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9 No.2 pp.81-90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23.19.2.09

Effects of Abdominal Drawing-In Technique and Hip Joint Adduction on Abdominal Muscle Thickness during Bridge Exercise according to Knee Angle*

Hyun min Jeong1, Se you Kim1, Ju eun Bae1, Ga eun Lee1, Ju hee Suh1, Cho hun Ji2, Hyun ju Jun3**
1College of Jeonju,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tudent
2Woori Family Clinic, Head Physical Therapist
3College of Jeonju,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Professor

* 본 연구는 2023학년도 전주비전대학교 전문대학혁신지원사업 지역특화 산학협력 융합연구과제 지원에 의하여 이루 어졌음


** 교신저자: 전현주 E-mail: juju98jhj@hanmail.net
December 8, 2023 December 21, 2023 December 23, 2023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changes in the muscle thickness of the Transversus abdominis, Internal oblique, and External oblique muscles by applying the abdominal drawing-in while maintaining hip joint adduction using ultrasound.


Methods:

Thirty healthy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located in J City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participants performed the bridge posture while maintaining hip joint adduction, with the knee joint bending angle was set to 90° and 120°, and the abdominal drawing-in applied. The exercises were performed thre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four weeks, and after applying exercise, the thickness of the Transversus abdominis, Internal oblique, and External oblique muscles were measured using ultrasound. After applying the exercise,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effects of individual exercise training, and the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each group.


Results: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α<0.05.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uscle thickness of the Internal obliqu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90˚ flexion of the knee joint (p>.05). Internal and External oblique muscle thicknes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120˚ flexion of the knee joint (p>.05).


Conclusion:

When the knee joint angle is 90° and 120°, with the bridge exercise in place, and the abdominal drawing-in applied, back pain can be prevented by selectively activating the Internal oblique External oblique muscles.



무릎 각도에 따른 교각운동 시 복부 드로잉-인 기법과 엉덩관절 모음이 복부 근두께에 미치는 영향*

정현민1, 김세유1, 배주은1, 이가은1, 서주희1, 지초훈2, 전현주3**
1전주비전대학교 물리치료학과, 학생
2우리가정의원, 실장
3전주비전대학교 물리치료학과, 교수

초록


    Ⅰ. 서 론

    현대인들의 컴퓨터 과다 사용, 운동 부족, 부적절한 학 습 자세 등 바르지 못한 생활 습관을 통해 신체의 근육 형태와 뼈대 구조 변화에 영향을 주어 비정상적인 자세를 초래하며(최아영 & 박치복, 2019), 이로 인해 허리에 통증 을 유발하게 된다. 잘못된 자세로 인해 유발된 허리 통증 을 예방하기 위해 예전부터 현대인들에게 몸통 안정화 근 육들의 강화가 요구되어 왔는데(김지선, 2016), 신체 중심 에 위치한 몸통 안정화 근육들은 허리 통증 예방, 운동 능력 향상 및 부상 방지 등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데에 매 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Akuthota et al., 2008).

    안정화 운동과 관련된 몸통 근육은 겉근육(global muscle) 과 속근육(local muscle)으로 나뉘어 겉근육계는 배바깥빗 근, 속근육계는 배속빗근과 배가로근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하유 등, 2013). 속근육인 배속빗근과 배가로근은 척추에 직접 연결되어 척추의 세밀한 조절과 척추 분절 간에 안정 성을 제공하고, 몸통의 모든 움직임에 있어서 다른 근육보 다 먼저 수축하여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배바깥빗근과 같은 겉근육은 주로 힘을 생성하여 골반과 몸통의 큰 움직임을 만들어 몸통의 안정화와 운동성이라는 두 가지 기능을 수행에 관여한다. 허리 통증은 안정성을 제공하는 속근육의 약화로 인해 겉근육에서 보상작용이 나타나 발생하게 된다(Shari A et al., 2004).

