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9 No.2 pp.27-35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23.19.2.04

Effect of Kinesio Taping on Dynamic Balance Ability and Functional Performance

Geun-Young Park1, Dae-Young Kim1,2*
1Department of Digital Anti-aging Healthcare, Inje University, Researcher
2Department of Sports Healthcare, Inje University, Professor
* 교신저자: 김대영 E-mail: cdps21@inje.ac.kr
November 7, 2023 December 20, 2023 December 23, 2023

Abstract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kle Kinesio taping application on dynamic balance ability and functional performance.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16 university students aged 20-24 years participating in regular sports activities. The y-balance test (YBT)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aping to measure the dynamic balance ability. The static balance ability was measured with a one leg standing test. The functional performance test (FPT) consisted of the figure-of-eight hop test, side hop test, 6-meter cross over hop test, and square hop tes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YBT of the left leg posterolateral (p=0.011) and one leg standing test (p=0.001). FP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figure-of-eight hop, side hop, 6-meter cross over hop, and square hop tests for both right and left legs (p<0.05).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ach measurement variable showed that YBT of the right leg anteri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igure-of-eight hop right leg (r=0.625, p<0.01) and square hop of the right leg (r=0.627, p<0.01).


Conclusion:

In conclusion, ankle Kinesio taping application may provide stability to the left ankle, as it improved the YBT of the left leg posterolateral of dynamic balance ability. In addition, YBT of the right leg anterior showed 62.5% and 62.7% explanatory power for the figure-of-eight hop and square hop tests in FPT, respectively. This suggests that the stability of the right support foot may help with forward functional performance.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이 동적 균형능력과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박근영1, 김대영1,2*
1인제대학교 디지털항노화헬스케어학과, 연구원
2인제대학교 스포츠헬스케어학과, 교수

초록


    Ⅰ. 서 론

    최근 워라벨(work-Iife balance)이 중요한 가치로 부각 되고 스포츠 인구도 함께 증가함에 따라, 운동으로 인한 부상 빈도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하지의 부상이 가장 빈번하 게 발생하고 있으며, 그 중 발목 염좌의 발생률이 가장 높다(Yang, Park, & Uhm, 2016). 발목 염좌란 안쪽번짐 (inversion), 가쪽번짐(eversion)과 발목 뒤틀림에 의한 발 목 주변의 구조물 손상이며, 가장 흔한 근골격계 부상으로 전체 부상의 약 20%를 차지한다(Puffer, 2001). 근육의 기계 적 수용기 손상은 염좌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며, 1년 내 다친 부위에 재발이 일어날 확률이 높다(Hertel, 2000). 이러한 높은 재발률의 원인은 발목관절 주위 조직의 변형된 자세 반사, 지연된 근육반사, 근력의 저하, 운동감각능력의 결여, 고유수용 감각의 결손, 발목 염좌가 완전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운동을 하기 때문이다. 발목 염좌 후 32~47%가 만성 발목 불안정성의 일종인 기능성 발목 불안 정성(functional ankle instability, FAI)을 경험하게 된다 (Khalili et al., 2022). 발목은 하체와 발을 연결하는 관절 부위로, 신체적 안정성을 위한 균형 조절을 하며 운동 및 일상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Runge, Shupent, & Horak, 1999). 균형능력 감소는 발목 근력 약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보행체계에서 가장 필수적인 요소를 균형능 력이라고 보고하여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Wolfson, Judge, & Whipple, 1995).

