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9 No.2 pp.49-59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23.19.2.06

Effects of Foam Roller, Massage Gun, and FDM Technique on Neck Movement and Pain in Adults with Neck Pain

Sung-Kwang Ju*
Kaya University,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professor
* 교신저자: 주성광 E-mail: jskwang84@hanmail.net
November 18, 2023 November 18, 2023 December 8, 2023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foam rollers, massage guns, and fascial distortion model (FDM) technique for neck pain(NP).


Methods:

The study included 30 subjects with neck pain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foam roller group (10), massage gun group (10), and FDM group (10). All subjects were assessed for cervical range of motion (ROM), visual analog scale (VAS) and upper trapezius tone. Each subject received the intervention twice a week for three week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vealed by a repeated measuremen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The foam roller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OM and VAS between pre-intervention and three weeks (p<0.05). The massage gun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ROM between pre-intervention and three weeks (p<0.05). The FDM group showed an significant difference in ROM, VAS score, and muscle tone in all weeks (p<0.05).


Conclusion:

This study results showed that a foam roller, massage gun, and the fascial distortion model (FDM) technique are effective in improving cervical ROM, pain and upper trapezius muscle tone in subjects with NP. The FDM technique is recommended over foam rollers or massage guns for short-term treatment.



목통증을 가진 성인에서 폼롤러, 마사지건, FDM 기법이 목 움직임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주성광*
가야대학교 물리치료학과, 교수

초록


    Ⅰ. 서 론

    목통증은 컴퓨터, 자동차 사용 등 현대사회에서의 좌식 생활의 증가와 지속적인 스트레스 및 부하로 인해 발생된 다. 이러한 증상 발생 시 6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성화의 비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부담이 높은 질환이 될 수 있다. 또한 역학적 목통증은 자세와 움직임과 관련 된 역학적 부하와 관계가 있으며, 목통증의 원인에 대한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지만 목의 관절, 신경조직, 척추 사이원반, 인대, 근육과 같은 다양한 해부학적 구조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2022). 목통증은 특 이성과 비특이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특이성 통증은 외 상, 감염성, 퇴행성 질환이 원인이며, 비특이성 통증은 구 체적인 근거는 밝혀지진 않았지만 잘못된 습관성 자세 등 으로 인해 근육뼈대계 목통증을 호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Viljanen et al., 2003). 목통증을 유발하는 근육들은 목빗근(sternocleidomastoid muscle), 위등세모근(upper trapezius muscle), 뒤통수밑근(Suboccipital muscles), 어깨올림근(Levator scapulae) 등이 있다(Ko & Jeon, 2020). 그 중 위등세모근(upper trapezius muscle)의 문 제는 만성 어깨 통증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증상 이며 이 부위의 만성적인 긴장 상태는 목과 어깨 부위에서 통증을 발생시키고 목뼈의 관절가동범위를 감소시키게 된다(Lee et al., 2021).

    최근 임상 및 많은 연구들에서 목통증을 개선하기 위한 중재로는 관절가동기술, 도수교정, PNF(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스트레칭기법, 기계적 스트 레칭 등 다양한 중재법이 적용되어지고 있다(Kwon et al., 2010). 최근 임상에서는 목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목 뼈분절에 적용하는 도수 교정 치료와 조직 심부에 열을 공급하여 미세한 마사지를 통해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초음파치료를 중재하고 있다(Park & Park, 2021). 마사지 건을 이용한 근막이완 치료법은 손상된 근조직에서 발생 하는 경직 및 근막의 유착을 완화시키고 근육조직의 신장 력을 향상시키며 혈관확장과 함께 세포에 적절한 산소 및 영양 공급을 통해 통증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 져 있다. 마사지건은 시간, 강도, 편의성 면에서 수기로 하는 마사지 보다 표준화된 중재로 적용할 수 있으며, 특 정부위들을 제외한 다양한 부위에 자가적용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Choi & Yoon, 2020). 폼롤러를 활용한 근막 이완 치료법은 근육, 힘줄, 근막 및 연부조직 의 긴장을 쉽게 풀어주고 관절의 운동 범위를 비교적 급격하게 향상 시키는 비교적 간단한 기술이다(Okemoto et al., 2014). 선행연구에 따르면 폼롤러로 근막이완을 받은 사람들이 목의 통증강도를 훨씬 덜 느꼈고 목의 운동성에 개선을 보였다(Saratchandran & Desai, 2013).