    안정화 운동의 목적은 근육과 움직임의 조절 능력을 회 복시키는 것으로 최근에는 허리 통증이 없는 정상적인 사 람들에게도 몸통 안정화를 위해 치료적 운동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통증을 예방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권고되고 있는 운동 방법 중 하나이다(Arab, & Chehrehrazi, 2011;Key, 2013). 몸통 안정화 운동은 복부 근육 강화에 적용되 는데, 이는 임상에서 허리 통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흔히 쓰이는 방법으로 복부 근육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운동을 사용하여 허리의 통증을 경감시킨다(Granata et al., 2005). 몸통 안정화 운동 중 교각운동은 임상과 가정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어지며, 교각운동은 무릎을 세워 누운 자세에서 발에 체중부하와 함께 무릎서기 자세를 수행하 기 위한 중요한 동작임과 동시에 속근육과 겉근육을 적절 한 비율로 활성화시켜 근육의 협력 패턴을 재교육하는 운 동이다(전지혜 & 김선엽, 2017). 교각운동은 몸통 근육에 중점을 두어 허리뼈에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고, 팔다리 움직임 동안 주위 근육들의 협응 작용과 상호보완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척추 주변 조직들에 가해지는 반복적 인 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시행된다(이건철 et al., 2014).

    교각운동의 방법 중 이마면에서 엉덩관절을 모음하였 을 때 배속빗근과 배바깥빗근의 근력이 유의하게 증가함 을 알 수 있었으며, 좁아진 기저면을 통해 몸통 안정화 근육이 사용되면서 복부 근두께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이원휘, 2017). 교각운동 시 무릎관절 굽힘 각도를 90˚와 120˚로 설정하였을 때 120˚에서 배속빗근의 근 활성도 증가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무릎관절 굽힘 각도가 감소함에 따라 배곧은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의 최소 근활성도가 나온 것으로 보아 교각운동 시 무릎관절 굽힘 각도를 증가시켰을 때 복부 근육의 근활성도가 최대 가 됨을 알 수 있었다(김경환 et al., 2010).

    복부 드로잉-인(Abdominal drawing-in) 기법은 배가 로근과 배속빗근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법으로 권고되고 있는데(Luciana G & Macedo, 2013), 복부 벽을 안쪽으로 당김 해 복부 안쪽 압력을 증가시켜 배가로근과 배속빗근 을 수축하는 방법으로 배가로근이 다른 근육의 동시수축 을 유도하여 골반의 앞기울임이나 과도한 허리의 앞굽음 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중재이다(Kisner & Colby, 2017). 교각운동과 복부드로잉-인을 동시에 적용했을 때 배가로근을 수축하게 되면 다른 복부 근육들이 동시에 수 축하여 속근육인 배속빗근, 배가로근 뿐만 아니라 겉근육 인 배바깥빗근, 배곧은근까지 활성화 되어 복부 근육 전 체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김은옥 등, 2009).

    연구에서는 중재 전, 후 초음파를 이용하여 복부 근두 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최근 임상에서 질병의 진단과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활용되는 초음파(US)는 몸통 근육들의 크기와 활동 상태 를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한 비침습성(noninvasive) 도구이 다(강지현 & 심재훈, 2015). 초음파는 근육의 구조와 기능 을 쉽게 평가할 수 있으며, 안전하고, 다른 기구들에 비해 경제적이라는 이점을 가지도 있어 최근 물리치료사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평가 장비이다(Whittaker & Stokes, 2011). 초음파 영상 장비는 복부 근두께 및 면적을 측정하 기에 용이하여 몸통 안정화 운동 방법의 연구에 자주 사용 되고 있다(Hodges et al., 2003). 이전의 연구 결과를 토대 로 복부 근육에 있어 근육의 두께 변화를 측정하는 초음파 는 컴퓨터 단층활영, 자기공명영상 그리고 근전도와 비교 하였을 때 신뢰도가 높고 타당성이 있는 평가 시스템이라 고 보고하여(Hides J et al., 2006) 본 연구에서도 초음파 를 통해 복부 근육을 측정하였다.

    지금까지 교각운동이 복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이 나 교각자세를 유지하며 복부 근두께를 초음파로 실시간 확인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 운동 후 근두께 변화에 관련된 초음파 연구가 미비하고, 엉덩관절 자세와 연관하 여 무릎관절 각도 변화에 따른 교각운동이 복부 근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부 드로잉-인을 유지한 채로 엉덩관절을 모 음을 동반한 교각운동 시 무릎관절 각도에 따라 복부 근두 께 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초음파를 통하여 근두 께 변화를 알아보고 이를 물리치료 임상기초자료 분야에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J시에 소재한 20대 이상의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15명씩 실험군으로 연 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연구 대상자는 실험에 참여하기 전 연구 목적과 참여 방법에 대하여 충분한 설명을 듣고, 자발적인 동의를 받았다. 연구 대상자에서 최근 6개월 이 내에 정형외과적 수술을 받은 자, 근골격계 질환에 의해 관절가동범위에 이상이 있는 자, 최근 6개월 이내에 허리 통증이나 정형외과적 장애와 통증을 경험한 자는 제외하 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 1).

