 척추건강협회(Aktion Gesunder Rucken, AGR)에서 유의한 효과를 입증한 제품으로 부여 한 장비이다.
3. 실험절차
실험을 시행하기 전 대상자들에게 실험에 대한 내용을 정확히 설명하였고, 동의서에 서명을 받은 후 일반적인 특성인 키, 몸무게, 나이, 안정 시 정렬을 조사하였다.
대상자를 두개의 그룹으로 무작위 배정을 위해 숫자 1, 2가 적혀 있는 종이를 박스에 넣은 후 대상자에게 하나의 종이를 뽑도록 했고, 1을 뽑은 대상자는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오버 헤드 스쿼트 그룹 (n=15), 2를 뽑은 대상자는 오버헤드 스쿼트 그룹(n=15)으로 배정하였다.
실험 시 보다 이해를 돕기 위해 대상자들에게 사전에 5분간 시상면에서의 어깨 굽힘을 실시하여 움직임이 일어 나는 동안 아래등세모근, 앞톱니근, 위등세모근, 큰가슴 근의 표면 근전도를 통해 측정하였다. 어깨 굽힘 각도 60°, 90°, 120°를 측정하기 위해 각도계를 사용하여 각 각 도마다 선을 그어놓은 판을 벽에 고정시킨 후 어깨 봉우리 를 축으로 하여 어깨 굽힘 시 각도에 따라 대상자들이 피 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대상자는 팔꿉관절을 완전히 편 상태에서, 아래팔과 손목을 중립 상태에 위치 시킨 후 2kg 아령을 움켜쥐고 바로 선 자세를 취하였다. 측정자의 신호에 따라 팔을 적절한 속도로 굽힘하면서 5 초 동안 유지하였다.
대상자들이 짐작할 수 있는 순서효과를 없애기 위해 제 비뽑기를 통해 무작위로 시상면에서 팔을 굽히도록 지도 하였다. 두 운동군은 6주 후 안정 시 정렬과 함께 같은 방식으로 재측정을 하였으며, 데이터를 수집하는 동안 모 든 대상자들은 동일한 동작과 자세로 안전하게 실험에 임 할 수 있도록 측정자에 의해 통제받았다.
본 연구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4. 운동방법
운동은 6주간 실시했으며 운동강도는 점진적으로 횟수 를 늘려나갔다. 각 주마다 3회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첫째 주는 1세트 10회 반복 총 3세트를 실시하였고, 둘째 주는 15회 반복 총 3세트, 셋째 주는 20회 반복 총 3세트 그리 고 마지막 넷째 주는 20회 반복 총 3세트를 진행하였다. 각 세트 사이에 1분 간의 휴식시간을 제공하였다.
1)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오버헤드 스쿼트 운동
실험 전 자세 교육과 동작을 시범으로 직접 보여주었 고, 대상자가 오버헤드 스쿼트 동작을 숙지할 수 있도록 사전 연습을 충분히 한 후에 진행하였다. 대상자는 양발 의 안쪽을 어깨의 바깥쪽 너비만큼 되도록 벌리고 토구 챌린지 디스크 2.0서서 시작 자세를 취하고, 발가락은 바 깥쪽을 향하지 않고 정중앙에 위치하며 무릎은 발가락 방 향으로 향하며, 어깨는 굽힘하며 벌림하고 팔꿈치를 완전 히 펴서 팔을 머리 위로 들어 올린다(Cook at al., 2010). 팔은 귀 바로 옆까지 오도록 하고 동시에 넓다리는 무릎과 평행한 높이까지 내려오도록 지시하였다. 그 후 발바닥으 로 바닥을 밀어내는 듯한 힘을 주면서 무릎을 펴고 처음 자세로 돌아오는 것을 1회로 설정하였고, 운동은 내려가 는 동작 2초 올라오는 동작 2초로 진행하였다. 목뼈의 과 도한 폄이나 굽힘을 막기 위해 시선은 위쪽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앞쪽 45°를 향하게 하였다(최아란, 2023). 위등 세모근의 과긴장으로 인해 어깨뼈가 올림되거나, 무릎은 안쪽으로 모아지며 외반이 붕괴되는 보상작용 없이 동작 을 실시하도록 하였고(Cook at al., 2010), 운동을 시행할 때 중량은 동일하게 진행하였고, 시각적인 피드백을 이용 하여 운동을 시행하였다. 보상작용이 발생하는 대상자는 실험자에 의해 운동을 중단하고 자세 재교육 후 운동을 다시 수행하도록 하였다. 실험의 모든 동작은 연구자에 의해 통제되었다.