    운동량이 많거나 과거 손상에 의해 약해진 조직은 다시 손상되는 경우가 많은데(Kang, Choi, & Oh, 2013), 이러한 사람들은 보다 집중적인 예방 관리가 필요하다. 키네시오 테이핑(Kinesio taping)과 같은 보조수단의 이용은 관절의 지지와 보호를 통해 기능적인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움직임의 제한 및 인대 보강을 통해 관절의 안정 성을 기대할 수 있다(Crossley, Bennell, & Cowan, 2004). 본 연구에서 적용하는 테이핑은 비약물적 요법으로, 발목 움직임이 과도해지는 것을 제한하고 생리학적 기전을 향상 시켜 발목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Yen et al. (2018)은 손상 부위의 관절가동범위(range of motion, ROM)와 발목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한하면 손상 된 관절 및 연부조직의 추가적인 손상을 예방하는데 효과적 이며, 신체활동 시 정적 및 동적 균형능력 향상, 고유수용성 감각 향상, 압력 중심 이동의 감소 효과를 통해 발목 안정성 증가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현대인들은 스포츠에 참여 하는 기회가 많아지면서 부상의 위험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특히 스포츠 손상과 예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 그 위험성은 더욱 증가하게 되며, 대부분의 손상은 관절과 근육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특히 무릎과 발목 부위 에서 불균형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발목 불안정을 가진 사람에게 테이핑을 적용했을 때 보행능력과 자세조절, 기 능적 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DT(dynamic tape)가 신체에 미치는 체성감각 효과(Ha, Han, & Sung, 2018;Halim-Kertanegara et al., 2017;Robinson et al., 2019) 등 테이핑이 발목 불안정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선행연구의 결과를 볼 때 불균형과 불안정성을 예방하기 위해 키네시오 테이핑의 적용은 균형 능력과 기능적 움직임 능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좋은 방법 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기적 스포츠 활동 에 참가하는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발목관절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이 동적 균형능력과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각 변인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 보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의 대상자는 주 2회 이상 정기적 스포츠 동호회 활동에 참가하는 남자 대학생 16명으로, 암, 고혈압, 당뇨 병과 같이 운동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질병이 없고, 최근 3개월간 근 ‧골격 질환 수술 이력이 없으며, 현재 통 증이 없는 사람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시작 전 모든 대상 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충분히 설명 후, 참여를 희 망하는 사람에게 동의를 얻어 실험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group sex age (years) height (cm) weight (kg) SMI (kg) BMI (%)
    n=16 man 21.38 174.43 74.72 34.76 24.51

    Mean±SD

    SMI: skeletal muscle index

    BMI: body mass index

    2. 측정절차

    본 연구는 발목 테이핑 적용 전 ‧후의 균형능력과 발목관 절 기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사전검사에서 키네시오 테이핑을 처치하지 않고 동적 균형능력 검사 (y-balance test, YBT), 눈감고 외발서기(one leg standing test), 기능적 움직임 검사(functional performance test, FPT)를 실시하였다. FPT는 8자형 홉 검사(figure-of-eight hop test), 사이드 홉 검사(side hop test), 6미터 크로스오버 홉 검사(6-meter cross over hop test), 정사각 홉 검사 (square hop test)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 진행 후 피로 조절을 위하여 wash out 기간을 1주일 두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후검사에서는 발목 테이핑 처치 후 사전검사 와 동일한 방법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3. 측정방법

    1) 신체조성

    신체조성은 생체전기저항법을 이용한 체성분 분석기 (Inbody 970, Inbody, Seoul, Korea)를 이용하여 나이, 신장 (cm), 체중(kg), 골격근량(skeletal muscle index, SMI),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를 측정하였다.

    2) YBT

    본 실험에서는 Professional y-balance test kit(Functional movement system, Chatham, VA, USA)를 이용하여 균형 능력을 측정하였다(Figure 1). YBT는 동적 균형능력 검사 로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신뢰도를 평가한 총 9개의 연구 를 통해 YBT에 대한 신뢰도가 증명되었다(Powden, Dodds, & Gabriel, 2019). 발판에 축발을 디디고 좌측, 우측의 앞쪽 (anterior), 뒤안쪽(posteromedial), 뒤가쪽(posterolateral) 방향의 도달거리를 측정하였다. 측정 전 바닥에 등을 대고 누워 위앞엉덩뼈가시(anterior superior iliac crest)에서 안 복사뼈(medial malleolus)까지의 하지장을 측정하였다. 이 후 신발을 벗고 발판위로 올라가 3회 연습 실시 후, 3회 측정하였다. 중심을 잃는 경우, 처음 시작 자세로 되돌아오 지 못하는 경우, 발이 땅에 닿는 경우, 발판을 차는 경우는 파울로 간주하고 재측정 하였다(Plisky et al., 2009). 측정 값은 3방향의 평균값을 모두 더한 후 대상자의 다리 길이로 나누고 100을 곱하는 상대 도달 거리(%)를 사용하였다.

