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6 No.1 pp.25-32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20.16.1.04

Effect of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on the Low Back Pain Oswestry Disability Index and Balance Ability in Industrial Workers with Chronic Back Pain

Seo Taehwa1, Kim Yoonhwan2*
1Dept. of Physical Therapy Kwangju Women's University
2Dept. of Physical Therapy, Kunjang University College
*교신저자: 김윤환 (군장대학교 물리치료과) E-mail: sc3002@hanmail.net
April 27, 2020 June 12, 2020 June 18, 2020

Abstract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low back pain disability and balance after applying the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to the industrial workers with chronic back pain.


Methods:

Sixteen healthy industrial workers(42.68±4.15) with chronic back pain a participated in the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n = 8) applied lumbar flexibility exercise.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group(n = 8) applied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using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three times a week during 6weeks. All tests were completed pre and post the intervention. The low back pain disability was measured using Korean Oswestry Disability Index(KODI). The balance ability was measured by computerized balance measurement equipmen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KODI and balance ability test of those who applied the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group(p<.05), while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p>.05). In addition, the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gro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KODI and balance 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p<.05).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revealed that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is effective in improvement of the KODI and balance ability in industrial workers with chronic back pain.



복부 드로잉-인 기법이 산업체 근로자의 만성요통에 대한 요통 장애 지수와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 태화1, 김 윤환2*
1광주여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2군장대학교 물리치료과

초록


    Ⅰ. 서 론

    요통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은 산업현장의 근로자들에 게 다양하게 발생되는 질환이며,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 환이다(강태우 & 김영전, 2015). 2018년 한국산업안전보 건공단 산업재해조사 통계자료에 의하면 요통은 질병종 류별 산업재해 31.9%로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18). 이와 같이 산업현장에서 근로자들에게 가장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요통관련 질환은 산업관련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관리되어야 할 중요 한 요소이다(노동부, 2011).

    산업체 근로자의 요통은 나이, 성, 신체구조, 정신적 요 인 등의 개인적 요인 외에도 물건 들어올리기, 굽히기, 고 정된 자세, 미끌어짐, 진동, 외상 등의 산업체 환경의 업무 관련 위험 요인에 의해 요통발생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박미희, 2003). 또한 산업체 근로자들은 허리부위에 무리를 주는 반복적인 동작이 업무의 주를 이루고 있어 업 무 관련성으로 인해 만성 요통으로 진행될 수 있다(이태임 등, 2008). 이러한 만성화 된 요통에 의한 허리근육의 근력 과 허리유연성 저하, 신체 불균형과 허리척추의 불안정성 은 환자가 신체적, 정신적으로 불편함을 느끼게 함과 동시 에 이로 인한 걷기, 앉기 및 일상생활 활동과 같은 기능적 운동 조절능력의 감소로 나타난다(Fritz et al., 2008).

