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필드하키(field hockey)는 전술적 상황이 수시로 변화 하며 매우 빠르게 운영되는 대표적인 필드경기 스포츠이 다. 필드하키 종목의 경우 빠른 공격과 선수 개개인의 기 술, 스피드, 조직력, 정확성 등을 바탕으로 한 효율적인 경기 운영 방법이 전개되고 있다(Bretigny et al., 2008).
필드하키 스틱은 오른손잡이용으로 설계되었으며 규칙 에 따르면 스틱의 한쪽 면만 사용할 수 있다(Brétigny et al., 2008). 따라서 필드하키는 본질적으로 비대칭성을 가 진 종목이다. 전문 운동선수 중 편측을 주로 사용하는 선 수의 신체의 한쪽에 대한 지속적인 과부하와 잘못된 훈련 자세는 결국 체형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Schmidt- Wiethoff et al., 2000). 편측성 운동은 요추에 급격하고, 강한 부하를 지속적으로 주며, 이러한 부하는 염좌 (muscle strain)와 요추 디스크 질환(Disc), 척추 분리증 (spondylolysis), 면관절 병변(facet syndrome)에 걸리기 쉬운 원인이 된다고 하였고, 이는 근골격계의 불균형을 야기하고, 요통을 유발하여 전문 운동선수로서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는 상해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Edward, Howley, & Don Franks, 1999).
Hosea, & Gatt (1996)는 스윙 운동 시 몸통 돌림의 비대 칭적인 패턴은 경기와 훈련을 반복하는 선수의 회전 근력 과 지구력을 불균형적으로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고 하 였다. 운동에 의해 적절한 부하가 근육에 고르게 가해지 면 근육에 전반적인 활동성 비대가 나타나지만 선수의 전 문적인 기술 동작이 편향된 움직임으로 반복되면 한쪽 근 육만 발달되어 좌·우 근육의 불균형이 초래되고(Gossman, Sarhmann, & Ross, 1982), 양쪽 근력의 비대칭은 근육 뼈대 계통의 부상에 큰 원인 될 수 있다(Knapik et al., 1991). 이러한 연구들은 양측 근력의 불균형이 부상과 직 접적으로 연관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무 릎의 굽힘근 또는 고관절 폄근의 불균형이 10% 이상일 때 부상률이 높으며(Rahnama, & Bambaecichi, 2005), 좌우 근력의 불균형은 앞 싶자 인대 부상 및 햄스트링 손상과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Cowley et al., 2006). 또한 동적균형능력 검사는 대상자의 점수를 분석 하여 좌, 우의 불균형의 차이를 계산할 수 있으며, 대상자 의 부상 이력, 성별, 나이 등을 바탕으로 운동이나 훈련 중 부상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Velarde-Sotres et al., 2021).