2) 오버헤드 스쿼트 운동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오버헤드 스쿼트 운동과 동일 하게 실험 전 자세 교육과 동작을 시범으로 직접 보여주었 고, 대상자가 오버헤드 스쿼트 동작을 숙지할 수 있도록 사전 연습을 충분히 한 후에 진행하였다. 시각적 피드백 제공되지 않는 상황에서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오버헤 드 스쿼트 운동과 동일하게 시행되었다.
5.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측정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sion 22.0 for window software(SPSS Inc., Chicag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Shapiro-Wilk 검정을 실시하여 정규성 분포를 확인하였다. 시각적 피드백을 이 용한 오버헤드 스쿼트 운동과 오버헤드 스쿼트 운동군의 동질성 검정은 독립 표본 t 검정(independent t test)로 실시하였다.
둥근 어깨 자세를 가진 대상자에게 시각적 피드백을 이 용한 오버헤드 스쿼트 운동과 오버헤드 스쿼트 운동을 각 각 6주 적용한 후, 둥근 어깨 자세 및 작은가슴근 지수의 정렬에 대한 변화와 60°, 90°, 120°에서 위팔뼈를 굽힘 시 어깨 주위 근활성도의 실험 전-후 군내 변화를 보기 위해 대응 t 검정을 사용하였고, 군간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독 립 표본 t 검정으로 사용하였다. 유의수준 a는 0.05로 설 정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총 30명으로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오버헤드 스쿼트 운동 그룹과 오버헤드 스쿼트 운 동 그룹 각각 15명으로 배정하였다. 키, 몸무게, 나이에 대한 두 운동 그룹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다(p>.05). 또한 둥근 어깨 자세에서도 시각적 피드백 을 이용한 오버헤드 스쿼트 운동 그룹과 오버헤드 스쿼트 운동 그룹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05)(Table 1).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N=30)
Group | EG(N=15) | CG(N=15) | p |
---|---|---|---|
|
|||
Height (cm) | 173.54±3.05 | 174.04±3.98 | 0.63 |
Weight (kg) | 73.33±9.52 | 74.57±10.80 | 0.51 |
Age (years) | 31.01±3.41 | 29.07±3.38 | 0.38 |
RSP (cm) | 5.31±0.93 | 5.67±0.85 | 0.43 |
EG : Experimental Group
CG : Control Group
RSP : Round Shoulder Posture
*p<.05
Table 2
A comparison of muscle activation(%MVIC) for serratus anterior, lower trapezius, pectoralis major, upper trapezius in each groups according to shoulder flexion angle (N=30)(Unit: %)
Muscle | Phase | Group | Pre | Post | t | p |
---|---|---|---|---|---|---|
Serratus anterior | 60° | EG | 24.54±11.05 | 30.26±10.98 | -3.242 | .000* |
CG | 22.37±12.22 | 27.62±11.45 | -3.551 | .010* | ||
t | 1.32 | -2.55 | ||||
p | .145 | .181 | ||||
90° | EG | 42.36±10.33 | 45.81±10.23 | -2.557 | .061 | |
CG | 40.27±11.34 | 44.18±12.57 | -2.464 | .059 | ||
t | .37 | -1.89 | ||||
p | .414 | .468 | ||||
120° | EG | 49.52±12.34 | 60.41±12.13 | -9.242 | .000* | |
CG | 50.11±13.58 | 56.82±13.42 | -6.844 | .000* | ||
t | -.96 | 3.12 | ||||
p | .228 | .001* | ||||
Lower trapezius | 60° | EG | 20.54±5.04 | 24.77±7.23 | -2.824 | .011* |
CG | 19.76±5.21 | 22.89±8.65 | -2.323 | .031* | ||