    최근 요통개선에 효과적인 치료법은 허리척추의 불안 정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깊은 근육의 불균형과 복부 근육의 안정성 향상 및 기능개선을 위한 허리척추 안정화 운동에 대해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Son, 2015, Park & Lee, 2019). Behm et al. (2010)은 허리척추 안정 화 운동이 허리척추분절의 조절 및 안정성 제공, 체간 심 부 근육을 강화해 허리척추분절의 조절과 안정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하 였다. 허리-골반의 안정성을 향상하기 위해 몸통 주변의 배가로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과 허리 뭇갈래근의 동시 수축(co-contraction)이 먼저 일어나야 한다. 만약, 동시 수축이 먼저 발생 되지 않는 경우 척추세움근의 우세적인 활동으로 과도한 허리의 앞굽음(lumbar lordosis)이 발생 된다(Richardson & Jull, 1995). 이와 같이 허리-골반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과도한 허리의 앞굽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가로근과 뭇갈래근을 선택적으로 수축시키는 방법으로 복부 드로잉-인 기법(abdominal drawing-in maneuver)이 제시되고 있다(박기숙 등, 2017). 복부 드로 잉-인 기법은 선행적 자세 조절을 증진시켜 광역 근육들 과 국소 근육들의 협응능력을 향상키고 척추분절의 안정 성을 증가시켜 기능적인 움직임에 도움을 준다(Kisner & Colby, 2002). 또한 Macedo et al. (2009)은 복부 드로잉- 인 기법은 신경근 재교육 방법 중 하나로서 임상에서 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가로막과 배부위 근육의 선택적 수축 훈련을 위해 사용되어 왔으며, 요통을 개선시키는 효과적 인 방법으로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요통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복부 드로잉-인 기 법이 배부위 근육을 효과적으로 운동시켜 코어 근육을 강 화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운동방법이며(박기숙, 등, 2017), 허리부위의 안정화 운동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보고 되고 있다(이호준 & 김선엽. 2015), 특히 산업현장에서 발 생하는 각종 질환은 생산성 저하를 가져와 경영상의 심한 불안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산업체 근골격계 질 환의 발병 예방과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강태우 & 김 영전, 2015).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산업체의 반복된 업 무환경으로 인한 만성요통의 근골격계 질환에 대해 복부 드로잉-인 기법이 요통환자의 기능장애와 균형능력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산업체 근로자들의 요통에 대 한 효율적인 관리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의 대상자는 광양시 소재 A기업 근로자중 본 연 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고,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연구조건에 충족되는 5년 이상 근속한 성인남자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2019년 10월 14일부터 11월 22일까지 6주간 실시하였고, 선정된 연구대상자는 실험 군 8명과 대조군 8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선정기준은 한국어판 오스웨스트리 장애 지수(Oswestry Disability Index of Korean, KODI)(전창 훈 등, 2005)가 21 %∼40 %인 중등도 장애인 자를 대상으 로 하였으며, 류마티즘과 같은 염증성 질환이 없는 자, 척 추종양이나 척추사이원반의 감염이 없는 자, 허리뼈 부위 에 수술 경력이 없는 자, 허리 안정화 운동치료에 금기증 이 없는 자를 선정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 대조군은 허리 굽힘, 폄, 돌림, 가쪽 굽힘 의 허리 유연성 운동을 실시하였고, 실험군은 복부 드로 잉-인 기법을 이용한 허리안정화 운동을 1주일에 3번씩 6주간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에게 복부 드로잉-인 기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압력 생체되먹임 기구(STABILIZER PRESSURE BIOFEEDBACK, Chattanooga Group, USA)를 사용하여 복부 드로잉-인 기법을 적용하였다<Figure 1>. 복부 드로잉- 인 운동은 바로누운자세에서 어깨 너비만큼 양 발을 벌리 고 무릎관절을 90˚ 굽힘, 엉덩관절을 45˚ 굽힘한 상태에 서 적용하였다(Kim & Kim, 2018). 압력 생체되먹임 기구 를 대상자의 허리뼈 부위에 위치하여 허리-골반의 만곡을 유지시키기 위해 압력은 40 ㎜Hg로 설정하였다. 적용방법 은 대상자에게 호흡을 내쉬면서 배꼽을 허리뼈 방향으로 끌어당기도록 지시하였고, 이때 압력게이지를 보면서 2∼ 3 ㎜Hg 증가하도록 설정하여 적용하였다(Richardson et al., 1999). 배꼽을 끌어당긴 상태로 5초간 유지한 다음 5초간 휴식을 취하고, 이것을 10회간 반복하여 적용하였 다. 적용방법은 10회를 1세트로 설정하여 총 5세트를 실시 하였다. 근 피로를 방지하기 위해 각 세트마다 30초간 휴식 을 취하도록 하였다. 전체 운동시간은 10분이 되도록 적용 하였다(윤혜진 & 김지선, 2016) <Figure 1>.

    3. 실험도구 및 측정도구

    1) 요통 기능장애 평가

    요통에 대한 기능장애의 평가는 김기택 등(2009)의 선 행 연구에서 사용한 한국어판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 (Oswestry Disability Index of Korean, KODI)를 사용하 였으며, 허리와 다리의 통증이 얼마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10문항, 각 문항 당 0~5점의 6점 척도로 되어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요통으 로 인한 기능장애가 심한 정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통증정도, 개인위생, 앉기, 서있기, 걷기, 물건 들기, 잠자기, 사회생활, 여행의 9개 평가항목의 45 점 만점을 백분율로 환산하여 측정하였다(심준우, 2017). 요통 기능장애 지수의 경증장애는 0~20%, 중등도 장애는 21~40%, 중증장애는 41~60%, 고도장애는 61%이상으로 구분하였고, 신뢰도는 .92로 높은 수준이다(정순철, 2016).

