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9 No.2 pp.1-8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23.19.2.01

The Curriculum Status of the Department of Sports Rehabilitation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ASRaT Educational Framework

Yushin Kim*
Cheongju University, Department of Sports Rehabilitation, Professor
* * 교신저자: 김유신 E-mail: kimy@cju.ac.kr
August 24, 2023 December 1, 2023 December 15, 2023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Sports Rehabilitation in Korea and the curriculum frame established by the British Association of Sport Rehabilitators and Trainers (BASRaT).


Methods:

Based on department names in the University Admissions Information Portal operated by the Korea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sports rehabilitation and related department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By analyzing the keywords of the subject titles, the educational direction was determined. Then, subjec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BASRaT 2020 educational framework.


Results:

A total of 1,498 subjects were collected from 35 departments,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 direction of education on exercise and sports. From the educational frame perspective of BASRaT, the Department of Sports Rehabilitation in Korea showed a 77% satisfaction rate for the curriculum, and exercise/rehabilitation principles accounted for the highest portion at 25%. The most vulnerable areas were anatomy, sports massage, and evidence-based treatment, which accounted for 2% of the entire curriculum.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Korea's Department of Sports Rehabilitation aligns with the BASRaT's educational framework. However, there's a notable deficiency in medical knowledge and evidence-based thinking. Despite UK-Korea differences, adapting the BASRaT guidelines can greatly benefit the future of Korea's sports rehabilitation.



영국 스포츠재활사협회 교육프레임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 스포츠재활 관련 학과의 교과과정 현황

김유신*
청주대학교 스포츠재활학과, 교수

초록


    Ⅰ. 서 론

    국제보건기구(WHO)는 신체활동부족병에 의한 당뇨병, 고혈압, 대사증후군과 같은 비전염성질환(NCD)을 미래 건 강 위협으로 지목하였다(World Health Organization, 2022). 한국 또한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에 예산을 집중 투입하고 있다(한국건강 증진개발원 건강증진과, 2022).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체 활동부족병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의료인력 확충, 의료비 부담 감소, 새로운 의료 서비스 표준화 등 다양한 어려움을 극복해야 한다. 이에 지역사회에서 신체활동부 족 위험군을 위한 운동을 이해하고 이들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스포츠재활은 지역사회에서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클라 이언트(client)의 신체 능력을 회복하고 잠재 능력을 이끌 어 내는 다학제 융합 서비스로 변모하고 있다(Hart, 2015).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맞추어 대학 교육 현장에서도 다학 제 관점을 적용하여 졸업생이 전문가로서 다양한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변수를 인식하고 대체 대안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유기웅 & 신원석, 2012).

    한국의 스포츠재활 관련학과는 운동처방, 영양, 성인 병, 심폐기능, 운동 지도법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교육을 전개하고 있다(김유신, 2022). 일부 대학에서는 환경 관 리, 타 직업군의 이해, 연구방법론, 디지털헬스와 같은 영 역도 교육과정에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스포츠재활 개념 이 해외 선진국에서 국내로 도입한 역사가 길지 않아 한국 의 스포츠재활 관련 학과의 교육체계는 아직 개선해야 할 점도 있다. 대표적으로 스포츠재활 관련 교육 협의체가 존재하지 않아 대학별 교과과정 구성이 매우 다양한 문제 를 들 수 있다(김유신, 2022). 교과과정은 학과 정체성을 의미하므로(조미혜 & 오수학, 2004), 학과마다 교과과정 이 상이하다는 것은 해당 분야 졸업생의 전문성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이윤경 & 조미혜, 2018). 기존 체육계 열 교육과정 연구를 살펴보면 노인체육지도사, 장애인체 육지도사, 특수교사, 운동사, 운동처방학과 관련 교과과정 개발이 진행되었지만(강동헌 et al., 2020;김설향 & 정복 자, 2009;남덕현, 2020;옥정석, 2016;위성식, 2001;이 은화 & 김인형, 2009;장주호, 2001;정덕조, 2006;차광 석, 2004), 스포츠재활 관련 교과과정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표준화되지 않은 교과과정의 지속은 향후 학과 의 교육적 정체성이 불명확해지고 전문직으로서 사회적 입지 구축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Davis, Sumara, & Luce-Kapler, 2015).

