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6 No.1 pp.63-70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20.16.1.09

Effects of Core Exercise in the Unstable and Stable Surfaces on the Body Composition of 20’s Normal Adults

Jae yong Choi*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Kyungbuk College
*교신저자: 최재용 (경북전문대학교) E-mail: elisha12@naver.com
June 7, 2020 June 18, 2020 June 22, 202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hanges in body components due to the movement of core muscles on the unstable support surface and the stable support surface.


Methods:

The study consisted of 12 healthy adults. Two groups were randomly selected. The flank and bridge exercises were carried out on the unstable support surface and the stable support surface. Body-X balance tool was used to create an unstable support surface. The exercise intensity and time were progressively increased every week.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weight of the group using the stable support surface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elsewhe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weight, fat mass and skeletal muscle mass of the group using the unstable support surface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weight between the groups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fat mass and skeletal muscle mas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ly in body weight after performing exercises on stable support ground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 fat mass and skeletal muscle mass on unstable support.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body composition after conducting interventions, a decrease trend of body weight was found.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study with more than three-week intervention periods in the future studies, related to core exercise and body composition.



불안정지지면과 안정지지면에서의 코어 운동이 20대 정상 성인의 체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최 재용*
경북전문대학교 물리치료과

초록


    Ⅰ. 서 론

    최근 여러 보고에 따르면 비만인구는 서구 선진국 뿐 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에서도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보 고되고 있으며, 비만이 원인이 되는 다양한 2차적 질환과 이에 따른 사망률 또한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보건복지부, 2008). 비만은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등의 각종 대사성 질환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잠재된 위험에 비해 일반적인 인식은 이를 경시하 는 측면이 있으며, 특히 현대 사회인들은 고열량 식사와 비활동적인 생활 방식으로 인해 비만 인구가 급증함에 따 라 의료계에서는 비만을 주요 건강 저해 요소로 지정하고 지방 감소를 통한 체중 감량을 치료의 영역으로 이해하려 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제시되고 있는 방법들에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 약물요법, 수술요법 등이 있으나, 이중 운동요법을 병행하지 않은 식이요법과 약물요법 등은 일시적인 체중감량의 효과는 있지만 근육 의 손실로 인한 제지방및 기초대사량의 감소를 저하시키 며 근 기능 장애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제시하고 있다 (Floidevau, Schutz, Christin, & Jequier, 1993). 이중 운 동요법은 보편적인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하나로 섭취한 지방이나 열량을 운동을 통하여 소모시킴으로써 체내에 지방이 축적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백윤웅, 김황용, 2017). 특히 코어운동은 체중과 체지방, 내장지방의 단면 적을 감소시키며 일상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였으 며(곽현, 2002), (이하얀, 2015)의 연구에서도 이러한 결 과와 유사하게 규칙적인 코어 운동 프로그램이 근육과 지 방을 자극하고 체간 근육주위의 운동형태가 체지방률, 체 지방량, 허리둘레 및 엉덩이 둘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친다고 보고하였고, 또한 코어운동프로그램으로 남자 중 학생 비만 학생들의 체지방량, 체지방률, BMI, 체중의 감 소를 확인하였다고 하였다(김태훈, 2017).

    코어(core)는 인체의 요추와 골반, 복부를 이루는 부분 을 말한다. 상지와 하지의 움직임에 있어 근본적인 안정 성을 제공해주며, 외부 저항으로부터 몸의 안정성을 유지 해주고 척추신경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Panjabi, 1992). 코어 근육인 중심 근육은 인체의 모든 힘과 운동성이 발생 하는 곳으로 우리가 몸을 움직일 때 중심을 잡아주며 근 골격구조를 유지 시켜 줌으로써 뼈와 근육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Kisner과 colby, 1996). 그리고 플 랭크(Plank) 운동은 체간 근육을 비롯해 신체 근육의 전반 적인 근활성도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코어 안정화를 위한 운동 방법 중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고(Handzel, 2003; Tong, Wu과 Nie, 2014), 근지구력, 파워, 근력 및 신경근 조절을 확보 하는데 도움을 주어 코어의 기능이 균형적으 로 작용할 수 있도록 촉진하여 코어와 체간의 안정화와 주 변 근력의 기능을 향상시킨다(Aron,1996). 특히 불안정한 지면에서의 코어운동은 근신경 전달체계(neuromuscular delivery system)를 자극하며, 신체 가동성과 균형능력을 향상시켜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고 하였으며, 이러한 운동의 효과 유발은 불안정한 지면에서 안정된 균 형유지를 위해 근신경계의 상호협력 수축(co-activation) 과 협응성이 증진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Vehagen 등 , 2004). (김창덕, 2019)은 지지면 차이에 따른 코어 안정화 운동에 관한 연구에서 스위스볼(Swiss ball)을 활용하여 불안정 지지면에서 플랭크 운동을 실시했을때, 복직근 (rectus abdominus), 내복사근(internal obliques), 외복사 근(external obliques) 및 복횡근(transversus abdominus) 에서 높은 근활성도가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임영 란(2018)의 연구에서 비만여자 청소년이 코어운동 프로그 램에 참여한 여자 학생들의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및 체 중, BMI, 체지방률 등 건강체력 측면의 관계 모두에서 유 의한 결과를 얻었다고 하였다.