    Table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30)

    일반적 특성 K/F 90˚ K/F 120˚
    나이(세) 23±3.03 22.93±3.49
    키(㎝) 168.07±10.88 170.6±10.89
    몸무게(㎏) 66.6±11.57 68.53±15.95

    K/F: Knee Flexion

    2. 측정도구 및 측정방법

    1) 연구 절차

    실험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연구 대상자의 배가로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의 근두께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이름, 성별 등을 이용하여 각 군에 15명씩 무작 위 배정 분류하여 총 4주 간, 주당 3회씩 운동을 실시한 후 같은 위치를 초음파로 재측정하였다.

    2) 측정 도구

    (1) 초음파 영상 장치 (Ultra Sound)

    실험대상자에 대한 운동 전·후 복부 근육의 두께를 측 정하기 위해 진단용 초음파 측정기구(GE Voluson e, GE Healthcare, Austria)를 사용하였으며, 선형태의 탐촉자 (Linear probe)로 촬영하였다. 영상촬영은 객관성 유지를 위해 주파수는 3~12MHz로 고정하였으며 복부근육의 근 막선이 가급적 화면에서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깊이 를 조절하였다.

    배가로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의 측정부위는 대상자 의 배 오른쪽 아래 방향으로 배꼽과 나란하게 하여 안쪽으 로 2cm, 아래쪽으로 2cm 되는 부분이다. 각 근육의 두께 측정은 영상의 정중앙에서 수직선을 그어 흰색 영상으로 나타나는 근막의 윗경계 끝지점에서 아래 경계 끝지점을 연결하여 길이를 측정하였다(하유 등, 2013)(Figure 1).

    Figure 1

    초음파 기계 및 측정 부위 (A:초음파 기계 B:도자 C:측정 부위 D:관찰 부위)

    AOSPT-19-2-81_F1.gif
    (2) Goniometer

    엉덩관절의 위치 및 교각 자세의 무릎 각도를 정확하게 위치하기 위해 각도계를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실험 자 세를 통제하였다(이원휘, 2019)(Figure 2).

    Figure 2

    Goniometer

    AOSPT-19-2-81_F2.gif

    3) 실험 방법11

    (1) 복부 드로잉-인

    정확한 실험을 위해 압력 생체 되먹임 기구를 이용하여 복부 압력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손바닥이 지면으로 향하 게 두고 엉덩관절 45˚, 무릎관절 각도를 각각 90˚, 120˚ 굽혀 누운 자세에서 실시하였다(최유정 등, 2019). 복부 드로잉-인 동안 압력 생체 되먹임 기구는 연구 대상자의 허리뼈(lumbar spine) 부위에 위치시켰다. 연구 대상자는 압력 생체 되먹임 기구에 연결되어 있는 압력계를 보고 40 ㎜Hg인 상태에서 10 ㎜Hg를 증가시킨 후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훈련하였다. 이때 검사자는 연구 대상자에게 검사자는 대상자에게 들숨 시 복부가 약간 올라가며 날숨 할 때처럼 복부가 약간 들어가도록 배꼽을 위뒤쪽 방향 (허리뼈 방향)으로 당기도록 지시하였다(김은옥 등, 2019)(Figure 3).

    Figure 3

    압력 생체 되먹임 기구 및 사용

    AOSPT-19-2-81_F3.gif
    (2) 무릎관절 90˚ 굽힘 교각운동

    대상자에게 복부 압력을 유지하며 복부 드로잉-인을 실시하게 한다. 고니오미터를 이용하여 종아리뼈 가쪽의 정중선에 평행하게 고정팔을 두었고, 넙다리뼈 가쪽의 정 중선에 평행하게 운동팔을 두었다. 엉덩관절을 모음한 채 로 발바닥은 지면에 11자로 놓이게 하여 “엉덩이를 드세 요”라는 측정자의 지시에 따라 골반을 들어 올렸다(하유 등, 2013). 모든 실험은 10회 반복 3세트로 운동하였으며, 각각의 조건에서 10초간 유지하도록 하였다. 운동 시 근 육의 피로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 세트별 운동 후 30초간 의 휴식을 취하였다(Figure 4).