    스포츠재활 전문가는 체육학과 의학적 지식을 고루 습 득할 필요가 있다(정일규 et al., 2011). 이러한 학문적 특성 으로 인하여 스포츠재활학과에서는 교과과정 개발 시 여 러 학문 간 융합 비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배경 에서 영국스포츠재활사협회(BASRaT, British Association of Sport Rehabilitators and Trainers)의 표준 교육 프레 임워크는 스포츠재활을 위한 융합적 교과과정의 모범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Aspinall, Steve & Munro, 2020). BASRaT은 영국의 대표적인 스포츠재활 협회이며, BASRaT 에 등록된 스포츠재활사는 영국의 최고 의료 규제 기관인 PSA (Professional Standards Authority)에 의해 인증을 받고 있다. 현재 해당 협회로부터 20개 대학과 7개 대학원 이 교육과정 인증을 받고 교과과정을 표준화하고 있다 (Aspinall, Stephen, 2022).

    BASRaT에서 정의한 스포츠재활사는 근골격계와 관련 된 통증, 부상 또는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스포츠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수준까지 신체 능력을 향상시키는 직업을 의미한다(Russell, 2010). 구체적으로 RASRaT 온 라인 웹페이지를 살펴보면 스포츠재활사는 다양한 연령 대와 환경의 사람들이 건강과 체력을 유지하고, 부상을 예방과 회복하며, 통증을 줄일 수 있도록 운동, 움직임 및 수동적 중재(manual based therapeutic interventions)를 사용하는 전문가로 규정하고 있다(BASRaT, 2023). BASRaT는 최종적으로 대학원 수준의 전문지식을 갖춘 스포츠재활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영국은 스포츠 과학과 의학 분야에서 오랜 역사와 발전 을 이루었으며, 특히 프리미어리그와 같은 세계 최고의 축구 리그를 운영하며 선진 근골격계 재활 시스템을 운영 하는 등 스포츠재활 분야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예를 들어, 척수 손상, 화상, 소아마비, 뇌졸중, 요 통, 장비 및 적응 등 다양한 영역에서 스포츠재활 서비스 가 제공되고 있다(Wade, 2021). 이러한 우수한 스포츠 재 활 서비스의 기반에는 스포츠재활 전문가들을 위한 체계 적이고 고급화된 교육 프로그램이 있으며, 이는 전 세계 많은 국가들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므로 영국 스포 츠재활 교과과정 프레임에 관한 면밀한 분석은 현재 국내 스포츠재활 관련 학과의 교육과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 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국내 스포츠재활학과의 교과과정이 BASRaT 에서 설정한 교과과정 프레임에 얼마나 상응하는지 알아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스포츠재활 관련 학과를 조 사하고, 해당 학과에서 개설한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이 후 2020년 BASRaT에서 제안한 교육 프레임워크에 맞추 어 국내 스포츠재활학과의 교과과정을 분류하였다. 비록 영국과 한국의 문화적, 제도적 차이에 따른 교과과정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본 연구에서 참고하는 BASRaT 교과 과정 지침은 국내 스포츠재활학과에서 추구하는 전문 인 재 양성의 방향성이 같으므로 교과과정 구성의 기준자료 로서 타당성을 지니고 있다.

    Ⅱ. 연구방법

    본 연구는 스포츠재활을 전문으로 하는 학과가 있는 일 반 4년제 대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근 대학 구조조정 결과를 반영하여 2023년에 실시된 입학시험을 기준으로 관련 대학을 선정하였다. 또한,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학과 명칭이 스포츠재활과 유사한 명칭을 사용 하는 학과를 분석 대상에 포함하였다. 첫 번째 방법으로 는 '스포츠', '재활', '건강', '운동'을 키워드로 설정하여, 한 국대학교육협의회가 제공하는 대학입학정보포털에서 검 색하여 관련 학과를 선택하였다. 두 번째로는 대학입학정 보포털에서 ‘보건’, ‘재활치료’, ‘체육’으로 분류된 학과를 선정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검색한 결과에서 스포츠재활 관련 융합이 아닌 전통적인 학과는 분석 제외 대상으로 설정하 였다. 이에 따라 체육학, 체육교육학, 물리치료학, 작업치 료학, 스포츠과학, 스포츠산업, 사회과학, 사회복지학, 심 리학, 아동학, 가족학, 언어학, 상담학, 공학으로 분류된 학과는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교과과정 구성이 스 포츠재활이 아닌 일반 체육계열이나 보건계열에 특화된 학과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마지막으로 성인 학생을 위 한 학과와 야간에 운영하는 학과는 연구 조사에서 제외하 였다. 이후 최종 선정된 학과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를 통해 교과목 명칭과 소개 정보를 수집하였다.

