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_cover_img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pISSN : 2508-8262 | eISSN : 2508-8998

Journal Abbreviation : Korean Soc. Sport Phys. Ther.
Frequency : semiannual
Doi Prefix : 10.24332/aospt
Year of Launching : 2005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Physical Therapy

Aims & scope more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Physical Therapy (KSSPT) has consistently been leading trends in the field of sports physical therapy by conducting educational programs for academia within and outside Korea with the aim of ensuring academic journals are of high quality. The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AOSPT) is a journal released by the KSSPT and its main goal is to publish studies related to sports physical therapy and sports science that are based on recent scientific evidence. Studies published in the AOSPT must engage with creative topics to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and physical therapy. The AOSPT focuses on fields related to sports physical therapy, medicine, and rehabilitation. The chief editor designates an editor to each research field corresponding to their areas of specialization which are as follows:

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9 No.2 pp.81-90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23.19.2.09

Effects of Abdominal Drawing-In Technique and Hip Joint Adduction on Abdominal Muscle Thickness during Bridge Exercise according to Knee Angle*

Hyun min Jeong1, Se you Kim1, Ju eun Bae1, Ga eun Lee1, Ju hee Suh1, Cho hun Ji2, Hyun ju Jun3**
1College of Jeonju,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tudent
2Woori Family Clinic, Head Physical Therapist
3College of Jeonju,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Professor

* 본 연구는 2023학년도 전주비전대학교 전문대학혁신지원사업 지역특화 산학협력 융합연구과제 지원에 의하여 이루 어졌음


** 교신저자: 전현주 E-mail: juju98jhj@hanmail.net
December 8, 2023 December 21, 2023 December 23, 2023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changes in the muscle thickness of the Transversus abdominis, Internal oblique, and External oblique muscles by applying the abdominal drawing-in while maintaining hip joint adduction using ultrasound.


Methods:

Thirty healthy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located in J City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participants performed the bridge posture while maintaining hip joint adduction, with the knee joint bending angle was set to 90° and 120°, and the abdominal drawing-in applied. The exercises were performed thre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four weeks, and after applying exercise, the thickness of the Transversus abdominis, Internal oblique, and External oblique muscles were measured using ultrasound. After applying the exercise,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effects of individual exercise training, and the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each group.


Results: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α<0.05.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uscle thickness of the Internal obliqu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90˚ flexion of the knee joint (p>.05). Internal and External oblique muscle thicknes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120˚ flexion of the knee joint (p>.05).


Conclusion:

When the knee joint angle is 90° and 120°, with the bridge exercise in place, and the abdominal drawing-in applied, back pain can be prevented by selectively activating the Internal oblique External oblique muscles.



무릎 각도에 따른 교각운동 시 복부 드로잉-인 기법과 엉덩관절 모음이 복부 근두께에 미치는 영향*

정현민1, 김세유1, 배주은1, 이가은1, 서주희1, 지초훈2, 전현주3**
1전주비전대학교 물리치료학과, 학생
2우리가정의원, 실장
3전주비전대학교 물리치료학과, 교수

초록


    Ⅰ. 서 론

    현대인들의 컴퓨터 과다 사용, 운동 부족, 부적절한 학 습 자세 등 바르지 못한 생활 습관을 통해 신체의 근육 형태와 뼈대 구조 변화에 영향을 주어 비정상적인 자세를 초래하며(최아영 & 박치복, 2019), 이로 인해 허리에 통증 을 유발하게 된다. 잘못된 자세로 인해 유발된 허리 통증 을 예방하기 위해 예전부터 현대인들에게 몸통 안정화 근 육들의 강화가 요구되어 왔는데(김지선, 2016), 신체 중심 에 위치한 몸통 안정화 근육들은 허리 통증 예방, 운동 능력 향상 및 부상 방지 등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데에 매 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Akuthota et al., 2008).