    Figure 1

    Y-balance test

    AOSPT-19-2-27_F1.gif

    절대 도달 거리 (absolute reach distance; cm)

    = (앞쪽 도달 거리 + 뒤안쪽 도달 거리 + 뒤가쪽 도달 거리) / 3

    상대도달거리 (relative(normalised) reach distance; % = (절대 도달 거리 / 하지장) × 100

    3) one leg standing test

    양손을 차렷한 상태에서 한 발을 90° 높이로 올린 후 눈을 감고 측정을 시작하였다. 발이 지면에서 움직이거나 떨어지는 시간을 초시계(HS-1000)을 이용하여 0.01초 단 위로 2회 측정한 후 최대값(sec)을 표시하였다(Figure 2).

    Figure 2

    One leg standing test

    AOSPT-19-2-27_F2.gif

    4) FPT : hop Test

    FPT중 하나인 hop test는 기능성 움직임 검사로 전방, 내측, 회전 테스트의 검사, 재검사 신뢰도 연구에서 높은 신뢰도가 입증되었다(Dingenen et al., 2019). 본 연구에 서는 figure-of-eight hop test, side hop test, 6-meter cross over hop test, square hop test를 실시하였다 (Caffrey et al., 2009). 모든 검사는 3회 측정하였으며 0.01초 단위로 기록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검사지침 에 맞게 이행하지 못한 경우 30초간 휴식 후 재측정 하였 다(Figure 3). 첫째, figure-of-eight hop test는 5m 떨어 진 곳에 폼롤러를 배치 한 후, 피험자에게 시작점에서 한 발로 점프하여 빠르게 8자 모양을 그리며 반대쪽 폼롤러 로 돌아오도록 하였다. 둘째, side hop test는 30cm 간격 으로 2개의 선을 그은 후 피험자에게 한발로 뛰어 30cm 간격을 넘은 후 다시 시작 위치로 뛰어넘어 돌아가는 것을 1회로 총 10회를 최대한 빠르게 반복한다. 셋째, 6-meter crossover hop test는 6m 길이에 15cm 두께의 기준선을 그은 후 피험자에게 시작점에서부터 기준선을 한발로 좌 우 교차로 뛰어넘어 빠르게 도착선에 도착한다. 넷째, square hop test는 40cm x 40cm 으로 정사각형 선을 그 은 후 피험자가 출발점에서 정사각형의 밖에서 안으로 뛰 었다가 안에서 밖으로 뛴다. 각 변에 대한 방향으로 반복 해서 뛰고 시작점으로 돌아오는 것을 1회로 총 5회를 반복 한다.

    Figure 3

    Functional performance tests (Caffrey et al., 2009)

    AOSPT-19-2-27_F3.gif

    4. 키네시오 테이핑

    테이핑은 등을 대고 의자에 앉아 발을 발등굽힘 (dorsiflexion) 시킨 후, 테이프를 발등 밖에서 안쪽으로 장력을 주지 않고 발허리뼈(metatarsal bone)을 가로지른 후, 70% 장력으로 부착하였다. 발바닥을 가로지른 후 긴종 아리근(peroneus longus muscle)을 지나고, 발목관절의 외측 인대를 가로질러 장단지근(gastrocnemius muscle) 건 끝까지 붙이고 나머지 부분은 장력 없이 장단지근 중앙 부에 붙였다(Figure 4).

    Figure 4

    Kinesio tapping

    AOSPT-19-2-27_F4.gif

    5. 자료분석

    측정된 모든 자료는 각 항목별 기초통계량을 얻기 위해 평균(mean) 및 표준편차(±SD)로 표기하였으며, 키네시 오 테이핑 중재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전과 사후 값을 이용하여 paired t-test 실시 후, 변화값(⊿)을 산출하였 다. 통계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7.0(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 하였으며 유의수준 p<0.05에 서 검정하였다. 또, 연속형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확인을 목적으로 상관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을 실시 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y-balance test

    테이핑 전 ‧ 후의 동적 균형능력 변화는 모두 변화가 있 었지만, left leg의 뒤가쪽에서만 유의한(p=0.011) 차이가 나타났다(Table 2).