t | .245 | -.46 | ||||
p | .843 | .648 | ||||
90° | EG | 29.42±7.57 | 35.73±7.01 | -4.445 | .001* | |
CG | 28.83±9.52 | 34.11±8.41 | -3.512 | .008* | ||
t | .081 | -1.03 | ||||
p | .889 | .224 | ||||
120° | EG | 33.31±9.11 | 44.39±8.45 | -10.124 | .000* | |
CG | 32.74±10.34 | 40.12±10.22 | -8.525 | .000* | ||
t | .074 | 2.34 | ||||
p | .655 | .000* | ||||
Pectoralis major | 60° | EG | 17.61±7.58 | 15.28±7.87 | 3.121 | .003* |
CG | 15.55±8.12 | 14.14±9.85 | 5.221 | .055 | ||
t | .95 | 1.02 | ||||
p | .564 | .884 | ||||
90° | EG | 31.58±10.21 | 26.47±8.97 | 1.988 | .013* | |
CG | 29.41±10.88 | 24.88±8.01 | 2.454 | .012* | ||
t | 1.44 | .58 | ||||
p | .332 | .650 | ||||
120° | EG | 31.45±11.32 | 26.13±9.43 | 5.868 | .000* | |
CG | 30.13±13.74 | 23.71±10.62 | 3.523 | .002* | ||
t | .53 | .65 | ||||
p | .631 | .712 | ||||
Upper trapezius | 60° | EG | 10.67±9.72 | 12.61±8.11 | -1.011 | .245 |
CG | 10.89±10.02 | 13.24±10.23 | -2.356 | .156 | ||
t | -.03 | -1.43 | ||||
p | .976 | .103 | ||||
90° | EG | 23.37±9.87 | 27.26±9.65 | -1.922 | .077 | |
CG | 22.25±11.65 | 26.23±10.54 | -2.142 | .061 | ||
t | .43 | -.22 | ||||
p | .623 | .855 | ||||
120° | EG | 30.34±11.50 | 22.14±7.84 | 4.109 | .000* | |
CG | 30.12±12.74 | 23.85±11.13 | 3.654 | .004* | ||
t | -.14 | -.43 | ||||
p | .912 | .732 |
Table 3
A comparison of round shoulder posture in each groups (N=30)(Unit: cm)
Group | Pre | Post | t | p |
---|---|---|---|---|
|
||||
EG | 5.31±0.93 | 4.98±0.90 | 10.87 | 0.000* |
CG | 5.67±0.85 | 5.11±0.81 | 9.65 | 0.000* |
t | -.62 | 1.44 | ||
p | .44 | .219 |
2. 근활성도 변화
1) 앞톱니근의 근활성도 비교
EG의 전-후 비교 결과 어깨 굽힘 60도에서 앞톱니근의 근활성도는 24.54±11.05에서 30.26±10.98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90도에서는 42.36±10.33에서 45.81± 10.23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그리고 120도에서 는 49.52±12.34에서 60.41±12.13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p<.05).
CG의 전-후 비교 결과 어깨 굽힘 60도에서 앞톱니근의 근활성도는 22.37±12.22에서 27.62±11.45으로 유의하 게 증가하였고(p<.05), 90도에서는 40.27±11.34에서 44.18±12.57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그리고 120도에서는 50.11±13.58에서 56.82±13.42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중재 후 그룹 간 비교에서는 어깨 굽힘 120도에서만 유 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2) 아래등세모근 근활성도 비교
EG의 전-후 비교 결과 어깨 굽힘 60도에서 아래등세모 근의 근활성도는20.54±5.04에서 24.77±7.23으로 유의 하게 증가하였고(p<.05), 90도에서는 29.42±7.57에서 35.73±7.01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그리고 120도에서는 33.31±9.11에서 44.39±8.45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05).