즉, 편측을 주로 사용하는 선수의 경우 동작의 누적으 로 인해 신체의 적응 및 변형이 나타나게 되고(Schmidt- Wiethoff et al., 2003), 신체의 변형은 관절 위치 감각을 저하시켜 경기 상황에서 필요한 운동수행능력에도 영향 을 미치게 된다(Lima et al., 2018). 엘리트 선수의 근골격 계 부상 및 신체의 불균형은 선수 개인뿐만 아니라 팀 및 조직 수준에서 치명적일 수 있다. 팀과 선수는 성적 저조 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으며, 환경에 따라 사회적, 정 서적, 재정적 영향을 모두 초래하게 된다(Tejani et al., 2019). 전문적인 운동선수에게 있어서 지속적인 움직임과 반복된 과사용이 근·골격계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은 모두 알고 있지만, 선수들은 이러한 동작을 하루에 도 수백 번 이상을 반복한다. 시즌 중 계속되는 경기를 통해 좋은 경기 결과를 얻어야 하는 구조적 환경 때문에 현재의 훈련 방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잦은 스포츠 손상과 만성통증, 상해 재발률을 증가시키는 원인을 만들고 있 다. 편측운동 종목 중 테니스(Schmidt-Wiethoff et al., 2003), 배구(안창식, 김성수, & 이병권, 2006), 탁구(이병 권, 최영호, & 김창국, 2010) 등에 관한 불균형 연구는 있 으나 필드하키에 대한 연구는 희소하고, 현재 필드하키 종목의 특정 동작 요구로 인해 인체의 비대칭이 발생하고 근골격계 부상 위험을 높인다는 해외 연구는 있으나 국내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자 필드하키 선수의 신체정렬상태 와 동적균형능력, 전신 근력을 비선수와 비교·분석하고 불균형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선수들의 경기력 향 상과 상해 예방을 위한 트레이닝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 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 대상자는 정형외과적인 치료를 받고 있지 않으 며, 최근 3개월간 근골격 질환 수술을 진행하지 않고 측정 및 검사를 진행하기에 근골격계 기능 제한이 없는 대한 하키협회에 등록된 여자 필드하키 선수 14명(Player), 선 수 경력이 없는 여자 대학생 14명(Non-Player)으로 하였 다. 대상자들에게 실험과 관련된 내용 및 절차에 대해 충 분히 설명하고 사전 동의를 받은 후 실시하였다. 신체적 특성은 Table 1, Table 2와 같다.
Table 1
Group | Age (years) | Height (cm) | Weight (kg) | BMI (kg/m2) |
---|---|---|---|---|
Player (n=14) | 20.07±0.30 | 162.23±1.09 | 60.75±1.85 | 23.09±0.66 |
Non-player (n=14) | 20.64±0.42 | 162.35±1.30 | 56.45±2.57 | 21.98±0.67 |
P | 0.286 | 0.944 | 0.188 | 0.252 |
Mean±SD
BMI : body mass index
Table 2
Group | Right arm (%) | Left arm (%) | Right leg (%) | Left leg (%) |
---|---|---|---|---|
Player (n=14) | 100.69±2.11 | 101.12±2.46 | 105.05±1.69 | 105.50±1.58 |
Non-player (n=14) | 95.78±2.17 | 93.41±2.08 | 101.65±1.09 | 101.27±1.12 |
Mean±SD
2. 분석항목
1) 신체조성
체성분 분석장비(Inbody 970, Inbody, Seoul, Korea)를 이용하여 대상자들의 신장(cm), 체중(kg), 골격근량(skeletal muscle index, SMI),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를 측정하였다. 대상자들은 가벼운 복장을 착용한 상 태로 측정에 임하였고, 측정 전날 음주, 과도한 신체활동 을 피하도록 하였으며, 금속품을 제거한 후 측정하였다.
2) 신체정렬상태
신체정렬상태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체형검사 장비 (Exbody 770, Exbody, Seoul, Korea)로 대상자들의 자세 를 측정하였다(Kim et al., 2017;Kim, & Park, 2022;Kim, & Kim, 2023). 전면 자세, 측면 자세 순으로 측정하 였고, 측정 절차는 신체 마커 부착, 자세 측정, 자세 평가 분석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신체 마커는 전면에 좌·우측 귓볼, 견봉, 앞위엉덩뼈가시, 슬개골 중앙, 경골조면, 족 관절 중앙의 순으로 부착하였다. 측면에는 턱관절의 바로 뒷부분, 견관절 중앙, 엉덩뼈능선 결절, 큰돌기, 무릎관절 측의 중앙, 복사뼈 앞 부위에 신체 마커를 부착하였다. 자 세 측정 시 전면 측정은 신발을 벗고 충분히 넓고 평평한 바닥에서 편안한 기립자세로 설치된 카메라와 정면을 바 라보며 실시되었고, 측면 측정은 전면 측정 자세에서 대 상자가 좌측으로 90°로 회전 후 우측 주관절을 90° 구부린 상태에서 팔꿈치를 몸에 부착하여 고정하고 팔을 최대로 내측으로 돌려 배꼽 위에 살며시 얹은 자세를 취하며 측정 하였다. 전면 자세 측정은 전신, 어깨, 골반, 무릎의 좌· 우 기울기, 발목 좌·우 기울기를 측정하였고, 측면 자세 측정은 어깨 기울기, 골반 경사, 무릎 굴곡을 측정하였다 (Figure 1). 모든 정적 자세 측정은 각각의 자세를 취한 다음 의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촬영 및 측정하였다.