    안정화 운동과 관련된 몸통 근육은 겉근육(global muscle) 과 속근육(local muscle)으로 나뉘어 겉근육계는 배바깥빗 근, 속근육계는 배속빗근과 배가로근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하유 등, 2013). 속근육인 배속빗근과 배가로근은 척추에 직접 연결되어 척추의 세밀한 조절과 척추 분절 간에 안정 성을 제공하고, 몸통의 모든 움직임에 있어서 다른 근육보 다 먼저 수축하여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배바깥빗근과 같은 겉근육은 주로 힘을 생성하여 골반과 몸통의 큰 움직임을 만들어 몸통의 안정화와 운동성이라는 두 가지 기능을 수행에 관여한다. 허리 통증은 안정성을 제공하는 속근육의 약화로 인해 겉근육에서 보상작용이 나타나 발생하게 된다(Shari A et al., 2004).

    안정화 운동의 목적은 근육과 움직임의 조절 능력을 회 복시키는 것으로 최근에는 허리 통증이 없는 정상적인 사 람들에게도 몸통 안정화를 위해 치료적 운동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통증을 예방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권고되고 있는 운동 방법 중 하나이다(Arab, & Chehrehrazi, 2011;Key, 2013). 몸통 안정화 운동은 복부 근육 강화에 적용되 는데, 이는 임상에서 허리 통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흔히 쓰이는 방법으로 복부 근육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운동을 사용하여 허리의 통증을 경감시킨다(Granata et al., 2005). 몸통 안정화 운동 중 교각운동은 임상과 가정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어지며, 교각운동은 무릎을 세워 누운 자세에서 발에 체중부하와 함께 무릎서기 자세를 수행하 기 위한 중요한 동작임과 동시에 속근육과 겉근육을 적절 한 비율로 활성화시켜 근육의 협력 패턴을 재교육하는 운 동이다(전지혜 & 김선엽, 2017). 교각운동은 몸통 근육에 중점을 두어 허리뼈에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고, 팔다리 움직임 동안 주위 근육들의 협응 작용과 상호보완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척추 주변 조직들에 가해지는 반복적 인 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시행된다(이건철 et al., 2014).

    교각운동의 방법 중 이마면에서 엉덩관절을 모음하였 을 때 배속빗근과 배바깥빗근의 근력이 유의하게 증가함 을 알 수 있었으며, 좁아진 기저면을 통해 몸통 안정화 근육이 사용되면서 복부 근두께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이원휘, 2017). 교각운동 시 무릎관절 굽힘 각도를 90˚와 120˚로 설정하였을 때 120˚에서 배속빗근의 근 활성도 증가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무릎관절 굽힘 각도가 감소함에 따라 배곧은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의 최소 근활성도가 나온 것으로 보아 교각운동 시 무릎관절 굽힘 각도를 증가시켰을 때 복부 근육의 근활성도가 최대 가 됨을 알 수 있었다(김경환 et al., 2010).

    복부 드로잉-인(Abdominal drawing-in) 기법은 배가 로근과 배속빗근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법으로 권고되고 있는데(Luciana G & Macedo, 2013), 복부 벽을 안쪽으로 당김 해 복부 안쪽 압력을 증가시켜 배가로근과 배속빗근 을 수축하는 방법으로 배가로근이 다른 근육의 동시수축 을 유도하여 골반의 앞기울임이나 과도한 허리의 앞굽음 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중재이다(Kisner & Colby, 2017). 교각운동과 복부드로잉-인을 동시에 적용했을 때 배가로근을 수축하게 되면 다른 복부 근육들이 동시에 수 축하여 속근육인 배속빗근, 배가로근 뿐만 아니라 겉근육 인 배바깥빗근, 배곧은근까지 활성화 되어 복부 근육 전 체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김은옥 등, 2009).

