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도시와 농어촌 지역은 각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물 리적, 사회적 환경에 따라 건강 수준이 다르게 나타난다 (Chun et al., 2013). 도시와 농어촌 환경의 정의는 인구 범위와 같은 정량적 요인, 인구 밀도, 경제 활동의 종류와 같은 정성적 요인, 그리고 주민의 인식과 주거 환경과 같 은 주관적 요인 등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관련하여 도시와 농어촌 지역의 스포츠 시설, 교통 망, 생활 환경의 접근성의 차이는 사람들의 특정 생활양 식 준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Boraita et al., 2022). 따라서 도시와 농어촌은 지역적 환경 차이로 인해 통증과 스트레스를 포함한 건강 수준의 차이를 보이고 있 다(Song, 2023).
근골격계 통증은 다인성질환(Multifactorial Disease) 이 므로 구조적,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생활습관 및 관련 건강 문제 간에 복잡한 상호 관계가 있으며(Caneiro et al., 2021), 현재까지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 방법이 없는 광범위 한 사회 문제이다(Graven-Nielsen, 2022). 근골격계 통증 은 뼈, 근육, 힘줄, 인대, 심지어 신경에 영향을 미치는 급성 또는 지속적인 통증으로 인해 발생하며 가장 흔한 유형의 근골격계 통증은 만성 요통, 목 통증, 골관절염 및 류머티즘으로 인한 통증 등이 있다(El-Tallawy et al., 2021).
특히, 요통(Low Back Pain; LBP)은 전 세계 인구의 70%가 경험하는 가장 흔한 근골격계 질환 중 하나로 일상 생활의 질을 크게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Grabovac & Dorner, 2019). 요통의 증상은 불편함, 뻣뻣 함, 근육 긴장, 좌골 신경통 또는 허리에서 좌골 신경으로 방사되는 좌골 신경을 따라 느껴지는 통증이며 일반적으 로 엉덩이 주름과 아래쪽 갈비뼈 가장자리 사이에서 느껴 진다(Chen et al., 2022). 요통은 성별에 관계없이 다양한 연령층에서 발생하며 유전적,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측 면 및 동반 질환과 같은 요인이 요통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Buchbinder et al., 2020).
스트레스는 요통의 위험 요인 중 하나로 강조되고 있다 (Tsuboi et al., 2017). 스트레스는 일반적으로 신체적, 정 신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과도한 수준은 정서 적, 인지적, 신체적 기능 장애를 유발하고 삶의 어려움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없다는 느낌을 준다(Dey et al., 2014). 또한, 스트레스는 무기력, 불안, 우울증, 수면 부 족,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지는 정신 건강 문제를 일으킨다 (Deng et al., 2020).
이러한 요통과 스트레스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치료 와 중재가 있다(Wippert & Wiebking, 2018).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요통 치료법에는 약물, 침습적 시술, 생물물리 및 전기 치료, 운동 요법, 침술 등이 있다(Saracoglu et al., 2022). 허리 통증을 줄이기 위한 재활 운동에는 근력 운동, 유산소 운동, 코어 안정성 균형 운동, 수중 운동 요 법 등이 있으며(Paolucci et al., 2018), 요가와 같은 다양 한 요법을 통해 스트레스를 줄이고 우울증을 포함한 정신 적, 정서적 건강을 개선할 수 있다(Lindahl et al., 2016).
해양치유(Marine Therapy)는 해양에서 발견되는 다양 한 해양 자원을 활용하여 인간의 전반적인 건강을 개선하 고 다양한 질병을 치료함으로써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하는 데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Hong et al., 2024). 해양치유 중 해수요법(Thalassotherapy)은 해수, 해초, 갯벌 머드, 해양환경의 기후와 같은 해양 요소를 사용하 여 치유와 건강을 증진하는 중재로, 특히 기능 재활, 관절 문제, 스트레스, 피로, 피부 질환, 순환 장애 및 스포츠 재활을 위한 요법이다(Mourelle et al., 2023). 해양자원 중 해수의 미네랄과 화학 물질은 신체의 혈액과 림프 순환 을 촉진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하며 독소를 제거한다(Yurcu et al., 2024). 머드는 의학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 되어 왔는데, 한 연구에 따르면 머드는 골관절염 통증 완 화, 뻣뻣함 감소, 관절 기능을 개선시킨다(Tian et al., 2022). 또한, 해수를 이용한 수중 치료 프로그램은 체중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이고 관절 운동을 촉진하여 격렬한 활 동 중에 발생하는 근육 부상의 치유를 촉진함으로써 육상 기반 치료 프로그램보다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운동 범위 (Range Of Motion; ROM)를 개선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Kim et al., 2020).