3) 상지 동적균형능력
상지 동적균형능력 검사(upper quarter Y-balance test, UQ-YBT)는 Y-balance test kit을 이용하여 평가하 였다. 대상자는 YBT 방법을 충분히 교육받은 후, 3번의 연습을 실시한 뒤에 오른팔의 안쪽(Medial, M), 아래가쪽 (Inferiorlateral, IL), 위가쪽(Superiorlateral, SL) 측정 후 왼팔도 모든 방향에 대해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팔 길 이는(half arm span) 어깨를 똑바로 세워 팔꿈치를 완전 히 뻗어, 목뼈(cervical) 7번 가시 돌기와 팔에서 가장 멀 리 있는 가운데 있는 손가락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종합 점수를 구할 때 우측 팔과 좌측 팔 각각 M, IM, SL에 대해 3회 측정한 값 중 최댓값을 사용하였다. 측정값은 3가지 방향의 최댓값을 모두 더하고 대상자들의 팔 길이를 3배 수로 곱한 값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한 종합점수로 분석하 였다(Figure 2).
4) 하지 동적균형능력
하지 동적균형능력 검사(lower quarter Y-balance test, LQ-YBT)는 Y-balance test kit(Y-balance, Functional movement system, Chatham, VA, USA)를 이용하여 평 가하였다. 대상자는 측정 방법을 충분히 교육받은 후, 3번 의 연습을 실시한 뒤에 오른 다리, 왼 다리를 번갈아 가며 앞쪽(anterior, A), 뒤안쪽(posteromedial, PM), 뒤 가쪽 (posterolateral, PL) 순서로 측정하였다. 다리길이는 측 정 전 대상자가 등을 바닥에 대고 누운 상태에서 앞위엉덩 뼈가시부터 발목의 내측 복사뼈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 다. 종합점수(composite score, CS)를 구할 때 오른 다리 와 왼 다리 각각 A, PM, PL에 대해 3회 측정 후 최댓값을 사용하였다. 측정값은 3가지 방향의 최댓값을 모두 더하 고 대상자들의 다리길이를 3배수로 곱한 값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한 종합점수로 분석하였다(Figure 3).
5) 전신 근력 측정
전신 근력 측정을 위하여 스마트 근기능 검사장비 (Miniplus, Ronfic, Busan, Korea)를 사용하였다. 모터 부 하 저항 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관절의 테스트로 기능적 움직임을 등속성, 원심성, 구심성 근력 측정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7개의 근기능 검사로 상지(upper body power test) 4개, 몸통(trunk rotation) 1개, 하지(lower body power test) 2개의 기능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상 자는 평상시 서 있는 자세로 상지는 우측 손 미는 힘(right hand-push, R-PS), 좌측 손 미는 힘(left hand-push, L-PS), 우측 손 당기는 힘(right hand-pull, R-PL), 좌측 손 당기는 힘(left hand-pull, L-PL), 상지 미는 힘(upper body-push, UB-PS), 상지 당기는 힘(upper body-pull, UB-PL)을 측정하였다. 몸통은 우측 몸통 회전하는 힘 (trunk rotation-right, TR-R), 좌측 몸통 회전하는 힘 (trunk rotation-left, TR-L)을 측정하였다. 하지는 미는 힘을 Squat 자세(lower body-push, LB-PS)로, 당기는 힘은 Dead lift 자세(lower body-pull, LB-PL)로 각각 측 정하고 이에 대한 파워 값을 산출하였다. 이때, 측정값은 시작과 마무리 30%를 제외한 중간 평균값을 이용하였다. 파워 값의 측정 단위는 Watt(w)로 표기하였다(Figure 4).