    연구에서는 중재 전, 후 초음파를 이용하여 복부 근두 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최근 임상에서 질병의 진단과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활용되는 초음파(US)는 몸통 근육들의 크기와 활동 상태 를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한 비침습성(noninvasive) 도구이 다(강지현 & 심재훈, 2015). 초음파는 근육의 구조와 기능 을 쉽게 평가할 수 있으며, 안전하고, 다른 기구들에 비해 경제적이라는 이점을 가지도 있어 최근 물리치료사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평가 장비이다(Whittaker & Stokes, 2011). 초음파 영상 장비는 복부 근두께 및 면적을 측정하 기에 용이하여 몸통 안정화 운동 방법의 연구에 자주 사용 되고 있다(Hodges et al., 2003). 이전의 연구 결과를 토대 로 복부 근육에 있어 근육의 두께 변화를 측정하는 초음파 는 컴퓨터 단층활영, 자기공명영상 그리고 근전도와 비교 하였을 때 신뢰도가 높고 타당성이 있는 평가 시스템이라 고 보고하여(Hides J et al., 2006) 본 연구에서도 초음파 를 통해 복부 근육을 측정하였다.

    지금까지 교각운동이 복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이 나 교각자세를 유지하며 복부 근두께를 초음파로 실시간 확인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 운동 후 근두께 변화에 관련된 초음파 연구가 미비하고, 엉덩관절 자세와 연관하 여 무릎관절 각도 변화에 따른 교각운동이 복부 근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부 드로잉-인을 유지한 채로 엉덩관절을 모 음을 동반한 교각운동 시 무릎관절 각도에 따라 복부 근두 께 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초음파를 통하여 근두 께 변화를 알아보고 이를 물리치료 임상기초자료 분야에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J시에 소재한 20대 이상의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15명씩 실험군으로 연 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연구 대상자는 실험에 참여하기 전 연구 목적과 참여 방법에 대하여 충분한 설명을 듣고, 자발적인 동의를 받았다. 연구 대상자에서 최근 6개월 이 내에 정형외과적 수술을 받은 자, 근골격계 질환에 의해 관절가동범위에 이상이 있는 자, 최근 6개월 이내에 허리 통증이나 정형외과적 장애와 통증을 경험한 자는 제외하 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 1).

    Table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30)

    일반적 특성 K/F 90˚ K/F 120˚
    나이(세) 23±3.03 22.93±3.49
    키(㎝) 168.07±10.88 170.6±10.89
    몸무게(㎏) 66.6±11.57 68.53±15.95

    K/F: Knee Flexion

    2. 측정도구 및 측정방법

    1) 연구 절차

    실험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연구 대상자의 배가로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의 근두께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이름, 성별 등을 이용하여 각 군에 15명씩 무작 위 배정 분류하여 총 4주 간, 주당 3회씩 운동을 실시한 후 같은 위치를 초음파로 재측정하였다.

    2) 측정 도구

    (1) 초음파 영상 장치 (Ultra Sound)

    실험대상자에 대한 운동 전·후 복부 근육의 두께를 측 정하기 위해 진단용 초음파 측정기구(GE Voluson e, GE Healthcare, Austria)를 사용하였으며, 선형태의 탐촉자 (Linear probe)로 촬영하였다. 영상촬영은 객관성 유지를 위해 주파수는 3~12MHz로 고정하였으며 복부근육의 근 막선이 가급적 화면에서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깊이 를 조절하였다.

    배가로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의 측정부위는 대상자 의 배 오른쪽 아래 방향으로 배꼽과 나란하게 하여 안쪽으 로 2cm, 아래쪽으로 2cm 되는 부분이다. 각 근육의 두께 측정은 영상의 정중앙에서 수직선을 그어 흰색 영상으로 나타나는 근막의 윗경계 끝지점에서 아래 경계 끝지점을 연결하여 길이를 측정하였다(하유 등, 2013)(Figure 1).