    Table 2

    Changes in dynamic & static balance test before and after taping

    variables pre (n=16) post (n=16) score p

    right leg anterior 66.85±8.19 68.06±9.74 1.21±7.31 0.519
    posteromedial 114.45±8.99 116.61±10.11 2.16±8.08 0.302
    posterolateral 113.15±7.93 113.19±9.49 0.04±10.02 0.988

    left leg anterior 66.37±9.36 67.69±10.38 1.33±7.81 0.508
    posteromedial 113.49±10.53 116.69±11.92 3.20±7.80 0.121
    posterolateral 112.46±6.54 117.51±9.06 5.05±6.94 0.011

    total score right leg 101.18±6.40 102.44±8.73 1.26±6.16 0.425
    left leg 100.14±7.15 103.13±9.50 2.99±6.15 0.071

    one leg standing test 71.48 67.82 103.36±76.27 103.36±76.27 0.001

    Mean±SD

    p<0.05

    ⊿ score = post exercise – pre exercise

    2. one leg standing test

    테이핑 전 ‧후의 정적 균형능력 변화는 유의한(p=0.001) 차이가 나타났다(Table 2).

    3. functional performance test (hop test)

    테이핑 전 ‧ 후의 hop test 변화는 figure-of-eight hop test, side hop test, 6-meter cross over hop test, square hop test 변인 모두 유의한(p<0.05) 차이가 나타났다 (Table 3).

    Table 3

    Changes in the functional performance test before and after taping

    variables pre (n=16) post (n=16) score p

    figure-of-eight hop test right 5.17±0.43 4.64±0.58 -0.53±0.63 0.004
    left 5.18±0.51 4.56±0.49 -0.61±0.55 0.001

    side hop test right 8.89±0.86 7.87±0.85 -1.02±1.11 0.002
    left 8.91±0.93 7.89±0.95 -1.02±1.08 0.002

    6-meter cross over hop test right 2.62±0.40 2.11±0.36 -0.51±0.36 0.001
    left 2.60±0.40 2.24±0.51 -0.36±0.62 0.035

    square hop test right 23.79±3.71 19.95±3.86 -3.84±5.96 0.021
    left 23.42±3.58 19.88±3.30 -3.55±5.27 0.017

    Mean±SD

    p<0.05

    ⊿ score = post exercise – pre exercise

    4.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YBT right leg anterior가 figure -of-eight hop test right leg(r=0.625, p<0.01), square hop test right leg(r=0.627, p<0.01)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Ⅳ. 고 찰

    본 연구는 키네시오 테이핑 처치가 정기적인 스포츠 활 동에 참가하는 대학생의 동적 균형능력과 기능적 움직임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YBT는 유연성, 근력, 근 신경 조절, 통합적인 시각 (visual), 전정(vestibular) 그리고 체성감각(somatosensory) 의 능력 등을 요구한다(Plisky et al., 2006). YBT 결과 테이핑 적용 후 좌측 뒤가쪽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이 동작은 좌측 발목이 발등굽힘 되면서 앞정강근(tibialis anterior muscle)이 가장 활성화 되는데, 테이핑이 앞정강근 의 발등굽힘을 지지하면서 나타난 효과로 사료된다. 우측과 좌측 앞쪽, 뒤안쪽에서도 개선의 경향이 있었으나, 상대적 으로 약한 좌측 뒤가쪽 동작에서 테이핑의 효과 크기가 유의하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박창희 등(2011)의 연구 에도 하지의 앞정강근, 중간볼기근(gluteus medius muscle), 큰볼기근(gluteus maximus muscle), 큰허리근(psoas major muscle)에 테이핑 처치 후 균형능력이 개선되었다고 보고하였다. Lee et al. (2016)의 연구에서도 발목 염좌를 가진 여성에게 발목 테이핑을 처치한 결과 발목 불안정 및 통증 감소, 기능적 동적 균형의 향상, YBT의 결과가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정적 균형능력 평가인 one leg standing test에서도 테 이핑 적용 후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one leg standing test는 눈을 감고 한쪽 발을 든 상태에서 얼마나 오래 자세 를 유지하는가를 측정하여 균형능력을 평가한다. 본 실험 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난 것은 테이핑 적용 후 발목 흔 들림 안정으로 발바닥 압력 중심 이동이 감소하여 균형능 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Seo et al. (2016)의 연구 에서 발목 테이핑이 안쪽번짐, 가쪽번짐, 발등굽힘, 발바 닥쪽굽힘(plantar flexion) 조절능력의 향상을 보였다고 하였다. Yazici et al. (2015)의 연구에서도 테이핑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체성감각 향상에 영향을 미쳐 균형능력 향 상에 도움을 주었다고 보고하였다.

