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20 No.1 pp.41-53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24.20.1.05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the Sports Science Measurements of Baseball Players: A Delphi Study on Physical, Biomechanical, and Lifestyle Factors

HeeJu Yu1, Dae-Sung Park2*, Cheong Hoon Kim3*
1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Collage of Health Science and Social Welfare, Sahmyook University, Researcher
2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Professor
3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Collage of Health Science and Social Welfare, Sahmyook University, Professor

*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 공동교신저자: 박대성, 김정훈 E-mail: daeric@konyang.ac.kr, ckim@syu.ac.kr
June 5, 2024 June 24, 2024 June 26, 2024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evaluation criteria for sports science measurement of baseball players.


Methods:

A two-round Delphi study was conducted with a panel of experts to select appropriate evaluation items. In the first round, experts were asked to prioritize important items and key indicators related to the physical, biomechanical, and lifestyle habits of baseball players. The second round confirm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sults of the first survey.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validity of 12 key items and core indicators related to physical and biomechanical factors.


Conclusion: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indicators for player training and injury prevention.



야구 선수의 스포츠 과학 측정을 위한 평가 기준 개발 : 신체적, 생체역학적, 생활습관 요인에 대한 델파이 연구

유희주1, 박대성2*, 김정훈3*
1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일반대학원, 연구원
2건양대학교 물리치료학과, 교수
3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일반대학원, 교수

초록


    Ⅰ. 서 론

    야구는 전 세계적으로 각광받는 스포츠이며, 우리나라 프로 스포츠 중에서도 가장 오랜 역사와 높은 인기를 자랑 하는 종목이다 (오승욱 등, 2023;Khaitovich, 2023). 프 로야구 선수를 꿈꾸는 청소년 야구 선수들은 일찍이 초등 부, 중등부, 고등부의 아마추어 야구리그에 소속되어, 매년 각 연령대별로 나누어진 지역 리그와 전국 대회 등 다수의 경기에 참여하며 실력을 겨루고 있다 (Korea Baseball Softball Association, 2024). 2024년 5월 기준,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우리나라 학생 야구선수는 8,103명 에 이르며 초등학생 1,473명, 중학생 3,295명, 고등학생 3,335명이 야구선수로 활동하고 있다 (스포츠지원포털, 2024).

    청소년기는 성인기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발달 단계로, 급격한 신체적 성장 뿐 만 아니라 인지적, 정서적, 사회 적, 심리적 성장이 함께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김승재, 2010). 이는 선수 생활 전반에 걸쳐 신체 및 기능적 성장 에 매우 중요한 시기로 여겨지지만, 신체적 미성숙과 발 달이 급속히 진행 중인 만큼 성인과는 다른 형태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어 더욱 세심한 관리와 주의가 필요하다 (송 홍선 등, 2019;오태영 등, 2018). 따라서, 청소년기 선수 들에게는 해당 연령대에 적합한 기술, 전략, 체력 등 다양 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과학적인 지도가 이루어 져야 하며 (안나영 & 김기진, 2015), 이를 위한 체계적인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전통적으로 야구 선수들의 성과는 타율, 홈런, 타점 등 의 통계적 지표에 의존하여 평가되거나 각 요소를 독립적 또는 단편적으로 접근하는 경향이 있었다 (양도업 등, 2015;오승욱 & 한진욱, 2023). 이러한 전통적 지표는 선 수 개개인의 역량을 완전히 반영하지 못하며, 현대 야구 에서 요구되는 개인의 세부 요소들을 놓칠 수 있다는 한계 를 지닌다 (김창권 & 진서훈, 2014). 특히, 야구 선수의 신체적 특성은 근력, 파워, 스피드 등과 관련이 있으며 이 는 선수의 경기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조정희 등, 2006;Song et al., 2019). 이러한 이유로 신체적 특성 은 선수의 종합적인 역량을 평가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간주된다.

    또한, 생체역학적 요소는 스윙과 투구 기술 등과 관련 이 있어 경기력 향상과 부상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Fortenbaugh et al., 2009). 생체역학적 분석을 통해 선 수들은 자신의 기술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 며, 이는 경기력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더불어 생활습 관 요소 역시 선수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올바른 생활습관과 운동의 생활화가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성 창수 & 김지석, 2019;윤찬수 & 김현식, 2013;이명희, 김재은 & 김정훈, 2022;임병규 & 배성기, 2007). 선수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는 경기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 로,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유지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선수의 성과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 는 전통적 지표에만 의존하기보다는 신체적 특성, 생체역 학적 요소, 생활습관 등 다양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 려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현대 야구에서는 다양한 첨단 기술과 통계 기법들이 도 입하여 선수의 성과를 보다 체계적으로 평가하려는 시도 가 이루어지고 있다 (김필수 & 이상현, 2024;Harley & Gupta, 2024). 이 기술들을 통해 타격과 투구와 같은 핵 심적인 기술들을 분석하여 운동 수행 능력을 보다 세밀하 게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Mizels et al., 2022). 예를 들 어, 고속 카메라와 모션 캡처 시스템을 사용하여 타격 시 스윙 궤적, 투구 시 팔의 각도 및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선수 개개인의 기술을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Hulburt et al., 2021). 이러한 방법으로 측정된 결과는 선수의 경기력을 향상시키고 부상을 예방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지만 (Nicholls et al., 2003), 지나치 게 많은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선수의 주의력을 분산시키 거나 운동 학습에 방해가 되기도 한다 (유생열, 2023;Otte et al., 2020).