    2) 균형능력 평가

    본 연구에서는 균형능력의 평가는 전산화된 균형 측정 장비(Good Balance System, Metitur, Finland)를 이용하 여 실시하였고, 균형능력을 눈뜨고 선 자세와 눈감고 선 자세에서 적용하였다. 균형능력을 나타내는 측정지수는 압력중심(center of pressure)의 X축 경로의 평균 속도, 압력중심의 Y축 경로의 평균 속도, 압력중심의 속도 움직 임 영역으로 구분하여 균형능력을 측정하였다(Sihvonen et al., 2004). 측정지수는 2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분석하 여 측정하였다.

    4. 자료 분석

    본 연구는 SPSS/Window(21.0 version)을 이용하여 통 계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에서 정규성을 이루 지 못하였으므로 비모수 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군 내의 중재에 따른 요통 기능장애정도와 균형능력은 Wilcox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중재에 따른 두 군 간의 요통 기능장애정도와 균형능력의 변화는 Mann- 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α = .05로 설정하여 실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실험 군과 대조군의 연령, 신장, 체중, KODI에 대한 대상자 특 성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2. 요통 기능장애 비교

    실험군에서 요통 기능장애 변화는 33.75±3.57%에서 15.87±2.16%로 KODI는 감소하였고,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대조군에서 요통 기능장애 변화 는 32.87±3.09%에서 32.12±2.69%로 KODI는 감소하였 지만,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Table 2>.

    요통 기능장애 변화에 대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모수 검정 비교에서 요통 기능장애 변화는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Table 3>.

    3. 균형능력 비교

    1) 눈뜨고 선 자세

    눈뜨고 선 자세에서 실험군은 X 방향 평균 속도, Y 방 향 평균 속도, 속도 움직임 영역은 감소하였고, 통계학적 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대조군은 X 방향 평균 속도는 감소하였고, Y 방향 평균 속도와 속도 움직임 영역 은 증가하였으며,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 았다(p>.05)<Table 4>.

    실험군과 대조군의 눈뜨고 선 자세에서 X 방향 평균 속 도, Y 방향 평균 속도, 속도 움직임 영역의 균형능력은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Table 5>.

    2) 눈감고 선 자세

    눈감고 선 자세에서 실험군은 X 방향 평균 속도, Y 방 향 평균 속도, 속도 움직임 영역은 감소하였고, X 방향 평균 속도와 속도 움직임 영역은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Y 방향 평균 속도는 통계학적인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대조군은 X 방향 평균 속도는 증가하였고, Y 방향 평균 속도와 속도 움직임 영역은 감소 하였으며,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05)<Table 6>.

    실험군과 대조군의 눈감고 선 자세에서 X 방향 평균 속도 와 Y 방향 평균 속도의 균형능력은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났고(p<.05), 속도 움직임 영역의 균형능력은 통계 학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Table 7>.

    Ⅳ. 고 찰

    산업현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의 경우 허리에 부하를 주는 반복적인 업무와 동작이 많이 하게 되어 요통발생 률이 높은 질환으로 분류되고 있다. 근로자들의 요통은 산업관련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 산업현장에서 관리되 어야할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강태우 & 김영전, 2015). 또한 이제문 등(2011)의 연구에서는 요통으로 인해 환자 의 삶의 질 저하, 만성화된 통증, 우울증으로 인해 일상 생활의 기능장애를 가져온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산업체의 반복된 작업환경으로 인한 만성요통 근골 격계 질환에 대해 복부 드로잉-인 기법이 요통환자의 기 능 장애와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 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압력 생체되먹임 기구를 이용하여 복부 드로잉-인 기법을 산업체 근로자에게 적용한 결과 오스 웨스트리 요통 기능장애 지수는 적용 전보다 적용 후에 감소하였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 한, 허리 유연성 운동을 적용한 군에 비해 복부 드로잉- 인 기법을 적용한 군에서 오스웨스트리 요통 기능장애 지 수가 감소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 다. 이와 같은 결과는 Sung (2003)의 선행연구에서 16명 의 만성 요통환자를 대상으로 4주간의 요부안정화 운동 을 적용한 후 허리부위의 기능 향상과 통증감소가 나타났 다고 보고한 연구와 일치한다. 또한 강태우 & 김영전 (2015)의 선행연구에서 요부안정화 운동이 산업체 남성 요통환자의 통증, 근력, 기능이 향상되었다는 결과와도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이는 산업체 근로자에게 6주간의 압력 생체되먹임 기구를 이용하여 복부 드로잉-인 기법 이 만성 요통으로 인한 기능장애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의미할 수 있다.

