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여러 스포츠 종목의 선수들은 각 스포츠 종목에 맞는 신체적, 기능적 요인들을 향상시키기 위해 해당 종목에 적합한 다양한 트레이닝 방법들을 적용해 오고 있다 (Bedoya, Miltenberger, & Lopez, 2015;Kargarfardet et al., 2020). 종목마다 사용되는 주동근과 길항근이 다르 기 때문에(Byeon, & Go, 2001) 종목 특성에 맞게 트레이 닝 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 한다(Singh, Chengappa, & Banerjee, 2002). 경기종목에 따라 신체적, 기능적 특성 을 고려한 선수 관리는 지도자와 선수의 목표인 경기력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근력과 균형능력은 기본 적으로 갖추어야 할 필수 요소이다(Caspersen, Powell, & Christenson, 1995;Micheo, Baerga, & Miranda, 2012). 근력은 자세의 안정성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서 안정적 근력 비율은 경기력뿐만 아니라 스포츠 손상 예방에도 도 움을 주고(양창수, & 임비오, 2014), 균형능력은 일정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는 능력으로 스포츠 경기의 수행능력 을 증가시키기 위한 체력적 요소로서 큰 역할을 한다(김 상욱, & 구우영, 2006). 선행연구에서는 각 종목에 따라 요구되는 근력과 균형능력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종 목과의 상관관계를 분류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박석우, 류영, & 김규완, 2014). 근력과 균형능력이 중요한 스포츠 종목 중 축구는 90분간의 경기 동안 필드에서 스프린트 타입의 전력질주, 달리기, 방향전환 등의 다양한 형태의 운동을 수행해야 한다. 높은 수준의 체력이 필요한 스포 츠이며, 패스, 슈팅, 드리블 등의 기술을 수행할 수 있어 야 한다. 이러한 기술과 동작들을 자유롭게 구사하기 위 해서는 근력과 균형능력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축구 경기에서 승리하기 위해 이러한 요소를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트레이닝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과학 적인 장비들이 개발, 적용됨에 따라 경기 중 기술 수행의 정확성이 향상되고 있다(주창화, 2023).
필드하키는 70분의 경기 시간 동안 필드에서 하키스틱 을 가지고 작은 볼을 드리블하는 경기이다. 전후·좌우 여 러 방향으로 신속한 방향전환과 스프린트를 하므로 강한 근력과 유연성, 균형능력을 필요로 한다(최기수, & 이광 수, 2002). 신속하게 방향전환을 하며 드리블하는 점과 오 랜 시간 동안 필드를 뛰면서 stop and go 형태의 움직임을 유지해야 한다는 점에서 근력과 균형능력이 경기 수행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된다(김형준, & 이효철, 2022;박주 나, & 황철상, 2008). 또한 여러 선행연구에서 축구와 필드 하키 경기력 향상을 위해 하지의 근력과 균형능력이 핵심 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고하였다(박은경 등, 2009;안용덕, & 박종항, 2013;최기수, & 이광수, 2002;Kim, 2004).
다양한 장비를 사용하여 근력과 균형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그 중 Y-balance test(YBT 약어로 이후 표기함)는 대상자의 우측, 좌측 발에 대해 앞쪽(anterior, A), 뒤 안 쪽(posteromedial, PM), 뒤 가쪽(posterolateral, PL)의 방향에서 다리의 최대 도달 범위를 분석하여 동적균형능 력을 측정할 수 있다(Lee, Ko, & An, 2019). 그리고 대상 자의 YBT 점수를 분석하여 하지 좌, 우의 불균형의 차이 를 계산할 수 있으며, 대상자의 부상 이력, 성별, 나이 등 을 바탕으로 운동이나 훈련 중 부상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Lehr et al., 2013). 스마트 근 기능 검사장비(Miniplus, Ronfic)는 기존의 근력검사와는 다르게 모터부하 저항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관절의 기 능적 움직임을 등속성(isokinetic), 원심성(eccentric), 구 심성(concentric)으로 대상자의 상지, 하지, 몸통 등을 각 각 또는 협응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대상자의 모든 움직임에 대한 파워와 스피드를 분석하여, 대상자의 관절 가동 범위와 근력을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 장비이다 (현광석 등, 2022).