    현재의 평가 기준은 종종 특정 기술적 요소에 과도하게 집중하여 선수의 전체적인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속 적인 스포츠 과학 연구와 현장 경험의 축적이 필요하며 선수와 코치, 전문가들 간의 긴밀한 협력이 중요시된다 (신지영 등, 2022).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조사를 통해 프 로 야구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야구 선수의 신체 적, 생체역학적, 생활습관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스 포츠 과학 측정 방법의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야구 선수의 성과를 보 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Ⅱ. 연구방법

    1. 델파이 조사 항목 선정

    본 연구는 델파이 조사를 위한 설문 항목 개발을 위해, 청소년 야구 선수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2024 KBO Next-Level Training Camp'에서 수집한 신체적, 생체역 학적, 생활 습관에 대한 스포츠 과학 측정 자료를 활용하 였다 (KBO Next-Level Training Camp, 2024). 신체적 요인 평가에서 근력, 파워 (상체 파워, 하체 파워), 스피 드, 코어 능력, 가동 범위를 포함하였고, 생체역학적 요인 평가는 화면 분석, 볼 트래킹, 배트 센서, 지면 반력, 3D 생체역학 데이터 항목을 포함하였다. 또한, 생활 습관 요 인 평가는 건강 생활 습관 선별검사 (Healthy Lifestyle Screening Tool, HLST) 도구에 있는 9개의 요인 (햇빛, 물, 공기, 휴식, 운동, 영양, 절제, 신뢰, 전반적인 신체 상태)을 포함하였다 (Kim & Kang, 2019). 최종적으로 1차 델파이 조사를 위해 선정된 세부 내용은 <Table 1>에 제시 되어 있다.

    Table 1

    1차 델파이 조사를 위해 선정된 요인, 항목, 세부항목

    요인 항목 세부 항목 장비
    신체적 요인 근력 악력 (kg) Jamar Hand Dynamometer
    파워 상체 체스트 패스 2kg의 메디신 볼
    하체 수직 점프 (cm) Smart Jump
    스피드 30 m 달리기 (sec) Stopwatch
    코어 능력 싯업 앤 스로우 2kg의 메디신 볼
    가동 범위 목, 어깨, 손목, 흉추, 코어, 엉덩관절, 발목 OnBaseU screen
    생체역학적 요인 화면 분석 야구 동작 평가 결과 화면 OnBaseU screen, Blackfly® S camera, SwingCatalyst
    볼 트래킹 데이터
    1. 출구 속도 (exit velocity)

    2. 방향 (direction)

    3. 스핀 방향 (spin direction)

    4. 발사 각도 (launch angle)

    5. 스핀량 (spin rate)

    6. 3D 공 비행 (3D ball flight)

    Rapsodo
    볼 트래킹 데이터
    1. 배트 속도 (bat speed)

    2. 최고 손 속도 (peak hand speed)

    3. 어택 앵글 (attack angle)

    4. 수직 배트 각도 (vertical bat angle)

    5. 평면 점수 (plane score)

    6. 평면 효율성 (on plane efficiency)

    7. 회전 점수 (rotation score)

    8. 회전 가속도 (rotational acceleration)

    9. 연결 점수 (connection score)

    10. 초기 연결 (early connection)

    11. 충돌 시 연결 (connection at impact)

    12. 임팩트 시간 (time to contact)

    13. 파워 (power)

    14. 공 비행 (ball flight): 출구 속도 (exit velocity), 발사 각도 (launch angle), 예상 거리 (estimated distance)

    Blast Motion
    지면 반력 데이터
    1. 총 압력 분포 (total pressure distribution between feet)

    2. 압력 중심 (center of pressure, COP)

    3. COP 속도 (COP velocity)

    4. 수직 힘 (vertical force)

    5. 상세한 발바닥 압력 분포 (detailed footprint pressure distribution)

    6. COP 패턴 (COP pattern)

    7. 각 발의 COP (COP per foot)

    8. 동영상 동기화 (video synchronization)

    9. 압력 분포 (pressure distribution)

    SwingCatalyst
    3D 생체역학 데이터
    1. 최고 속도 순서 (peak speed sequence)

    2. 최고 속도 (peak speeds)

    3. 타격까지의 시간 (time to contact)

    4. 회전 (rotation)

    5. 허리 굽힘 자세 (bend posture)

    6. 옆으로 굽힘 자세 (side-bend posture)

    K-VEST
    생활습관 요인 생활습관 (HLST)
    1. 햇볕 (sunlight)

    2. 수분 (water)

    3. 공기 (air)

    4. 수면 (rest)

    5. 운동 (exercise)

    6. 영양 (nutrition)

    7. 절제 (temperance)

    8. 신뢰 (trust)

    9. 건강상태 (general physical condition)

    Healthy Lifestyle Screening Tool

    신체적 요인 평가에서 근력은 악력계 (Jamar Hand Dynamometer, JLW Instruments, Chicago, USA)로 측 정된 값을 의미한다. 파워는 핵심 지표에서 상체 파워와 하체 파워로 분류하였으며, 상체 파워는 2kg의 메디신 볼 을 사용하여 체스트 패스 (chest pass)를 평가한 것을 의 미하고, 하체 파워는 스마트 점프 장비 (Smart Jump, Samcon Bv, ET Hauwert, Nederland)를 사용하여 측정 한 수직 점프 (vertical jump)를 의미한다. 스피드는 30m 달리기로 측정한 것을 의미하고, 코어 능력은 2kg의 메디 신 볼을 사용하여 싯업 앤 스로우 (sit-up and throw)를 평가한 것을 의미한다. 가동 범위는 목, 어깨, 손목, 흉 추, 코어, 엉덩관절, 발목을 OnBaseU screen (OnBaseU University©)으로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생체역학적 요인 평가에서 화면분석은 고속카메라 (Blackfly® S camera, FLIR, USA)와 스윙카탈리스트 (SwingCatalyst)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OnBaseU screen으로 분석된 야구동작 평가 화면을 의미한다. 볼 트 래킹은 타자의 비거리 측정을 위해 랩소도 장비 (Rapsodo Pte Ltd, Ayer Rajah Crescent, Singapore)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이고, 배트센서는 블라스트모션 장비 (Blast Motion Inc, California, USA)를 사용하여 배트스피드 (bat speed), 핸드 스피드 (hand speed), 어택 앵글 (attack angle), 수직 배트 앵글 (vertical bat angle)을 측정한 값 을 의미한다. 지면 반력은 스윙카탈리스트로 측정한 값을 의미하며, 3D 생체역학 데이터는 3D 모션 캡쳐 시스템인 케이베스트 (K-VEST, K-Motion Interactive, Milford, New zealand)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생활습관 요인은 건강 생활 습관 선별검사 도구로 측정 한 값을 의미하며, 4점 Likert 척도를 기준으로 9개 요인 (햇빛, 물, 공기, 휴식, 운동, 영양, 절제, 신뢰, 전반적인 신체 상태) 을 평가하는 36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총 140점 만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한 생활방식을 갖고 있는 것이다.