    Figure 1

    초음파 기계 및 측정 부위 (A:초음파 기계 B:도자 C:측정 부위 D:관찰 부위)

    AOSPT-19-2-81_F1.gif
    (2) Goniometer

    엉덩관절의 위치 및 교각 자세의 무릎 각도를 정확하게 위치하기 위해 각도계를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실험 자 세를 통제하였다(이원휘, 2019)(Figure 2).

    Figure 2

    Goniometer

    AOSPT-19-2-81_F2.gif

    3) 실험 방법11

    (1) 복부 드로잉-인

    정확한 실험을 위해 압력 생체 되먹임 기구를 이용하여 복부 압력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손바닥이 지면으로 향하 게 두고 엉덩관절 45˚, 무릎관절 각도를 각각 90˚, 120˚ 굽혀 누운 자세에서 실시하였다(최유정 등, 2019). 복부 드로잉-인 동안 압력 생체 되먹임 기구는 연구 대상자의 허리뼈(lumbar spine) 부위에 위치시켰다. 연구 대상자는 압력 생체 되먹임 기구에 연결되어 있는 압력계를 보고 40 ㎜Hg인 상태에서 10 ㎜Hg를 증가시킨 후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훈련하였다. 이때 검사자는 연구 대상자에게 검사자는 대상자에게 들숨 시 복부가 약간 올라가며 날숨 할 때처럼 복부가 약간 들어가도록 배꼽을 위뒤쪽 방향 (허리뼈 방향)으로 당기도록 지시하였다(김은옥 등, 2019)(Figure 3).

    Figure 3

    압력 생체 되먹임 기구 및 사용

    AOSPT-19-2-81_F3.gif
    (2) 무릎관절 90˚ 굽힘 교각운동

    대상자에게 복부 압력을 유지하며 복부 드로잉-인을 실시하게 한다. 고니오미터를 이용하여 종아리뼈 가쪽의 정중선에 평행하게 고정팔을 두었고, 넙다리뼈 가쪽의 정 중선에 평행하게 운동팔을 두었다. 엉덩관절을 모음한 채 로 발바닥은 지면에 11자로 놓이게 하여 “엉덩이를 드세 요”라는 측정자의 지시에 따라 골반을 들어 올렸다(하유 등, 2013). 모든 실험은 10회 반복 3세트로 운동하였으며, 각각의 조건에서 10초간 유지하도록 하였다. 운동 시 근 육의 피로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 세트별 운동 후 30초간 의 휴식을 취하였다(Figure 4).

    Figure 4

    K/F 90˚ 교각자세 시작 전 ‧후

    AOSPT-19-2-81_F4.gif
    (3) 무릎관절 120˚ 굽힘 교각운동

    대상자에게 복부 압력을 유지하며 복부 드로잉-인을 실시하게 한다. 고니오미터를 이용하여 종아리뼈 가쪽의 정중선에 평행하게 고정팔을 두었고, 넙다리뼈 가쪽의 정 중선에 평행하게 운동팔을 두었다. 엉덩관절을 모음한 채 로 발바닥은 지면에 11자로 놓이게 하여 “엉덩이를 드세 요”라는 측정자의 지시에 따라 골반을 들어 올렸다(하유 등, 2013). 모든 실험은 10회 반복 3세트로 운동하였으며, 각각의 조건에서 10초간 유지하도록 하였다. 운동 시 근 육의 피로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 세트별 운동 후 30초간 의 휴식을 취하였다(Figure 5).