6) 자료분석
본 연구를 위해 측정된 모든 자료의 통계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7.0(SPSS Inc., Chicago, IL, USA)를 사 용하였으며, 모든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집단 간 사전 값의 동등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다. 필드하키 선수의 좌·우측 차이는 대응표본 t-검정 (paired t-test)을 사용하였고, 그룹 간 불균형 비교는 우 측 기록에서 좌측 기록의 차이를 구한 후 독립표본 t-검 정(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사용하여 결과값을 구 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05로 설정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선수 그룹 내 동적균형능력, 전신 근력 불균형 차이
하키선수의 동적균형능력 측정 결과 UQYBT의 M, IL, SL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CS에서 좌측(92.80±1.42%)이 우측(91.10±1.58%)에 비해 유의하 게(p=0.047) 높게 나타났다. LQYBT의 A, PM, PL, CS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3).
Table 3
variables | t | p | |||
---|---|---|---|---|---|
Upper quater Y-balance test (%) | Medial (M) | R | 75.50±8.28 | -0.482 | 0.638 |
L | 76.00±8.65 | ||||
Inferiorlateral (IL) | R | 76.79±8.71 | -1.183 | 0.258 | |
L | 78.43±7.58 | ||||
Superiorlateral (SL) | R | 73.07±13.57 | 0.093 | 0.927 | |
L | 72.93±10.11 | ||||
Composite score (CS) | R | 91.10±5.92 | -2.189 | 0.047* | |
L | 92.80±5.34 | ||||
Lower quater Y-balance test (%) | Anterior (A) | R | 59.43±8.88 | 0.044 | 0.965 |
L | 59.36±9.42 | ||||
Posteromedial (PM) | R | 98.36±5.25 | 0.304 | 0.766 | |
L | 97.86±4.53 | ||||
Posterolateral (PL) | R | 97.07±4.76 | 0.498 | 0.627 | |
L | 96.43±6.58 | ||||
Composite score (CS) | R | 99.95±6.15 | -0.129 | 0.889 | |
L | 100.12±5.87 | ||||
Whole-body muscular strength test (W) | Push (PS) | R | 7.09±0.49 | -0.541 | 0.598 |
L | 7.24±0.57 | ||||
Pull (PL) | R | 9.12±0.62 | -1.049 | 0.313 | |
L | 9.47±0.76 | ||||
Trunk rotation (TR) | R | 9.71±0.69 | -0.395 | 0.669 | |
L | 9.89±0.52 | ||||
Upper body (UB) | PS | 7.95±0.57 | -4.103 | 0.001*** | |
PL | 10.28±0.80 | ||||
Lower body (LB) | PS | 20.68±1.97 | -4.032 | 0.001*** | |
PL | 25.90±2.33 |
Mean±SD
*p<0.05, **p<0.01, ***p<0.001
R : right L : left PS : push PL : pull
하키선수의 전신 근력 측정 결과 PS, PL, TR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UB-PL(10.28±0.80w) 이 UB-PS(7.95±0.57w)에 비해 유의하게(p=0.001) 높게 나타났다. LB-PL(25.90±2.33w)이 LB-PS(20.68±1.97w) 에 비해 유의하게(p=0.001) 높게 나타났다(Table 3).
2. 그룹 간 정적신체정렬, 동적균형능력, 전신 근력 불균형 비교
하키선수와 비선수의 정적신체정렬 측정 결과 전면에 서 본 Full-body, Shoulder, Pelvic, Ankle에서 선수 그룹 의 신체부정렬이 더 크게 나타났지만 모든 항목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4).