    Figure 4

    K/F 90˚ 교각자세 시작 전 ‧후

    AOSPT-19-2-81_F4.gif
    (3) 무릎관절 120˚ 굽힘 교각운동

    대상자에게 복부 압력을 유지하며 복부 드로잉-인을 실시하게 한다. 고니오미터를 이용하여 종아리뼈 가쪽의 정중선에 평행하게 고정팔을 두었고, 넙다리뼈 가쪽의 정 중선에 평행하게 운동팔을 두었다. 엉덩관절을 모음한 채 로 발바닥은 지면에 11자로 놓이게 하여 “엉덩이를 드세 요”라는 측정자의 지시에 따라 골반을 들어 올렸다(하유 등, 2013). 모든 실험은 10회 반복 3세트로 운동하였으며, 각각의 조건에서 10초간 유지하도록 하였다. 운동 시 근 육의 피로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 세트별 운동 후 30초간 의 휴식을 취하였다(Figure 5).

    Figure 5

    K/F 120˚ 교각자세 시작 전 ‧후

    AOSPT-19-2-81_F5.gif

    3. 자료분석

    본 연구는 복부 드로잉-인을 유지하며 엉덩관절 모음 을 동반한 교각운동 시 무릎관절 각도를 달리 하였을 때 복부 근두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무릎관절 90˚ 굽힘, 120˚ 굽힘한 집단으로 나누어 개별 집단의 운동훈련 결 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두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사용하였으며 통 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한 유의수준(α)은 0.05로 하였 고, SPSS 25.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배가로근 두께 비교

    운동 전ㆍ후 배가로근의 두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복 부 드로잉-인 기법 유지와 엉덩관절 모음을 동반하여 무 릎관절 각도를 달리하였을 때, 무릎관절 90˚ 굽힘에서 0.27㎜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5). 무릎관절 120° 굽힘 또한 0.04㎜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5). 무릎관절 90°, 120° 굽힘 간의 차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05)(Table 2).

    Table 2

    배가로근 두께 비교 (단위 : ㎜)

    muscle group pre post t p
    Transversus Abdominis K/F 90˚ 3.09 ± 1.88 3.36 ± 2.12 -1.477 .162
    K/F 120˚ 2.59 ± 1.03 2.63 ± 0.98 -1.598 .132
    t -1.379
    p .177

    K/F: Knee Flexion

    2. 배속빗근 두께 비교

    운동 전ㆍ후 배속빗근의 두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복 부 드로잉-인 기법 유지와 엉덩관절 모음을 동반하여 무 릎관절 각도를 달리하였을 때, 무릎관절 90˚ 굽힘에서 0.59㎜ 증가하였고(p<.05), 무릎관절 120˚ 굽힘 또한 0.14㎜로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무릎 관절 90°, 120° 굽힘 간의 차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Table 3).

    Table 3

    배속빗근 두께 비교 (단위 : ㎜)

    muscle group pre post t p
    Internal Oblique Abdominis K/F 90˚ 5.44 ± 2.78 6.03 ± 2.79 -2.369 .033
    K/F 120˚ 4.84 ± 1.71 4.97 ± 1.71 -4.228 .001
    t -2.945
    p .006

    K/F: Knee Flexion

    3. 배바깥빗근 두께 비교

    운동 전·후 배바깥빗근의 두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복부 드로잉-인 기법 유지와 엉덩관절 모음을 동반하여 무릎관절 각도를 달리하였을 때, 무릎관절 90˚ 굽힘 0.45 ㎜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그 러나 무릎관절 120˚ 굽힘에서 0.1㎜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p<.005). 무릎관절 90°, 120° 굽힘 간의 차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Table 4)(Figure 6)(Figure 7)(Figure 8).