따라서 해양치유 프로그램을 통한 요통 및 스트레스 개 선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나, 도시와 농어 촌의 지역적,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해양치유 프로그램이 요통 및 스트레스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는 도시와 농어촌의 지역적, 인구 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실내 재활운동에 적합한 실내 해양 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요통과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 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도시와 농어촌 지역의 요통과 스트레스 특성 을 파악하고, 실내 해양 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요통과 스트레스 완화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2. 연구대상자
본 연구는 고려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승인번호 KUIRB-2024-0109-01)의 승인을 받아 진행되었다. 대상 자는 연구의 목적, 방법, 잠재적 위험사항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받은 후, 실험 동의서에 서명하였다. 표본 크기는 G-Power(ver.3.1.3, Heinrich Heine Univ, Germany)을 통해 유의 수준 0.05, 효과크기 0.81으로 설정하였고 40명 의 대상자 수를 산출하였다. 실험 전 설문을 통하여 제외기 준에 해당되는 대상자 4명, 프로그램을 중도 중단한 대상 자 5명, 총 9명은 분석에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외하 였다. 이에 따라 분석에 적합한 31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Table 1). 선정기준은 근골격계 통증 중 요통이 있는 만 50세 이상의 중년 인구 및 노인으로 정하였다. 제외기준은 1) 3년 이내 심혈관, 폐, 혈액 또는 신장 질환을 앓은 적이 있는 사람 2) 중추신경계 질환을 앓은 적이 있는 사람 3) 수술 및 극심한 관절염 등과 같이 통증이 심하여 본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힘든 사람으로 정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Parameters | Urban (n=17) | Rural (n=14) |
---|---|---|
|
||
Age(year) | 60.82 ± 6.14 | 62.43 ± 7.15 |
Gender(M/F) | M:4 / F:13 | M:5 / F:9 |
Height(cm) | 163.65 ± 6.65 | 163.39 ± 10.19 |
Weight(kg) | 64.94 ± 8.38 | 65.56 ± 13.37 |
M = Male, F = Female
3. 연구방법
본 연구는 만 50세 이상의 요통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서울(도시)과 전남 완도(농어촌)에서 참가자를 모집하였다. 3명의 석사 학위 이상의 전문적인 물리치료사 가 머드 도포 및 온열 요법과 심부 마사지를 진행하였고, 2명의 석사 학위 이상의 전문적인 물리치료사가 실내 수중 운동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은 3일간 완도 해양치유센터 에서 진행되었으며, 주요 중재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머드 도포 및 온열 요법: 20분 동안 허리 부위에 머드를 도포하고 온열 요법을 적용하였다.
심부 마사지: 통증 완화를 위해 15분간 심부 근육 마사 지를 실시하였다.
실내 수중 운동: 60분 동안 실내 수영장에서 코어 안정 화 운동과 저강도 유산소 운동을 포함한 재활 운동을 진행 하였다.