    2. 델파이 조사 절차

    델파이 조사를 위해 필요한 패널의 수는 다양할 수 있 으며, 패널의 성격에 따라 이질적인 경우 다수, 동질적인 경우 소수로 구성될 수 있다 (Skulmoski et al., 2007). 선행 연구에서는 델파이 조사를 위한 패널의 수를 최소 10~15명으로 구성할 것을 권장하였다 (Lilja et al., 2011).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스포츠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15명의 동질적인 패널을 모집하였다. 이들은 프로야구 관 련 학계, 연구기관, 구단, 언론 및 회사에서 활동하고 있 는 전문가들로 구분되었다. 델파이 조사를 위한 패널 선 정과정은 프로 야구 스포츠 분야에서 전문성을 가진 후보 자를 선별하여, 연구자들 간의 사전 논의를 통해 야구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보유하고, 야구 특성에 대한 이해도 가 높은 전문가들을 초청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1차 설문에서는 15명의 패널 모두 응답을 완료하였으며, 2차 설문에서는 주어진 기한 내에 응답하지 않은 3명이 제외 되어 12명의 응답이 기록되었다. 2차 델파이 조사까지 완 료한 12명의 전문가 특성은 <Table 2>과 같다.

    Table 2

    전문가 패널의 일반적 특성 (N=12)

    전문가 패널 특성 인원 (명)
    구분 학계 2
    연구기관 2
    구단 4
    언론 및 회사 4
    학위 학사 7
    석사 3
    박사 2
    스포츠 분야 종사 경력 1~4년 이내 1
    5~9년 이내 1
    10~19년 이내 4
    20년 이상 6

    1차 델파이 조사는 2024년 5월 20일부터 2024년 5월 24일까지, 2차 델파이 조사는 2024년 5월 26일부터 2024 년 5월 29일까지 총 2라운드에 걸쳐 진행하였다. 설문 과 정에서 연구자 간 상호 작용 가능성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1차와 2차 설문 모두 구글을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로 실시하였다. 먼저, 전문가 패널에게 문자 메 시지를 통해 연구의 목적과 진행 절차, 참여 동의서, 연구 질문이 포함된 설문 링크를 배부하였고, 패널이 응답한 내용은 구글 설문지를 통해 엑셀로 수집하였으며,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2024 KBO Next-Level Training Camp'에서 수집한 신체적, 생체역학적, 생활 습관에 대한 스포츠 과학 측정 자료를 기반으로, 최종 선정된 항목들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항목과 핵심 지표를 묻는 폐쇄형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 예시 문항 은 <Table 3>과 같다. 개발된 설문지는 연구책임자의 주 도로 스포츠 분야 실무자 3명의 검토를 받은 후, 15명의 전문가 패널에게 문자를 통해 구글 설문 링크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패널로부터 다양한 의견을 수집한 뒤, 응답 내용을 요인별 (신체적 요인: 중요 항목 (Q1a), 핵심 지표 (Q2a); 생체역학적 요인: 중요한 기술적 항목 (Q3a), 볼 트래킹 데이터 핵심 지표 (Q4a), 배트센서 데이 터 핵심 지표 (Q5a), 지면 반력 데이터 핵심 지표 (Q6a), 3D 생체역학 데이터 핵심 지표 (Q7a); 생활습관 요인: 중 요 항목 (Q8a), 우선순위별로 분류하였다. 1차 델파이 조 사 내용 및 우선순위 별 주요 응답 내용은 <Table 4>와 같다.

    Table 3

    1차 델파이 조사 예시 문항

    Q1a 문항

    야구 선수의 신체적 요인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선택해 주세요.
    1. 근력

    2. 파워

    3. 코어능력

    4. 스피드

    5. 가동범위


    Q2a 문항

    야구 선수의 신체적 요인을 평가하는 데 가장 중요한 핵심 지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 근력 (악력)

    2. 상체 파워 (체스트 패스)

    3. 하체 파워 (수직 점프)

    4. 코어 능력 (싯업 앤 스로우)

    5. 스피드 (30 m 달리기)

    6. 가동 범위 (목)

    7. 가동 범위 (어깨)

    8. 가동 범위 (손목)

    9. 가동 범위 (흉추)

    10. 가동 범위 (코어)

    11. 가동 범위 (엉덩 관절)

    12. 가동 범위 (발목)

    Table 4

    1차 델파이 조사 내용 및 우선순위 별 주요 응답 결과 (N=15)

    AOSPT-20-1-41_T4.gif

    2차 델파이 조사는 1차 델파이 조사에서 도출된 각각의 응답 (Q1a ~ Q8a)을 토대로 각 항목에 대한 적절성을 평정 할 수 있도록 5단계 (1: 매우 낮음 ~ 5: 매우 높음) 리커트 척도로 설문을 작성하였다 (Q1b ~ Q8b). 2차 델파이 조사 예시 문항은 <Table 5>와 같다. 2차 설문도 1차 델파이 조사에서 참여한 15명의 전문가 패널에게 문자를 통해 구 글 설문 링크를 전달한 후 참여를 독려하였다. 주어진 기 한 내에 설문을 완료하지 않은 3명을 제외하고 패널 12명 의 응답 내용을 토대로 2차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결과에 따라 야구선수의 스포츠의 과학 측정 평가 기준을 확정하 였다.

    Table 5

    2차 델파이 조사 예시 문항

    Q1a 에 대한 적절성을 묻는 Q1b 문항

    "야구 선수의 신체적 요인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선택해 주세요." 에 대한 1차 설문 결과입니다. 개별 문항 최종분류에 대한 본인이 생각하는 적절성은?
    AOSPT-20-1-41_T5-F1.gif
    1. 매우 낮음

    2. 낮음

    3. 보통

    4. 높음

    5. 매우 높음

    본 연구의 연구책임자 및 공동연구원은 생명 윤리 교육 을 이수하였으며, 연구수행, 논문작성 과정에서 연구 윤 리를 준수하여 진행하였다.