선행연구에서 필드 종목인 축구와 필드하키에서 요구 되는 경기 수행 능력이 비슷하다고 보고하고 있지만(박은 경 등, 2009; 최기수, & 이광수, 2002), 축구경기에서 빈 번하게 사용하는 킥(kick), 점핑(jumping), 태클(tackle) 등의 동작들이 필드하키와 차이점을 갖는다(오병민, 장형 준, & 허유섭, 2019). 이러한 종목별 차이점과 체력적 특 성을 파악하는 것은 보다 효과적인 트레이닝과 경기력 향 상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축구선수와 필드하키선수의 신체 부위별 근육량과 동적균형능력, 전 신 근기능을 비교함으로써 종목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 효 과적인 트레이닝 방법 개발에 과학적인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연구 대상자는 대학 남자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공고문 을 통하여 모집하였다. 근·골격계의 기능적인 제한이 없 으며 정기적으로 훈련에 참가하고 있는 축구선수 12명, 필드하키선수 8명으로 모두 오른발잡이로 하였다. 실험 과 관련된 내용 및 절차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사전 동 의를 받은 후 실시하였다. 신체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Group | Age(years) | Height(cm) | Weight(kg) | BMI(kg/m2) | SMI(kg/m2) |
---|---|---|---|---|---|
Soccer (n=12) | 19.67±0.65 | 176.33±5.56 | 70.99±7.10 | 22.82±1.81 | 8.33±0.47 |
Hockey (n=8) | 19.75±0.89 | 175.90±5.50 | 75.35±9.64 | 24.29±1.93 | 8.45±0.20 |
Mean±SD
BMI : body mass index
SMI : skeletal muscle index
2. 분석항목
1) 체성분 측정
체성분 분석장비(Inbody 970, Inbody, Seoul, Korea) 를 이용하여 대상자들의 기본 신체조성과 신체 부위별 근 육량을 측정하였다. 대상자들은 측정 전날 음주, 과도한 신체활동을 피하도록 하였고, 금속품을 제거하고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게 한 후 측정하였다.
3. 동적균형능력검사
동적균형능력검사는 Y-balance test kit(Y-balance, Functional movement system, Chatham, VA, USA)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대상자는 YBT 방법을 충분히 교육 받은 후, 3번의 연습을 실시한 뒤에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다리길이는 측정 전 등을 바닥에 대고 누운 상태에서 위앞 엉덩뼈가시(anterior superior iliac spine)부터 발목의 내 측 복사뼈(medial malleolus)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우측다리와 좌측다리 각각 Anterior(A), Posteromedial (PM), Posterolateral(PL)에 대해 3회 측정 후 평균값을 사용하였다(Figure 1). 측정값은 3가지 방향의 평균값을 모두 더하고 대상자들의 다리길이를 3배수로 곱한 값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한 종합점수(composite score, CS)로 분 석하였다(Lee, Ko, & An, 2019).
4. 전신 근력 측정
전신 근력 측정을 위하여 스마트 근기능 검사장비 (Miniplus, Ronfic, Busan, Korea)를 사용하였다. 모터부 하 저항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관절의 테스트로 기능적 움직임을 등속성, 원심성, 구심성 근력 측정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7개의 근기능 검사로 상지(upper body power test) 4개, 몸통(trunk rotation) 1개, 하지(lower body power test) 2개의 기능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상자 는 Figure 2와 같이 서 있는 자세로 상지는 한 손을 사용하여 chest press 자세로 우측 손 미는 힘(right hand-push, R-PS), 좌측 손 미는 힘(left hand-push, L-PS), 한 손을 사용하여 row 자세로 우측 손 당기는 힘(right hand-pull, R-PL), 좌측 손 당기는 힘(left hand-pull, L-PL), 양 손을 사용하여 chest press 자세로 상지 미는 힘(upper bodypush, UB-PS), 양 손을 사용하여 row 자세로 상지 당기는 힘(upper body-pull, UB-PL)을 측정하였다. 몸통은 수평 으로 회전하며 우측으로 몸통 회전하는 힘(trunk rotationright, TR-R), 좌측으로 몸통 회전하는 힘(trunk rotationleft, TR-L)을 측정하였다. 하지는 하지 미는 힘을 squat 자세(lower body-push, LB-PS)로, 하지 당기는 힘은 dead lift 자세(lower body-pull, LB-PL)로 각각 측정하고 이에 대한 파워 값을 산출하였다(Figure 2). 이때, 측정값은 시작 과 마무리 30%를 제외한 중간 평균값을 이용하였다. 파워 값의 측정단위는 Watt(w)로 표기하였다.