4. 측정 도구 및 방법
1) 시각상사척도(Visual Analog Scale, VAS)
VAS는 통증을 평가하기 위한 정확하고 높은 타당도와 신뢰도가 입증된 평가로서(Bird et al., 2016), 측정자 내, 측정자 간 신뢰도는 1.00과 .99이다(백태열 & 윤정규, 2022). 이 척도는 10cm의 선 상에 각 지점에 손으로 쓴 표시를 배치하여 "통증 없음"은 왼쪽 끝(0cm), "최악의 통 증"은 오른쪽 끝(10cm)에 표시하며 점수는 개인의 증상에 대한 자가 보고를 기반으로 하는 척도이다(Delgado et al., 2018). 참가자의 사전(pre) 및 사후(post) 평가 시점에 경험한 통증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2) 오스웨스트리 요통장애지수(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요통으로 인한 불편함이 일상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하기 위해 오스웨스트리 요통장애지수(Oswestry Disability Index; ODI)를 사용하였으며(Bielewicz et al., 2022), 0.84 의 크론바흐 알파에 도달한 신뢰도가 검증된 설문지이다 (Kim et al., 2005). 통증 정도, 개인 위생, 물건 들기, 걷기, 앉기, 서있기, 잠자기, 성생활, 사회생활, 여행의 10개 영역 에서 참가자가 느끼는 불편감과 장애 정도를 0 - 5점으로 표시하고 총 점수를 답한 항목의 수로 나누어 100을 곱하여 계산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장애 정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김규상 et al., 2012).
3) 스트레스 검사(Stress, SA-3000NEW)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자율신경 검사기(SA-3000NEW, MEDICORE CO., Korea)를 사용하였다. 이 장비는 자율 신경계와 모세혈관의 맥파와 관련된 생체 신호 정보를 측 정하여 스트레스 관련 지수를 파악 할 수 있는 장비이다 (Lee & Lee, 2021). 참가자의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의 변화 분석을 통해 스트레스 저항도, 스트레스 지수, 피로도를 측정하였다. 스트레스 저항도는 높을수록 건강한 상태이며, 스트레스 지수 및 피로도는 낮을수록 건강한 상태를 의미한다.
4) 리즈 수면 평가(Leeds Sleep Evaluation Questionnaire, LSEQ)
수면에 대하여 평가하기 위해 리즈 수면 평가 설문지 (Leeds Sleep Evaluation Questionnaire; LSEQ)를 사용 하였다. 잠드는 양상, 수면의 질, 깨는 양상, 깬 후의 행동 등 수면과 관련된 영역에 대하여 총 10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왼쪽 끝은 부정(0), 오른쪽 끝은 긍정(100) 문구로 표시하는 VAS(Visual Analog Scale)를 사용하였다(최희 정 et al., 2012). 모든 점수의 범위는 0 – 100점이며, 점수 가 높을수록 수면 상태가 좋음을 나타내며 국내에서 응답 이 원활하고 10개 항목의 크론바흐 알파가 0.95인 검증된 한국판 변형 리즈 수면 평가 설문지(Korean Version of Modified Leeds Sleep Evaluation Questionnaire; KMLSEQ)를 사용하였다(Kim et al., 2014).
5) 삶의 질 평가(Short Form 36-item Health Survey, SF-36)
삶의 질에 대한 영역을 평가하기 위하여 8개 하위 척도 모두 크론바흐 알파가 0.88에서 0.90 사이로 높은 내적 일관성 보인Short Form 36-item Health Survey(SF-36) 를 사용하였다(Kwan et al., 2016). SF-36은 신체적 구성 요소(Physical Component Summary; PCS) 및 정신적 구성 요소(Mental Component Summary; MCS)로 나뉘었으며 8개의 삶의 질 영역으로 세분화되며 신체 기능(Physical Functioning; PF), 신체적 역할(Role Physical; RP), 신체 통증(Bodily Pain; BP), 일반 건강(General Health; GH), 활력 (Vitality; VT), 사회적 기능(Social Functioning; SF), 정서적 역할(Role Emotional; RE), 정신 건강(Mental Health; MH)으로 나뉘어져 있다(Lin et al., 2020). 각 문항 은 영역별로 100점 만점으로 환산되며 환산된 점수가 높을 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J. Lee et al., 2019)
5. 중재(Intervention)
중재 프로그램은 전남 완도 해양치유센터에서 진행하 였다. 먼저 머드 테라피실로 이동하여 머드 도포 및 온열 요법을 수행하였다. 프로그램에 사용된 머드는 완도 해안 의 해양자원인 갯벌을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및 수은 분석과 중금속 저감기술을 적용하여 전처리 및 가공한 것이다. 머드는 무릎 관절염 환자에게 사용되어 왔으며, 이전 연구에서 부작용 없이 통증을 개선하는데 긍정적인 결과를 보인 바 있다(S. H. Lee et al., 2019). 프로그램은 참가자의 허리 부위에 2cm 두께의 머드를 도 포하고 비닐 랩으로 감싼 후, 38~40℃로 가열한 핫팩을 올려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수건을 덮어주고, 이 상태 를 20분간 유지하였다.