    3. 자료처리 방법

    각 델파이 조사 과정에서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전문가 회의를 통해 요인을 범주화 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데이터 입력 후 SPSS ver. 29.0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처리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전문가들의 특성 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1) 델파이 조사 결과의 변이계수 (coefficient of variation, CV)

    델파이 조사에서 반복적인 설문 과정을 통해 패널의 응 답 차이가 줄어들어 응답의 일치도가 높아지는 것은 안정 된 상태로 간주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안정도 (stability)를 평가하기 위해 변이계수를 사용하였다. 변이 계수는 양수인 자료에 대해 표본 표준편차를 표본 평균으 로 나누어 계산하며, 이 값이 0에서 0.5 사이일 경우 높은 동의 수준을 나타내어 추가 라운드가 필요하지 않다. 변 이계수가 0.5를 초과하고 0.8 이하일 경우 동의 수준이 충분하지 않음을 나타내며, 0.8 이상인 경우 동의 수준이 낮아 추가 라운드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노승용, 2006). 본 연구에서는 변이계수를 사용하여 2차 델파이 설문에 대한 모든 응답의 일치성을 평가하였다.

    2) 내용 타당도 비율 (content validity ratio, CVR)

    본 연구에서는 1차 델파이 조사 결과에 대한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2차 델파이 결과를 토대로 내용 타당도 비 율은 검사 문항이 실제로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얼마나 잘 반영하는지를 나타내며, 이는 전문가 그룹의 동의에 의해 결정된다. 내용 타당도 비율은 -1.0에서 1.0 사이의 범위를 가지며, 값이 클수록 내용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한다. 모든 전문가가 특정 평가 항목에 대해 긍정적 으로 답할 경우 내용 타당도 비율의 값은 1이 된다 (Noh et al., 2013) (Figure 1). 전문가 패널의 수가 12명 이상 30명 미만일 경우, 내용 타당도 비율의 최소값은 0.56으 로, 이 값을 초과하면 유의확률 0.05 수준에서 내용 타당 도가 확보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Lawshe, 1975). 따라 서, 본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 패널이 12명이므로 내용 타 당도 비율 값이 0.56 이상이어야 내용 타당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전문가 수에 따른 내용 타당도 비율의 최소값 을 제시한 <Table 6>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내용 타당도 비율 값이 0.56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평가 항목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Figure 1

    내용 타당도 비율 (content validity ratio, CVR)

    AOSPT-20-1-41_F1.gif
    Table 6

    델파이 패널의 수에 따른 내용 타당도 비율의 최소값 기준

    패널의 수 10 11 12 13 14 15 20 25 30
    CVR 최소값 0.62 0.59 0.56 0.54 0.51 0.49 0.42 0.37 0.33

    Ⅲ. 연구 결과

    1.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신체적, 생체역학적, 생활 습관 에 관한 스포츠 과학 측정 자료를 기반으로 선정된 항목들 중, 중요 항목과 핵심 지표를 15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 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도출하였다 <Table 4>.

    첫째, 신체적 요인의 중요 항목 (Q1a)에서는 파워 (40%) 와 스피드 (40%)가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핵심 지표 (Q2a)로는 코어 능력 (33.3%)와 파워 (33.3%)가 중요하다 고 응답하였다.

    둘째, 생체역학적 요인의 중요한 기술적 항목 (Q3a)에 서는 3D 생체역학 (46.7%), 화면 분석 (20.0%), 지면 반력 (20.0%), 볼 트래킹 데이터가 선정되었으며, 핵심 지표 (Q4a)로는 출구 속도 (40.0%), 스핀량 (20.0%)가 중요하다 고 응답하였다. 배트 센서 데이터의 핵심 지표 (Q5a)에서 는 배트 속도 (33.3%), 어택 앵글 (20.0%), 임팩트 속도 (20.0%)가 중요하다고 평가되었다. 지면 반력 데이터의 핵심 지표 (Q6a)에서는 총 압력 분포 (46.7%), CoP 패턴 (20.0%)이 중요하다고 응답되었으며, 3D 생체역학 데이 터의 핵심 지표 (Q7a)에서는 최고 속도 순서 (60.0%)와 회 전 (33.3%)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생활습관 요인의 중요 항목 (Q8a)으로는 영양 (33.3%), 수면 (26.7%), 건강상태 (20.0%)가 중요한 것으 로 나타났다.

    2.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1차 델파이 조사 응답 결과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결론을 도출하는 방식으 로 진행하였다. 주어진 기한 내에 설문을 완료하지 않은 3명을 제외한 12명의 전문가 패널의 응답 내용을 조사하 였다. 2차 델파이 조사에서 전문가들이 평가한 각 요인별 중요 항목 및 핵심 지표의 적절성에 대해 리커트 5점 척도 로 조사한 설문 결과는 <Table 7>과 같다.

    Table 7

    2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N=12)

    구분 Mean (SD) CV CVR 수렴도 합의도
    Q1b 4.08 (0.79) 0.19 0.50 0.63 0.69
    Q2b 3.75 (0.75) 0.20 0.50 0.13 0.94
    Q3b 4.25 (0.75) 0.18 0.67 0.50 0.75
    Q4b 3.83 (0.72) 0.19 0.17 0.50 0.75
    Q5b 3.75 (0.87) 0.23 0.33 0.50 0.75
    Q6b 3.67 (0.99) 0.27 0.00 0.63 0.64
    Q7b 3.92 (0.90) 0.23 0.50 0.25 0.88
    Q8b 3.83 (1.12) 0.29 0.33 1.00 0.50

    SD: standard deviation, CV: coefficient of variation, CVR: content validity ratio

    본 연구에서는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각 항목에 대한 전문가들의 응답 일치도를 평가하여 안정도를 검증하기 위해 변이계수를 계산하였다. 변이계수는 표준편차를 평 균으로 나눈 값으로, 값이 낮을수록 응답의 일치도가 높 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변이계수가 0.5 이하일 경 우 추가 라운드 없이 ‘합의 (consensus)’가 형성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Lawshe, 1975). 2차 설문조사 응답 결과, 모 든 항목 (Q1b~Q8b)의 변이계수가 0.5 이하로 나타나 합의 가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Table 7>.