    박영한, & 어영선(2021)은 테이핑 이후 YBT와 one leg standing test에서 발목관절 안정화의 결과가 유의한 차 이를 나타낸 것은 테이핑 처치가 발목관절 근육인 안쪽장 딴지근(medial gastrocnemius)과 가쪽장딴지근(lateral gastrocnemius)의 근 긴장도와 뻣뻣함을 유의하게 낮춰 주므로, 발목 가동범위를 증가시키고 균형능력과 발목관 절 가동범위가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FPT 기능적 움직임 능력의 변화를 살펴보면, figureof- eight hop test, side hop test, 6-meter cross over hop test, square hop test 모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hop test는 신체 움직임을 만들어내기 위해 여러 신체부 위를 함께 사용하므로, 발목이나 무릎 부상 후 운동에 복 귀할 준비가 되었는지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관절 안정성, 근육의 유연성, 근력, 지구력, 고유 수용성 감각, 동적 균형 및 민첩성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Cook, Burton, & Hoogenboom, 2006;Mills, Tauton, & Mills, 2005;Okada, Huxel, & Nesser, 2011). 본 실험에서 나타 난 결과는 테이핑 처치가 관절 운동감각을 향상시켜 신체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여지며, 시간의 경 과에 따라 관절의 협응력에 점진적인 영향을 주어 기능적 움직임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판단된다. Hoch et al. (2015)은 감소된 균형능력과 안정성을 보완하기 위한 테 이핑 적용이 ROM을 정상범위 내로 제한하여 발목의 안정 성을 높이고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에 긍정적이라는 효과 를 보고하였고, 김경훈, & 조준행(2009)은 발목 테이핑이 점프 후 착지 시 자세 안정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 다. 김창인, 권오윤, & 이충휘(2001)는 테이핑 적용 직후의 ROM은 시상면(sagittal plane)과 관상면(frontal plane)에 서 모두 감소하였지만, 트레드밀에서 5분, 10분의 걷기운 동 후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한 결과 발목의 시상면과 관상 면의 관절가동범위가 모두 증가하여 발목관절 ROM과 고 유수용성 감각의 향상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았듯이 균형능력 중 YBT 좌측 뒤가 쪽과 one leg standing test, FPT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다. 이러한 결과는 키네시오 테이핑 처치가 균형능력과 기능적 움직임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김훈, & 강현주(2014)는 1주간 테이핑 처치 후 등속성(isokinetic) 장비로 발목의 각속도를 제공하였을 때 움직임 안정성이 상승하면서 비실험 집단에 비해 실험 집단의 높은 고유수용성 감각을 확인했다. 이는 키네시오 테이핑이 말초수용기의 지속적 자극을 제공하고, 중추신 경계에 전달되어 고유수용성 감각이 활성화됨에 따라 관 절 위치 감각능력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YBT와 홉테스트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동적 균형능력 YBT 우측 앞쪽(right leg anterior)과 figure-of-eight hop test의 기능적 움직임에 대한 설명력은 62.5%, square hop test right leg의 설명력은 62.7%로 나타났다 (Figure5, 6). 이는 우측 축발의 안정성에 대한 설명력으 로, 앞으로 향하는 움직임에 YBT 우측 앞쪽 값이 참고치 로 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5

    Correlation between YBT right leg anterior and figure-of-eight hop test right leg change