5. 자료분석
본 연구를 위해 측정된 모든 자료의 통계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7.0(SPSS Inc., Chicago, IL, USA)를 사 용하였으며, 모든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표기하였다. 축구선수와 필드하키선수 그룹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t-test)을 사용하였으며, 모든 자료의 유의 수준은 α=0.05로 설정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신체 부위별 근육량 측정 결과
축구선수와 필드하키선수의 신체 부위별 근육량 측정 결과 우측 팔, 좌측 팔, 몸통, 우측 다리, 좌측 다리의 근육 량 모두 두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able 2).
Table 2
variables | Group | N | Mean±SD | t | p |
---|---|---|---|---|---|
right arm (R-A, kg) | Soccer | 12 | 3.26±0.42 | -0.398 | 0.695 |
Hockey | 8 | 3.34±0.44 | |||
left arm (L-A, kg) | Soccer | 12 | 3.25±0.39 | -0.520 | 0.609 |
Hockey | 8 | 3.34±0.41 | |||
trunk (T, kg) | Soccer | 12 | 26.00±2.40 | -0.452 | 0.657 |
Hockey | 8 | 26.50±2.47 | |||
right leg (R-L, kg) | Soccer | 12 | 9.77±0.92 | -0.057 | 0.955 |
Hockey | 8 | 9.80±1.23 | |||
left leg (L-L, kg) | Soccer | 12 | 9.65±0.95 | -0.177 | 0.861 |
Hockey | 8 | 9.74±1.14 |
SD : Standard Deviation
p<0.0
2. 동적균형능력 검사 결과
축구선수와 필드하키선수의 동적균형능력 검사 결과 L-PL에서 축구선수 120.28±7.69%가 필드하키선수 109.23±12.51%에 비해 유의하게(p=0.02) 높게 나타났다 (Table 3).
Table 3
variables | Group | N | Mean±SD | t | p | |
---|---|---|---|---|---|---|
right leg (%) | anterior (R-A) | Soccer | 12 | 72.21±8.30 | 1.530 | 0.143 |
Hockey | 8 | 66.25±8.91 | ||||
posteromedial (R-PM) | Soccer | 12 | 118.36±6.11 | 1.111 | 0.297 | |
Hockey | 8 | 111.79±15.97 | ||||
posterolaterral (R-PL) | Soccer | 12 | 116.20±9.37 | 1.283 | 0.216 | |
Hockey | 8 | 109.55±13.92 | ||||
left leg (%) | anterior (L-A) | Soccer | 12 | 72.20±8.00 | 1.010 | 0.326 |
Hockey | 8 | 67.82±11.45 | ||||
posteromedial (L-PM) | Soccer | 12 | 119.08±5.42 | 1.652 | 0.137 | |
Hockey | 8 | 108.98±16.73 | ||||
posterolaterral (L-PL) | Soccer | 12 | 120.28±7.69 | 2.459 | 0.024* | |
Hockey | 8 | 109.23±12.51 | ||||
composite (%) | right (R-CS) | Soccer | 12 | 105.29±6.24 | 1.528 | 0.144 |
Hockey | 8 | 99.23±11.55 | ||||
left (L-CS) | Soccer | 12 | 106.64±5.08 | 1.527 | 0.164 | |
Hockey | 8 | 99.06±13.41 |
SD : Standard Deviation
*p<0.05
3. 전신 근력 측정 결과
축구선수와 필드하키선수의 전신 근력 측정 결과 R-PS 에서 축구선수 9.47±1.85w에 비해 필드하키선수 12.49± 1.77w가 유의하게(p=0.01) 높게 나타났으며, L-PS에서도 축구선수 10.19±2.21w에 비해, 하키선수 12.41±2.01w가 유의하게(p=0.04) 높게 나타났다(Table 4).