    반면, 내용 타당도 비율은 본 연구의 2차 설문 응답자가 12명이기 때문에 0.56 이상을 넘어야만 유의수준 (p < 0.05) 에서 내용 타당도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2차 설 문조사 응답 내용 중 내용 타당도 비율이 0.56 이상인 교 과목을 분석한 결과, Q3b 문항만 기준을 충족하였으며 (CVR = 0.67), 나머지 ‘Q1b’, ‘Q2b’, ‘Q4b’, ‘Q5b’, ‘Q6b’, ‘Q7b’, ‘Q8b’의 내용 타당도 비율은 0.56 이하로 유의한 수 준을 보이지 않았다 <Table 7>. 따라서 내용 타당도 비율 이 0.56 이상으로 나타난 Q3b 문항에서 생체역학적 요인 중 가장 중요한 기술적 항목으로 3D 생체역학 (47.6%), 화면 분석 (20.0%), 지면 반력 (20.0%)이 적절하다는 의견 이 타당한 평가임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야구 선수의 성 과 피드백을 제시할 때, 우선적으로 3D 생체역학, 화면 분석, 지면 반력 데이터를 평가 기준으로 채택해야 한다 는 것을 확인하였다.

    델파이 기법의 타당성은 또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 도와 합의도로 분석하여 평가할 수 있다 (김선미 등, 2023). 수렴도와 합의도는 전문가 간의 의견 일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수렴도와 합의도의 산출 공식은 <Figure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강용주, 2008). 수렴 도는 의견이 하나의 점으로 집중될 때 0의 값을 가지며, 의견이 다양할수록 그 값이 증가한다. 다시 말해, 수렴도 값이 0에 가까울수록 해당 문항이 타당하다고 할 수 있으 며 0에서 0.5 사이는 매우 긍정적인 값으로 평가된다 (김 선미 등, 2023). 수렴도가 0에서 0.5 사이의 수렴도 값을 가지는 문항은 5개로 ‘Q2b’, ‘Q3b’, ‘Q4b’, ‘Q5b’, ‘Q7b’이다.

    Figure 2

    수렴도와 합의도 산출 공식

    출처: 강용주(2008:8)에서 재인용

    AOSPT-20-1-41_F2.gif

    합의도는 Q1과 Q3이 일치하여 완전히 합의된 경우 1의 값을 가지며, 의견의 편차가 커질수록 값이 줄어든다. 합 의도가 1에 가까울수록 문항이 타당하다고 볼 수 있으며, 0.75 이상의 합의도 값을 가지면 매우 긍정적인 결과로 판단할 수 있다 (강용주, 2008). 합의도가 0.75 이상인 항 목은 5개로 ‘Q2b’, ‘Q3b’, ‘Q4b’, ‘Q5b’, ‘Q7b’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렴도와 합의도에서 5개의 공통 항목 이 매우 긍정적인 값으로 평가되었으며, 평가 항목들의 안정성 또한 0 ~ 0.5 사이의 높은 동의 수준을 보였다. 델파이 분석은 주로 내용 타당도 비율을 중심으로 논의되 지만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용 타당도 비율, 수렴도, 합의도가 공통적으로 겹치는 항목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 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신체적 요인의 핵심 지표인 코어 와 파워, 생체역학적 요인의 중요한 기술적 항목인 3D 생 체역학, 화면 분석, 지면 반력, 생체역학적 요인의 볼 트 래킹 데이터의 핵심 지표인 출구 속도와 스핀량, 생체역 학적 요인의 배트 센서 데이터의 핵심 지표인 배트 속도, 어택 앵글, 임팩트 속도, 생체역학적 요인에서 3D 생체역 학 데이터의 핵심 지표인 최고 속도 순서와 회전까지 총 12개의 항목을 야구 선수의 스포츠 과학 측정 평가 기준으 로 선정하였다.

    Ⅳ. 고찰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로서 스포츠 과학화에 기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야구 선수의 신체적, 생체역학 적, 생활습관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객관적이고 중 요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타당한 평가 기준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델파이 방법을 적용한 전문가 합의를 통해 야구 선수의 스포츠 과학 측정 평가 기준을 도출하였 는데, 12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들은 크게 신체적, 생체역 학적 요인을 기준으로 12개의 주요 항목과 핵심 지표를 선정하는데 의견이 일치했다.

    연구 결과 신체적 요인의 핵심 지표인 코어 능력과 하 체 파워, 생체역학적 요인의 중요한 기술적 항목인 3D 생 체역학, 화면 분석, 지면 반력, 생체역학적 요인의 볼 트 래킹 데이터의 핵심 지표인 출구 속도와 스핀량, 생체역 학적 요인의 배트 센서 데이터의 핵심 지표인 배트 속도, 어택 앵글, 임팩트 속도, 생체역학적 요인에서 3D 생체역 학 데이터의 핵심 지표인 최고 속도 순서와 회전 항목이 야구 선수의 가장 중요한 평가 지표로 나타났다.

    1. 신체적 요인

    신체적 요인의 델파이 조사 결과, 전문가 패널은 Q1a에 서 파워 (40%)와 스피드 (40%)를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Q2a에서는 핵심 지표로 코어능력 (33.3%)과 하체 파워 (33.3%)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결과의 적절성 을 묻는 질문 (Q2b)에 전문가들은 코어 능력과 하체 파워 가 핵심 지표로 적절하다고 평가하며 높은 타당성을 보였 으나, 파워와 스피드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선정한 것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었다 (Q2a). 이는 전문가들이 스피드 보다 코어 능력과 파워에 더 중점을 두며, 파워 중에서도 상체보다는 하체 파워가 야구 선수의 성과 지표에 있어 더 중요하게 본다는 것을 반영한 결과로 해석된다.

    코어 근육은 상체와 하체를 연결하여 일상 생활과 스포 츠 활동에서 안정성과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야구 스윙 중 근육 활동을 분석 한 결과 타격은 엉덩이에서 시작된 힘이 몸통을 통해 에너 지가 전달되고 팔로 마무리되는 일련의 조정된 근육 활동 이라는 것을 발견했으며 이 과정에서 코어 근육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고했다 (Shaffer et al., 1993). 또 다른 연구에서는, 스포츠 성능을 최적화하고 부상을 최소 화하기 위해 모든 운동 선수의 훈련 프로그램에 코어 훈련 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권장한다 (Felion & DeBeliso, 2020). 따라서 코어 능력을 평가하는 것은 부상을 예방하 기 위한 우선적인 요소로 간주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체 파워를 수직 점프 능력으로 측정하 였다. 수직 점프 능력은 다수의 연구에서 타율과 도루 성 능을 예측하고 타격 지표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평가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정호진 & 박세주, 2021;DeRenne et al., 2001;Watanabe et al., 2019). 수직 점프 능력이 좋을수록 타율, 타격 속도, 타구 속도에 긍정적인 영향 미 치며 (Hoffman et al., 2009), 투구 속도와 배트 속도와 양의 상관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Spaniol, 2009).