    AOSPT-19-2-27_F5.gif
    Figure 6

    Correlation between YBT right leg anterior and square hop test right leg change

    AOSPT-19-2-27_F6.gif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본 연구 대상자는 스포 츠 활동을 주기적으로 하는 20대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 로, 발목 통증이 없는 건강한 대상자를 선발해서 진행하 였으므로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스 포츠 활동 종목을 구분 하지 않아 결과에 대한 종목별 차 이를 확인하지 못했다. 향후 연구에서는 스포츠 종목별 세분화, 연령과 성별이 다양한 대상자, 통제군을 통한 비 교실험을 통해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키네시오 테이핑은 활동적인 움직임을 통 해 관절 내 제한된 위치를 더욱 잘 감지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능동적 움직임 시 키네시오 테이핑 처치가 안정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발 목 근 ‧ 관절의 반응성을 높이는데 더 많이 기여하는 것으 로 사료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키네시오 테이핑 처치가 남자 대학생들의 균 형능력과 발목관절의 기능적 움직임 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테이핑 처치 전 ‧ 후로 YBT, one leg standing test, FPT 중 figure-of-eight hop test, side hop test, 6-meter cross over hop test, square hop test를 진행하였다. YBT 좌측 뒤가쪽, 정적 균형능력과 FPT에서 의 유의한 결과는 신체 유연성, 관절 안정성, 평형성, 민첩 성, 근조절 능력, 통합적인 고유수용성 감각이 향상되면서 신체 협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것으로 판단된다. 또 한, 키네시오 테이핑은 근육과 관절을 지지하여 발목 안정 성을 향상시키므로, 일반인과 발목 불안정성 환자 등 부상 예방과 감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AOSPT-19-2-27_F1.gif

    Y-balance test

    AOSPT-19-2-27_F2.gif

    One leg standing test

    AOSPT-19-2-27_F3.gif

    Functional performance tests (Caffrey et al., 2009)

    AOSPT-19-2-27_F4.gif

    Kinesio tapping

    AOSPT-19-2-27_F5.gif

    Correlation between YBT right leg anterior and figure-of-eight hop test right leg change

    AOSPT-19-2-27_F6.gif

    Correlation between YBT right leg anterior and square hop test right leg change

    Tabl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Mean±SD
    SMI: skeletal muscle index
    BMI: body mass index

