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20 No.1 pp.79-89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24.20.1.08

A Comparative Study on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to Functional Movement Screen Score of College Students

Jun-Hyeok Jeon1, Ha-Rin Ryu1, Dae-Young Kim1,2*
1Department of Digital Anti-aging Healthcare, Inje University, Researcher
2Department of Sports Healthcare, College of Social Sciences, Inje University, Professor
* 교신저자: 김대영 E-mail: cdps21@inje.ac.kr
May 30, 2024 June 28, 2024 June 29, 2024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safe and effective way t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by analyzing the dynamic balance ability and whole body muscle func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al movement score (FMS) and by confirming the effect on the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of college students.


Methods:

We assessed 27 male college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he High FMS group and Low FMS group based on a total score of 14. The dynamic balance ability of both arms and feet was measured with the Y-balance test kit, and each hand-push, hand-pull, upper body-push, upper body-push, trunk rotation, lower body-push, and lower body-pull were measured with the smart muscle testing device.


Results:

The Lower Quarter Y-balance test and whole body muscle function measurements showed that the High FM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ow FMS group (p<.05) in all items. The Upper Quarter Y-balance test measurements of the High FM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Low FMS group in the right medial (p=0.016), right composite (p=0.004), and left composite (p=0.02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High FMS group's Lower Quarter dynamic balance ability, Upper Quarter dynamic balance ability, and whole body muscle function were superior to those of the Low FMS group, confirming that the FMS score is related to the general public's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Therefore, it seems that it can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safe and effective training for the general public's continuous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대학생의 기능적 움직임 평가(FMS) 점수에 따른 운동수행능력 비교연구

전준혁1, 류하린1, 김대영1,2*
1인제대학교 디지털항노화헬스케어학과, 연구원
2인제대학교 스포츠헬스케어학과, 교수

초록


    Ⅰ. 서 론

    현대사회에서 스포츠가 갖는 의미와 역할이 날로 중요 해지면서 오늘날의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 속에서도 자신 의 건강한 삶과 행복을 위해 스포츠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현대인들의 근무시간 단축은 건강을 추구하는 사회 적 분위기를 촉진하였으며, 여가 기회가 많아짐에 따라 현대인의 여가 형태가 다양해지고 있다(Snape et al., 2017). 그중 대학생은 가장 활발하고 자발적으로 여가 활 동에 참여할 수 있는 계층이다(Kim, & Won, 2005). 대학 생은 다양한 종류의 여가 활동에 참여하는데 그 중 스포츠 활동의 참여율이 가장 높고 선호하는 여가 활동이다(최제 종, & 오경록, 2014;Kim, & Kim, 2001).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심혈관 요인부터 심리적 요인까지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이 제공된다(Warburton, Nicol, & Bredin, 2006). 그러나 이러한 건강상 이점을 얻기 위한 과정에서 여러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위험은 스포츠 참여 중 부상이다. 부상은 스포츠 활동을 하는 일 반인, 운동선수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흔한 문제이다. 근 육의 손상에서부터 골절에 이르기까지 부상은 다양하게 나타나며, 부상의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영구적인 장애로 남을 수 있다(Hootman, Dick, & Agel, 2007). 스포츠 참 여 중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유연성, 균형능력, 움직 임 패턴과 체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 하다(Abernethy, & Bleakley, 2007).

    이러한 신체적 특성과 사전 측정이 가능한 검사로 기능적 움직임 검사(Functional Movement Screen, FMS)가 있다. FMS는 7개의 기본적인 움직임 패턴으로 균형성과 안정성 을 요구하는 미국 물리치료사회에서 의학적 근거를 토대로 개발한 기능적 움직임 검사이다(Cook et al., 2014;Cook, Burton, & Torine, 2010). FMS는 신체 발달에 따른 고유수 용성 감각 및 운동 감각의 원리를 기초로 하며(Cook, Burton, & Hoogenboom, 2006), deep squat(DS), hurdle step(HS), inline lunge(IL), shoulder mobility(SM), active straight leg raise(ASLR), trunk stability push up(TSPU), rotary stability(RS) 총 7가지 동작으로 구성되어 측정할 수 있다. 점수는 동작마다 0점에서 3점이 부여되며, 14점을 기준으로 14점 아래는 기능적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파악한 다(Cook et al., 2014;Kiesel, Plisky, & Butler, 2011). FMS 측정 항목 중 DS, HS, IL 동작은 운동선수의 파워, 민첩성과 같은 경기력 요인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으며 (Brown, 2011;Lockie et al., 2015;Noda, & Verscheure, 2009), SM 동작은 상지의 움직임을 통해 코어의 안정성 지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Cook et al., 2014). ASLR 동작은 신체의 가동성을 담당하는 코어의 안정화와 엉덩관 절의 운동능력을 향상시키고, RS 동작은 상지 및 하지의 움직임을 강화하여 코어의 안정화를 평가할 수 있다(Kim, So, & Kim, 2016). FMS 검사는 스포츠 선수의 운동 수행에 따른 손상 가능성의 정도를 예측하고 사전 중재 트레이닝을 위한 목적으로 주로 활용되고 있다(Kiesel, Plisky, & Butler, 2011).