CG의 전-후 비교 결과 어깨 굽힘 60도에서 아래등세모 근의 근활성도는 19.76±5.21에서 22.89±8.65으로 유의 하게 증가하였고(p<.05), 90도에서는 28.83±9.52에서 34.11±8.41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그리고 120도에서는 32.74±10.34에서 40.12±10.22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중재 후 그룹 간 비교에서는 어깨 굽힘 120도에서만 유 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3) 큰가슴근의 근활성도 비교
EG의 전-후 비교 결과 어깨 굽힘 60도에서 큰가슴근의 근활성도는 17.61±7.58에서 15.28±7.87으로 유의하게 감 소하였고(p<.05), 90도에서는 31.58±10.21에서 26.47±8.97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그리고 120도에서는 31.45±11.32에서 26.13±9.43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5).
CG의 전-후 비교 결과 어깨 굽힘 60도에서 큰가슴근의 근활성도는 15.55±8.12에서 14.14±9.85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90도에서는 29.41±10.88에서 24.88 ±8.01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그리고 120도 에서는 30.13±13.74에서 23.71±10.62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p<.05).
중재 후 그룹 간 비교에서는 60도, 90도, 120도에서 유 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4) 위등세모근의 근활성도 비교
EG의 전-후 비교 결과 어깨 굽힘 60도에서 위등세모근 의 근활성도는 10.67±9.72에서 12.61±8.11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90도에서는 23.37±9.87에서 27.26±9.65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그리고 120도에서는 30.34±11.50에서 22.14±7.84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CG의 전-후 비교 결과 어깨 굽힘 60도에서 위등세모근 의 근활성도는 10.89±10.02에서 13.24±10.23으로 유의 한 차이가 없었고(p>.05), 90도에서는 22.25±11.65에서 26.23±10.54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그리고 120도에서는 30.12±12.74에서 23.85±11.13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중재 후 그룹 간 비교에서는 60도, 90도, 120도에서 유 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3. 안정 시 정렬 변화
1) 둥근 어깨 자세(Round Shoulder Posture)
EG와 CG의 운동 전-후 그룹 내 비교 결과, EG와 CG 모두 6주 운동 전-후 어깨뼈 정렬변화가 유의하게 감소하 였다(p<.05). 그룹 간 비교에서는 6주 운동 후, EG와 CG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Ⅳ. 고 찰
본 연구는 시각적 피드백의 적용 여부가 둥근 어깨 자 세를 가진 대상자에게 오버헤드 스쿼트 운동을 실시한 후 어깨뼈 안정화 근활성도 및 안정 시 정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Ludewig 등(2000)은 정상인과 비교했을 때 어깨충돌 증후군을 가진 환자군에서 60˚부터 증가된 위등세모근 과 아래등세모근의 활성을 보고하였고, 앞톱니근의 강화 를 위해 여러 운동에서 적용되는 앞톱니근을 가장 효과적 으로 활성화시키는 120°를 어깨 굽힘 각도로 지정하였다 (Montgomery et al., 2007).
앞톱니근은 그룹 간 비교에서 120° 어깨 굽힘 시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오버헤드 스쿼트 그룹에서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박한규 등(2018)은 열린 사슬 및 닫 힌 사슬 운동을 통해 앞톱니근, 큰가슴근, 위등세모근의 근활성도를 비교하였을 때 열린 사슬 운동에서 앞톱니근 의 선택적 활성화가 더 효과적으로 일어났다고 보고하였 고, Toro 등(2016)은 복근을 수축시키기 위해 사용된 시・ 청각적 피드백으로 동적 운동을 실시하는 동안 앞톱니근 의 활성도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어깨뼈 운동 을 시행하는 도중 배 근육의 수축을 강조하며 여러 스쿼트 중에서도 오버헤드 스쿼트 운동 군에서 배 근육의 근활성 도가 높게 나타났다(Roth et al., 2020). 그러므로 그룹 간 비교에서 120° 어깨 굽힘 시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오버헤드 스쿼트 그룹의 앞톱니근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 은 오버헤드 스쿼트 시 배 근육의 수축과 함께 오버헤드 자세가 열린 사슬 운동으로 작용하여 어깨 굽힘 시 어깨뼈 의 위쪽 돌림 근육으로써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고 사료 된다. 따라서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오버헤드 스쿼트 운동은 둥근 어깨 자세를 가진 성인에게 앞톱니근의 활성 화 증가를 위한 도움이 될 수 있는 운동이라 생각한다.