    2. 생체역학적 요인

    생체역학적 요인의 델파이 조사 결과, 전문가 패널은 Q3a에서 3D 생체역학 (46.7%), 화면분석 (20.0%), 지면 반력 (20.0%)을 가장 중요한 기술적 항목으로 선정하였 다. Q4a에서는 볼 트래킹 데이터의 핵심 지표로 출구속도 (40%), 스핀량 (20.0%)을 강조하였으며, Q5a에서는 배트 센서 데이터 핵심 지표로 배트 속도 (33.3%), 어택 앵글 (20.0%), 임팩트 속도 (20.0%)를 강조하였다. Q6a에서는 지면 반력 데이터 핵심 지표로 총 압력 분포 (46.7%), CoP 패턴 (20.0%)를 강조하였으며, Q7a에서는 3D 생체역학 데이터 핵심 지표로 최고 속도 순서 (60.0%), 회전 (33.3%) 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결과의 적절성을 묻는 5개의 질문 (Q3b~Q7b)에 대해, 전문가들은 Q6b을 제외한 4개의 문항 모두 적절하다고 평가하며 높은 타당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신체적 및 생활습관 요인보다 생체역학적 요인이 야구 선수의 성과 지표에 있어 더 큰 비중으로 중요하게 여겨진다는 것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생체역학은 속도와 정확성을 목표로 움직임과 근육의 힘을 조정하는 과정이다 (DeFroda et al., 2016). 투수의 3D 동작 분석은 고속 비디오 촬영과 역동학 계산을 통해 운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절 주변의 순 힘이나 토크를 추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투수의 운동학을 평가하 는 상황에서, 적절한 생체역학이 연령대에 상관없이 유사 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Fleisig et al., 1999), 비디오 분석 을 통해 운동 사슬의 다양한 운동학적 매개변수를 평가하 고 어린 나이부터 역학을 교정하는 것은 선수의 운동 성능 을 높이고 장기적인 부상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 다. 전문가들은 3D 생체역학 데이터를 야구 선수의 중요 한 기술적 요소로 판단하며, 최고 속도 순서 (60%)와 회전 (33.3%)을 핵심 지표로 강조했다.

    OnBaseU screen은 야구 및 소프트볼 코칭, 근력 및 컨 디셔닝, 생체역학, 의료 전문가로 구성된 팀이 개발한 임 상 평가 도구로 (Hulburt et al., 2021), 16가지 움직임 검 사를 통해 투수와 타자의 움직임 패턴을 평가하고 추적하 는 데 도움이 되도록 설계 되어있다 (OnBaseU, 2024). 신 뢰성 및 타당성 검사가 부족하여 최적의 응용프로그램으 로 쓰이기엔 아직 불분명하지만, 전문가 패널의 20%가 화 면 분석을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화면 분석 결과는 선 긋 기 화면 캡처 형태로 제공되며, 선수와 코치들이 쉽게 이 해할 수 있다. 특히 '2024 KBO Next-Level Training Camp' 기간 동안 많이 활용된 중요한 자료로 사용되었다. 3D 동작 분석은 비용이 많이 들고 접근성이 제한적이며 데이터를 다루기 복잡한 반면, 화면 분석은 저렴하고 사 용이 용이하며 필요한 장비가 적으며,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적절한 평가 기준으로 포함되었을 가 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지면 반력은 야구 타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타자 가 공을 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는 지면에서 시작되어 발, 다리, 골반, 몸통, 팔, 배트를 거쳐 공에 전달된다 (Welch et al., 1995). 이 과정에서 지면 반력은 에너지 전 달의 시작점을 형성하고 타자의 몸무게 이동과 균형을 조 절한다 (DeRenne et al., 1993). 선행 연구에서는 타격 실 패 시 최고 지면 반력 값이 더 일찍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이를 통해 타격 실패의 원인을 분석하는 데 유용 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Fortenbaugh et al., 2011). 본 연구에서는 지면 반력 데이터 중, 총 압력 분포 (46.7%)와 CoP 패턴 (20.0%)이 중요한 지표로 선정되었다.

    Rapsodo장비로 측정한 볼 트래킹 데이터는 출구 속도 (40.0%)와 스핀량 (20.0%)이 핵심지표로 선정되었다. 선 행 연구에서, 출구 속도는 스핀량, 발사 각도와 함께 성공 적인 스윙 타격에 기여하는 가장 중요한 성능 지표 중 하 나라고 보고했으며 (Bordelon et al., 2023), 이는 본 연구 와 일치하는 결과였다.

    Blast Motion 장비로 측정한 배트 센서 데이터에서는 배트 속도 (33.3%), 어택 앵글 (20.0%), 임팩트 시간 (20.0%)이 핵심 지표로 선정되었다. 선행 연구에서는 배 트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강력한 타구를 생성할 확률이 높 아지며, 이는 좋은 성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하였다 (Laudner et al., 2010). 어택 앵글은 배트가 공에 맞았을 때 수평선에 대한 경로 각도를 나타내는 지표이 다. 양의 어택 앵글은 라인 드라이브를 치는 데 유리하고, 음의 어택 앵글은 그라운드 볼을 칠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면, 임팩트 시간은 배트가 공에 맞는 순간부터 타격이 끝나는 순간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어택 앵글과 임팩트 속도의 최적 기준은 배트 속도와 스타일, 투구 속 도와 위치, 게임 상황, 나이, 힘, 배트 길이 및 무게, 경험 수준, 스윙 스타일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변수 를 고려해야 한다 (Blastmotion, 2024).