    운동수행능력은 여러 연구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되 고 있다(손희정, 강성우, & 김대호, 2020;오석종, & 한정 규, 2023). 그중에서 Y-balance test(YBT 약어로 이후 표기 함)는 대상자의 우측, 좌측 다리에 대해 앞쪽(anterior, A), 뒤 안쪽(posteromedial, PM), 뒤 가쪽(posterolateral, PL) 과 우측, 좌측 팔에 대해 안쪽(medial, M), 아래 가쪽 (inferolateral, IFL), 위 가쪽(superolateral, SPL)의 방향 에서 각각의 최대 도달 범위를 분석하여 동적균형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Lee, Ko, & An, 2019). 그리고 대상자의 YBT 점수를 통해 신체의 불균형을 계산할 수 있으며, 대상 자의 부상 위험도를 예측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Lehr et al., 2013). 전신근력 측정 장비 중 스마트 근기능 검사장비(Miniplus, Ronfic)는 모터부하 저항방식을 이용 하여 대상자의 상지, 하지, 몸통 등의 기능적 움직임을 등속 성(isokinetic)으로 측정할 수 있다. 대상자의 동작에 대한 파워와 스피드를 분석하여, 대상자의 근력을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 장비이다(현광석 등, 2022).

    최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FMS와 관련하여 긍정적인 연구 결과가 나타나고 있지만(Dorrel, 2015), 일반인에 대 한 FMS와 운동수행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 이다. 특히 생활체육이나 스포츠 활동에 참여율이 가장 높고 상대적 스포츠 손상의 위험이 많은 20대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기 적으로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FMS 점수가 동적균형능력, 전신근력과 같은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FMS 점수에 따른 운동수행능력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여 일반인의 효과적인 스포츠 활동 참여 및 스포츠 활동 중 부상 예방을 위한 과학적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 대상자는 근·골격계 질환이 없으며 주 2회 이 상 정기적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남자 대학생 27 명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FMS를 시행하고, 기능적 문제의 점수 14점(Cook et al., 2014;Kiesel, Plisky, & Butler, 2011)을 기준으로 High FMS(FMS>14점, n=14) 그 룹과 Low FMS(FMS<14점, n=13)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대상자들에게 실험과 관련된 내용 및 절차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사전 동의를 받은 후 실시하였다. 신체적 특성 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N=27)

    Group Age(years) Height(cm) Weight(kg) BMI(kg/m2) FMS score
    High FMS (n=14) 20.07±1.38 178.16±4.02 74.47±5.84 23.48±2.03 16.57±1.55
    Low FMS (n=13) 19.85±1.40 176.26±6.83 71.00±5.82 22.92±2.53 12.31±0.94
    P 0.679 0.384 0.134 0.529 0.001*

    Mean±SD

    BMI : body mass index

    FMS : functional movement screen

    *p<0.05

    2. 분석항목

    1) 체성분 측정

    체성분 분석장비(Inbody 970, Inbody, Seoul, Korea) 를 이용하여 대상자들의 신장(cm), 체중(kg),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를 측정하였다. 대상자들은 측정 전날 음주, 과도한 신체활동을 피하도록 하였고, 측정 4시 간 전 금식 후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게 한 후 측정하였다.