    Changes in dynamic & static balance test before and after taping

    Mean±SD
    <i>p</i><0.05
    ⊿ score = post exercise – pre exercise

    Changes in the functional performance test before and after taping

    Mean±SD
    <i>p</i><0.05
    ⊿ score = post exercise – pre exercise

    Reference

    1. 김경훈, & 조준행 (2009).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선수에게 발목 테이핑이 점프 후 착지 시 발목 각속도, 지면반력과 자세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 회지, 19(3), 519-528.
    2. 김창인, 권오윤, & 이충휘 (2011). 테이핑이 발목의 관절가 동범위와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 리치료학회지, 8(3), 43-52.
    3. 김훈, & 강현주 (2014). 1주간의 키네시오 테이핑이 발목 고유수용감각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 학술지, 16(4), 93-99.
    4. 박영한, & 어영선 (2021). 키네시오 테이핑 방법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발목관절 근긴장도, 균형 능력 및 관절 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16(1), 83-92.
    5. 박창희, 배화숙, 김혜영, 박현선, 박혜선, ... & 김현진 (2011). 편마비 환자의 양쪽 하지 테이핑 적용이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18(1), 11-19.
    6. Caffrey, E. , Docherty, C. L. , Schrader, J. , & Klossner, J. (2009). The ability of 4 single-limb hopping tests to detect functional performance deficits in individual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A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39, 799-806.
    7. Cook, G. , Burton, L. , & Hoogenboom, B. (2006). Pre-participation screening: The use of fundamental movements as an assessment of function part 1. N Am J Sports Phys Her, 1(2), 62-72.
    8. Crossley, K. M. , Bennell, K. L. , & Cowan, S. M. (2004). Analysis of outcome measure for persons with patellofemoral pain: Which are reliable and valid? Arch Phys Med Rehabil, 85(5), 815-822.
    9. Dingenen, B. , Truijen, J. , Bellemans, J. , & Gokeler, A. (2019). Test–retest reliability and discriminative ability of forward, medial and rotational single-leg hop tests. Knee, 26(5), 978-987.
    10. Ha, S. Y. , Han, J. H. , & Sung, Y. H. (2018). Effects of ank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on an unstable supporting surface on proprioception and balance in adult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J Exerc Rehabil, 14(2), 301-305.
    11. Halim-Kertanegara, S. , Raymond, J. , Hiller, C. E. , Kilbreath, S. L. , & Refshauge, K. M. (2017). The effect of ankle taping on functional performance in participant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Phys Ther Sport, 23, 162-167.
    12. Hertel, J. (2000). Functional instability following lateral ankle sprain. Sports Medicine, 29(5), 361-371.
    13. Hoch, M. C. , Farwell, K. E. , Gaven, S. L. , & Weinhadl, J. T. (2015). Weight-bearing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and landing biomechanics in individual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50(8), 833-839.
    14. Kang, M. H. , Choi, S. H. , & Oh, J. S. (2013). Postural taping applied to the low back influences kinematics and EMG activity during patient transfer in physical therapis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J Electromyogr Kinesiol, 23(4), 787-793.
    15. Khalili, S. M. , Barati, A. H. , Oliveira, R. , & Nobari, H. (2022) Effect of combined balance exercises and kinesio taping on balance, postural stability, and severity of ankle instability in female athlete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Life, 12, 911-919.
    16. Lee, S. M. , & Lee, J. H. (2016) Effects of ankle eversion taping using kinesiology tape in a patient with ankle inversion sprain. Th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8, 708-710.
    17. Mills, J. D. , Tauton, J. , & Mills, W. (2005). The effects of a 10 week training regimen on lumbo-pelvic stability and athletic performance in female athlet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hys Ther Sport, 6, 60-66.
    18. Okada, T. , Huxel, K. G. , & Nesser, T. W. (2011). Relationship between core stability, functional movement, and performance. J Strength Cond Res., 25(1), 252-261.
    19. Plisky, P. J. , Gorman, P. P. , Butler, R. J. , Kiesel, K. B. , Underwood, F. B. , & Elkins, B. (2009). The reliability of an instrumented device for measuring components of the star excursion balance test. N Am J Sports Phys Ther, 4(2), 92-99.
    20. Plisky, P. J. , Rauh, M. J. , Kaminski, T. W. , & Underwood, F. B. (2006). Star excursion balance test as a predictor of lower extremity injury in high school basketball players.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36(12), 911-919.
    21. Powden, C. J. , Dodds, T. K. , & Gabriel, E. H. (2019). The reliability of the star excursion balance test and lower quarter y-balances test in healthy adults: A systematic review.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Physical Therapy, 14(5), 683-694.
    22. Puffer, J. C. (2001). The sprained ankle. Clinical Cornerstone, 3(5), 38-49.
    23. Robinson, N. A. , Spratford, W. , Welvaert, M. , Gaida, J. , & Fearon, A. M. (2019) Does dynamic tape change the walking biomechanics of women with greater trochanteric pain syndrome? A blinded randomised controlled crossover trial. Gait Posture, 70, 275-283.
    24. Runge, C. F. , Shupent, C. L. , & Horak, F. B. (1999). Ankle and hip postural strategies defined by joint torques. Gait and Posture, 10, 161-170.
    25. Seo, H. D. , Kim, M. Y. , Choi, J. E. , Lim, G. H. , Jung, S. I. , ... & Lee, H. Y. (2016). Effects of kinesio taping on joint position sense of the ankle. Th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8, 1158-1160.
    26. Wolfson, L. I. , Judge, J. , & Whipple, R. H. (1995). Strength is a major factor in balance, gait, and the occurrence of falls. J Gerontrol, 50, 64-67.
    27. Yang, D. J. , Park, S. K. , & Uhm, Y. H. (2016). Impact of virtual reality based neuromuscular postural control fusion training on balance ability and jump performance of soccer player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1), 357-367.
    28. Yazici, G. , Guclu-Cunduz, A. , Bayraktar, D. , Aksoy S. , Nazliel, B. , ... & Irkec, C. (2015). Does correcting position and increasing sensorial input of the foot and ankle with Kinesio Taping improve balance in stroke patients? NeuroRehabiliation, 36, 345-353.
    29. Yen, S. C. , Folmar, E. , Friend, K. A. , Wang, Y. C. , & Chui, K. K. (2018). Effects of kinesiotaping and athletic taping on ankle kinematics during walking in individual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A pilot study. Gait & Posture, 66, 118-123.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