    Figure 6

    배가로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의 두께 평균(단위=㎜)

    AOSPT-19-2-81_F6.gif
    Figure 7

    무릎 관절 90° 굽힘 교각 운동 시 근두께의 변화

    AOSPT-19-2-81_F7.gif
    Figure 8

    무릎 관절 120° 굽힘 교각 운동 시 근두께의 변화

    AOSPT-19-2-81_F8.gif
    Table 4

    배바깥빗근 두께 비교 (단위 : ㎜)

    muscle group pre post t p
    External Oblique Abdominis K/F 90˚ 3.24 ± 1.34 3.69 ± 1.13 -2.097 .055
    K/F 120˚ 3.37 ± 1.27 3.46 ± 1.27 -3.279 .005
    t -2.521
    p .017

    K/F: Knee Flexion

    Ⅳ. 고 찰

    본 연구는 엉덩관절 모음과 복부 드로잉-인 기법을 적 용한 교각운동을 시행했을 때 무릎관절의 각도에 따라 배 가로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 두께를 초음파 영상 분석 을 통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무릎관절 각도 90˚ 굽 힘 시 배속빗근 두께 증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무릎관절 각도 120˚ 굽힘 자세 또한 배속빗 근과 배바깥빗근의 두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두 군 모두 배가로근에서는 두께 증가를 보이긴 했으나, 유의한 차이를 미치진 못했다.

    초음파 진단은 구조물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운동성 을 파악할 수 있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초음파는 컴퓨 터 단층 촬영, 자기공명영상과는 다르게 정지 이미지뿐만 아니라 동영상으로 저장이 가능해 객관적이고 다양한 결 과를 얻을 수 있어(김명준 et al., 2017) 초음파 진단 시 실시간으로 근두께 변화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교각운동 적용 시 엉덩관절을 모음을 적용한 이유는 하 지 모음근 수축을 동반한 교각운동에 관한 연구(이건철 et al., 2014)를 참고하였을 때 배가로근을 선택적으로 강 화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였고, 이마면에서 엉덩관절을 중 립, 모음, 벌림으로 지정하고 배곧은근, 배바깥빗근, 배속 빗근의 근활성도를 비교한 연구(이원휘, 2019)에서는 이 마면에서 엉덩관절 모음을 적용한 교각운동이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의 근활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쳐 다른 자세 들에 비해 안정화에 효과적임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 교 각운동 시 복부 근육의 두께 증가를 위해 엉덩관절 모음을 적용하였다.

    지지면과 교각운동의 방법을 변화시켜 복부 근육의 근 활성도를 분석한 연구에서 배바깥빗근과 배속빗근의 활 성도가 배곧은근의 활성도보다 높게 나타났다(이정호, 2012). 또한 중심 안정성 운동을 적용한 교각운동 시 지지 면의 불안정 조건에 따라 복부 근육 중 배속빗근, 배바깥 빗근의 활성도가 배곧은근의 활성도보다 높게 나왔다(이 심철 et al., 2010). 본 연구에 적용하였을 때 무릎관절 90˚ 굽힘에서 배속빗근 근두께가 증가하고, 120˚ 굽힘 에서 배속빗근과 배바깥빗근에서 근두께가 증가한 이유 라고 볼 수 있다.

    교각운동 시 무릎관절 굽힘 각도를 45˚, 60˚, 90˚, 120˚로 설정한 연구에서 무릎관절을 120˚ 굽힘 후 교각 운동을 시행했을 때 배속빗근과 배바깥빗근이 최대 근활 성도를 보였다고 보고하였다(김경환 et al., 2010). 본 연 구 결과와 일치함을 고려해 보았을 때 무릎관절 각도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복부 근육 두께 증가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무릎관절 각도 에 따라 복부 근육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도 있으며, 각 무릎관절에 따른 근육의 증가 수준을 알게 되어 허리 통증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을 고안할 때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교각운동과 복부드로잉-인을 동시에 적용했을 때 배가 로근을 수축하게 되면 복부 근육들이 동시에 수축하여 속 근육과 겉근육이 모두 활성화 되어 복부 근육 전체에 영향 을 미친다고 보고하였고, 연구 결과 겉근육인 배바깥빗근 의 활성도가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김은옥 et al., 2009). 또한 무릎관절 각도를 90˚ 굽힘하고 복부 드로잉 -인을 적용한 교각 운동 시 배바깥빗근의 두께가 유의하 게 증가했다고 보고하였다(윤삼원과 구봉오, 2021). 반면 교각자세를 먼저 유지한 후 복부 드로잉-인을 적용하여 초음파 영상 측정을 하였을 때, 겉근육인 배곧은근과 배 바깥빗근의 두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지만, 속 근육인 배가로근과 배속빗근의 두께가 증가되어 속근육 만 선택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하유 et al., 2013). 본 연구에 적용했을 때 교각자세와 복부 드로 잉-인을 동시에 수행해 겉근육의 두께 감소를 방지하고, 복부의 속근육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을 거라 판 단하였다. 본 연구 또한 속근육인 배속빗근 근두께 평균 값이 가장 높게 도출되어 선행 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하 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교각운동 시 넙다리곧은근과 큰볼 기근 근활성에 대해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순수 복부 근력만으로 운동이 실시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판단된다. 또한 동일한 측정자일지라도 측정 시마다 탐촉자에 가해 지는 압력을 일정하게 통제할 수 없어 결과에 미세한 차이 를 보였을 거라 사료된다. 추후 연구로는 넙다리곧은근, 큰볼기근 단축을 고려하며 복부 근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20대 이상의 건강한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복부 드로잉-인을 유지하며 엉덩관절 모음을 동반한 교 각운동 시 무릎관절의 각도에 따른 배가로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 두께를 초음파로 확인하여 몸통 안정화 운동 을 계획하고 시행할 때 도움이 되고자 실시하였다.