    2) 기능적 움직임 검사

    기능적 움직임을 평가하기 위해 FMS Kit(Functional Movement Screen Test Kit, Functional movement system, Chatham, VA, USA)를 이용하여 총 7가지 동작 (deep squat, hurdle step, inline lunge, shoulder mobility, active straight leg raise, trunk stability push up, rotary stability)을 검사하였다. 측정은 전문가 2인이 하였으며, 측정자의 점수가 상이할 경우 기능성 움직임 검사의 기본지 침에 따라 검토 및 논의하여 낮은 점수를 부과하여 최종 평가하였다(손희정, 강성우, & 김대호, 2020;오석종, & 한정규, 2023). 동작을 완벽하게 수행했을 경우는 3점, 동 작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은 있지만 보상작용이 발생하였을 경우 2점, 동작을 수행할 수 없을 경우 1점, 동작 수행 시 통증이 있으면 0점을 부여하였다(Cook, Burton, & Torine, 2010).

    3) 하지 동적균형능력 검사

    하지 동적균형능력 검사(Lower Quarter Y-balance test, LQ-YBT)는 Y-balance test kit(Y-balance, Functional movement system, Chatham, VA, USA)를 이용하여 평가 하였다(신뢰도 α=0.955). 다리길이는 측정 전 대상자가 등을 바닥에 대고 누운 상태에서 위앞엉덩뼈가시(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ASIS)부터 발목의 내측 복사뼈 (medial malleolus)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이후 앞쪽 (antrior, A), 뒤 안쪽(posteromedial, PM), 뒤 가쪽 (posterolateral, PL)에 대해 3회 측정 후 최대 측정 거리를 분석하였다(Figure 1). 측정값은 3가지 방향의 최대값을 모두 더하고 대상자들의 다리길이를 3배수로 곱한 값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한 종합점수(composite score, CS)로 분석 하였다(Lee, Ko, & An, 2019).

    Figure 1

    Dynamic stability test of lower body using Y-Balance Test

    (A) : anterior reach

    (B) : posteromedial reach

    (C) : posterolateral reach

    AOSPT-20-1-79_F1.gif

    4) 상지 동적균형능력 검사

    상지 동적균형능력 검사(Upper Quarter Y-balance test, UQ-YBT)는 Y-balance test kit을 이용하여 평가하 였다(신뢰도 α=0.841). 팔길이는 측정 전 대상자가 어깨 를 똑바로 세우고 팔꿈치를 완전히 뻗은 상태에서 목뼈 (cervical) 7번 가시돌기부터 가장 멀리 있는 손가락 (longest finger) 끝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이후 안 쪽(medial, M), 아래 가쪽(inferolateral, IFL), 위 가 쪽(superolateral, SPL)에 대해 3회 측정 후 최대 측정 거 리를 분석하였다(Figure 2). 측정값은 3가지 방향의 최대 값을 모두 더하고 대상자들의 팔길이를 3배수로 곱한 값 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한 종합점수로 분석하였다(Lee, Ko, & An, 2019).

    Figure 2

    Dynamic stability test of upper body using Y-Balance Test

    (A) : medial reach

    (B) : inferolateral reach

    (C) : superolateral reach

    AOSPT-20-1-79_F2.gif

    5) 전신근력 측정

    전신근력 측정을 위하여 스마트 근기능 검사장비 (Miniplus, Ronfic, Busan, Korea)를 사용하였다(신뢰도 α=0.877). 모터부하 저항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관절의 테스트로 기능적 움직임을 등속성, 원심성, 구심성 근력 측정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7개의 근기능 검사로 상 지(upper body power test) 4개, 몸통(trunk rotation) 1개, 하지(lower body power test) 2개의 기능적 검사를 시행하 였다. 대상자는 평상시 서 있는 자세로 상지는 우측 손 미는 힘(right hand-push, R-PS), 좌측 손 미는 힘(left hand-push, L-PS), 우측 손 당기는 힘(right hand-pull, R-PL), 좌측 손 당기는 힘(left hand-pull, L-PL), 상지 미는 힘(upper body-push, UB-PS), 상지 당기는 힘 (upper body-pull, UB-PL)을 측정하였다. 몸통은 우측 몸통 회전하는 힘(trunk rotation-right, TR-R), 좌측 몸 통 회전하는 힘(trunk rotation-left, TR-L)을 측정하였 다. 하지는 하지 미는 힘을 squat 자세(lower body-push, LB-PS)로, 하지 당기는 힘은 dead lift 자세(lower body-pull, LB-PL)로 각각 측정하고 이에 대한 파워 값을 산출하였다(Figure 3). 이때, 측정값은 시작과 마무리 30% 를 제외한 중간 평균값을 이용하였다. 파워값의 측정단위 는 Watt(w)로 표기하였다.