Table 4
Variable | Group | R - L | t | p | ||
---|---|---|---|---|---|---|
Exbody (mm) | Front | Full-body tilt | Player | 8.14±6.64 | 0.040 | 0.582 |
Non-player | 6.93±4.69 | |||||
Shoulder tilt | Player | 6.64±5.96 | 0.918 | 0.775 | ||
Non-player | 5.93±7.06 | |||||
Pelvic | Player | 5.64±2.79 | 0.491 | 0.767 | ||
Non-player | 5.29±3.53 | |||||
knee | Player | 3.21±2.66 | 0.287 | 0.843 | ||
Non-player | 3.43±2.98 | |||||
Ankle | Player | 2.21±2.66 | 0.431 | 0.930 | ||
Non-player | 2.14±2.38 | |||||
Side | Shoulder | Player | 65.50±18.44 | 0.266 | 0.013* | |
Non-player | 47.86±16.45 | |||||
Pelvic | Player | 57.14±18.63 | 0.503 | 0.044* | ||
Non-player | 42.93±16.90 | |||||
knee | Player | 10.00±8.32 | 0.620 | 0.742 | ||
Non-player | 11.21±10.81 |
Mean±SD
*p<0.05, **p<0.01, ***p<0.001
측면에서 본 Shoulder 기울기는 선수(65.50±18.44mm) 가 비선수(47.86±16.45mm)에 비해 유의하게(p=0.013) 높게 나타났다. Pelvic 기울기는 선수(57.14±18.63mm) 가 비선수(42.93±16.90mm)에 비해 유의하게(p=0.044) 높게 나타났다. Knee 기울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Table 4).
하키선수와 비선수의 UQYBT 측정 결과 M, IL, SL, CS 에서 두 그룹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able 5).
Table 5
Variable | Group | R - L | t | p | |
---|---|---|---|---|---|
Upper quater Y-balance test (%) | Medial (M) | Player | 2.78±2.57 | -0.369 | 0.715 |
Non-player | 3.14±2.53 | ||||
Inferiorlateral (IL) | Player | 4.50±2.84 | -0.401 | 0.692 | |
Non-player | 5.00±3.70 | ||||
Superiorlateral (SL) | Player | 4.71±3.36 | 1.648 | 0.111 | |
Non-player | 2.92±2.26 | ||||
Composite score (CS) | Player | 2.40±2.02 | 0.114 | 0.298 | |
Non-player | 3.62±3.86 | ||||
Lower quater Y-balance test (%) | Anterior (A) | Player | 4.14±4.20 | 1.632 | 0.115 |
Non-player | 2.14±1.83 | ||||
Posteromedial (PM) | Player | 4.92±3.40 | 1.316 | 0.200 | |
Non-player | 3.00±4.29 | ||||
Posterolateral (PL) | Player | 4.57±2.68 | 0.462 | 0.045* | |
Non-player | 2.64±2.13 | ||||
Composite score (CS) | Player | 3.89±2.51 | 0.188 | 0.056 | |
Non-player | 2.19±1.94 | ||||
Whole-body muscular strength test (W) | Push (PS) | Player | 0.79±0.37 | -0.749 | 0.464 |
Non-player | 0.99±0.91 | ||||
Pull (PL) | Player | 1.02±0.76 | 2.669 | 0.016* | |
Non-player | 0.43±0.30 | ||||
Trunk rotation (TR) | Player | 1.37±0.93 | 2.299 | 0.030* | |
Non-player | 0.69±0.60 | ||||
Upper body (UB) | Player | 2.57±1.75 | 1.643 | 0.112 | |
Non-player | 1.61±1.30 | ||||
Lower body (LB) | Player | 6.06±4.20 | 1.233 | 0.229 | |
Non-player | 4.15±3.99 |
Mean±SD
*p<0.05, **p<0.01, ***p<0.001
하키선수와 비선수의 LQYBT 측정 결과 A, PM, CS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PL에서 선 수 그룹(4.57±2.68%)이 비선수 그룹(2.64±2.13%)에 비 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Table 5).