    이런 연구들을 종합해 볼 때 코어운동은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운동에 참여하여 즐거움을 느낄수 있으며 이동이 많지않고 운동공간이 많이 필요하지 않은 운동방 법이다. 또한 선행연구들에서 코어운동은 균형능력뿐만 아니라 체간근력강화 및 체성분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보 고하였다. 일정 부분 한계가 존재한다 하더라도 정상인의 체성분 변화를 위해 코어운동을 활용하는 것은 상당히 가 치있는 시도라고 판단된다. 하지만 안정지지면에서 또는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코어운동비교에 따른 연구는 많 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대 정상성 인들에게 불안정지지면과 안정지지면에서 코어운동을 적 용하고 체성분을 분석함으로써 비만해소를 위한 운동프 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의 대상자는 K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의 학적으로 특별한 질환이 없는 20대 정상성인 12명을 대상 자로 선정하였다. 실험 집단은 불안정지지면에서 운동하 는 남녀 6명과 안정지지면에 운동하는 남녀 6명 크게 두 집단으로 나눴으며, 두 집단은 무작위로 배분하고 지지면 을 달리하여 브릿지 운동과 플랭크 운동을 병행하였다. 모든 연구 대상자는 실험 전에 연구의 목적과 실험방법에 대하여 설명을 듣고 동의하였으며 연구참여 동의서에 서 명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및 측정은 2019년 9월 2일부터 2019년 9월 24일까지 경북에 소재한 K대학교에서 실시하였다. <Table 1>

    2. 실험방법 및 측정도구

    1) 측정도구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불안정 지지면에서 중재를 위해 BOSU (Body-X Inc., Chuncheon, KOR)를 이용하였다<Figure 1>. 대상자의 체성분을 검사하기 위해 Inbody(Inbody370, ㈜ 인바디, KOR)를 사용하였다. 측정방법은 먼저 피검자가 가벼운 옷차림에 맨발로 체성분 분석기에 오른다. 이때 발의 크기와 상관없이 뒤꿈치의 중심이 원형 전극의 중심 에 오도록 하며 성별 연령, 신장을 입력시킨다. 손으로 손 전극을 감아쥐고, 엄지손가락으로 전극을 눌러 손바닥 피 부와 전극을 접촉시킨다. 피검자는 팔고 다리에 힘을 빼 고 자연스럽게 양팔을 늘어뜨린 직립 자세를 취한 후 스타 트 버튼을 누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스위치를 작동시 키면서 임피던스 측정장치는 오른팔, 왼팔, 몸통, 오른 다 리, 왼 다리에서 4가지 주파수(5 kHz, 50 kHz, 250 kHz, 500 kHz)대역에서 인체 부위별 전기 저항을 측정하고, 측 정결과는 약 2분 후에 결과지에 출력된다. 결과지는 체중, 체지방량, 제지방량, 근육량, 복부 지방율, BMI, 체구성 을 기초로한 영양상태(단백질, 무기질, 지방질)와 상하· 좌우에 대한 결과를 포함한다(이희영, 2003)<Figure 2>.