    근막변형모델(Fascil distortion model, FDM)은 치료사 의 손을 이용한 강한 압력을 통해 뒤틀리거나 찢어진 형태 의 근막변형을 원래대로 회복시켜주는 기법이다(Kim & Kwon, 2023). 근막의 변형은 근육 뼈대계를 손상시키며, 이러한 근막에 물리적인 외력으로 강한 압력을 줌으로써 원래의 상태로 회복할 수 있다는 가설을 바탕으로 시행하 는 것이다. 근막들이 외부의 충격이나 부하를 받음으로 인해 변형이 생겨 통증을 유발한다고 하였으며, 근막 변 형의 유형은 밴드형 근막변형(bend distortion), 접힘 변 형(folding distortion) ,코일형 변형(cylinder dictortion), 줄무늬 변형(continumdistortion) 등으로 구분된다(Park & Kim, 2020). FDM 기법은 빠른 시간 안에 통증이나 기 능 부전을 개선시킬 수 있고 즉각적인 관절가동범위 증진 에 효과적이다(Kim & Lee, 2019).

    선행연구에서는 목통증과 관련하여 마사지건, 폼롤러 등을 사용한 근막이완 치료법에 대해 초점이 맞춰진 연구 가 진행되었다. 또한 목통증에 대한 폼롤러의 효과, 마사 지건을 활용한 치료가 위등세모근에 미치는 영향 등의 다 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마사지건과 폼롤러 그리고 FDM 3가지 중재를 동일 조건에서 각각 진행하여 관절가 동범위 및 근막의 변화에 대한 차이점을 알아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목통증을 가 진 폼롤러, 마사지건과 FDM을 적용하여 VAS, 목의 관절 가동범위, 근육의 긴장도의 변화를 비교 및 분석을 통해 목통증을 가진 대상자들에 대한 효과적인 중재법을 알아 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는 목통증이 있는 젊은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대상자의 선정기준은 목에 대한 수술이나 진 단 받은 병력이 없는 자 중 목 장애 지수 검사 목 장애 지수(Neck disability index; NDI) 의 점수 5~15점 사이인 경미한 장애 이상인 자를 기준으로 하였다. 제외기준은 최근 골절, 뇌종양, 고혈압, 뼈엉성증 환자, 대사증후군, 류마티스 관절염, 자율신경장애를 경험하였거나 현재 진 단 받은 자로 하였다(Hall et al., 2007). 본 연구는 목의 경미한 장애이상의 젊은 성인 30명을 표본 추출하여 무작 위로 근막변형모델(fascial distortion model, FDM)를 중 재한 집단 10명, 마사지건(MG)를 중재한 집단 10명, 폼롤 러(FR)를 중재한 집단 10명, 총 세 그룹으로 나누어서 실 시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실험 전 연구 목적 및 연구절차, 방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실험에 대한 서면 동의서를 작성 후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 1).

    Table 1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30)

    Subjects Foam roller massage gun FDM Total

    Gender
    Male 7 6 7 20
    Female 3 4 3 10
    Age(yr) 22.9±2.64 21.9±1.79 23.3±4.08 22.7±2.94
    Height(cm) 170.00±4.96 171.80±6.97 170.70±8.57 180.83±6.79
    Weight(kg) 66.7±11.12 69.90±12.02 79.30±23.23 71.96±16.74

    Values are mean ± SD.

    Abbreviations: FDM, fascial distortion model.

    2. 측정도구 및 실험도구

    1) 목 장애 지수(Neck disability index)

    대상자들의 목통증과 목기능장애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목 장애 지수(Neck disability index; NDI)를 사용하였다 (Park & Park, 2021). 이 평가 도구는 10가지 문항으로 구성되어, 대상자들이 한 문항 당 한 개의 답을 하도록 하였다. 통증강도, 개인관리, 무거운 물건 들기, 두통, 읽 기, 운전, 작업, 집중, 수면, 여가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 며 각 항목 당 6개의 응답이 있다. 총점의 범위는 0~50점 으로 35~50점(완전한 장애), 25~34점(중증 장애), 15~ 24점(중등도 장애), 5~14점(경미한 장애), 0~4점(장애 없 음.)로 분류하였다. 이 평가 도구의 타당도는 0.78이며 신 뢰도는 0.92로 매우 높다(Yoon & Kim, 2022).

    2) CROM3(Cercial range of motion 3)

    목의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해 CROM3(Cervical Range Of Motion)을 사용하였다. CROM3는 머리에 착용 하면 좌측면과 정면에 중력 측각기가 있어 정중면에서의 굽힘과 폄, 이마면에서 가쪽굽힘을 측정할 수 있고, 머리 위쪽에 측각기와 나침만이 있어 돌림을 측정할 수 있다. 몸통을 똑바로 세우고 앉고 목의 중립자세를 유지한 상태 에서 목의 굽힘과 폄, 오른쪽 왼쪽 가쪽 굽힘, 오른쪽 왼쪽 돌림의 순서로 측정하였다(Kim & Kang, 2022). 대상자 는 각도를 인식하기 위하여 3초 동안 자세를 유지한 다음 머리를 중립 위치로 되돌렸다. 이 장치를 이용하여 치료 전, 중, 후 3회의 각도를 측정하였다. 이 측정기는 검사자 내 신뢰도와 검사자간 신뢰도는 각각 .91, .98로 높은 신 뢰도를 보인다(Yoo & An, 2009) (Figure 1 A).