하키선수와 비선수의 전신 근력 측정 결과 PS, UB, LB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PL에서 선수 그룹(1.02±0.76w)이 비선수 그룹(0.43±0.30w)에 비해 유의하게(p=0.016) 높게 나타났다. TR에서 선수 그 룹(1.37±0.93w)이 비선수 그룹(0.69±0.60w)에 비해 유 의하게(p=0.030) 높게 나타났다(Table 5).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필드하키의 종목 특성적 움직임이 선수 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필드하키 선수와 비운 동선수를 대상으로 동적균형능력 및 전신 근력을 측정하 여 우측과 좌측, 전면과 후면의 불균형 및 신체 정렬 상태 와 동적균형능력, 전신 근력의 그룹 간 불균형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각 집단별로 사전 값의 동등성을 확보 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 을 실시한 결과 그룹 간 차이는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치 지 않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필드하키 선수 그룹의 불균형 차이를 분석하였을 때 UQYBT의 CS, 전신 근력 측정 중 UB와 LB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그룹 간 불균형 차이를 비교하였 을 때 Exbody 검사의 Side에서 보았을 때 Shoulder와 Pelvic, LQYBT의 PL, 전신 근력의 PL, TR에서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났다.
동적균형능력 검사는 하지의 비대칭성이나 기능적 불 균형을 관찰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운동선수의 불균 형과 관련된 부상 평가 및 향후 부상을 입을 가능성 확인 하는데 활용되고 있다(Ljungqvist et al., 2009;Velarde- Sotres et al., 2021).여성의 경우에는 양발에서 4cm 이상 의 앞쪽 도달거리 차이가 발생하거나 종합 점수 94% 미만 은 하체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6배 이상 더 높다고 보고하 였다(Plisky et al., 2006). 필드하키는 달리고, 점프하고, 방향을 바꾸며 상대 선수와 부딪히는 여러 가지 운동적 상황이 벌어지는 불안정한 경기 현장이다. 이때, 선수가 넘어지지 않으려고 하는 행동과 같이 자신이 스스로 움직 이며 동적인 자세를 조절할 수 있는 체력적 요소는 균형능 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errin et al., 1998).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균형능력을 알아보고자 상 지와 하지의 동적균형능력을 측정하였다.
선수 그룹의 불균형 차이를 분석했을 때 UQYBT의 CS 에서 우측에 비해 좌측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UQYBT는 상지 기능 평가에서 높은 신뢰도를 받는검사 중 하나이며, 닫힌 사슬 운동(closed kinetic chain)의 수 행능력을 평가하고 상지의 동적 안정성을 측정할 수 있다 (Gorman et al., 2012). 균형을 잃지 않고 가능한 멀리 팔 을 뻗어 도달해야 하므로 M, IL, SL 방향으로 팔을 뻗는 중에 지지하는 팔에 어깨뼈의 안정성 및 이동성, 흉부 회 전 및 코어 안정성이 필요하다(Gorman et al., 2012). 필 드하키에서 스틱을 들고 드리블이나 기술적 동작을 수행 할 때 왼쪽을 축으로 스윙이 발생한다. 이러한 패턴은 왼 손을 출발선에 두고 오른손을 뻗어 3방향에 도달하는 UQYBT와 비슷하다. 또한 왼쪽을 축으로 스윙이 발생하 게 되면 오른팔의 가동성이 왼팔에 비해 커지고, 신체 부 위별 근육량을 측정한 결과 왼팔의 근육량이 높게 나왔으 므로, 왼팔을 지지했을 때 이동성과 안정성이 높게 나온 것으로 판단된다.