온열 요법 후 머드를 추가하여 통증 부위에 심부 도수 마사지를 진행하였다. 심부 도수 마사지는 깊은 마찰 마 사지와 근막 이완 기술(근육 및 근막 조직 문지르기, 누르 기, 두드리기)과 통증 유발점에 집중적으로 적용하였다. 심부 도수 마사지는 숙련된 전문가를 통해 15분간 진행하 였다.
심부 도수 마사지 후 도시와 농어촌 그룹의 참가자들은 실내 해수풀로 이동하여 수중운동을 진행하였다. 수중운 동은 재활과학 및 수중연구기반 전문 물리치료사가 지도 하였으며 준비운동 5분, 본 운동 50분, 정리 운동 5분으로 실내 수중운동은 60분 동안 진행하였다. 준비운동은 전신 스트레칭 운동으로 목, 어깨, 몸통, 허리, 무릎, 손목, 발 목 관절의 중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본 운동은 코어 근육 안정화 및 그룹 수중 저강도 유산소 운동으로 구성하였 다. 코어 근육 안정화 운동은 복부와 요추의 안정화를 위 한 할로잉(Hollowing), 브레이싱(Bracing)운동을 진행하 였다. 할로잉은 배꼽을 척추로 당겨서 코어와 복부 근육 을 수축시키는 운동이며(Tsartsapakis et al., 2023), 이 운동은 복횡근(Transverse abdominis muscle; TrA)을 효 과적으로 강화하여 허리 통증을 완화하고 척추의 안정성 을 극대화 한다(Kim & Son, 2021). 브레이싱은 복부 팽창 운동으로 복강 내 압력을 높이고 몸통을 안정화 하며 (Madokoro et al., 2020), 복횡근(TrA)을 포함한 허리의 모든 근육을 수축시켜 코어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Yun et al., 2022). 할로잉 운동은 배 복횡근과 내복사근 (Internal Oblique; IO)을 활성화시키며, 브레이싱 운동은 외복사근(External Oblique; EO)과 내복사근(IO)을 활성 화시킨다(Muramoto & Kuruma, 2020).
이러한 할로잉과 브레이싱 운동을 결합하여 수중운동 을 진행하였다. 수중 운동을 진행하는 동안 부력 도구인 누들을 사용하였다. 수중 운동 중에 부력 도구는 상지와 하지의 움직임의 크기와 속도를 변화시키고 물의 저항을 사용하여 신체의 저항을 조절하고 근력을 증가시킨다 (Michishita et al., 2023). 수중운동은 스쿼트 자세에서 앞, 양옆으로 손 뻗기, 누들을 활용하여 누들 앞으로 밀 기, 몸 쪽으로 당기기, 몸통 돌리기, 스쿼트, 한 다리 교차 들기, 다리 앞으로 및 옆으로 뻗기, 슬와에 누들 적용 및 스쿼트, 서혜부에 누들 적용 및 스쿼트 및 사이클링 동작 하기를 진행하였다.
그 후, 그룹 수중 저강도 유산소 운동(PRE: Ratings of Perceived Exertion, 11-12 level)을 진행하였다. 최근 연 구에 따르면 수중 운동과 저항 운동 및 유산소 운동을 병 행하면 근력과 체력이 향상된다는 보고가 있다(Scheer et al., 2021). 수중 저강도 유산소 운동은 그룹으로 나뉘어 물의 저항력을 이겨내며 심폐력 및 근력을 향상시키는 수 중 속보 운동을 진행하였다.