    Figure 5

    K/F 120˚ 교각자세 시작 전 ‧후

    AOSPT-19-2-81_F5.gif

    3. 자료분석

    본 연구는 복부 드로잉-인을 유지하며 엉덩관절 모음 을 동반한 교각운동 시 무릎관절 각도를 달리 하였을 때 복부 근두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무릎관절 90˚ 굽힘, 120˚ 굽힘한 집단으로 나누어 개별 집단의 운동훈련 결 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두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사용하였으며 통 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한 유의수준(α)은 0.05로 하였 고, SPSS 25.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배가로근 두께 비교

    운동 전ㆍ후 배가로근의 두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복 부 드로잉-인 기법 유지와 엉덩관절 모음을 동반하여 무 릎관절 각도를 달리하였을 때, 무릎관절 90˚ 굽힘에서 0.27㎜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5). 무릎관절 120° 굽힘 또한 0.04㎜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5). 무릎관절 90°, 120° 굽힘 간의 차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05)(Table 2).

    Table 2

    배가로근 두께 비교 (단위 : ㎜)

    muscle group pre post t p
    Transversus Abdominis K/F 90˚ 3.09 ± 1.88 3.36 ± 2.12 -1.477 .162
    K/F 120˚ 2.59 ± 1.03 2.63 ± 0.98 -1.598 .132
    t -1.379
    p .177

    K/F: Knee Flexion

    2. 배속빗근 두께 비교

    운동 전ㆍ후 배속빗근의 두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복 부 드로잉-인 기법 유지와 엉덩관절 모음을 동반하여 무 릎관절 각도를 달리하였을 때, 무릎관절 90˚ 굽힘에서 0.59㎜ 증가하였고(p<.05), 무릎관절 120˚ 굽힘 또한 0.14㎜로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무릎 관절 90°, 120° 굽힘 간의 차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Table 3).

    Table 3

    배속빗근 두께 비교 (단위 : ㎜)

    muscle group pre post t p
    Internal Oblique Abdominis K/F 90˚ 5.44 ± 2.78 6.03 ± 2.79 -2.369 .033
    K/F 120˚ 4.84 ± 1.71 4.97 ± 1.71 -4.228 .001
    t -2.945
    p .006

    K/F: Knee Flexion

    3. 배바깥빗근 두께 비교

    운동 전·후 배바깥빗근의 두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복부 드로잉-인 기법 유지와 엉덩관절 모음을 동반하여 무릎관절 각도를 달리하였을 때, 무릎관절 90˚ 굽힘 0.45 ㎜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그 러나 무릎관절 120˚ 굽힘에서 0.1㎜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p<.005). 무릎관절 90°, 120° 굽힘 간의 차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Table 4)(Figure 6)(Figure 7)(Figure 8).

    Figure 6

    배가로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의 두께 평균(단위=㎜)

    AOSPT-19-2-81_F6.gif
    Figure 7

    무릎 관절 90° 굽힘 교각 운동 시 근두께의 변화

    AOSPT-19-2-81_F7.gif
    Figure 8

    무릎 관절 120° 굽힘 교각 운동 시 근두께의 변화

    AOSPT-19-2-81_F8.gif
    Table 4

    배바깥빗근 두께 비교 (단위 : ㎜)

    muscle group pre post t p
    External Oblique Abdominis K/F 90˚ 3.24 ± 1.34 3.69 ± 1.13 -2.097 .055
    K/F 120˚ 3.37 ± 1.27 3.46 ± 1.27 -3.279 .005
    t -2.521
    p .017

    K/F: Knee Flexion

    Ⅳ. 고 찰

    본 연구는 엉덩관절 모음과 복부 드로잉-인 기법을 적 용한 교각운동을 시행했을 때 무릎관절의 각도에 따라 배 가로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 두께를 초음파 영상 분석 을 통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무릎관절 각도 90˚ 굽 힘 시 배속빗근 두께 증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무릎관절 각도 120˚ 굽힘 자세 또한 배속빗 근과 배바깥빗근의 두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두 군 모두 배가로근에서는 두께 증가를 보이긴 했으나, 유의한 차이를 미치진 못했다.