    각 학과에서 개설한 교과과정의 키워드 분석을 위해 한 글 키워드 분석 프로그램 KLT2000을 사용하여 주요 키워 드를 확인하고, Excel 프로그램 내 COUNTIF 함수를 사용 하여 각 키워드의 사용 빈도를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스포츠재활학과의 각 과목을 BASRaT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BASRaT 교과과정 분류 기준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BASRaT's Curriculum categories

    Categories Description
    Anatomy
    • - Anatomy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human body is essential for the formation of critical knowledge for sport rehabilitators.

    Exercise Physiology
    • - Allows sport rehabilitators to connect the functions of each organ of the human body learned in other subjects.

    • -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ffect of exercise on the human body during sports rehabilitation work.

    Sports Injuries/Musculoskeletal Assessment
    • -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clinical skills and knowledge of sport rehabilitators.

    • - Closely linked to knowledge of anatomy and physiology.

    • -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clinical skills and knowledge of sport rehabilitators.

    Sports Massage
    • -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clinical skills and knowledge of sport rehabilitators.

    • - Closely linked to knowledge of anatomy, physiology, and sports injuries.

    • - Increase students' chances of getting a job by increasing the chances of acquiring qualifications awarded by professional organizations such as Vocational Training Charitable Trust (VTCT) and sports massage association (SMA).

    • - Students can apply their knowledge in practice by linking with local organizations and events.

    Academic Skills/Methods of Enquiry
    • - Developing academic skills and knowledge necessary for all higher education students to cultivate essential competencies for sports rehabilitation.

    Evidence Based Practice
    • - Must be part of the final stage of the curriculum.

    • - Must be able to create a sufficient level of academic grounds that can be provided to others.

    • - This course should be encouraged for all sport rehabilitators.

    Injury Treatment Modalities
    • - The use of therapeutic modalities (therapeutics, techniques, devices, tools, etc.) constitutes a significant part of the skills used by sport rehabilitators.

    Principles of Exercise and Rehabilitation Exercise is one of the critical components of treatment used by sport rehabilitators.
    Sports Psychology
    • - Provides a holistic approach to patient care.

    • - Must understand basic principles and theories so that patients can be handed over to other specialists.

    • - Should be recommended to all sport rehabilitators.

    Sports Biomechanics
    • - The patient must be kinematically evaluated to identify the risk of injury.

    • - Understand some basic principles and theories so that you can refer the patient to another specialist in an appropriate situation.

    • - Should be recommended to all sport rehabilitators.

    Exercise Prescription for Public Health and Wellbeing
    • - Important for sport rehabilitators to develop the knowledge and skills to engage in public health and well-being.

    • - As a specialist in exercise prescription and guidance for health promotion, GSR is the ideal specialist to meet these needs.

    Ⅲ.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운영하는 대학입 학정보포털에서 학과 명칭이 스포츠재활과 관련된 35개 학과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교 과목 수는 총 1,498개였다. 분석에 포함된 학과에서 개설 한 과목 수는 평균적으로 42.8 ± 12.0이었다.

    BASRaT 기준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교과과정은 평균 32.4 ± 9.4 과목이었으며, 학과별 최소 16과목에서 최고 54과목으로 분포를 보였다. BASRaT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는 10.4 ± 8.4 과목이었으며, 학과별 최소 0에서 최고 34개의 과목이 배치되어 있었다. 비율적으로 BASRaT 기준 에 맞는 교과목은 77%±15(범위: 45~100%)였으며, 그렇지 않은 과목은 23%±15(범위: 0~55%)였다.