    2) 실험방법

    본 연구에서 실시한 코어운동 프로그램은 김상훈, 문훈 기, 윤진호 및 이정필(2013)의 Core training ANATIOMY 책의 코어운동과 이하얀(2015)의 Core training program 을 기준으로 재구성하여 본 운동을 구성하였다. 운동은 팔꿈치로 지탱하는 엘보우 플랭크와, 허벅지 근육과 엉덩 이, 허리 근육을 강화하는 브릿지로 실시하였고, 지지면 차이에 따라 총 2개의 동작으로 구성되었다. 본 실험을 위해 실험 전 처음에 인바디를 통해 각 실험자들의 체성분 을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총 3주 동안 한 주에 3번 씩 점차적으로 시간과 강도를 늘려가며 플랭크 동작과 브 릿지 동작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실험을 마친 뒤에 인바디를 통해 변화된 체성분을 확인한다.

    (1) 엘보우 플랭크 운동

    안정지지면에서 네발기기 자세에서 시작과 동시에 무 릎을 바닥에서 떼고 팔꿈치와 발로 버틴다. 팔은 어깨와 일직선이 되도록 하며 몸이 가라앉지 않게 하고 몸이 일직 선이 되도록 한다. 첫 주에 30초 운동 30초 휴식으로 실시 하고 주마다 운동 강도를 10초씩 올리는 방법으로 실시하 였다.<Figure 3>. 불안정지지면에서는 네발기기 자세에 서 시작과 동시에 무릎을 바닥에서 떼고 보수 위에 팔꿈치 와 발로 버틴다.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한다.<Figure 4> <Table 3>

    (2) 브릿지 운동

    안정지지면에서는 바로 누운 자세에서 엉덩관절 45° 및 무릎관절 90°의 굽힘 자세로 누워 양팔은 약30° 벌림하고 손바닥은 지면을 향하게 위치한다. 그 후 골반을 들어 올리 면서 호흡을 실시하고 다시 골반을 내려주면서 숨을 내쉬어 주는 동작을 반복한다. 첫 주에 4회씩 3세트 실시하고 5초 간 버티며 주마다 1세트씩 올리는 방법으로 실시하였 다.<Figure 5> 불안정지지면에서는 발을 보수 볼 위에 올려 놓고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한다.<Figure 6><Table 3>

    3. 자료분석

    연구에서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version 18.0을 사 용하여 분석하였고, 정규성을 이루지 않으므로 비모수 검 정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룹 내 변화를 알아보 기 위해 Wilcoxon 검정을 사용하였고, 그룹 간 차이를 비 교하기 위해 Mann-Whitney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 계적 유의수준 α = 0.05로 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체성분에 대한 결과

    1) 체중의 변화

    실험군의 체중변화는 운동 전 61.30±10.98에서 운동 후 60.82±10.73로 운동 후 감소하였지만 유의한 값이 나 오지 않았다.(p>0.05) 대조군의 변화는 운동 전 66.60± 13.03에서 운동 후 67.37±13.00로 체중이 늘었지만 통계 적으로 유의한 값이 나왔다(p<0.05)<Table 2>

    2) 체지방량의 변화

    실험군의 체지방량의 변화는 운동 전 17.33±3.79에서 운동 후 16.03±3.59로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이 나오지 않았다. (p>0.05) 대조군의 변화는 운동 전 19.52±7.46에서 운동 후 19.93±7.21로 증가하였고 통계 적으로 유의한 값이 나오지 않았다.(p>0.05)<Table 2>

    3) 골격근량의 변화

    실험군의 변화는 운동 전 24.15±6.29에서 운동 후 24.60±5.76로 증가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이 나 오지 않았다. (p>0.05) 대조군의 변화는 운동 전 26.22± 6.53에서 운동 후 26.03±6.49로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 로 유의한 값이 나오지 않았다.(p>0.05)<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경북에 위치한 K대학교 재학생 12명을 대상으로 불안정지지면과 안정지지면에서의 코어 운동을 실시하여 20대 남녀 대학생의 체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20대 성인의 비만예방을 위한 프 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 이 있다. 측정 도구는 체성분 분석기(INBODY270)를 통해 체성분을 측정하였다.