아래등세모근은 그룹 간 비교에서 120° 어깨 굽힘 시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오버헤드 스쿼트 그룹에서 근활 성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본 연구에서 아래등세모근의 활성도가 증가한 이유는 오버헤드 동작을 시행할 때 어깨 굽힘에 대한 각도가 증가함으로써 어깨뼈의 위쪽돌림이 발생하여 나타난 결과로 아래등세모근의 근활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운동을 시 행할 때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집단이 이용하지 않은 집단보다 근활성도 측면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며 신 뢰할 수 있었다고 한다(Kim & Kramer, 1997). 선행 연구 에 따르면 90° 이후 팔 올림 시 어깨의 불안정성을 가진 대상자들에게서 어깨뼈의 앞쪽 경사와 내밈이 나타난다 고 설명하였으며, 이는 앞톱니근과 아래등세모근의 협력 수축이 부족한 결과라 설명하였다(Matias & Pascoal, 2006). 이러한 결과는 대상자들에게 90° 이후 팔을 들어올 릴 때 어깨뼈의 들임과 뒤쪽 경사의 정상적인 움직임을 만들어 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큰가슴근과 위등세모근은 그룹 내 비교에서 120° 어깨 굽힘 시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오버헤드 스쿼트 그룹에 서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앞톱니근과 아 래등세모근의 근활성도와 비교하여 어깨 굽힘 동안 각도 가 점차 증가할수록 각 근육들의 활성도가 증가하면서 위 등세모근의 보상적 활성화 감소 및 운동 마지막 범위에서 의 어깨뼈 들임과 뒤쪽 기울임으로 인한 큰가슴근의 이완 되면서 나타난 결과라 생각되어 진다.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오버헤드 스쿼트 그룹과 오버 헤드 스쿼트 그룹 모두 6주 동안 운동을 실시 한 후 둥근 어깨 자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선행 연구에서 오 버헤드 스쿼트를 통한 운동은 어깨관절 근력을 증가시키 며, 어깨뼈의 안정성 및 운동을 통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고 하였다(Borsa at al.,2008;Hayes at al., 2002).
연구 결과 두 그룹 모두 전체적으로 어깨 굽힘 시 앞톱 니근과 아래등세모근의 활성도 증가를 보임과 동시에 위 등세모근과 큰가슴근의 근활성도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 번째, 어깨뼈 주변 근육들의 근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탈의를 실시한 후 실험이 진행되 었기 때문에 여성들의 실험 진행이 어려워 대상자 선정을 전부 남성으로 제한하였다. 두 번째, 어깨 움직임이 어깨 굽힘 동작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작이 있지만, 위팔뼈 굽 힘의 각도에서만 어깨뼈 주변 근육들의 근활성도를 측정 하였기 때문에 다른 동작에서의 근활성도를 유추하기 어 렵다. 세 번째, 어깨 굽힘에서 저항의 차이 없이 동일한 강도에서 실험이 진행되었기 때문에 저항의 정도에 따른 변화의 근활성도를 반영하지 못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오버헤드 스쿼트 운 동과 오버헤드 스쿼트 운동을 둥근 어깨 자세를 가진 대상 자에게 6주 운동을 실시한 이후 60°, 90°, 120° 어깨 굽힘 동안 앞톱니근, 아래등세모근, 위등세모근, 큰가슴근의 근활성도 변화와 안정 시 정렬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오버헤드 스쿼 트 운동을 실시한 대상자들에게서 어깨 굽힘을 시행하는 동안 앞톱니근과 아래등세모근의 근활성도 증가와 함께 큰가슴근과 위등세모근의 근활성도가 감소하는 것을 발 견할 수 있었다. 이는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오버헤드 스쿼트 운동이 오버헤드 스쿼트 운동 보다 어깨 굽힘 시 어깨 주변 근육들의 정상적인 근활성도와 협응 수축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또한 둥근 어깨 자세 평가 에서 두 운동군 모두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둥근 어깨 자 세를 가진 대상자에게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오버헤드 스쿼트 운동이 운동치료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고, 임상적인 측면에서도 둥근 어깨 자세를 가진 환자에게 시 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오버헤드 스쿼트 운동이 고려되어 야 된다고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