    Figure 3

    Whole-body muscular strength test using miniplus

    (A) : miniplus      (B) : each hand push  (C) : each hand pull    (D) : trunk rotation

    (E) : upper body push     (F) : upper body pull  (G) : lower body push   (H) : lower body pull

    AOSPT-20-1-79_F3.gif

    6)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는 IBM SPSS Statistics 27.0(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모든 자료의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출하였고, 집단 간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High FMS 그룹과 Low FMS 그룹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 해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t-test)을 사용하였으며, FMS와 다른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 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의 유의 수준은 α=0.05로 설정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하지 동적균형능력 검사 결과

    하지 동적균형능력 검사 결과 High FMS 그룹이 Low FMS 그룹에 비해 R-A(17%), R-PM(9%), R-PL(10%), L-A(13%), L-PM(8%), L-PL(9%), LR-CS(12%), LL-CS(10%) 에서 차이가 났으며, 모든 항목에서 High FMS 그룹이 Low FMS 그룹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Table 2).

    Table 2

    Comparison of the lower body dynamic balance test

    variables Group Mean±SD t p
    right leg (%) anterior (R-A) High FMS 72.57±7.82 3.825 0.001*
    Low FMS 60.23±8.93
    posteromedial (R-PM) High FMS 111.64±6.60 3.599 0.001*
    Low FMS 100.69±9.09
    posterolateral (R-PL) High FMS 112.71±5.92 4.309 0.001*
    Low FMS 100.85±8.27
    left leg (%) anterior (L-A) High FMS 69.07±7.84 3.548 0.002*
    Low FMS 59.69±5.60
    posteromedial (L-PM) High FMS 110.43±4.71 4.601 0.001*
    Low FMS 100.54±6.38
    posterolateral (L-PL) High FMS 113.14±5.98 4.507 0.001*
    Low FMS 102.85±5.87
    composite (%) right (LR-CS) High FMS 108.85±7.11 4.790 0.001*
    Low FMS 95.47±7.39
    left (LL-CS) High FMS 107.63±6.74 5.169 0.001*
    Low FMS 96.01±4.65

    Mean±SD *p<0.05

    2. 상지 동적균형능력 검사 결과

    상지 동적균형능력 검사 결과 High FMS 그룹이 Low FMS 그룹에 비해 R-M(5%), AR-CS(6%), AL-CS(5%)에 서 차이가 났으며, High FMS 그룹이 Low FMS 그룹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Table 3).

    Table 3

    Comparison of the upper body dynamic balance test

    variables Group Mean±SD t p
    right arm (%) medial (R-M) High FMS 96.79±4.91 2.583 0.016*
    Low FMS 91.54±5.63
    inferolateral (R-IFL) High FMS 94.71±9.54 2.191 0.38
    Low FMS 87.00±8.67
    superolateral (R-SPL) High FMS 74.64±7.64 1.401 0.174
    Low FMS 70.31±8.44
    left arm (%) medial (L-M) High FMS 95.07±5.96 1.767 0.090
    Low FMS 91.38±4.75
    inferolateral (L-IFL) High FMS 96.93±11.37 1.607 0.123
    Low FMS 91.23±6.57
    superolateral (L-SPL) High FMS 73.43±8.38 1.481 0.151
    Low FMS 69.15±6.38
    composite (%) right (AR-CS) High FMS 98.44±5.80 3.216 0.004*
    Low FMS 92.00±4.46
    left (AL-CS) High FMS 98.33±6.86 2.513 0.021*
    Low FMS 93.10±3.51

    Mean±SD *p<0.05

    3. 전신근력 측정 결과

    전신근력 측정 결과 High FMS 그룹이 Low FMS 그룹에 비해 R-PS(26%), L-PS(30%), R-PL(24%), L-PL(28%), TR-R(21%), TR-L(20%), UB-PS(24%), UB-PL(21%), LB-PS(26%), LB-PL(33%)에서 차이가 났으며, 모든 항 목에서 High FMS 그룹이 Low FMS 그룹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Table 4).