6. 통계분석
본 연구는 통계프로그램 SPSS statistical software (version 27, IBM, NY, USA)를 활용하여 평균값(M)과 표 준편차(SD)를 분석하였다. 시각적 통증 척도(VAS), 요통 장애지수(ODI), 수면의 질(KMLSEQ), 삶의 질(SF-36) 데 이터는 데이터는 정규분포를 보이지 않아 비모수적 검정 인 Friedman test를 사용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통계적으 로 유의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스트레스 데이터(SA- 3000NEW)의 스트레스 저항도 및 지수, 피로도는 사전- 사후 변화를 보기 위하여 대응표본t-검정(paired t-test) 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로 설정하였다.
Ⅲ. 연구 결과
본 연구는 총 31명의 도시 지역과 농어촌 지역 주민의 요통과 스트레스 차이를 비교하여, 두 지역의 요통과 스 트레스 개선을 위한 실내 해양치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평균(M)과 표준편차(SD) 및 통계 분석 결 과는 다음과 같다.
1. 시각상사척도(Visual Analog Scale, VAS)
도시 그룹에서 통증이 4.06 ± 2.51에서 2.35 ± 2.67로 감소하였고(p=0.010), 농어촌 그룹에서는 4.14 ± 3.37에서 1.14 ± 1.35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03)(Table 2).
Table 2
Group | Pre | Post | z | p | |
---|---|---|---|---|---|
|
|||||
VAS (cm) | Urban (n=17) | 4.06 ± 2.51 | 2.35 ± 2.67 | -2.579a | .010* |
Rural (n=14) | 4.14 ± 3.37 | 1.14 ± 1.35 | -2.941a | .003* | |
|
|||||
ODI (score) | Urban (n=17) | 15.76 ± 13.04 | 12.24 ± 10.07 | -.911a | .362 |
Rural (n=14) | 13.57 ± 11.56 | 6.00 ± 6.03 | -2.072a | .038* |
a. 양의 순위를 기준으로, *p<.05
VAS: Visual Analog Scale, ODI; Oswestry Disability Index
2. 오스웨스트리 요통장애지수(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도시 그룹에서 요통장애지수는 감소하였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 농어촌 그룹에서는 13.57 ± 11.56에서 6.00 ± 6.03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38)(Table 2).
3. 스트레스 검사(Stress, SA-3000NEW)
1) 스트레스 저항도(Stress Resistance)
도시 그룹에서 스트레스 저항도는 96.41 ± 19.87에서 109.23 ± 21.85로 증가하였고(p=0.028), 농어촌 그룹에 서는 91.71 ± 18.22에서 111.08 ± 21.64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13)(Table 3).
Table 3
Group | Pre | Post | z | p | |
---|---|---|---|---|---|
|
|||||
Stress Resistance (score) | Urban (n=17) | 96.41 ± 19.87 | 109.23 ± 21.85 | -2.418a | .028* |
Rural (n=14) | 91.71 ± 18.22 | 111.08 ± 21.64 | -2.890a | .013* | |
|
|||||
Stress Index (score) | Urban (n=17) | 106.24 ± 24.63 | 91.71 ± 24.63 | 2.574 | .020* |
Rural (n=14) | 107.93 ± 19.57 | 89.14 ± 18.10 | 2.869 | .013* | |
|
|||||
Fatigue Levels (score) | Urban (n=17) | 111.63 ± 22.12 | 88.77 ± 23.02 | 3.147 | .006* |
Rural (n=14) | 110.92 ± 5.92 | 95.68 ± 3.93 | 3.536 | .004* |
a. 양의 순위를 기준으로, *p<.05
2) 스트레스 지수(Stress Index)
도시 그룹에서 스트레스 지수는 106.24 ± 24.63에서 91.71 ± 24.63로 감소하였고(p=0.020), 농어촌 그룹에서 는 107.93 ± 19.57에서 89.14 ± 18.10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13)(Table 3).