    Figure 1

    Measurement devices

    (A) : CROM3

    (B) : MyotonPRO

    AOSPT-19-2-49_F1.gif

    3) MyotonPRO

    근육의 긴장도를 측정하기 위해 MyotonPRO (Myoton AS, Tallinn, Estonia)장비를 사용하여 비침습적이고 통증 이 없는 방법으로 근육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MyotonPRO 에 의해 피부표면 진동이 유발되면, 장비에 근 긴장도 (muscle tone)와 뻣뻣함(stiffness)이 산출되어 변수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측정 중 표식점을 벗어나지 않기 위해 3회의 진동이 발생되는 동안 검사자의 양손으로 장비를 받쳐 근육의 근힘살(Muscle velly)과 수직을 유지하였고 일관된 부위에 측정하기 위해 인체에 무해한 마커를 이용해 피부에 표시하였다. 위등세모근(uppertrapezius muscle) 의 근 긴장도를 측정하였으며, 위등세모근의 측정은 어깨 봉우리로부터 일곱번째 목뼈(C7)의 가시돌기까지를 잇는 지점의 중간부위에 위치한 근 힘살을 촉진하여 측정하였다 (Park et al., 2022). MyotonPRO의 급내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는 .70~.90로 나타났다(Aird et al., 2012) (Figure 1 B).

    4) 시각적 통증평가 척도(Visual analogue scale)

    중재 전후에 대상자가 느끼는 통증의 정도를 파악하고 자 주관적 통증의 객관화를 위해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VAS(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사용하였다. 통증이 없는 상태를 0으로 하고 통증이 가장 심한 상태를 10으로 하여, 대상자에게 현재 느끼는 통증의 정도를 수치화 시 켜 검사를 진행하였다.

    3. 실험절차

    본 연구는 세 그룹으로 나누어 총 3주간 중재를 시행하 였으며, 모든 그룹은 일주일 2회 중재를 적용하였으며, 1 회당 4분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를 효과를 비교 하기 위해 VAS, 목 관절가동범위, 근육 긴장도의 측정은 10일 간격으로 측정을 실시하였다.

    1) 근막변형모델(FDM)

    본 연구에서 사용한 FDM의 치료방법은 밴드형 근막변 형에 대한 방법으로 적용 방법은 엄지 등을 사용하여 치료 하고자 하는 부위의 몸쪽 뼈 돌출부에서 먼쪽 뼈 돌출부까 지 선을 따라 강한 압력을 주는 것이다(Park & Kim, 2020). 치료 강도는 대상자가 통증을 참을 수 있을 정도로 적용하였다. 치료 시간은 양쪽 각 2분씩 총 4분을 적용하 였다(Figure 2 A).

    Figure 2

    Intervention methods

    (A) : FDM, fascial distortion model

    (B) : Massage gun

    (C) : Foam roller

    AOSPT-19-2-49_F2.gif

    2) 마사지건

    엎드려 누운 자세(Prone position)에서 마사지건을 적 용하였다. 적용부위는 위등세모근의 시작점인 뒤통수에 서부터 끝 지점인 빗장뼈 바깥 1/3지점, 어깨뼈 봉우리와 어깨뼈가시 부분을 2400RPM(40HZ)로 한쪽 부위별 각 2 분씩 총 4분을 중재하였다(Figure 2 B).

    3) 폼롤러

    목뼈 7번 및 등뼈 1번 부위에 폼롤러를 두고 누워 체중 을 실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후 근섬유의 방향으로 체중 을 실으며 압박을 가해 양쪽 부위별 각 2분씩 총 4분 동안 근막이완 마사지를 하였다(Park & Kim, 2020). 통증의 강도는 대상자가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가능한 한 최대의 체중을 싣도록 하였다(Figure 2 C).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9.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중재 방법에 따른 VAS, 목 관절가동범위와 근 긴장도의 차이의 비교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 (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또한, 각 그룹에서 중 재 기간에 따른 VAS, 목 관절가동범위와 근 긴장도의 변 화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 측정된 일원배치 분산분석 (repeated one-way ANOVA)을 사용하였으며, 사후검정 은 Bonffieroni 방법을 사용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α = .05로 설정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그룹간 VAS, 목 관절가동범위, 근 긴장도 비교

    VAS, 목 관절가동범위, 근 긴장도의 변화에 대해 그룹 별 효과 차이를 비교한 결과 VAS에서는 FDM, 폼롤러, 마사지건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목의 관 절가동범위에서는 목 굽힘, 목 폄, 목 오른쪽 가쪽 굽힘에 서는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05), 목 왼쪽 가 쪽굽힘에서는 그룹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사후 검정 결과, FDM 그룹이 마사지건 그룹 보다 목 왼쪽 가쪽 굽힘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근긴장도의 변화에 서는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Table 2).