    Table 4

    Comparison of whole-body muscular strength test

    variables Group Mean±SD t p
    push(w) right (R-PS) High FMS 11.48±2.37 3.773 0.001*
    Low FMS 8.43±1.75
    left (L-PS) High FMS 12.39±2.50 4.529 0.001*
    Low FMS 8.61±1.73
    pull(w) right (R-PL) High FMS 13.86±2.17 3.249 0.003*
    Low FMS 10.53±3.10
    left (L-PL) High FMS 14.93±2.19 4.200 0.001*
    Low FMS 10.69±3.01
    trunk rotation(w) right (TR-R) High FMS 12.49±1.55 3.875 0.001*
    Low FMS 9.77±2.07
    left (TR-L) High FMS 12.77±1.57 3.916 0.001*
    Low FMS 10.19±1.84
    upper body(w) push (UB-PS) High FMS 9.73±1.40 3.802 0.001*
    Low FMS 7.36±1.80
    pull (UB-PL) High FMS 11.24±1.76 3.018 0.006*
    Low FMS 8.87±2.29
    lower body(w) push (LB-PS) High FMS 40.67±6.60 4.683 0.001*
    Low FMS 29.81±5.31
    pull (LB-PL) High FMS 42.70±7.83 5.445 0.001*
    Low FMS 28.47±5.43

    Mean±SD *p<0.05

    W : Watt

    4.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LR-CS(r=0.717, p<0.01), LL-CS (r=0.732, p<0.01), LB-PS(r=0.652, p<0.01), LB-PL (r=0.677, p<0.01)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Figure 4).

    Figure 4

    Correlation between FMS score and dynamic balance ability and whole body muscle function