3) 피로도(Fatigue Levels)
도시 그룹에서 피로도는 111.63 ± 22.12에서 88.77 ± 23.02로 감소하였고(p=0.006), 농어촌 그룹에서는 110.92 ± 5.92에서 95.68 ± 3.93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p=0.004)(Table 3).
4. 리즈 수면 평가(Leeds Sleep Evaluation Questionnaire, LSEQ)
도시 그룹에서는 수면의 질이 543.53 ± 251.12에서 624.12 ± 254.58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049), 농어 촌 그룹에서는 향상되었으나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Table 4).
Table 4
Group | Pre | Post | z | p | |
---|---|---|---|---|---|
|
|||||
Sleep Quality (score) | Urban (n=17) | 543.53 ± 251.12 | 624.12 ± 254.58 | -1.968a | .049* |
Rural (n=14) | 585.71 ± 260.52 | 700.00 ± 242.11 | -1.350a | .177 |
a. 양의 순위를 기준으로, *p<.05
5. 삶의 질 평가(Short Form 36-item Health Survey, SF-36)
두 그룹 모두에서 삶의 질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으며, 특히 농어촌 그룹은 신체적 기능과 정신 건강에서 유의미 한 증가를 보였다(Table 5).
Table 5
Group | Component | Pre | Post | z | p | |
---|---|---|---|---|---|---|
|
||||||
Physical Component Summary (score) | Urban (n=17) | PF | 83.53 ± 17.66 | 87.65 ± 13.93 | -1.113a | .266 |
RP | 79.41 ± 28.28 | 63.24 ± 36.57 | -2.326a | .020* | ||
BP | 81.03 ± 21.27 | 90.15 ± 13.99 | -1.833a | .067 | ||
GH | 65.59 ± 20.68 | 72.06 ± 18.46 | -1.538a | .124 | ||
Rural (n=14) | PF | 80.43 ± 17.55 | 91.43 ± 13.79 | -2.197a | .028* | |
RP | 57.14 ± 40.94 | 87.50 ± 21.37 | -2.582a | .010* | ||
BP | 77.50 ± 15.32 | 93.57 ± 11.51 | -2.764a | .006* | ||
GH | 59.29 ± 18.80 | 75.00 ± 14.28 | -2.423a | .015* | ||
|
||||||
Mental Component Summary (score) | Urban (n=17) | VT | 65.59 ± 19.03 | 74.12 ± 20.63 | -1.741a | .082 |
SF | 82.35 ± 15.97 | 83.82 ± 19.14 | -.465a | .642 | ||
RE | 76.47 ± 40.42 | 70.59 ± 40.62 | -.632a | .005* | ||
MH | 72.71 ± 16.39 | 81.88 ± 14.71 | -2.111a | .035* | ||
Rural (n=14) | VT | 53.57 ± 20.52 | 76.79 ± 14.09 | -2.836a | .005* | |
SF | 78.57 ± 22.70 | 82.14 ± 16.78 | -.184a | .854 | ||
RE | 66.67 ± 45.29 | 92.86 ± 19.30 | -2.232a | .026* | ||
MH | 66.86 ± 16.49 | 81.71 ± 12.81 | -2.597a | .009* |
a. 양의 순위를 기준으로, *p<.05
PF: Physical Functioning, RP: Role Physical, BP: Bodily Pain, GH: General Health
VT: Vitality, SF: Social Functioning, RE: Role Emotional, MH: Mental Health
Ⅳ. 논 의
본 연구는 도시 그룹 17명, 농어촌 그룹 14명의 요통을 경험하고 있는 만 50세 이상 중년 인구 및 노인을 대상으 로 지역 간의 요통과 스트레스 특성을 확인하고, 실내 재 활 운동에 적합한 실내 해양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단 기간의 실내 해양치유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을 때 요통과 스트레스의 지역별 효과 차이를 보고 이를 검증하고자 실 험을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로 단기간 의 실내 해양치유 프로그램이 지역별 요통과 스트레스 완 화 및 수면을 포함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 하고자 한다.