그룹 간 불균형 비교을 비교했을 때 LQYBT의 PL에서 선수 그룹이 비선수 그룹에 비해 불균형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필드하키는 오랜 시간 동안 필드를 뛰면서 신 속하게 방향 전환을 하며 드리블하는 점에서 축구와 유사 한 부분이 많다(김형준, & 이효철, 2022;박주나, & 황철 상, 2008;주창화, 2023). 김유신(2006)의 인스텝(instep) 슈팅 시 근전도 연구에서 슈팅 발은 내측 장딴지근 (medial gastrocnemius)이 활성화되고, 디딤 발에서는 앞 정강근(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동적균형능력 검사의 PL 동작 시 앞정강근(tibialis anterior), 가쪽넓은 근(vastus lateralis)등이 사용된다. 두 동작시 사용되는 근육이 유사한 점이 많기 때문에 PL에서 선수 그룹의 뷸 균형이 비선수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근력 불균형(strength imbalance)은 신체를 좌·우 또 는 상·하로 구분할 때 동일한 근육 간에 비정상적인 대칭 (bilateral asymmetry)이나 주동근(agonist)과 길항근 (antagonist)의 근력 비율의 차이가 큰 것을 의미하며, 근 력 불균형은 배드민턴, 야구 및 테니스 등과 같은 편측 (unilateral) 운동 경기에서 빈번히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Croisier, 2004). 선수 그룹의 불균형 차이를 분석했 을 때 UB-PS에 비해 UB-PL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LB-PS에 비해 LB-PL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필드 하키는 상체를 약간 전방 굴곡시킨 자세를 기본으로 하게 되며 이 자세는 허리에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가하는데, 허리 주변 근육이 튼튼할 경우 척추에 주어지는 물리적 부하를 감소시키고 자세 유지를 위한 에너지 효율을 높인 다는 보고가 있다(Sucato et al., 2012). 따라서 상체를 숙 인 채 스윙하는 움직임으로 인한 허리에 지속적인 스트레 스를 이겨내기 위해 상대적으로 상체의 후면 근육(back muscle) 발달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권형태, & 김대호 (2024)의 축구, 핸드볼, 필드하키 선수들의 체력 특성을 비교한 연구에서 필드하키 선수들의 몸통 신근 파워가 유 의하게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LB-PS는 스쿼트(squat) 동작으로 넙다리네갈 래근(quadriceps)이 주로 사용되고, LB-PL은 데드리프 트(deadlift) 동작으로 뒤넙다리근(hamstring)이 주로 사 용된다. 필드하키는 장시간 동안 필드를 뛰어야 하고, 경 기 중 급격한 방향 전환과 진행, 정지 상황이 많이 전개된 다. 또한 발목 및 무릎관절을 자주 사용하여 신전과 굴곡 을 반복하며 경기를 수행한다(Rahnama, & Bambaecichi, 2005). 문제헌(2016)의 연구에서 분석한 대퇴 신전근인 넙다리곧은근(rectus femoris), 안쪽넓은근(vastus medialis), 가쪽넓은근(vastus lateralis)과 굴곡근인 넙다리두갈래근 (biceps femoris), 반힘줄근(semitendinosus)의 동시수축 비율 분석 결과에 의하면 방향전환 동작의 경우 질주 속도 가 증가할수록 신전근의 비율이 증가하고 굴곡근의 비율 이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데드리프트 동작 시 몸의 뒤쪽 근육인 등, 허리, 엉덩관절폄근(coxa extensor), 뒤 넙다리근 등 후방 사슬(posterior chain) 근육이 함께 작용 함으로(Andersen et al., 2018;Bezerra et al., 2013;Galpin et al., 2015) 상체와 하체의 굴곡과 신전을 반복하 는 하키의 동작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그룹 간 불균형 비교을 비교했을 때 PL, TR에서 선수 그룹이 비선수 그룹에 비해 뷸균형이 유의하게 크게 나타 났다. 하키의 스윙 동작에서 우측 팔은 밀어내기 동작을 주로 수행하고 좌측 팔은 당기는 동작을 주로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체를 숙인 채 스윙하는 움직임으로 인한 허 리에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이겨내기 위해 상대적으로 당 기는 동작을 주로 수행하는 좌측의 후면 근육(back muscle) 이 더 발달된 것으로 생각된다. Twomey (1988)는 오른손 타격 기술로 인해 일부 필드하키 선수의 오른쪽에 비대칭 적인 기립근이 발달 되었다고 보고했다. 또한 반복되는 스윙 동작이 몸통의 비틀림을 유발하여 회전 근력의 불균 형을 발생시켜(Hosea & Gatt, 1996) 선수의 근력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고 생각된다.