    AOSPT-20-1-79_F4.gif

    Ⅳ. 고 찰

    본 연구는 기능적 움직임이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기 위해 정기적 스포츠 참여 대학생을 대상으 로 FMS 점수에 따른 동적균형능력과 전신근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균형능력은 유연성, 근력과 함께 스포츠 활동에 따른 움직임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요소이며, 체 조, 배구, 농구 등 많은 운동 기술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Malina, Bouchard, & Bar-Or, 2004;Marsh et al., 2004;Micheo, Baerga, & Miranda, 2012). 또한, 하지의 균형능력은 스포츠 활동 중 자주 나타나는 스프린트와 수 직 점프 능력에 직결되며, 운동수행능력과 큰 상관관계를 가진다(Aagaard et al., 2002;Booysen, Gradidge, & Watson, 2015). 이는 향상된 균형능력은 일반인의 운동 수행 중 경기력에 향상에 있어서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YBT는 동적균형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로 써 여러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하지의 관절과 근육의 가 동성, 안정성을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FMS 측정 항목들의 움직임 패턴과 많은 상관관계를 가진다(Cook, Burton, & Hoogenboom, 2006). 본 연구에서는 하지 동 적균형능력 검사 결과 Low FMS 그룹에 비해 High FMS 그룹이 모든 항목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 동 적균형능력 검사 중 발을 앞쪽, 뒤 안쪽, 뒤 가쪽으로 미는 형태의 움직임은 발목, 무릎의 주변의 근육의 가동성과 코어 근육의 안정성을 필요로 한다. FMS의 DS, IL, ASLR 동작 또한 넙다리네갈래근(quadriceps), 가자미근(soleus), 장딴지근(gastrocnemius), 넓적다리뒤근육(hamstring) 의 가동성을 요구하며, RS 동작은 코어의 안정성을 필요 로 한다(Cook et al., 2014;Kim, So, & Kim, 2016). Bagherian et al.(2019)의 연구에서 8주간의 코어 운동을 통해 하지 동적균형능력과 FMS 점수가 공통적으로 향상 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렇게 동작 수행 시 요구되는 코 어의 안정성과 하지에서 동원되는 근육의 관련도가 높기 때문에 하지 동적균형능력에서 전체적으로 High FMS 그 룹이 유의하게 높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또 한, FMS 점수와 하지 동적균형능력 검사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FMS 점수의 LR-CS에 대한 설명력은 71.7%, LL-CS는 73.2%로 나타났다. 이는 기능적 움직임이 하지 동적균형능력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으로, FMS 점수가 하지 동적균형능력의 참고값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지 동적균형능력 검사 결과 Low FMS 그룹에 비해 High FMS 그룹이 R-M(p=0.016), AR-CS(p=0.004), AL-CS(p=0.021)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상지 동적 균형능력 검사는 상지 기능 평가에서 높은 신뢰도를 받는 검사 중 하나이며, 닫힌 사슬 운동(closed kinetic chain)의 수행능력을 평가하고 상지의 동적 안정성을 측정할 수 있 다(Gorman et al., 2012). 안쪽, 아래 가쪽, 위 가쪽 방향으 로 움직이는 동안 지지하는 팔은 가동성 및 안정성이 요구 되며, 코어는 신체 중심을 유지할 안정성이 필요하다. FMS의 TSPU 동작 시에 상체의 근력만의 사용하는 것이 아닌 코어 안정성이 같이 사용되어야 하며, SM 동작 시에 양쪽 어깨가 폄(extension), 안쪽돌림(internal rotation), 모음(adduction), 굽힘(flexion), 가쪽돌림(external rotation), 벌림(abduction)의 움직임을 가지며 어깨의 가동성이 크 게 작용해야 하고, RS 동작 중 상·하지의 결합된 움직임 에서 중심을 유지하기 위해 코어의 안정성으로 중심을 유 지해야 한다(이승윤, 권정현, & 이호성, 2018). 이렇게 검 사를 수행할 때 두 검사의 동작에서 움직임의 패턴에서 유사한 부분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검사 결과 각각 의 방향에 따른 유의 값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High FMS 그룹의 좌·우 종합점수(CS)에서 유의하게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FMS 동작을 더 잘 수행하는 High FMS 그룹이 Low FMS 그룹에 비해 상지 가동성과 안정성이 뛰어나 스포츠 활동 참여에 있어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동작 수행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전신근력 측정 결과 Low FMS 그룹에 비해 High FMS 그룹이 모든 항목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높은 근 력 발현을 위해서는 신체의 움직임에 대한 원활한 가동성 이 필요하다(Pincivero et al., 2006). 또한 신체 움직임의 가동성이 떨어지면 정상적인 근력 발현이 어렵고, 운동 수행 중 부상의 위험도가 증가한다(Holt & Lambourne, 2008;Hough, Ross, & Howatson, 2009;Robbins & Scheuermann, 2008). FMS 측정 항목 중 DS, IL, ASLR, SM은 신체의 가동성을 요구하는데(Cook et al., 2014;Kim, So, & Kim, 2016), 전신근력 측정 중 실시하는 상지 와 하지를 밀고 당기(push and pull)는 동작에 있어서 힘 발현의 최적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TSPU와 RS 는 상·하지의 협응력, 코어의 안정화가 높게 필요되는 측 정 항목이다(Cook et al., 2014). 전신근력 측정 검사 시, 하지를 지면에 고정하고 상지의 힘을 발현하는 과정 중 상·하지에서 일어나는 협응성이 같은 움직임 패턴으로 작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선행연구에서도 유소년 축구 선수를 대상으로 8주간 DS, IL, ASLR, RS를 실시한 후, 근지구력과 코어의 근력 향상을 보고하였다(Seo, & Lee, 2018). 이러한 결과는 효율적인 기능적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는 사람이 근력의 발현에 있어서 우위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FMS 점수와 전신근력 상관관계 분석 결과 FMS 점수의 LB-PS에 대한 설명력은 65.2%, LB-PL는 67.7%로 나타났다. 이는 기능적 움직임이 하지근력과 높 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며, 앞으로 FMS 점수에 하 지근력 값이 참고로 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생 각된다.

    이와 같이 정기적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생 을 대상으로 FMS 점수에 따른 운동수행능력을 비교 분석 한 결과 Low FMS 그룹에 비해 High FMS 그룹이 하지, 상지 동적균형능력과 전신근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그중에서 FMS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 는 하지의 squat, dead lift 동작과 같은 움직임이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근력 발현에 있어서 우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 수행 시 균형능력과 근력 발현의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되며, 향후 일반인 들의 지속적인 스포츠 활동 참여에 있어 안전하고 효과적 인 트레이닝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 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연구대상자를 20대 남 학생으로 제한하여 표본 크기와 표집이 제한적이다. 다양 한 성별과 연령층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 째, 대상자 수가 적어 데이터의 일반화에는 어려움이 있 다. 추가 연구를 통해 보다 명확한 근거의 확보가 필요하 다. 셋째, 운동수행 능력의 변인 중 근력과 균형 외 다른 요인을 측정하지 못하였다. 넷째, 상관분석을 통해 결과 를 도출하였는데, 측정 변인간 인과관계에 대한 결론이 명확하지 않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욱 명확한 결론을 위 해 회귀분석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정기적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FMS 점수에 따른 High FMS 그룹과 Low FMS 그룹으로 나누어 동적균형능력과 전신근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High FMS 그룹의 하지 동적균형능 력, 상지 동적균형능력과 전신근력이 Low FMS 그룹보다 우세하다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FMS 점수가 일반인의 운동수행능력과 관계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좋은 움직임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균형능력과 근 력이 뛰어나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운동수행능력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일반인의 효과적인 스포츠 활동 참여 및 스포츠 활동 중 부상 예방을 위한 과학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AOSPT-20-1-79_F1.gif