    초음파 진단은 구조물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운동성 을 파악할 수 있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초음파는 컴퓨 터 단층 촬영, 자기공명영상과는 다르게 정지 이미지뿐만 아니라 동영상으로 저장이 가능해 객관적이고 다양한 결 과를 얻을 수 있어(김명준 et al., 2017) 초음파 진단 시 실시간으로 근두께 변화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교각운동 적용 시 엉덩관절을 모음을 적용한 이유는 하 지 모음근 수축을 동반한 교각운동에 관한 연구(이건철 et al., 2014)를 참고하였을 때 배가로근을 선택적으로 강 화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였고, 이마면에서 엉덩관절을 중 립, 모음, 벌림으로 지정하고 배곧은근, 배바깥빗근, 배속 빗근의 근활성도를 비교한 연구(이원휘, 2019)에서는 이 마면에서 엉덩관절 모음을 적용한 교각운동이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의 근활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쳐 다른 자세 들에 비해 안정화에 효과적임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 교 각운동 시 복부 근육의 두께 증가를 위해 엉덩관절 모음을 적용하였다.

    지지면과 교각운동의 방법을 변화시켜 복부 근육의 근 활성도를 분석한 연구에서 배바깥빗근과 배속빗근의 활 성도가 배곧은근의 활성도보다 높게 나타났다(이정호, 2012). 또한 중심 안정성 운동을 적용한 교각운동 시 지지 면의 불안정 조건에 따라 복부 근육 중 배속빗근, 배바깥 빗근의 활성도가 배곧은근의 활성도보다 높게 나왔다(이 심철 et al., 2010). 본 연구에 적용하였을 때 무릎관절 90˚ 굽힘에서 배속빗근 근두께가 증가하고, 120˚ 굽힘 에서 배속빗근과 배바깥빗근에서 근두께가 증가한 이유 라고 볼 수 있다.

    교각운동 시 무릎관절 굽힘 각도를 45˚, 60˚, 90˚, 120˚로 설정한 연구에서 무릎관절을 120˚ 굽힘 후 교각 운동을 시행했을 때 배속빗근과 배바깥빗근이 최대 근활 성도를 보였다고 보고하였다(김경환 et al., 2010). 본 연 구 결과와 일치함을 고려해 보았을 때 무릎관절 각도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복부 근육 두께 증가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무릎관절 각도 에 따라 복부 근육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도 있으며, 각 무릎관절에 따른 근육의 증가 수준을 알게 되어 허리 통증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을 고안할 때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교각운동과 복부드로잉-인을 동시에 적용했을 때 배가 로근을 수축하게 되면 복부 근육들이 동시에 수축하여 속 근육과 겉근육이 모두 활성화 되어 복부 근육 전체에 영향 을 미친다고 보고하였고, 연구 결과 겉근육인 배바깥빗근 의 활성도가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김은옥 et al., 2009). 또한 무릎관절 각도를 90˚ 굽힘하고 복부 드로잉 -인을 적용한 교각 운동 시 배바깥빗근의 두께가 유의하 게 증가했다고 보고하였다(윤삼원과 구봉오, 2021). 반면 교각자세를 먼저 유지한 후 복부 드로잉-인을 적용하여 초음파 영상 측정을 하였을 때, 겉근육인 배곧은근과 배 바깥빗근의 두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지만, 속 근육인 배가로근과 배속빗근의 두께가 증가되어 속근육 만 선택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하유 et al., 2013). 본 연구에 적용했을 때 교각자세와 복부 드로 잉-인을 동시에 수행해 겉근육의 두께 감소를 방지하고, 복부의 속근육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을 거라 판 단하였다. 본 연구 또한 속근육인 배속빗근 근두께 평균 값이 가장 높게 도출되어 선행 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하 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교각운동 시 넙다리곧은근과 큰볼 기근 근활성에 대해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순수 복부 근력만으로 운동이 실시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판단된다. 또한 동일한 측정자일지라도 측정 시마다 탐촉자에 가해 지는 압력을 일정하게 통제할 수 없어 결과에 미세한 차이 를 보였을 거라 사료된다. 추후 연구로는 넙다리곧은근, 큰볼기근 단축을 고려하며 복부 근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20대 이상의 건강한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복부 드로잉-인을 유지하며 엉덩관절 모음을 동반한 교 각운동 시 무릎관절의 각도에 따른 배가로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 두께를 초음파로 확인하여 몸통 안정화 운동 을 계획하고 시행할 때 도움이 되고자 실시하였다.