    이경희(2011)은 비만의 원인들은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나타난다고 하였으며, 비만 유전자가 에너지 소비를 감소 시켜 대사작용과 식욕에 영향을 주어 결국 에너지 섭취가 증가되어 비만을 유발하는 작용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실제 20대의 성인들은 운동참여가 제한적이며 이런부분 들이 비만에 노출되는 결과라고 사료된다. 코어는 곧 신 체의 중심을 의미하며, 인체를 움직일 때마다 중심을 잡 고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담당한다. 코어 운동은 분절 간 분절 내 협응성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운동이며, 부하가 인체의 요 추와 천추를 교차하여 전위 될 수 있는 능력을 촉진 시키는 운동이다(권보영, 2008). 안정적인 지지면에 서는 일반적으로 누르는 힘이 발생 되고 그 힘에 대한 반 작용력으로 왼쪽․오른쪽, 앞․뒤, 수직 방향으로 지면 반발 력이 발생하는데, 에너지의 반복적인 순환이 가능하여 비 교적 부상의 위험이 없다(박혜리, 2011). 그리고 지지면이 불안정할 경우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근육을 강화 시켜 몸통과 근위부의 관절을 안정화시킨다고 하였다 (Winter, 1995). (Marshall과 Murphy, 2005; Sharmann, 2002)에서는 불안정한 지면에서 코어운동을 실시했을 시 안정된 지면보다 코어근육의 활성도가 증가하였다는 결 과가 있다. 임영란(2018)의 연구에서 코어운동 참여가 얼 마나 효과적으로 비만 비율을 낮추고 건강 및 신체구성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니 신체구성의 BMI, 체지방률, 체 중, 골격근량, 체지방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건강체력의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에서도 통계적 유의 차이가 발생하였다고 하였다. 박인영(2019)등의 연구에서는 비만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코어운동과 밴드운동을 접목시켰을 때 IL-6 및 TNF-α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지는 못했지만, 감소 경 향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실험군 의 체중, 체지방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는데 실제 코어운동이 체중, 체지방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 사료된 다. 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한 이유는 체간을 포함한 사지를 모두 사용하는 코어운동이 타 연구 에서 더 높은 코어근육의 활성화를 보여주었고(Jason M 과 Martuscello, 2013), 본 연구는 실험을 위해 실시한 운 동이 코어 운동 중에서도 체간만 사용하는 코어운동이였 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3주간 주 3회 20분 미만의 운동으로 실험을 실행하였던 것이 통계적으 로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한 이유로 보여진다. 3주라는 짧은 운동 기간과 적은 종류의 코어 운동으로는 체성분을 변화시키기에는 충분하지 못했고 식생활과 활동 등을 제 어할 수 없었던 것도 제한점이라 생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20대 정상 성인 12명을 대상으로 3주간 코어운동을 한 후 체성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군 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코 어운동을 하고 한 그룹은 안정한 지지면에서 코어운동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실험군의 체중과 체지방량은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 지 못했고 대조군의 체중을 제외한 체지방과 골격근량에 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 중재 기간이 짧았고 실제 참여한 학생들이 신입생이며 입 시스트레스가 해소된 상황에서 식습관, 생활습관, 신체활 동 수준을 통제하지 못한 원인이라 사료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불안정지지면에서 코어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 였을 때 체중과 체지방량의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고, 임영란(2018)의 연구에서 코어운동참여가 비만비율을 낮 추고 건강 및 신체구성에 영향을 줄수 있다고 보고 하였 다. 따라서 선행연구의 결과와 본 연구에서 있었던 결과 를 기반하여 본 연구의 제한점을 해소하고 좀 더 다수의 대상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다면 일반화 할수 있는 코어운동프로그램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 후 연구에서 다시 검증을 실시하여야 한다고 사료된다.

    Figure

    AOSPT-16-1-63_F1.gif

    BOSU

    AOSPT-16-1-63_F2.gif

    Inbody

    AOSPT-16-1-63_F3.gif

    안정지지면에서 엘보우 플랭크 운동

    AOSPT-16-1-63_F4.gif

    불안정지지면에서 엘보우 플랭크 운동

    AOSPT-16-1-63_F5.gif

    안정지지면에서 브릿지 운동

    AOSPT-16-1-63_F6.gif

    안정지지면에서 브릿지 운동

    AOSPT-16-1-63_F7.gif

    체중변화

    AOSPT-16-1-63_F8.gif

    체지방량변화

    AOSPT-16-1-63_F9.gif

    체지방량변화

    Table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N = 12)

    운동프로그램

    체성분 검사결과 (Unit: kg)