    Dynamic stability test of lower body using Y-Balance Test

    (A) : anterior reach

    (B) : posteromedial reach

    (C) : posterolateral reach

    AOSPT-20-1-79_F2.gif

    Dynamic stability test of upper body using Y-Balance Test

    (A) : medial reach

    (B) : inferolateral reach

    (C) : superolateral reach

    AOSPT-20-1-79_F3.gif

    Whole-body muscular strength test using miniplus

    (A) : miniplus      (B) : each hand push  (C) : each hand pull    (D) : trunk rotation

    (E) : upper body push     (F) : upper body pull  (G) : lower body push   (H) : lower body pull

    AOSPT-20-1-79_F4.gif

    Correlation between FMS score and dynamic balance ability and whole body muscle function

    Tabl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N=27)

    Mean±SD
    BMI : body mass index
    FMS : functional movement screen
    <sup>*</sup><i>p</i><0.05

    Comparison of the lower body dynamic balance test

    Mean±SD <sup>*</sup><i>p</i><0.05

    Comparison of the upper body dynamic balance test

    Mean±SD <sup>*</sup><i>p</i><0.05

    Comparison of whole-body muscular strength test

    Mean±SD <sup>*</sup><i>p</i><0.05
    W : Watt

    Reference

    1. 손희정, 강성우, & 김대호 (2020). 엘리트 청소년 축구선수 들의 기능적 움직임 평가 점수에 따른 운동수행능력의 차이. 한국체육학회지, 59(5), 389-400.
    2. 오석종, & 한정규 (2023). 프로 여자 배구선수의 기능적 움직임 평가 (Functional Movement Screen) 점수에 따른 운동수행능력의 차이.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11(3), 35-44.
    3. 이승윤, 권정현, & 이호성 (2018). 운동경력의 차이가 필드 하키선수의 등뼈 관절 운동성, 어깨 기울기 및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7(3), 993-1002.
    4. 최제종, & 오경록 (2014). 여가스포츠 참여대학생의 자기효 능감이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3(2), 465-480.
    5. 현광석, 박정민, 정훈, & 김현준 (2022). Strength Training Coordination 이 대학 테니스선수의 스트로크 파워와 스피트 및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31(2), 803-813.
    6. Aagaard, P. , Simonsen, E. B. , Andersen, J. L. , Magnusson, P. , & Dyhre-Poulsen, P. (2002). Increased rate of force development and neural drive of human skeletal muscle following resistance training.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93(4), 1318-1326.
    7. Abernethy, L. , & Bleakley, C. (2007). Strategies to prevent injury in adolescent sport: a systematic review.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41(10), 627-638.
    8. Bagherian, S. , Ghasempoor, K. , Rahnama, N. , & Wikstrom, E. A. (2019). The effect of core stability training on functional movement patterns in college athletes. Journal of Sport Rehabilitation, 28(5), 444-449.
    9. Booysen, M. J. , Gradidge, P. J. L. , & Watson, E. (2015). The relationships of eccentric strength and power with dynamic balance in male footballers. Journal of Sports Sciences, 33(20), 2157-2165.
    10. Brown, M. (2011). The ability of the functional movement screen in predicting injury rates in division I female athletes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Toledo, USA).
    11. Cook, G. , Burton, L. , & Hoogenboom, B. (2006). Pre-participation screening: The use of fundamental movements as an assessment of function– part 1. North American Journal of Sports Physical Therapy: NAJSPT, 1(2), 62.
    12. Cook, G. , Burton, L. , & Torine, J. (2010). Movement: Functional movement systems: Screening, assessment and corrective strategies. Santa Cruz, CA: On Target Publication.
    13. Cook, G. , Burton, L. , Hoogenboom, B. J. , & Voight, M. (2014). Functional movement screening: The use of fundamental movements as an assessment of function‐part 1.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Physical Therapy, 9(3), 396.
    14. Cook, G. , Burton, L. , Hoogenboom, B. J. , & Voight, M. (2014). Functional movement screening: The use of fundamental movements as an assessment of function‐part 2.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Physical Therapy, 9(4), 549.
    15. Dorrel, B. S. (2015). Evaluation of the functional movement screen as an injury prediction tool (Doctoral dissertation, Rocky Mountain University of Health Professions, USA).
    16. Gorman, P. P. , Butler, R. J. , Plisky, P. J. , & Kiesel, K. B. (2012). Upper Quarter Y Balance Test: Reliability and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genders in active adults.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26(11), 3043-3048.