    BASRaT 기준 카테고리 11개 중에서 국내 스포츠재활학 과는 평균적으로 8.8±1.5개를 충족하였으며 비율상 80%±14 수준이었다. 각 카테고리별 교과목 배정 평균 수 는 운동/재활원리가 10.5±5.3개로 가장 많았으며, 질환/ 근골격평가 4.6±2.3, 운동처방 3.9±2.8, 부상치료양식 3.0±3.0, 운동생리학 2.6±1.7, 스포츠생체역학 2.0±1.0, 학업기술 1.6±1.7, 스포츠심리학 1.3±1.7, 스포츠마사지 1.0±0.9, 근거중심처치 1.0±2.1, 해부학 0.8±0.7 순이었 다. BASRaT 기준 카테고리별 교과목 배정 현황은 Figure 1에 제시되어 있다.

    Figure 1

    Curriculum allocation status by the categories of BASRaT’s educational frameworks

    AOSPT-19-2-1_F1.gif

    본 연구에서 조사한 총 교과목 수는 대학마다 상이하므 로 BASRaT 기준 카테고리에 포함된 과목 수를 전체 과목 수에 따라 비율적으로 정규화하였다. 즉, 학과별 전체 교 과목 중 몇 퍼센트의 교과목이 기준 카테고리에 포함되었 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카테고리별 교과목 배정 비율 은 운동/재활원리가 25%±11개로 가장 높았으며, 질환/근 골격평가 11%±5, 운동처방 9%±7, 부상치료양식 7%±7, 운동생리학 7%±7, 스포츠생체역학 5%±3, 학업기술 4%±3, 스포츠심리학 3%±6, 근거중심처치 2%±5, 스포 츠마사지 2%±2, 해부학 2%±2 순이었다. BASRaT 기준 카테고리별 교과목 배정 비율 현황은 Figure 2에 제시되 어 있다.

    Figure 2

    Curriculum allocation ratio by the categories of BASRaT’s educational frameworks (sorted by the highest percentage)

    AOSPT-19-2-1_F2.gif

    교과목 명칭에 자주 사용된 키워드 분포를 순서대로 살펴 보면 운동(404회), 스포츠(340회), 재활(140회), 실습(121 회), 트레이닝(104회), 생리(81회), 건강(65회), 체육(62회), 처방(57회), 평가(55회) 순으로 나타났다. BASRaT 기준 카테고리에 포함된 교과목의 명칭 중 자주 사용된 키워드 분포를 순서대로 살펴보면 운동(398회), 스포츠(202회), 재활(140회), 실습(108회), 트레이닝(103회), 생리(81회), 건강(65회), 처방(57회), 평가(55회), 해부(54회) 순이었다. 기준 카테고리에 포함되지 않은 교과목의 명칭 중 자주 사용된 키워드는 스포츠(138회), 사회(25회), 수영(21회), 필라테스(18회), 동계(18회), 캡스톤디자인(15회), 실습(13 회), 윤리(12회), 배드민턴(12회), 요가(12회) 순이었다. 각 카테고리에 할당된 교과목 명칭의 주요 키워드 분포는 Table 2와 같다.

    Table 2

    Main keywords (1-5th) of course titles from the Department of Sports Rehabilitation in Korea assigned to the BASRaT category

    Principles of Exercise and Rehabilitation words exercise rehabilitation training practice physical education
    freq. 143 92 88 48 39
    ratio* 39% 25% 24% 13% 11%
    Sports Injuries/Musculoskelet al Assessment words exercise assessment injury examination pathophysiology
    freq. 59 55 34 27 24
    ratio* 37% 34% 21% 17% 15%
    Exercise Prescription for Public Health and Wellbeing words exercise prescription practice program health
    freq. 70 50 20 16 16
    ratio* 51% 36% 15% 12% 12%
    Injury Treatment Modalities words sports practice taping first-aid rehabilitation
    freq. 39 26 21 20 16
    ratio* 37% 25% 20% 19% 15%
    Exercise Physiology words exercise physiology nutrition sports clinical
    freq. 51 47 36 18 4
    ratio* 56% 52% 40% 20% 4%
    Sports Biomechanics words function exercise anatomy biomechanics muscle
    freq. 34 34 28 27 11
    ratio* 49% 49% 40% 39% 16%
    Academic Skills/Methods of Enquiry words sports major introduction exercise career
    freq. 20 14 11 8 8
    ratio* 35% 25% 19% 14% 14%
    Sports Psychology words psychology sports exercise consulting rehabilitation
    freq. 36 22 12 7 3
    ratio* 78% 48% 26% 15% 7%
    Evidence Based Practice words sports seminar exercise research statics
    freq. 15 11 10 9 7
    ratio* 42% 31% 28% 25% 19%
    Sports Massage words massage sports stretching rehabilitation taping
    freq. 20 16 7 5 5
    ratio* 59% 47% 21% 15% 15%
    Anatomy words anatomy human physiology basic exercise
    freq. 26 17 5 3 2
    ratio* 96% 63% 19% 11% 7%