    무릎관절 90˚ 굽힘에서 속근육인 배가로근, 겉근육인 배바깥빗근의 두께는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 다. 그러나 속근육인 배속빗근의 두께는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무릎관절 120˚ 굽힘에서 속근육인 배속 빗근과 겉근육인 배바깥빗근의 두께가 증가하여 통계학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무릎관절 120˚ 굽 힘 또한 배가로근의 두께는 변화가 있었으나, 유의한 차 이는 보이지 않았다. 무릎관절 90°, 120° 굽힘을 각각 비교 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허리 통증을 예방하고자 하는 정상 적인 사람들과 허리 통증으로 인해 몸통 안정화 운동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복부 드로잉-인을 유지한 채로 엉덩 관절을 모음한 교각운동을 했을 때 배속빗근과 배바깥빗 근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켜 몸통 안정화 운동을 보다 효 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허리 통증을 예방 할 수 있는 운동 방법으로 권고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AOSPT-19-2-81_F1.gif

    초음파 기계 및 측정 부위 (A:초음파 기계 B:도자 C:측정 부위 D:관찰 부위)

    AOSPT-19-2-81_F2.gif

    Goniometer

    AOSPT-19-2-81_F3.gif

    압력 생체 되먹임 기구 및 사용

    AOSPT-19-2-81_F4.gif

    K/F 90˚ 교각자세 시작 전 ‧후

    AOSPT-19-2-81_F5.gif

    K/F 120˚ 교각자세 시작 전 ‧후

    AOSPT-19-2-81_F6.gif

    배가로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의 두께 평균(단위=㎜)

    AOSPT-19-2-81_F7.gif

    무릎 관절 90° 굽힘 교각 운동 시 근두께의 변화

    AOSPT-19-2-81_F8.gif

    무릎 관절 120° 굽힘 교각 운동 시 근두께의 변화

    Table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30)

    K/F: Knee Flexion

    배가로근 두께 비교 (단위 : ㎜)

    K/F: Knee Flexion

    배속빗근 두께 비교 (단위 : ㎜)

    K/F: Knee Flexion

    배바깥빗근 두께 비교 (단위 : ㎜)