    17. Holt, B. W. , & Lambourne, K. (2008). The impact of different warm-up protocols on vertical jump performance in male collegiate athletes.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22(1), 226-229.
    18. Hootman, J. M. , Dick, R. , & Agel, J. (2007). Epidemiology of collegiate injuries for 15 sports: summary and recommendations for injury prevention initiatives.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42(2), 311.
    19. Hough, P. A. , Ross, E. Z. , & Howatson, G. (2009). Effects of dynamic and static stretching on vertical jump performance and electromyographic activity.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23(2), 507-512.
    20. Kiesel, K. , Plisky, P. , & Butler, R. (2011). Functional movement test scores improve following a standardized off‐season intervention program in professional football players. Scandinavian Journal of Medicine & Science in Sports, 21(2), 287-292.
    21. Kim, D. J. , & Kim, J. Y. (2001). The preferences of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y and socio- 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Physical Rduaction, 40(1), 787-796.
    22. Kim, H. S. , & Won, Y. M. (2005). The consciousness investigation of leisure activities in university students. Korea Youth Research, 12, 457-472.
    23. Kim, S. H. , So, W. Y. , & Kim, J. Y. (2016). Effect of 8-week core stabilization training on skill-related physical fitness and functional movement screen (FMS) test scores in college soccer players.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5(1), 1473-1483.
    24. Lee, H. S. , Ko, S. S. , & An, K. O. (2019).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dynamic stability change through measuring lower extremity muscle fatigue. Asian J Kinesiol, 21(3), 9-14.
    25. Lehr, M. E. , Plisky, P. J. , Butler, R. J. , Fink, M. L. , Kiesel, K. B. , & Underwood, F. B. (2013). Field-expedient screening and injury risk algorithm categories as predictors of noncontact lower extremity injury. Scandinavian Journal of Medicine & Science in Sports, 23(4), e225-e232.
    26. Lockie, R. G. , Schultz, A. B. , Jordan, C. A. , Callaghan, S. J. , Jeffriess, M. D. , & Luczo, T. M. (2015). Can selected functional movement screen assessments be used to identify movement deficiencies that could affect multidirectional speed and jump performance?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29(1), 195-205.
    27. Malina, R. M. , Bouchard, C. , & Bar-Or, O. (2004). Growth, maturation, and physical activity. Human Kinetics.
    28. Marsh, D. W. , Richard, L. A. , Williams, A. L. , & Lynch, K. J.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balance and pitching error in college baseball pitchers.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18(3), 441-446.
    29. Micheo, W. , Baerga, L. , & Miranda, G. (2012). Basic principles regarding strength, flexibility, and stability exercises. Pm&r, 4(11), 805-811.
    30. Noda, T. , & Verscheure, S. (2009). Individual goniometric measurements correlated with observations of the deep overhead squat. Athletic Training & Sports Health Care, 1(3), 114-119.
    31. Pincivero, D. M. , Gandhi, V. , Timmons, M. K. , & Coelho, A. J. (2006). Quadriceps femoris electromyogram during concentric, isometric and eccentric phases of fatiguing dynamic knee extensions. Journal of Biomechanics, 39(2), 246-254.
    32. Robbins, J. W. , & Scheuermann, B. W. (2008). Varying amounts of acute static stretching and its effect on vertical jump performance.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22(3), 781-786.
    33. Seo, S. W. , & Lee, H. S. (2018). Effects of complex physical training on exercise and football performances in youth football players.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9(1), 49-62.
    34. Snape, R. , Haworth, J. , McHugh, S. , & Carson, J. (2017). Leisure in a post-work society. World Leisure Journal, 59(3), 184-194.
    35. Warburton, D. E. , Nicol, C. W. , & Bredin, S. S. (2006). Health benefits of physical activity: The evidence. Cmaj, 174(6), 801-809.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