    * Percentage of keyword usage in each category. Categories are sorted by the highest percentage.

    Ⅳ. 논 의

    본 연구는 BASRaT의 교육 프레임과 국내 스포츠재활 관련 학과의 교과과정이 얼마나 상응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방법으로 스포츠재활 관련 학과 영역에 포함되는 학 과 리스트와 각 학과에서 운영하는 1,498개의 교과목을 수집하였다. 해당 교과목의 현황 파악을 위해 키워드를 분석하였으며, BASRaT에서 제시한 카테고리에 각 교과 목을 할당하였다. 그 결과 키워드 분석을 통해 국내에서 지향하는 교육 방향을 알 수 있었으며, 해당 교과과정의 BASRaT 기준 충족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키워드 분석 결과 국내 스포츠재활 관련 학 과에서 지향하는 교육 방향이 운동과 스포츠에 집중되어 있었다. 빈도수를 기준으로 최상위 그룹을 살펴보면 운동 이 404회로 가장 많았으며, 스포츠는 340회로 그 뒤를 이 었다. 상위 그룹 단어로는 재활(140회), 실습(121회), 트레 이닝(104회), 생리(81회)이 있었다. 앞에서 제시한 단어의 빈도수를 고려했을 때 국내 스포츠재활 관련 학과는 운동 과 관련한 과학적 지식을 다루는 것으로 보인다. 중위 그 룹에 속한 단어로는 건강(65회), 체육(62회), 처방(57회), 평가(55회)가 있었으며, 이 역시 운동처방 관련 성격을 지 니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비록 재활이라는 단어가 있었 지만, 국내 관련 학과는 전반적으로 건강증진이나 유지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BASRaT의 교육 프레임 관점에서 국내 스포츠재활학과 는 77%의 충족률을 보여주었나, 최소 45%에서 100%의 높 은 편자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전체 교과목의 충족률은 교과과정이 BASRaT의 특정 카테고리에만 편중되어 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개별 카테고리 충족률을 추가 로 분석한 결과 11개의 카테고리 중 평균적으로 80%의 카 테고리에 교과목이 할당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는 거시적 관점에서 국내 스포츠재활학과가 BASRaT의 교육 프레임을 충족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각 카테고리의 교과목 비중을 살펴보면 현재 국 내 스포츠재활학과의 교과과정에 왜곡이 있음을 알 수 있 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국내 스포츠재활학과 교과과정의 경우 운동/재활 원리 관련 교과목은 매우 높은 비중을 차 지하고 있어 전공자의 관련 지식에 관한 이해가 높을 것으 로 예상된다. 다만, 해당 영역의 쏠림 현상이 바람직하다 고 볼 수는 없다. Fig. 2에 표시된 카테고리별 교과목 비율 을 살펴보면 운동/재활 원리가 25% 수준으로 후 순위가 11%임을 고려한다면 해당 영역에 교과목 편중이 심한 것 을 알 수 있다. 11개의 카테고리에서 한 영역에 1/4이 포함 되어 있다는 것은 학생들이 스포츠재활에 광범위한 시각 을 형성하는데 부정적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구체적으 로 살펴보면 재활보다 운동 원리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키워드 분석에서 운동과 스포츠가 높은 키워드 분포를 나타낸 것에 상응한다.