    Table 2

    Comparison of VAS, ROM, and muscle tone between groups

    FDM massage gun Foam roller F P

    VAS pre 2.45±0.83 1.80±1.48 1.85±1.20 .031 .970
    mid 1.05±0.86 1,40±1.26 1.25±0.79
    post 0.45±0.69 0.95±1.57 0.75±0.72

    neck flex. pre 41.00±9.70 41.00±12.17 42.80±16.24 .325 .725
    mid 51.50±14.98 46.30±4.03 47.20±17.97
    post 63.80±17.54 58.30±7.62 62.90±12.70

    neck ext. pre 61.60±14.80 55.80±17.54 55.10±18.36 .114 .893
    mid 63.70±17.94 62.80±19.75 66.20±17.11
    post 74.50±14.57 73.60±8.95 73.30±10.42

    neck Lt.bend pre 39.50±5.99 33.40±4.65 38.30±6.53 5.607 .009*
    mid 46.80±7.64 36.50±5.72 41.30±7.26
    post 53.00±8.58 46.90±7.59 52.90±9.31

    neck Rt.bend pre 40.40±11.60 32.10±5.92 38.70±10.95 2.061 .147
    mid 48.10±11.78 38.46±5.65 44.10±11.78
    post 51.80±9.04 47.50±6.47 52.60±12.53

    F. left pre 20.99±2.13 20.03±1.80 19.06±2.32 .070 .933
    mid 18.94±2.00 19.10±1.32 18.42±1.89
    post 17.17±1.37 18.50±2.16 19.33±1.81

    F. right pre 19.11±1.78 18.59±2.07 18.01±2.04 1.153 .331
    mid 17.54±2.10 18.18±1.79 18.66±2.57
    post 16.50±1.28 18.37±1.28 19.29±1.01

    Abbreviations: FDM, fascial distortion model; VAS, visual analogue scale; F, oscillation frequency(tone).

    *p<0.05

    2. FDM의 중재 기간에 따른 VAS, 목 관절가동범 위, 근 긴장도 비교

    VAS, 목 관절가동범위와 근 긴장도는 중재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사후점정 결과, VAS는 중 재 전과 10일 후, 중재 전과 20일 후, 10일 후와 20일 후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목 굽힘, 왼쪽 가 쪽굽힘, 오른쪽 근긴장도의 경우, 중재 전과 20일 후 사이 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목 폄의 경우, 10일 후 와 20일 후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목의 오른쪽 가쪽굽힘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왼쪽 근긴장도의 경우,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Table 3).

    Table 3

    Comparison of VAS, ROM, and muscle tone according to intervention timing in the FDM group

    Pre. Mid. Post. F P Post-Hoc (Bonfferoni)

    VAS 2.45±0.83 1.05±0.86 0.45±0.69 47.411 .000* pre≠mid*
    pre≠post*
    mid≠post*

    Neck flex. 41.00±9.70 51.50±14.98 63.80±17.54 7.156 .017* pre=mid
    pre≠post*
    mid=post

    Neck ext. 61.60±14.80 63.70±17.94 74.50±14.57 11.060 .005* pre=mid
    pre=post
    mid≠post*

    Neck Lt.bend 39.50±5.99 46.80±7.64 53.00±8.58 6.614 .020* pre=mid
    pre≠post*
    mid≠post*

    Neck Rt.bend 40.40±11.60 48.10±11.78 51.80±9.04 3.234 0.094 pre=mid
    pre=post
    mid=post

    F.left 20.99±2.13 18.94±2.00 17.17±1.37 58.230 .000* pre≠mid*
    pre≠post*
    mid≠post*

    F.right 19.11±1.78 17.54±2.10 16.50±1.28 14.737 .002* pre=mid
    pre≠post*
    mid=post

    Abbreviations: FDM, fascial distortion model; VAS, visual analogue scale; F, oscillation frequency(tone).

    *p<0.05

    3. 마사지건의 중재 기간에 따른 VAS, 목 관절가동 범위, 근 긴장도 비교

    마사지건 그룹에서 VAS는 중재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 이가 없었다(p>0.05). 목 관절가동범위와 근긴장도는 중 재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사후검정 결과, 목 굽힘과 왼쪽 가쪽굽힘의 경우 중재 전과 20일 후, 10일 후와 20일 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목 폄의 경우, 중재 전과 20일 후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목의 오른쪽 가쪽굽힘의 경우, 중 재 전과 10일 후, 중재 전과 20일 후, 10일 후와 20일 후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왼쪽 근긴장도의 경우, 중재 전과 20일 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Table 4).