편측운동 중 야구선수의 경우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연 습과 훈련으로 인한 척추 변위의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그로 인해 나타나는 자세의 불균형 및 심화된 요통으로 인한 선수의 의욕 상실과 경기력 저하의 결과가 나타난다 고 보고하였다(박동호, 최덕묵, & 이신언, 2001). 본 연구 도 반복적이고 편중된 움직임이 신체 정렬 상태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살펴보았다. 어깨 기울기는 0mm가 가장 이상적인 수치이며, 기준에서 멀어질수록 부정적인 원인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룹 간 불균형을 비교했을 때 선수가 비선수에 비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 다. 이러한 이유는 종목의 특성상 하키 스틱을 양손으로 잡은 채로 앞으로 숙이게 되면 어깨가 앞으로 말리게 되 고, 그립을 잡은 상태가 오른손이 왼손보다 아래에 위치 하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오른쪽으로 몸이 더 기울게 되는 데, 이러한 자세로 많은 훈련과 경기에 참여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김효중 등(2003)은 프로 골프선수와 일 반인의 근골격계 평형성을 조사한 결과 선수 집단에서 어 깨 각도 차이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음을 보고하여 본 연구와 유사하다.
골반 경사각은 0mm가 가장 이상적인 수치이며, 이보다 멀어질수록 부정적인 원인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룹 간 불균형 비교을 비교했을 때 골반 경사각은 선수 그룹이 비선수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필드 하키는 달리고 드리블할 때 반쯤 웅크린 자세를 유지하여 공을 치는 것과 같은 필드하키의 내제된 움직임은 지속적 인 고관절 굴곡으로 인해 길항근(둔근)과 작용근(고관절굴 곡근) 사이의 비대칭적인 힘의 결합을 초래하여 골반의 전방 기울기를 유발한다(Ellapen et al., 2011, 2014). Coetzee(2020)의 연구에서도 필드하키 선수의 고관절 굴 곡근 비대칭이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이상의 결과로 필드하키 선수들에게 놓인 훈련 환경은 대부분의 선수들에게 어깨와 골반의 부정렬을 초래하고 후면 근력의 비대칭적인 발달과 상지 균형능력의 불균형 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편측성 운동 종목의 특징을 볼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되며, 향후 필드하키 움직임을 기반으로 하여 경기력 향상과 부상 예 방이 가능한 트레이닝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사례수가 적어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고 필드하키 포지션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았 다. 향후 필드하키 현장에서 원활한 적용을 위해 포지션 별 특성에 맞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필드하키 선수와 비선수를 대상으로 신체 정 렬과 동적균형능력, 전신 근력을 검사함으로써 필드하키 종목 특성적 움직임으로 인한 불균형을 알아보았다. 필드 하키선수 집단은 UQYBT에서 좌측이 우측에 비해 CS가 높게 나타났고, 필드하키 선수가 비선수에 비해 LQYBT 에서 PL, Exbody검사 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어깨 기울기 와 골반 경사각에서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남으로써 다른 편측운동과 마찬가지로 필드하키의 움직임 패턴이 신체 의 부정렬을 발생시키고 일반인에 비해 불균형이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측과 좌측의 균형능력 차이와 신체 부정렬은 부상을 발생시킬 위험이 높다. 따라서 추후 연 구에서 필드하키 선수들에게 경기력 향상과 스포츠 상해 예방을 위해 필드하키 특성을 고려한 트레이닝 프로그램 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