    K/F: Knee Flexion

    Reference

    1. 강지현, & 심재훈 (2015). 융합형 초음파 영상을 통한 세 가지 교각운동에 따른 몸통근육의 두께 비교. 한국융 합학회논문지, 6(5), 23-130.
    2. 김경환, 박래준, 장준혁, 이우형, & 기경일 (2010). 슬관절 각도에 따라 교각운동이 체간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 향. 대한물리의학회지, 5(3), 405-91.
    3. 김명준 외 (2017). 정형도수 물리치료학 총론. 현문사, pp. 158-169.
    4. 김은옥, 김택훈, 노정석, 신헌석, 최흥식, & 오동식 (2009). 교각운동 시 복부 드로잉-인 방법이 요부 전만과 체간 및 하지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 료학회지, 16(1), 1-9.
    5. 김지선, 김양현, 김은나, 김채린, & 서동권 (2016). 코어 안정화를 위한 운동의 효과 비교: 복부 드로우 인 기법, 최대 호기, 케겔 운동. 대한물리의학회지, 11(1), 83-91.
    6. 김현수, 이건철, & 배원식 (2017). 불안정 지지면에서 복부 드로잉-인 호흡을 동반한 교각운동 시 사용도구에따 른 복부 근육 두께 및 활성도 비교. 대한통합의학회지, 5(1), 25-34.
    7. 윤삼원, & 구봉오 (2021). 교각자세 또는 스태빌라이저를 이용한 복부 드로우-인 운동의 배가로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 두께 변화.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학회지, 3(19), 321-329.
    8. 이건철, 배원식, & 김지혁 (2014). 고관절 내전근 수축을 이용한 교각운동이 복부근육의 두께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9(2), 224-242.
    9. 이심철, 김택훈, 신헌석, & 노정석 (2010) 중심 안정성 운동 을 적용한 교각운동 시 지지면 불안정성이 체간 및 하지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 회지, 17(1), 17-24
    10. 이원휘 (2019). 교각운동 시 이마면에서 엉덩관절 위치가 배근육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지, 20(3), 224-230.
    11. 이정호 (2012). 지지면과 교각운동 방법 차이에 의한 체간근 활성도 변화(석사학위,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pp. 1-22.
    12. 전지혜, & 김선엽 (2017). 요추부 불안정성을 가진 요통환 자의 요추부 안정화 운동과 둔근 강화 운동이 통증, 기능장애 및 심리사회수준에 미치는 효과 비교. 대한 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23(2), 33-44.
    13. 최아영, & 박치복 (2019). 외발자전거 운동이 몸통 근육 두께의 미치는 영향. 정형스포츠물리치료학회지, 15(2), 87-94.
    14. 최유정, 손아름, 홍지헌, 유재호, 김진섭, & 이동엽 (2019). 골반 바닥근육을 이용한 복부 드로잉-인이 초음파 측 정 방법을 이용한 복부 근육 두께에 미치는 영향. 한국 융합학회논문지, 7(10), 93-100.
    15. 하유, 이건철, 배원식, & 조영재 (2013).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교각운동 시 복부 드로잉-인 운동이 복부 근육 의 두께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8(2), 231-238.
    16. Akuthota, V. , Ferreiro, A. , Moore, T. , & Fredericson, M. (2008). Core stability exercise principles. Curr Sports Medicine Reports, 7(1), 39-44.
    17. Arab, A. M. , & Chehrehrazi, M. (2011). The response of the abdominal muscles to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 in women with and without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sing ultrasound imaging. Neurourol Urodyn, 30(1), 117-120
    18. Granata, K. , Lee, P. , & Franklin, T. (2005). Co-contraction recruitment and spinal load during isometric trunk flexion and extension. Clin Biomec, 20(10), 1029-37.
    19. Hides, J. , Wilson, S. , & Station, W. (2006). An MRI investigation into the function of the transversus abdominis muscle during ‘drawing-in’ of the abdominal wall. Spine, 31(6), 175-178.
    20. Hodges, P. , Pengel, L. , & Herbert, R. (2003). Measurement of muscle contraction with ultrasound imaging. Muscle Nerve, 27(6), 682-692.
    21. Key, J. (2013). The core: Understanding it, and retraining its dysfunction. J Bodyw Mov Ther, 17(4), 541-559.
    22. Kim, B. J. , & Lee, S. K. (2017). Effects of three spinal stabilization techniques on activation and thickness of abdominal muscle. Journal of Exercise Rehabilitation, 13(2), 206-209.
    23. Kisner, C. , Colby, L. , & Borstad, J. (2017).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Fa Davis.
    24. Luciana, G. , Christoper, G. , Jane, L. , & James, H. (2013). Motor control exercise for persistent, nonspecific low back pain: A systematic review. Physical Therapy, 3(8), 62-73.
    25. Shari, A. , Rone, A. , Eric, S. , & Melissa, H. (2004). Physical therapists evaluation of the trunk flexors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The Internet Journal of Allied Health Sciences and Practice, 2(2), 1-9.
    26. Whittaker, J. , & Stokes, M. (2011). Ultrasound imaging and muscle function.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41(8), 572-580.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