    Table 4

    Comparison of VAS, ROM, and muscle tone according to intervention timing in the massage gun group

    Pre. Mid. Post. F P Post-Hoc (Bonfferoni)

    VAS 1.80±1.48 1.40±1.26 0.95±1.57 1.435 .293 pre=mid
    pre=post
    mid=post

    Neck flex. 41.00±12.17 46.30±4.03 58.30±7.615 9.247 .008* pr=mid
    pre≠post*
    mid≠post*

    Neck ext. 55.80±17.54 62.80±19.75 73.60±8.95 6.522 .021* pre=mid
    pre≠post*
    mid=post

    Neck L.bend 33.40±4.65 36.50±5.72 46.90±7.59 12.514 .003* pre=mid
    pre≠post*
    mid≠post*

    Neck R.bend 32.10±5.915 38.46±5.65 47.50±6.47 16.315 .002* pre≠mid*
    pre≠post*
    mid≠post*

    F.left 20.03±1.80 19.10±1.32 18.50±2.16 6.488 .021* pre=mid
    pre≠post*
    mid=post

    F.right 18.59±2.07 18.18±1.79 18.37±1.28 0.112 .896 pre=mid
    pre=post
    mid=post

    Abbreviations: VAS, visual analogue scale; F, oscillation frequency(tone).

    *p<0.05

    4. 폼롤러의 중재 기간에 따른 VAS, 목 관절가동범 위, 근 긴장도 비교

    VAS, 목관절가동범위는 중재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p<0.05). 사후검정 결과, VAS는 중재전과 20일 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목 굽힘과 폄의 경우, 중재 전과 20일 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목 왼쪽, 오른쪽 가쪽굽힘의 경우, 중재 전과 20일 후, 10일 후와 20일 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근긴장도는 중재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 었다(p>0.05) (Table 5).

    Table 5

    Comparison of VAS, ROM, and muscle tone according to intervention timing in the foam roller group

    Pre. Mid. Post. F P Post-Hoc (Bonfferoni)

    VAS 1.85±1.20 1.25±0.79 0.75±0.72 5.188 .036* pre=mid
    pre≠post*
    mid=post

    Neck flex. 42.80±16.24 47.20±17.97 62.90±12.70 24.786 .000* pre=mid
    pre≠post*
    mid=post

    Neck ext. 55.10±18.36 66.20±17.11 73.30±10.42 8.318 .001* pre=mid
    pre≠post*
    mid=post

    Neck L.bend 38.30±6.53 41.30±7.26 52.90±9.31 33.641 .000* pre=mid
    pre≠post*
    mid≠post*

    Neck R.bend 38.70±10.95 44.10±11.78 52.60±12.53 54.656 .000* pre=mid
    pre≠post*
    mid≠post*

    F.left 19.06±2.32 18.42±1.89 19.33±1.81 1.900 .211 pre=mid
    pre=post
    mid=post

    F.right 18.01±2.04 18.66±2.57 19.29±1.01 1.271 .332 pre=mid
    pre=post
    mid=post

    Abbreviations: VAS, visual analogue scale; F, oscillation frequency(tone).