Table 4
variables | Group | N | Mean±SD | t | p | |
---|---|---|---|---|---|---|
push(w) | right (R-PS) | Soccer | 12 | 9.47±1.85 | -3.636 | 0.002* |
Hockey | 8 | 12.49±1.77 | ||||
left (L-PS) | Soccer | 12 | 10.19±2.21 | -2.281 | 0.035* | |
Hockey | 8 | 12.41±2.01 | ||||
pull(w) | right (R-PL) | Soccer | 12 | 13.54±2.94 | 0.357 | 0.725 |
Hockey | 8 | 13.13±1.80 | ||||
left (L-PL) | Soccer | 12 | 14.43±2.75 | 0.171 | 0.866 | |
Hockey | 8 | 14.24±2.08 | ||||
trunk rotation(w) | right (TR-R) | Soccer | 12 | 12.42±2.97 | -1.179 | 0.254 |
Hockey | 8 | 13.90±2.39 | ||||
left (TR-L) | Soccer | 12 | 13.26±2.83 | -1.739 | 0.099 | |
Hockey | 8 | 15.58±3.05 | ||||
upper body(w) | push (UB-PS) | Soccer | 12 | 9.62±2.77 | -0.794 | 0.438 |
Hockey | 8 | 10.55±2.23 | ||||
pull (UB-PL) | Soccer | 12 | 12.90±3.81 | 0.311 | 0.760 | |
Hockey | 8 | 12.43±2.46 | ||||
lower body(w) | push | Soccer | 12 | 35.68±4.18 | -0.445 | 0.662 |
(LB-PS) | Hockey | 8 | 36.50±3.77 | |||
pull (LB-PL) | Soccer | 12 | 39.19±11.23 | 0.606 | 0.552 | |
Hockey | 8 | 36.43±7.70 |
SD : Standard Deviation
*p<0.05
W : Watt
Ⅳ. 고 찰
본 연구는 대학 축구선수와 필드하키선수의 동적균형 능력과 전신 근기능이 종목 특성과 관련하여 어떠한 차이 가 있는지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체성분 측정에 대한 두 집단의 좌우 상지, 하지, 몸통 부위별 근육량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 았다. 박주식 등(2020)은 축구선수와 태권도 선수의 체성 분 비교 결과 부위별 근육량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본 연구와 유사한 경향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이유 는 두 집단 모두 훈련량이 많은 엘리트 선수이고, 기본적 인 체력 훈련 및 트레이닝 방법에 차이가 없음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동적균형능력검사 결과 L-PL에서 축구선수가 필드하 키선수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김유신(2006)의 인스텝(instep) 슈팅 시 근전도 연구에서 슈팅발은 내측 장딴지근(medial gastrocnemius)이 보다 활성화되고, 디 딤발에서는 앞정강근(tibialis anterior)이 보다 활성화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우측 다리를 주측발로 사용하는 축구선수가 좌측 다리를 디딤발로 슈팅과 드리블 등을 자주하게 되면서 디딤발에서 사용되는 앞정강근이 활성화된 결과로 생각된다. 동적균형능력검사의 L-PL에 서 주로 사용되는 근육과 축구선수가 슈팅과 드리블 할 때 디딤발로 쓰이는 근육이 앞정강근, 가쪽넓은근(vastus lateralis) 등으로 유사한 점이 많기 때문에 L-PL에서 축구 선수가 필드하키선수보다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Brophy et al. (2007)의 연구에서 인스텝, 사이드풋(sidefoot) 슈팅 동작에 있어서 하지의 근활성도를 평가하였고, 두 종류의 슈팅 모두 앞정강근과 상호작용한다고 하였다. 축구는 한발로 신체를 지지하여 볼을 차거나 순간적인 점프 를 통해 공을 처리한다(천성용, 전경규, & 박동수, 2012). 이러한 편측성 운동을 반복하게 되면 양쪽의 근력이 비대칭 이 되고 골반의 위치가 변하게 되어 근골격계의 부상 원인 이 될 수 있다(정선영 등, 2013). 축구선수는 경기에서 가속 과 감속, 점프와 착지, 순간적인 방향전환, 그리고 불안정한 상태에서의 균형 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Stolen et al., 2005). 박상용, & 안용덕(2014) 에 따르면 축구선수에게 밸런스 트레이닝을 적용하여 경기 력이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균형능력 을 향상시키는 트레이닝 비중을 늘려 신체 좌우의 균형능력 을 높이는 것이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전신 근력 측정 결과 R-PS와 L-PS동작에서 축구선수 에 비해 필드하키선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축구와 달리 하키스틱을 사용하는 필드하키 종목 특성상 선수가 스윙하는 동작에서 자주 사용되는 근육이기 때문 인 것으로 생각된다. 