지역 간의 환경적, 사회적 요소로 인한 요통의 차이를 위해, 물리 치료, 운동, 약물 요법, 수술 또는 재활을 사용 하여 요통을 치료하는 주요 목표는 통증 조절, 기능 회복, 기능 결함 발생 예방, 생산성 유지 및 만성화 방지이다 (Pergolizzi Jr & LeQuang, 2020). 또한, 요통을 치료하기 위해 수중 치료 운동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어(Oh et al., 2021), 본 연구에서는 해양치유 프로그램으로서 특성 화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중 운동이 포함된 실내 해양치유 프로그램이 지역별 통증에 대한 단기적 효과를 알아보고 자 하였다. 시각적 통증 척도(VAS)의 변화는 두 그룹 모두 유의한 감소(p<.05)를 보였다. 또한, 요통장애지수(ODI) 의 변화는 도시 그룹은 유의한 감소는 나타나지 않았지 만, 농어촌 그룹은 유의한 감소(p<.05)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도시보다 농어촌 그룹의 실험 전 통증 점수가 높았 으며 통증 감소와 요통장애지수의 폭도 더 큰 것으로 나타 났다.
한 연구에 따르면 허리 통증은 대도시 지역보다 농어촌 지역에서 더 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노동력 부족 으로 인한 시간 제약, 근골격계 질환과 관련된 전문성 개 발 기회 제한, 의사 접근성 제한 등으로 인해 도시 지역보 다 농어촌 지역에서 허리 통증이 더 흔하다는 보고와 일치 하였다(Davidson et al., 2022). 이는 수중 운동이 일반적 인 지상 기반 운동(Land-Based Exercise)보다 허리 통증 개선에 더 큰 효과가 있다는 연구와도 일치하였다(Galvão- Moreira et al., 2021). 이러한 시각적 통증 척도(VAS)와 요통장애지수(ODI)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실내 해양치유 프로그램은 도시와 농어촌 지역에 요통을 개선에 효과가 있었으며, 더 나아가 외부 활동이 많고 육체적 노동으로 인한 요통 발병률이 높은 농어촌 지역에서 요통으로 인한 일상 활동에 불편함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스트레스, 불안, 슬픔과 같은 심리사회적 요인도 요통 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i et al., 2021). 또한, 도시와 농어촌 지역 간의 서로 다른 환경으로 다양 한 스트레스 요인을 가지고 있다. 건강 관광의 중요한 분 야인 해양 치유는 해수를 이용해 이러한 스트레스를 치유 하는 것으로 정신 건강의 개선, 발전 및 보호에 크게 기여 한다(Ezhov, 2020).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수를 활용한 실내 해양치유 프로 그램이 지역별 스트레스 저항도, 스트레스 지수, 피로도 개선에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스트레스 저항도의 변 화는 두 그룹 모두 유의한 증가(p<.05)를 보였다. 스트레 스 지수의 변화는 두 그룹 모두 유의한 감소(p<.05)를 보 였다. 피로도의 변화는 두 그룹 모두 유의한 감소(p<.05) 를 보였다. Table 3과 같이 스트레스 지수는 농어촌 그룹 이 높았으며, 피로도는 도시 그룹이 높았다. 그 이유는 본 연구의 참여한 대상자들의 특성상 도시 그룹은 경제적으 로 안정적이며 은퇴 후 휴식을 취하고 있는 반면, 농어촌 그룹은 비슷한 연령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일을 하고 있 어 경제적 원인으로 스트레스가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해당 결과는 시각적 통증 척도 (VAS)의 점수가 높았던 농어촌 그룹이 스트레스 지수도 높은 것을 보였으며, 이는 요통과 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을 다시 한번 입증한다. 이는 해수를 이용한 해양 치유 프로그램이 피로 완화에 상당한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Chennaoui et al., 2018). 결론적으로 실내 해양치유 프로그램이 도시와 농어 촌 지역의 피로 회복 뿐만 아니라 요통과 관련성 있는 스트 레스 완화에 효과적이었다.