    *p<0.05

    Ⅳ. 고 찰

    본 연구는 목통증을 가진 대상자에게 폼롤러, 마사지 건, FDM 기법을 적용하여 목의 움직임과 통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FDM그룹에서 중재 시기별 통증의 유 의한 감소와 관절가동범위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FDM 기법은 근육의 결절 지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교차 결합을 제거하여 고체 상태인 근막의 점도를 액체 상태로 변화시 켜주어 근막의 유연성이 증가하였으며, 근육과 힘줄의 구 성 요소인 근육방추와 골지힘줄기관, 중추신경계, 말초신 경계의 상태를 회복하고, 이완을 촉진하여 기능을 향상 시킨 결과라고 생각된다(Park & Oh, 2015). Kim과 Lee (2019)의 연구에서도 목통증을 가진 사람에게 위등세모근 의 FDM치료를 적용한 결과 목의 굽힘, 폄, 오른쪽 돌림, 왼쪽 돌림, 오른쪽 가쪽굽힘, 왼쪽 가쪽굽힘에 있어 관절 가동범위가 증가되고 VAS의 점수가 감소된 점은 본 연구 결과를 뒷받침한다. 본 연구에서는 FDM 그룹에서만 중 재 시기별 근 긴장의 유의한 감소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FDM기법은 단시간에 강한 물리적 압력을 통해 더 많 은 근육의 기계적 수용기들이 반응하여 근육 수축에 관여 하는 H반사를 억제하면서 근육과 근막이 이완되어 근 긴 장도의 감소를 일으킬 수 있다(Park & Kim, 2020). Fink, Schiller, & Buhck(2012)은 유착성 관절주머니염 환자에 게 도수치료와 FDM 기법을 적용하였을 때, FDM 기법이 더 빠르고 효과적이다고 보고하였으며, Richter et al. (2017)은 급성 허리통증에 대한 일반적 치료법과 FDM을 비교 하였을 때, FDM의 효과가 더 빨리 나타났으며, 기능 향상 및 통증 감소에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의 결과는 FDM이 폼롤링과 마사지건 보다 단기간에 효과를 나타낸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본 연구의 결과, 마사건의 통증은 시기별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고, 관절가동범위(ROM)는 3주차에서 유의한 증 가를 보였다. 마사지건은 일반적으로 특정 근육조직을 이 완 및 통증을 완화시키고 혈류 등과 같은 주변 연부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Trainer et al., 2022). Martin (2021)은 마사지건을 발목에 중재한 결과, 정적스레칭을 진행한 그룹에 비해 발등굽힘(dorsi flexion) 운동범위가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Wang, Fang, & Hu (2022)의 연구에 따르면 경직된 위등세모근에 마사지건으 로 90초 이상 중재한 결과, 이완된 위등세모근에 의해 가 쪽 굽힘이 증가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는 근육 조직을 이완시켜 목의 관절가동 범위를 향상시킨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 한다고 생각된 다. 본 연구에 결과는 장기간 동안 중재를 하였을 때, 목의 관절 가동범위 개선에 효과를 보였다. Patel & Vedawala (2023)의 연구에 의하면 4주 동안 주당 3회, 10분 동안 위 등세모근에 마사지건을 중재한 결과 목가동범위가 증가 하는 유의미한 수치가 나타났고, Wang, Fang, & Hu (2022)는 위등세모근에 마사지건으로 30초와 90초 두 그 룹을 비교하였을 때, 30초 중재그룹보다 상대적으로 90초 중재그룹의 위등세모근의 이완과 가쪽 굽힘이 더욱 유의 미한 결과가 타나났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마사지건 중재 후 근육의 이완 및 가동범위의 긍정적인 변화에 대해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 폼롤러 그룹에서는 목의 굽힘, 폄, 왼 쪽 가쪽 굽힘 그리고 오른쪽 가쪽 굽힘 모두 유의한 증가 가 있었으며, 중재기간이 늘어날수록 유의한 효과가 있었 다. 선행 연구에서 폼롤러의 적용은 스트레칭 및 관절 가 동범위를 향상시키며, 자세 유지를 통한 균형 감각 향상 과 심부 안정화 근육의 근력 향상, 긴장된 근육의 근막통 증증후군, 근육의 경화, 근 유착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보 고 하였다(Halperin et al., 2014). Kiyono et al.(2022)은 폼롤러 중재 후 발목의 발등굽힘 운동범위의 증가는 통증 역치(즉, 신장 내성)의 증가로 인한 것일 수 있다고 설명하 였다. 증가된 관절가동범위에 대한 또 다른 가설은 폼롤 러 개입 후 조직 강성이 변한다는 것이다(Ryan et al., 2008). 본 연구에의 결과 근육의 긴장도의 변화 없이 관절 가동범위만 증가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는 통증 역치 의 증가로 인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1주차와 3주차에서 관절가동범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점은 폼롤러가 단기적으로는 관절가동범위의 증가를 보이지 않지만, 장 기적으로 관절가동범위의 증가에는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Wilke et al.(2020)은 유연성 상실의 두 가지 주요 측면은 근막 제한과 유착이라고 볼 수 있다고 하였다. 폼 롤링은 가해지는 압력으로 골지 힘줄 기관에서 반응을 유 발하여 혈관과 근육 온도를 증가시켜 동맥 경직을 감소시 키고 혈관 내피 기능을 향상 시켜 순환계의 기능을 증가시 킨다(Espi-Lopez et al., 2014). Carano & Siciliani(1996) 은 순환적 힘이 세포외 기질의 리모델링을 담당하는 효소 인 섬유아세포가 증가함에 따라 콜라게나제의 생성을 자 극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장기적인 중재 후 대조군 과 비교했을 때, 콜라게나제와 섬유 아교세포가 두 배 이 상 생산되었다. Wiewelhove et al.(2019)은 SMR이 근막 제한을 제거하거나 교차결합을 느슨하게 하여 근막 슬라 이딩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제안하였 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폼 롤링의 장기적인 중재가 섬유아세포 증가에 영향을 미쳤고 섬유아세포 증 가로 인해 근막 슬라이딩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아 ROM이 증가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20대의 연령을 가진 대상자로 국한되어 있어 모든 연령층에 일반 화하기 어렵다. 둘째, 3주라는 다소 짧고 한정적인 기간 내에서 진행되었기에 상대적으로 장기적 효과를 입증하 기 어렵다. 셋째, 목통증을 유발하는 근육들은 목빗근, 위 등세모근, 어깨올림근 및 뒤통수밑근 등이 있으나 이들 중 위등세모근 하나에만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여러 근육에 대한 중재를 실시하여 목통증의 변화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의 목적은 목 통증이 있는 대상자에게 FDM, 마 사지건, 폼롤러를 적용하였을 때 목의 관절가동범위, 통 증, 근긴장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각 중재법 에서 중재 시기에 따른 목의 관절가동범위, 통증, 근긴장 도의 변화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FDM 기법 은 단기적, 장기적으로 모두 효과 있었고, 마사지건, 폼롤 러는 장기적인 부분에서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목 통증이 있는 대상자들의 목 관절가동범위, 통증, 근긴 장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FDM 기법, 마사지건, 폼롤러 적 용이 효과가 있음을 의미하며, 단기적으로 빠른 효과를 얻기 위한다면 FDM 기법을 추천한다.