    3. 생활습관 요인

    생활습관 요인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전문가 패널 은 Q8a에서 영양 (33.3%), 수면 (26.7%), 건강상태 (20.0%)를 중요한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이 결과 의 적절성을 묻는 Q8b 에서 내용 타당도 비율, 수렴도, 합의도 모두 낮은 타당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최종 평가 기준에는 생활습관 요인이 선정되지 않았다. 이는 생활습관 요인이 개인차가 크고 주관적인 요소가 강 해 각 선수에게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어 전문가들이 일관된 평가를 내리기 어려웠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좋은 생활습관은 선수의 경기력 향상 뿐 만 아니라 전반적인 건강 유지와 회복에 필수적이다. 따 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생활습관 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지 표와 평가 방법을 제시하고, 영양학자, 수면 전문가 등 다 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평가의 신뢰 성과 타당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조사에서 응답한 전문가 패널 15명 중 2차 조사에서 기한 내에 응답하지 않은 3명을 제외하여 분석 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응답자 수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2차 조사의 내용 타당도 비율 최소값이 0.56으 로 상승하여 평가항목의 내용 타당도 비율 값이 엄격하게 적용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렴도와 합의도를 추가 분석하였으며, 내용 타당도, 수렴도, 합의도에서 높은 타 당성을 보인 항목들을 모두 포함하였다.

    둘째, 1차 델파이 조사에서 전문가 패널이 응답한 주요 항목 및 핵심 지표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각 요인별로 2~3개의 응답 항목만을 포함하여 제시하였다. 이는 과도 한 정보 제시를 피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구 책임자가 선 별한 후 우선순위에 따라 나열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최종 평가 기준에 대한 신뢰도 검 증을 하지 않았으며, 추후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 된 결과가 선수에게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 쓰인 OnBaseU screen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이론적 근거나 타당성을 뒷받침하는 연 구가 부족하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야구 및 소프트볼 코 칭, 근력 및 컨디셔닝, 생체역학, 의료 전문가 등 각 분야 의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개발하였으며 (Hulburt et al., 2021), 실제 야구 캠프 현장에서 즉각적인 시각적 피드백 을 통해 높은 활용도를 보였다. 추후 시스템의 신뢰도와 타당성이 입증될 경우, 본 연구의 결과와 함께 선수 평가 와 훈련 계획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야구 선수의 경기력 향상과 관련된 주요 측정 항목들을 도출하여 우선순위를 고려하고, 각 항목들의 타당성을 평가함으로써 야구 선수의 스포츠 과 학 측정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신체적 요 인과 생체역학적 요인, 생활습관 요인 각각의 중요 항목 과 핵심 지표를 확인함으로써 선수들의 체계적인 훈련과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 다.

    또한, 선수의 재활과 기능 향상을 담당하는 물리치료사 는 부상을 예방하고 실질적인 투구 및 타격 능력을 향상시 키기 위해 참고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측정 항목들을 실제 훈련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고, 추가적 인 변수들을 고려한 종합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Figure

    AOSPT-20-1-41_F1.gif

    내용 타당도 비율 (content validity ratio, CVR)

    AOSPT-20-1-41_F2.gif

    수렴도와 합의도 산출 공식

    출처: 강용주(2008:8)에서 재인용

    Table

    1차 델파이 조사를 위해 선정된 요인, 항목, 세부항목

    전문가 패널의 일반적 특성 (N=12)

    1차 델파이 조사 예시 문항

    1차 델파이 조사 내용 및 우선순위 별 주요 응답 결과 (N=15)

    2차 델파이 조사 예시 문항

    델파이 패널의 수에 따른 내용 타당도 비율의 최소값 기준

    2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N=12)

    SD: standard deviation, CV: coefficient of variation, CVR: content validity ratio