    BASRaT의 교육 프레임 관점에서 보았을 때 국내 스포 츠재활학과 학생들의 가장 취약한 영역은 해부학, 스포츠 마사지, 근거중심처치 분야였다. 해당 교과목 배정은 전 체 교과과정 중 2% 수준으로 매우 낮은 실정이다. Fig. 1을 살펴보면 해당 영역에 교과목이 전혀 없는 경우가 상 당수 발견된다. 해당 과목은 모두 의학적으로 매우 중요 한 영역이다. 해부학은 인체의 구조를 이해하는 학문으로 모든 의학 과목의 토대를 이루는 기본 교육과목으로 준의 료계열에서는 해당 과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김원 식, 2012). 스포츠마사지 역시 근골격계 통증 관리와 컨디 셔닝을 위한 실무 지식으로 현장에서 수요가 높은 기술이 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스포츠마사지 비전문 가의 잘못된 서비스 제공과 민간 자격증 남발로 인하여 사회적 인식의 부정적 왜곡이 존재하므로(강현희, 2003), 스포츠재활학과와 같은 고등교육기관에서 전문가 양성을 통해 이를 바로잡아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근거중심 처치는 연구 지식을 바탕으로 과학적으로 실무에 접근하 는 태도를 형성하는 교과 영역이며 날로 급변하는 4차 산 업 시대에 그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교과과정을 각 학과에서 모두 운영 한다고 볼 수는 없다. 대다수 학과에서 홈페이지에 게시 된 모든 교과과정을 운영하는 것이 아닌 각 대학의 제도와 운영 시기에 따라 교과과정의 실제 운영 현황이 달라지므 로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또한 교과목 명칭 위주로 분석한 한계가 있다. 비록 각 교과과정의 설명을 참고하여 해당 BASRaT 카테고리에 배정하였지만, 담당 교수 변경 등 여러 사유로 해당 교과목의 실제 운영 내용 이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 수험생이나 외부에서 학 과를 판단할 때 홈페이지에 게시된 정보를 활용하므로, 본 연구에서 조사한 교과과정은 해당 학과의 특성을 반영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또한 명확하게 스포츠재활 (sport rehabilitation)을 가치로 내세우는 BASRaT의 사 례를 중점으로 다루었으나, 다른 해외 선진국의 사례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이에 추후 연구를 통해 다양한 스포 츠재활 선진국의 교육과정 분석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과 장애 인구 증가에 따 라 신체 건강 관리의 사회적 요구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윤종대, 정한상, & 김성연, 2017;최경화 et al., 2021). 급변 미래 사회에서 국내 스포츠재활학과의 사회적 요구 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의학 관련 교과과정 부족을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스포츠재활 전 공자의 신체재활 전문성 의문 제기 및 사회적 불신으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김종훈, 2020;이대희, 2018). 이를 막기 위해서는 먼저 세계적 눈높이에 맞는 스포츠재활학 과의 교과과정 마련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추후 연구 에서는 영국을 비롯한 해외 스포츠재활 선진국의 대학 교 과과정을 분석하고 국내 현황과 비교한다면 국내 스포츠 재활 발전 방향을 설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스포츠재활 관련 학과의 방향이 운동과 스포츠를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국내 현황을 BASRaT의 교육 프레임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의학 관련 영역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학 관련 교 과목의 부족은 향후 관련 학과 졸업생의 실무 능력에 부정 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사회적으로 근골격 계 기능 재활 서비스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 나 스포츠재활 관련 학과에서 의학 관련 교과과정이 현재 상태로 유지된다면 졸업생의 실무 능력에서 손상된 기능 회복과 재활 지식의 경쟁력 감소로 이어져 학과의 사회적 입지 구축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관련 학 과의 교과과정 개편 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학 관 련 과목 비중을 높일 것을 제안한다. 비록 영국과 한국의 제도, 사회, 문화적 차이가 존재하지만, 영국은 대표적인 스포츠재활 선진국으로 교육체계와 연구 지식 창출을 주 도하고 있다. BASRaT 지침을 바탕으로 국내 스포츠재활 학과의 교과과정을 개편하는 것은 국내 스포츠재활 표준 교육체계 구축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Figure

    AOSPT-19-2-1_F1.gif

    Curriculum allocation status by the categories of BASRaT’s educational frameworks

    AOSPT-19-2-1_F2.gif

    Curriculum allocation ratio by the categories of BASRaT’s educational frameworks (sorted by the highest percentage)

    Table

    BASRaT's Curriculum categories

    Main keywords (1-5th) of course titles from the Department of Sports Rehabilitation in Korea assigned to the BASRaT category

    * Percentage of keyword usage in each category. Categories are sorted by the highest percentage.