    Figure

    AOSPT-19-2-49_F1.gif

    Measurement devices

    (A) : CROM3

    (B) : MyotonPRO

    AOSPT-19-2-49_F2.gif

    Intervention methods

    (A) : FDM, fascial distortion model

    (B) : Massage gun

    (C) : Foam roller

    Tabl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30)

    Values are mean ± SD.
    Abbreviations: FDM, fascial distortion model.

    Comparison of VAS, ROM, and muscle tone between groups

    Abbreviations: FDM, fascial distortion model; VAS, visual analogue scale; F, oscillation frequency(tone).
    <sup>*</sup><i>p</i><0.05

    Comparison of VAS, ROM, and muscle tone according to intervention timing in the FDM group

    Abbreviations: FDM, fascial distortion model; VAS, visual analogue scale; F, oscillation frequency(tone).
    <sup>*</sup><i>p</i><0.05

    Comparison of VAS, ROM, and muscle tone according to intervention timing in the massage gun group

    Abbreviations: VAS, visual analogue scale; F, oscillation frequency(tone).
    <sup>*</sup><i>p</i><0.05

    Comparison of VAS, ROM, and muscle tone according to intervention timing in the foam roller group

    Abbreviations: VAS, visual analogue scale; F, oscillation frequency(tone).
    <sup>*</sup><i>p</i><0.05