    무릎관절 90˚ 굽힘에서 속근육인 배가로근, 겉근육인 배바깥빗근의 두께는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 다. 그러나 속근육인 배속빗근의 두께는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무릎관절 120˚ 굽힘에서 속근육인 배속 빗근과 겉근육인 배바깥빗근의 두께가 증가하여 통계학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무릎관절 120˚ 굽 힘 또한 배가로근의 두께는 변화가 있었으나, 유의한 차 이는 보이지 않았다. 무릎관절 90°, 120° 굽힘을 각각 비교 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허리 통증을 예방하고자 하는 정상 적인 사람들과 허리 통증으로 인해 몸통 안정화 운동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복부 드로잉-인을 유지한 채로 엉덩 관절을 모음한 교각운동을 했을 때 배속빗근과 배바깥빗 근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켜 몸통 안정화 운동을 보다 효 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허리 통증을 예방 할 수 있는 운동 방법으로 권고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AOSPT-19-2-81_F1.gif

    초음파 기계 및 측정 부위 (A:초음파 기계 B:도자 C:측정 부위 D:관찰 부위)

    AOSPT-19-2-81_F2.gif

    Goniometer

    AOSPT-19-2-81_F3.gif

    압력 생체 되먹임 기구 및 사용

    AOSPT-19-2-81_F4.gif

    K/F 90˚ 교각자세 시작 전 ‧후

    AOSPT-19-2-81_F5.gif

    K/F 120˚ 교각자세 시작 전 ‧후

    AOSPT-19-2-81_F6.gif

    배가로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의 두께 평균(단위=㎜)

    AOSPT-19-2-81_F7.gif

    무릎 관절 90° 굽힘 교각 운동 시 근두께의 변화

    AOSPT-19-2-81_F8.gif

    무릎 관절 120° 굽힘 교각 운동 시 근두께의 변화

    Table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30)

    K/F: Knee Flexion

    배가로근 두께 비교 (단위 : ㎜)

    K/F: Knee Flexion

    배속빗근 두께 비교 (단위 : ㎜)

    K/F: Knee Flexion

    배바깥빗근 두께 비교 (단위 : ㎜)