    Reference

    1. 강동헌, 박지영, 임승진, 이금주, 호승희, & 은선덕 (2020). 장애인 재활운동 및 체육 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8(1), 15-30.
    2. 강현희 (2003). 한국 스포츠마사지의 실태분석을 통한 발전 방향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5, 25-37.
    3. 김설향, & 정복자 (2009). 노인전문체육지도자 양성현황과 개선방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7(1), 791-798.
    4. 김원식 (2012). 준의료계열 학생들의 해부실습 견학 효과. 해부·생물인류학, 25(2), 77-86.
    5. 김유신 (2022). 스포츠재활 관련 학과의 교과과정 현황 분 석.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논문집, 20(2), 21-29.
    6. 김종훈 (2020. 2. 13). Pt 받다 근육 녹은 회원, 트레이너 책임은? 머니투데이, Retrieved from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21211042795237
    7. 남덕현 (2020). 한국 특수학교 체육과 장애인 체육환경 시 대별 변화과정 탐색. 체육과학연구, 31(2), 318-329.
    8. 옥정석 (2016). 운동사 (運動師) 양성을 위한 대학 교과과정 구성의 기본방향.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18, 47-57.
    9. 위성식 (2001). 노인체육 전공 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육과 정의 개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5, 77-94.
    10. 유기웅, & 신원석 (2012). 대학 교양교육과정 만족도 및 강의 선택 관련 요인 분석. 교육문제연구, (45), 31-54.
    11. 윤종대, 정한상, & 김성연 (2017). 노인 생활체육참여 현황 조사 및 개선방안. 한국스포츠학회지, 15(3), 341-347.
    12. 이대희 (2018. 3. 19). '호모 스마트쿠스', 당신의 목이 위험 하다. 프레시안, Retrieved from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189064
    13. 이윤경, & 조미혜 (2018). 중등체육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 한 무용교육과정 진단.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317-338.
    14. 이은화, & 김인형 (2009). 체육교육학과 전공교육과정의 스코프 및 시퀀스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1(3), 436-450.
    15. 장주호 (2001). 사회체육계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한국 과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체육과학연구, 12(4), 1-20.
    16. 정덕조 (2006). 운동처방분야 특성화대학의 교과과정 및 세부시설. 스포츠건강의학 학술지, 8(2), 63-73.
    17. 정일규, 이희혁, 이부용, 신영륜, 오명진, & 최정웅 (2011). 장애인스포츠 영역에서 스포츠의학의 적용 방안. 한국 사회체육학회지, 44(1), 533-544.
    18. 조미혜, & 오수학 (2004). 체육교육과정과 평가. 서울: 무지 개사.
    19. 차광석 (2004). 운동처방분야 국내 전문인력 양성제도의 현황 및 과제. 체육과학연구, 15(4), 131-146.
    20. 최경화, 김미현, 최용준, 조용민, 김미소, 정은혜, & 김정애 (2021). 한국 장애인 미충족 의료 현황. 보건사회연구,41(3), 160-176.
    21.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건강증진과 (2022). 2022년 지역사 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내.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22. Aspinall, S. (2022). Evolving roles of medical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Where do we go from here?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56(13), 713-714.
    23. Aspinall, S. , & Munro, A. (2020). Opportunities to improve global health: Using the strengths of the BJSM community to change lives for the better.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54(13), 757-758.
    24. BASRaT. (2023). Sport rehabilitation and BASRaT. Retrieved from https://www.basrat.org/
    25. Davis, B. , Sumara, D. , & Luce-Kapler, R. (2015). Engaging minds. London: Routledge. Retrieved from https://www.aylorfrancis.com/books/9781317444305
    26. Hart, J. (2015). Sports rehabilitation, an issue of clinics in sports medicine. Elsevier Health Sciences.
    27. Russell, J. A. (2010). Introduction to sport injury management. John Wiley & Sons, Ltd. West Sussex, UK.
    28. Wade, D. T. (2021). The future of rehabilitation in the United Kingdom National health service: Using the COVID-19 crisis to promote change, increasing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Clinical Rehabilitation, 35(4), 471-480.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2). Global status report on physical activity 2022: Executive summary.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