    Reference

    1. Aird, L. , Samuel, D. , & Stokes, M. (2012). Quadriceps muscle tone, elasticity and stiffness in older males: Reliability and symmetry using the Myoton PRO.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55(2), 31-39.
    2. Carano, A. , & Siciliani, G. (1996). Effects of continuous and intermittent forces on human fibroblasts in vitro. European Journal of Orthodontics, 18(1), 19-26.
    3. Choi, B. G. , & Yoon, H. G. (2020). The effects of massagegun therapy on back pain and muscle activation in elderly women with lower back pain.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29(2), 1269-1275.
    4. Espi-Lopez, G. V. , Ingles, M. , Carrasco-Fernandez, J. J. , Serra-Añó, P. , Copete-Fajardo, L. , ... & Marques-Sule, E. (2014). Effects of foam rolling vs. manual therapy in patients with tension-type headache: A randomized pilot study.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50(6), 641-647.
    5. Fink, M. , Schiller, J. , & Buhck, H. (2012). Efficacy of a manual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fascial distortion model in the management of contracted (“Frozen”) shoulder. Zeitschrift fur Orthopadie und Unfallchirurgie, 150(4), 420-427.
    6. Hall, T. , Chan, H. T. , Christensen, L. , Odenthal, B. , Wells, C. , & Robinson, K. (2007). Efficacy of a C1-C2 self-sustained natural apophal glide (SNAG) in the management of cervicogenic headache.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37(3), 100-107.
    7. Halperin, I. , Aboodarda, S. J. , Button, D. C. , Andersen, L. L. , & Behm, D. G. (2014). Roller massager improves range of motion of plantar flexor muscles without subsequent decreases in force parameter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Physical Therapy, 9(1), 92-102.
    8. Kim, B. R. , & Kang, T. W. (2022). Effects of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using PNF on posture and function disability of chronic neck pain pati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Korean Journal of Neuromuscular Rehabilitation, 12(2), 33-42.
    9. Kim, J. Y. , & Kwon, M. Y. (2023). Effects of fascial distortion model and myofascial release on pain threshold in remote area.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35(1), 31-35.
    10. Kim, M. K. , & Lee, W. J. (2019). Effect of fascial distortion model on the pain and movement of neck patient.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31(1), 24-30.
    11. Kiyono, R. , Onuma, R. , Yasaka, K. , Sato, S. , Yahata, K. , & Nakamura, M. (2022). Effects of 5-week foam rolling intervention on range of motion and muscle stiffness.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36(7), 1890-1895.
    12. Ko, M. H. , & Jeon, Y. J. (2020). The effect of stretching to muscle stiffness in hospital office employe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5(1), 125-130.
    13. Kwon, W. A. , Kim, D. D. , & Lee, J. H. (2010). The effects of massage and static stretching on cervical range of motion in their 20s of normal adult.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11), 4346-4353.
    14. Lee, N. Y. (2022).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manual therapy plus stabilization exercise with manual therapy alone in patients with chronic mechanical neck pa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17(1), 63-74.
    15. Lee, Y. J. , Park. D. C. , Kim. W. D. , & Kim, S. Y. (2021). The effect of taping applied to the lower trapezius muscle on the upper trapezius muscle tone, pain, and cervical range of motion in chronic upper trapezius pain patients.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28(1), 44-53.
    16. Martin, J. (2021). A critical evaluation of percussion massage gun devices as a rehabilitation tool focusing on lower limb mobility: A literature review. Department of Health and Wellbeing, Published Online.
    17. Okamoto, T. , Masuhara, M. , & Ikuta, K. (2014). Acute effects of self-myofascial release using a foam roller on arterial function.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8(1), 69-73.
    18. Park, H. J. , & Oh, T. Y. (2015). Effects of closed chain exercise on activities of shoulder girdle muscles in 60’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7(4), 246-251.
    19. Park, S. H. , Jeong, D. K. , & Yoon, J. H. (2022). An analysis of muscle characteristics, muscle activity, and posture in patients with cervicogenic headach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23(6), 137-143.
    20. Park, S. K. , & Park, S. H. (2021). The effect of combined suboccipitalis release exercise and therapeutic ultrasound on mechanical properties of cervical muscles and neck disability index, headache impact test in tension-type headach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9(4), 271-281.
    21. Park, S. , & Kim, J. Y. (2020). Comparison of the effect of the fascial distortion model, foam rolling and self-stretching on the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32(4), 238-244.
    22. Patel, G. R. , & Vedawala, N. (2023). Effectiveness of mtofascial release with fascial gun in myofascial pain dysfuntion syndrome. Dogo Rangsang Research Journal, 13(6), 161-165.
    23. Richter, D. , Karst, M. , Buhck, H. , & Fink, M. G. (2017). Efficacy of fascial distortion model treatment for acute, nonspecific low-back pain in primary care: A prospective controlled trial. Alternative Therapies in Health and Medicine, 23(5), 24-32.
    24. Ryan, E. D. , Beck, T. W. , Herda, T. J. , Hull, H. R. , Hartman, M. J. , ... & Cramer, J. T. (2008). The time course of musculotendinous stiffness responses following different durations of passive stretching.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38(10), 632-639.
    25. Saratchandran, R. , & Desai, S. (2013). Myofascial release as an adjunct to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in mechanical low back pain. The In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5(2), 3-7.
    26. Trainer, J. H. , Pascarella, M. , Paul, R. W. , & Thomas, S. J. (2022). Acute effects of percussive therapy on the posterior shoulder muscles differ based on the athlete's soreness response.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Physical Therapy, 17(5), 887-895.
    27. Viljanen, M. , Malmivaara, A. , Uitti, J. , Rinne, M. , Palmroos, P. , & Laippala, P. (2003). Effectiveness of dynamic muscle training, relaxation training, or ordinary activity for chronic neck pai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ritish Medical Journal, 327 (7413), 475.
    28. Wang, L. , Fang, M. , & Hu, J. (2022). The effect of vibration massage on fatigue of the upper trapezius muscle during different tasks. Symmetry, 14(10), 2158.
    29. Wiewelhove, T. , Döweling, A. , Schneider, C. , Hottenrott, L. , Meyer, T. , ... & Ferrauti, A. (2019).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foam rolling on performance and recovery. Frontiers in Physiology, 9(10), 376.
    30. Wilke, J. , Müller, A. L. , Giesche, F. , Power, G. , Ahmedi, H. , & Behm, D. G. (2020). Acute effects of fam rolling on range of motion in healthy adults: A systematic review with multilevel meta-analysis. Sports Medicine, 50(2), 387-402.
    31. Yoo, W. G. , & An, D. H.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ve cevical range of motion and changes in head and neck posture after continuous VDT work. Industrial Health, 47(2), 183-188.
    32. Yoon, S. W. , & Kim, S. Y. (2022). Effects of upper trapezius inhibition dynamic taping on pain, function, range of motion, psychosocial status, and posture of the neck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9(1), 1-10.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