    Reference

    1. 곽현, & 김상범 (2002). 저열량 식사와 동반된 코어 프로그 램의 체중 감량 효과. 대한비만학회지, 11(3), 308.
    2. 김상훈, 문훈기, 윤진호, & 이정필 (2013). Core Training ANATOMY. 서울: 한솔.
    3. 김창덕 (2019).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운동과 허리 안정화 운동이 만성 허리 통증 환자의 통증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4. 김태훈 (2017). 코어운동 참여가 비만 남자 중학생의 신체조 성 및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5(4), 537-546.
    5. 김혜린 (2017). 지면의 종류에 따른 발레 바 훈련이 체성분, 자세, 코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이화 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6. 박인영 (2019). 코어운동과 밴드운동이 비만노인여성의 IL-6, TNF-, VEGF 및 SCLEROSTIN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8(4), 1161-1168
    7. 박혜리 (2011). 닫힌 힘 사슬(Closed Kinetic Chain)과 열린 힘 사슬(Open Kinetic Chain)통합기능체력운동 (Integrated Functional Physical Fitness Exercise) 이 발레 훈련 시 어린이의 근력, 균형, 정렬 및 뇌 기능에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8. 보건복지부 (2008).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건강검진 조사 보고서).
    9. 신재숙 (2020). 비만남자대학생의 8주 트레드밀 운동이 신체 구성, 인슐린저항성,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및 심폐체력 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9(2), 1015-1024.
    10. 이경희 (2011). 건강체력 프로그램이 FTO유전자 다형에 따른 비만 남자대학생의 신체구성과 혈중지질에 미치 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6(2), 169-180.
    11. 이하얀 (2015). 12주간의 코어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신체조 성, 체력, 혈중지질 및 바른 자세에 미치는 영향(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12. 이희영 (2013). 무용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신체구성 및 골밀 도에 관한 비교 분석(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3. 임영란 (2018). 코어운동이 비만 여자 청소년의 신체조성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3(2), 115-126.
    14. 장영복 (2013). 코어운동 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신체조 성, 건강체력, 군형능력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석 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대학원).
    15. 조승관 (2018). 미세전류 자극에 따른 복부 체지방 감소 및 다이어트 효과에 대한 임상시험 연구.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39, 284-296.
    16. Aron, G. (1996). Clinical guideline manual for spine. Birmingham, AL: Healthsouth.
    17. Brill, P. W. , & Couzen, G. S. (2002). The core program (1st ed., 1-231). New york Bantam Books.
    18. Edelstein, S. L. , & Barrett-Conner, E. (1993). Relation between body size and bone mineral destiny in elderly men and women.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38(3), 160-169.
    19. Floidevau, F. , Schutz, Y. , Christin, L. , & Jequier, E. (1993). Energy expenditure in obese women before and during weight loss, after feeding, and in the weight-relapse period.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57(1), 35-42.
    20. Handzel, T. M. (2003). Core training for improved performance. NSCA’s Performance Training Journal, 2(6), 26-30.
    21. Jason, M. M. , James, L. N. , Candi, D. A. , Bill, I. C. , John, J. O. , & John, M. M. (2013). Systematic review of core muscle activity during physical fitness exercises. The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7(6), 1684-1698.
    22. Kisner, C. , & Colby, L. A. (1996)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4th ed., 728-754). Philadelphia: FA. Davis co.
    23. Panjabi, M. M. (1992). The stabilizing system of the spine. Part 1. Function dysfunction adaption and enhancement. Journal of Spinal Disorders, 5(4), 383-389.
    24. Patra, K. , & Bob, E. (2000). Inside-out the foundations of Reebok core training. Reebok.
    25. Reid, I. R. , Plank, L. D. , & Evans, M. C. (1992). Fat mass is important determinant of whole body bone density in premenopausal women but not in men.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75, 779-782.
    26. Shumway-Cook, A. , & Woollacott, M. H. (2007).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7. Verhagen, E. , Bobbert, M. , Inklaar, M. , Van Kalken, M. , et al. (2005). The effect of a balance training programme on centre of pressure excursion in one-leg stance. Clinical Biomechanics, 20(10), 1094-1100.
    28. Winter, D. A. (1995). Human balance and posture control during standing and walking. Gait & Posture, 3(4), 193-214.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