연구에 따르면 요통과 스트레스로 인한 수면의 질과 삶 의 질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Lee et al., 2021). 요통 환자는 통증으로 인해 수면 장애와 우울 증이 악화되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받으며(Chae & Lee, 2024), 스트레스는 수면의 질과 삶의 만족도를 떨 어뜨리는 경향이 있다(Wang & Boros, 2019). 이러한 수 면과 삶의 질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로 인해 수면 의 질과 삶의 질을 향상 시키기 위한 다양한 요법이 존재 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해수를 활용한 운동법이 섬유근 육통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킨다고 보고 하고 있다(Zijlstra et al., 2005).
이에 본 연구에서 해수요법을 활용한 실내 해양치유 프 로그램이 도시와 농어촌 지역에 수면과 삶의 질 개선에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면의 질 변화는 도시 그룹 은 유의한 증가(p<.05)를 보였고, 농어촌 그룹은 유의한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지만(p>.05), 수면의 질의 향상이 나 타났다. 실험 전 도시 그룹이 농어촌 그룹보다 수면의 질 점수가 낮았으며 실험 전, 후 점수의 폭이 큰 것으로 나타 났다. 그러므로 해수요법을 활용한 실내 해양치유 프로그 램이 피로도는 높고 수면의 질은 낮은 도시 지역에 효과적 임을 보여주었다.
이번 연구에서 삶의 질은 신체적 구성요소와 정신적 구 성요소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도시 그룹의 신체적 구성요 소는 유의한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지만(p>.05), 신체적 역 할을 제외한 모든 항목은 증가하였다. 도시 그룹의 신체 적 역할이 증가하지 않은 이유는 프로그램이 일상 생활에 서의 실제 신체적 활동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으 로, 도심 속 실질적인 일상 생활을 반영하여 중장기적으 로 적용될 때 더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농어촌 그룹 은 모든 항목이 유의한 증가(p<.05)를 보였다. 이러한 결 과로 실내 해양치유 프로그램이 신체 기능을 향상시키고 통증을 완화하며,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도시 그룹의 정신적 구성요소는 정서적 역할 항목을 제 외한 모든 항목은 증가하였으며, 정신 건강 항목만 유의 한 증가(p<.05)를 보였다. 도시 그룹에서 정서적 역할이 증가하지 않은 이유는 해양치유 환경에서 적응한 후 도심 으로 복귀 시 발생하는 스트레스와 같은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농어촌 그룹은 사회적 기능을 제외한 남은 항목에서 유의한 증가(p<.05)를 보였다. 실험 전 농어촌 그룹이 도시 그룹에 비해 삶의 질 점수 평균이 낮은 것이 나타났다. 이는 도시 그룹보다 농어촌 그룹이 경제적 원인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받는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두 지역 간의 삶의 질 점수 차이가 크지 않고 대부 분의 항목이 증가하였다. 또한, 실내 해양치유 프로그램 을 통해 정신적 스트레스가 개선됨에 따라 활력이 생기고 정신 건강이 회복되어 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 과를 종합해보면 실내 해양치유 프로그램이 두 지역 간의 삶의 질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단기간 실내 해양치유 프로그램이 도시와 농 어촌 주민의 요통과 스트레스 개선에 효과적임을 보여주 었다. 특히 농어촌 주민은 요통장애지수가 크게 개선되었 으며, 이는 농어촌 지역에서의 높은 육체적 노동이 요통 에 미치는 영향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도시 주민은 스트 레스와 피로 개선이 두드러졌으며, 이는 해양치유 프로그 램이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에도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짧은 연구 기간과 소규모 표본 수를 들 수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프로그램 의 효과를 검토할 필요가 있겠다.
Ⅴ. 결 론
단기간의 실내 해양치유 프로그램은 도시와 농어촌 만 50세 이상의 중-노년 주민에게 요통과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적이었다. 특히 도시에서는 피로 회복, 농어촌에서는 요통과 스트레스 감소에 큰 효과가 있었으며, 이를 통해 지역 맞춤형 해양치유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강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