하키는 스틱을 들고 편측 움직임이 많은 경기로 근력 및 신체의 비대칭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대칭성 때문에 균형능력에 문제점을 많이 유 발하여 경기 수행 능력에도 영향을 미친다(박종항, 2012). 필드하키 스윙과 패턴이 유사한 골프와 야구 스윙 동작을 살펴보면, 김창욱(1997)은 골프 스윙 임팩트 시에 사용되 는 주동근과 협력근으로 큰가슴근(pectoralis major), 위팔 두갈래근(biceps brachii), 위팔세갈래근(triceps brachii), 등세모근(trapezius)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고 하였다. 박치복, 최아영, & 정호진(2019)은 야구 스윙 시에 우세 측 어깨관절 굽힘근(shoulder flexor), 어깨관절 벌림근 (shoulder abductor), 어깨관절 모음근(shoulder adductor), 팔꿉관절 굽힘근(elbow flexor)의 근력이, 비 우세 측 어깨 관절 폄근(shoulder Extensor), 어깨관절 굽힘근, 어깨 관절 벌림근, 어깨관절 모음근, 팔꿉관절 폄근(elbow Extensor), 팔꿉관절 굽힘근 근력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두 스윙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근육은 큰가슴 근, 위팔두갈래근, 위팔세갈래근, 등세모근인 것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는 본 연구의 R-PS, L-PS 와 같은 상지 프레스 동작에서도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근 육들이다(Lehman GJ, 2005;Welsch, Bird, & Mayhew, 2005). 이러한 요소로 인해 필드하키선수가 축구선수보다 R-PS, L-PS 동작에서 보다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 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당기는 힘의 후면 근육인 넓은등근 (latissimus dorsi), 등허리근막(thoracolumbar fascia), 큰볼기근(gluteus maximus)등과 같은 근육의 트레이닝을 병행하여 실시한다면 보다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 로 생각된다. 그러나 안용덕, & 박종항(2013)의 연구에서 는 하키선수에게 PNF 통합패턴 트레이닝을 적용하여 필 드하키선수의 신체 밸런스와 균형능력을 증진시켜 경기력 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선수의 운동수행능력(exercise performance)과 기능적 움직임을 종합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강 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신체 부위별 근육량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음에도 불구 하고 전신 근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점은 이 호성(2021)의 결과와 같이 근력은 근육량으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근신경의 조절 능력, 근섬유의 배열상태와 길이, 관절각 등의 요인이 근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R-PS, L-PS 동작을 주로 하는 필드하키선수가 R-PS, L-PS에서 축구선수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 각된다.
이와 같이 축구선수와 필드하키선수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축구선수는 L-PL의 동적균형능력이 우세하고, 필 드하키선수는 R-PS, L-PS의 근력이 우세하다는 것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종목적 특성을 바 탕으로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경기력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 연구에 과학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 로 사료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축구선수와 필드하키선수의 동적균형능력과 전신 근기능을 비교함으로써 각 종목의 특성에 대해 알아 보았으며, 축구선수의 L-PL 동적균형능력이 필드하키선 수보다 우세하고 필드하키선수의 R-PS와 L-PS의 근력 이 축구선수보다 우세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종목 특성상 축구는 하체를 주로 이용하여 볼을 다루는 특성과 하키는 상체를 주로 이용하여 하키스틱을 다루는 특성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축구선수와 필드하키선수의 종목 특성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운동 프 로그램 개발 및 경기력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 연구에 과학 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