    Reference

    1. 강용주 (2008). 델파이 기법의 이해와 적용사례. 수시과제 보고서, 1-17.
    2. 김선미, 김혜수, 김도희, & 이헌율 (2023). 국내 OTT 플랫 폼 경쟁력 제고와 해외 진출에 대한 정책 델파이 분석 연구. 방송통신연구, 7-44.
    3. 김승재 (2010). 한국 청소년의 스포츠 진흥과 스포츠교육학 의 역할.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7(4), 143-153.
    4. 김창권, & 진서훈 (2014). 프로야구 기록을 통한 승리 요인 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1), 211-220.
    5. 김필수, & 이상현 (2024). 국내 스포츠 애널리틱스 연구의 현재와 미래: 경기데이터 활용 분석에 대한 체계적 문헌 검토.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9(1), 63-81.
    6. 노승용 (2006). 델파이 기법 (Delphi Technique): 전문적 통찰로 미래예측하기. 국토, 299, 53-62.
    7. 성창수, & 김지석 (2019). 통학방법이 중학생의 신체조성 및 건강체력 요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교육학회 지, 23(4), 211-219.
    8. 송홍선, 김광준, 이기혁, & 전병오 (2019). 성장기 야구선수 들의 성숙도에 따른 체격, 신체조성 및 체력 차이. 체육 과학연구, 30(1), 9-19.
    9. 스포츠지원포털.https://g1.sports.or.kr/index.do (2024 년 05월 20일 접속)
    10. 신지영, 임희성, 박대성, & 김정훈 (2022). Next-level Training 캠프 후 유소년 엘리트 야구선수의 체력, 야 구기술 및 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24(4), 298-306.
    11. 안나영, & 김기진 (2015). 초등학교 축구선수의 체력특성 및 성장지표 분석. 코칭능력개발지, 17(1), 61-66.
    12. 양도업, 조은형, 배상우, & 정상원 (2015). 한국 프로야구 타자의 경기력요인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0, 305-313.
    13. 오승욱, & 한진욱 (2023). 시계열 분석을 통한 프로야구리 그 경기력 예측.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8(5), 65-75.
    14. 오승욱, 김경호, & 한진욱 (2023).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국내 프로야구 연구 동향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32(5), 171-182.
    15. 오태영, 추연기, & 유일영 (2018). 운동과 관절가동술을 혼합한 중재가 어깨관절 내적 충돌증후군을 가진 청소 년기 야구선수의 관절가동범위, 통증정도, 기능수행 정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의학회지, 13(2), 11-19.
    16. 유생열 (2003). 선수지도와 체육교육을 위한 주의력 훈련. 코칭능력개발지, 5(1), 8-15.
    17. 윤찬수, & 김현식 (2013). 대학운동선수의 스마트폰 중독과 훈련태도 및 경기력의 관계. 스포츠사이언스, 30(2), 119-126.
    18. 이명희, 김재은 & 김정훈 (2022). 유소년 및 청소년 엘리트 야구 선수들의 기술, 피지컬, 바이오메카닉스, 생활습 관 및 게임선용도의 차이 비교. 정형스포츠물리치료학 회지, 18(2), 87-96.
    19. 임병규, & 배성기 (2007). 생활환경요인이 중학생의 체격 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9(3), 277-288.
    20. 정호진, & 박세주 (2021). 초등학교 야구 선수의 수직 점프 및 다리 근력 간 상관관계에 대한 융합연구. 한국융합 학회논문지, 12(8), 61-66.
    21. 조정희, 임승길, 권태윤, 김병곤, & 안용완 (2006). 프로 야구 투수의 볼 스피드와 견관절, 요추부, 슬관절 등속 성 근력, 파워의 상관관계. 대한스포츠의학회지, 24(2), 158-163.
    22. Blastmotion. (2024, May 20), https://blastmotion.com
    23. Bordelon, N. , Wasserberger, K. , Downs Talmage, J. , Nebel, M. , Friesen, K. , Giordano, K. , & Oliver, G. (2023). The Relationship Between Trunk Energy Flow And Collegiate Softball Hitting Performance. ISBS Proceedings Archive, 41(1), 11.
    24. DeFroda, S. F. , Thigpen, C. A. , & Kriz, P. K. (2016). Two-dimensional video analysis of youth and ado- lescent pitching biomechanics: A tool for the common athlete. Current Sports Medicine Reports, 15(5), 350-358.
    25. DeRenne, C. , Ho, K. W. , & Murphy, J. C. (2001). Effects of general, special, and specific resistance training on throwing velocity in baseball: a brief review.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15(1), 148-156.
    26. DeRenne, C. , Stellar, T. , & Blitzbau, A. (1993). High-tech hitting: Science vs. tradition. West Publishing Company.
    27. Felion, C. W. , & DeBeliso, M. (2020). The effects of core training on high school baseball performance. Athens J. Sports, 7, 173-188.
    28. Fleisig, G. S. , Barrentine, S. W. , Zheng, N. , Escamilla, R. F. , & Andrews, J. R. (1999). Kinematic and kinetic comparison of baseball pitching among various levels of development. Journal of Biomechanics, 32(12), 1371-1375.
    29. Fortenbaugh, D. , Fleisig, G. S. , & Andrews, J. R. (2009). Baseball pitching biomechanics in relation to injury risk and performance. Sports Health, 1(4), 314-320.
    30. Fortenbaugh, D. , Fleisig, G. , Onar-Thomas, A. , & Asfour, S. (2011). The effect of pitch type on ground reaction forces in the baseball swing. Sports Biomechanics, 10(4), 270-279.
    31. Harley, D. , & Gupta, U. (2024). Swinging for the Future: The Evolution and Impact of Predictive Modeling in Baseball Analytics.
    32. Hoffman, J. R. , Vazquez, J. , Pichardo, N. , & Tenenbaum, G. (2009). Anthropometric and performance comparisons in professional baseball players.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23(8), 2173-2178.
    33. Hulburt, T. , Catalano, T. , & Nicholson, K. F. (2021). Comparison of OnBaseU Tests with Biomechanical Motion Analysis in Youth Baseball Pitc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Physical Therapy, 16(6), 1513.
    34. KBO Next-Level Training Camp. (2024, May 20). http://nextleveltraining.co.kr/
    35. Khaitovich, K. F. (2023). The Most Popular Sports in The World. British Journal of Global Ecolog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17, 92-95.
    36. Kim, C. H. , & Kang, K. A. (2019).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Healthy Lifestyle Screening Tool.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8(2), 99-110.
    37. Korea Baseball Softball Association. (2024). http://ko-rea-baseball.com
    38.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39. Lilja, K. K. , Laakso, K. , & Palomäki, J. (2011). Using the Delphi method. 2011 Proceedings of PICMET'11: Technology Management in the Energy Smart World (PICMET).
    40. Mizels, J. , Erickson, B. , & Chalmers, P. (2022). Current state of data and analytics research in baseball. Current Reviews in Musculoskeletal Medicine, 15(4), 283-290.
    41. Nicholls, R. , Fleisig, G. , Elliott, B. , Lyman, S. , & Osinski, E. (2003). Baseball: Accuracy of qualitative analysis for assessment of skilled baseball pitching technique. Sports Biomechanics, 2(2), 213-226.
    42. Noh, W. , Cho, N. , & Lee, H. (2013). A Study on Tutoring Evaluation Program with Delphi Survey.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Research, 14(2), 313-348.
    43. OnBaseU. (2024). OnBaseU.com
    44. Otte, F. W. , Davids, K. , Millar, S. K. , & Klatt, S. (2020). When and how to provide feedback and instructions to athletes?—How sport psychology and pedagogy insights can improve coaching interventions to enhance self-regulation in training. Frontiers in Psychology, 11, 549431.
    45. Shaffer, B. , Jobe, F. W. , Pink, M. , & Perry, J. (1993). Baseball batting: An electromyographic study.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292, 285-293.
    46. Skulmoski, G. J. , Hartman, F. T. , & Krahn, J. (2007). The Delphi method for graduate research.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Research, 6(1), 1-21.
    47. Song, H. S. , Kim, K. J. , Lee, K. H. , Zhao, P. , & Chun, B. O. (2019). Maturity-associated variation in physique,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of youth baseball players.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30(1), 9-19.
    48. Spaniol, F. J. (2009). Baseball athletic test: A base- ball-specific test battery. Strength & Conditioning Journal, 31(2), 26-29.
    49. Watanabe, Y. , Yamada, Y. , Yoshida, T. , Matsui, T. , Seo, K. , Azuma, Y. , Hiramoto, M. , Miura, Y. , Fukushima, H. , & Shimazu, A. (2019).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fitness at the end of preseason and the inseason game performance in Japanese female professional baseball players.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33(6), 1580-1588.
    50. Welch, C. M. , Banks, S. A. , Cook, F. F. , & Draovitch, P. (1995). Hitting a baseball: A biomechanical description.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22(5), 193-201.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