    K/F: Knee Flexion

    Reference

    1. 강지현, & 심재훈 (2015). 융합형 초음파 영상을 통한 세 가지 교각운동에 따른 몸통근육의 두께 비교. 한국융 합학회논문지, 6(5), 23-130.
    2. 김경환, 박래준, 장준혁, 이우형, & 기경일 (2010). 슬관절 각도에 따라 교각운동이 체간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 향. 대한물리의학회지, 5(3), 405-91.
    3. 김명준 외 (2017). 정형도수 물리치료학 총론. 현문사, pp. 158-169.
    4. 김은옥, 김택훈, 노정석, 신헌석, 최흥식, & 오동식 (2009). 교각운동 시 복부 드로잉-인 방법이 요부 전만과 체간 및 하지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 료학회지, 16(1), 1-9.
    5. 김지선, 김양현, 김은나, 김채린, & 서동권 (2016). 코어 안정화를 위한 운동의 효과 비교: 복부 드로우 인 기법, 최대 호기, 케겔 운동. 대한물리의학회지, 11(1), 83-91.
    6. 김현수, 이건철, & 배원식 (2017). 불안정 지지면에서 복부 드로잉-인 호흡을 동반한 교각운동 시 사용도구에따 른 복부 근육 두께 및 활성도 비교. 대한통합의학회지, 5(1), 25-34.
    7. 윤삼원, & 구봉오 (2021). 교각자세 또는 스태빌라이저를 이용한 복부 드로우-인 운동의 배가로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 두께 변화.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학회지, 3(19), 321-329.
    8. 이건철, 배원식, & 김지혁 (2014). 고관절 내전근 수축을 이용한 교각운동이 복부근육의 두께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9(2), 224-242.
    9. 이심철, 김택훈, 신헌석, & 노정석 (2010) 중심 안정성 운동 을 적용한 교각운동 시 지지면 불안정성이 체간 및 하지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 회지, 17(1), 17-24
    10. 이원휘 (2019). 교각운동 시 이마면에서 엉덩관절 위치가 배근육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지, 20(3), 224-230.
    11. 이정호 (2012). 지지면과 교각운동 방법 차이에 의한 체간근 활성도 변화(석사학위,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pp. 1-22.
    12. 전지혜, & 김선엽 (2017). 요추부 불안정성을 가진 요통환 자의 요추부 안정화 운동과 둔근 강화 운동이 통증, 기능장애 및 심리사회수준에 미치는 효과 비교. 대한 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23(2), 33-44.
    13. 최아영, & 박치복 (2019). 외발자전거 운동이 몸통 근육 두께의 미치는 영향. 정형스포츠물리치료학회지, 15(2), 87-94.
    14. 최유정, 손아름, 홍지헌, 유재호, 김진섭, & 이동엽 (2019). 골반 바닥근육을 이용한 복부 드로잉-인이 초음파 측 정 방법을 이용한 복부 근육 두께에 미치는 영향. 한국 융합학회논문지, 7(10), 93-100.
    15. 하유, 이건철, 배원식, & 조영재 (2013).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교각운동 시 복부 드로잉-인 운동이 복부 근육 의 두께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8(2), 231-238.
    16. Akuthota, V. , Ferreiro, A. , Moore, T. , & Fredericson, M. (2008). Core stability exercise principles. Curr Sports Medicine Reports, 7(1), 39-44.
    17. Arab, A. M. , & Chehrehrazi, M. (2011). The response of the abdominal muscles to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 in women with and without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sing ultrasound imaging. Neurourol Urodyn, 30(1), 117-120
    18. Granata, K. , Lee, P. , & Franklin, T. (2005). Co-contraction recruitment and spinal load during isometric trunk flexion and extension. Clin Biomec, 20(10), 1029-37.
    19. Hides, J. , Wilson, S. , & Station, W. (2006). An MRI investigation into the function of the transversus abdominis muscle during ‘drawing-in’ of the abdominal wall. Spine, 31(6), 175-178.
    20. Hodges, P. , Pengel, L. , & Herbert, R. (2003). Measurement of muscle contraction with ultrasound imaging. Muscle Nerve, 27(6), 682-692.
    21. Key, J. (2013). The core: Understanding it, and retraining its dysfunction. J Bodyw Mov Ther, 17(4), 541-559.
    22. Kim, B. J. , & Lee, S. K. (2017). Effects of three spinal stabilization techniques on activation and thickness of abdominal muscle. Journal of Exercise Rehabilitation, 13(2), 206-209.
    23. Kisner, C. , Colby, L. , & Borstad, J. (2017).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Fa Davis.
    24. Luciana, G. , Christoper, G. , Jane, L. , & James, H. (2013). Motor control exercise for persistent, nonspecific low back pain: A systematic review. Physical Therapy, 3(8), 62-73.
    25. Shari, A. , Rone, A. , Eric, S. , & Melissa, H. (2004). Physical therapists evaluation of the trunk flexors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The Internet Journal of Allied Health Sciences and Practice, 2(2), 1-9.
    26. Whittaker, J. , & Stokes, M. (2011). Ultrasound imaging and muscle function.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41(8), 572-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