    복부 드로잉-인 기법을 산업체 근로자에게 적용한 후 눈 뜨고 선 자세에서 X, Y 방향 평균 속도, 압력중심 경로 로부터 속도 움직임 영역의 균형능력 변화와 눈 감고 선 자세에서 Y 방향 평균 속도와 압력중심 경로로부터 속도 움직임 영역의 균형능력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났다. 또한, 허리 유연성 운동을 적용한 군에 비 해 복부 드로잉-인 기법을 적용한 군에서 눈 뜨고 선 자세 에서 X, Y 방향 평균 속도, 압력중심 경로로부터 속도 움 직임 영역의 균형능력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났고, 균형능력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눈 감고 선 자세에서는 Y 방향 평균 속도의 균형능력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압력중 심의 Y축 경로 평균 속도의 균형능력이 향상되었음을 보 여주고 있다. 이는 최원제 등(2018)이 연구한 코어 프로그 램 운동을 시행하였을 때 만성요통 환자의 균형능력을 유 의하게 향상시켰다는 연구와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만성 요통이 있는 산업체 근 로자에게 복부 드로잉-인 기법을 적용이 균형능력이 향 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선행 연구들에 근거하여 이상의 결과를 고려해 볼 때 만성 요통이 있는 산업체 근로자들의 복부 드로잉-인 기 법 적용은 요통 기능장애와 균형능력을 개선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산업체 근로자들은 업무환경의 반복적 인 움직임에 의해 요통이 발생하는 역학적 특징과 근무시 간으로 인해 요통관리가 쉽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복부 드로잉-인 기법은 산업체 근로자의 만성 요통에 대해 효 과적인 치료적 중재와 효율적인 자가관리 기법으로 도움 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향후 본 연구를 토대로 다양한 산업현장과 많은 연구 대상자들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복부 드로잉-인 기법이 만성요통 환자의 요통 기능장애와 균 형능력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만성 요통이 있는 산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압력 생체되먹임 기구를 이용하여 복부 드로잉-인 기법 을 6주간 적용하여 훈련 전・후 요통 기능장애와 균형 능 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군 8명, 대조군 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복부 드로잉-인 기법이 오스웨스트리 요통 기능장애 지수에서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산화 균형 측정 장비의 눈 뜨고 선 자세에서는 X, Y 방향 평균 속도, 압력중심 경로로부 터 속도 움직임 영역의 균형능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눈 감고 선 자세에서 Y 방향 평균 속 도에서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만성 요통이 있는 산업체 근로자들의 복부 드로잉-인 기법 적용은 요통 기능장애와 균형능력이 향상될 수 있음 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산업체 근로자들의 만성 요통에 있어서 복부 드로잉-인 기법 적용이 요통 기능장애에 향상될 수 있고, 균형능력에도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적으로 복부 드로잉-인 기법을 이용한 허리 안정화 운동 은 임상에서 만성 요통이 있는 산업체 근로자들의 재활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로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AOSPT-16-1-25_F1.gif

    Stabilizer pressure bio-feedback(Chattanooga Group, USA)

    Tabl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Comparison of Korean Oswestry Disability Index in the group (%)

    Comparison of Korean Oswestry Disability Index between the group

    Comparison of balance ability in the group(eye opened)

    Comparison of balance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eye opened)

    Comparison of balance ability in the group(eye closed)

    Comparison of balance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eye closed)

    Reference

    1. 강태우, & 김영전 (2015). 요부안정화 운동이 산업장 남성 요통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4(4), 31-44.
    2. 김기택, 이상훈, 석경수, 이정희, 임양선, & 서은민 (2009). 요추 퇴행성 후만증의 교정술 후 진행되는 시상면 균형 의 소실 및 임상결과. 대한정형외과학회지, 44(1), 83-92.
    3. 노동부 (2011). 산업재해 발생현황.
    4. 박기숙, 권현숙, 박인호, & 손성민 (2017). 복부 드로우-인 기법을 동반한 슬링 운동이 젊은 여성의 복부 근육들의 두께에 미치는 영향.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23(1), 1-6.
    5. 박미희 (2003). 대학병원 간호사의 요통에 관한 연구(석사 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한국).
    6. 심준우 (2017). 8주간 스위스볼 요부안정화 운동이 만성요 통여성근로자의 체력, 기능적 움직임 및 허리장애지수 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 원, 한국).
    7. 윤혜진, & 김지선 (2016). 요통유무에 따른 복부 드로우인 과 골반바닥근 수축훈련이 배가로근과 골반바닥근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11(1), 53-60.
    8. 이제문, 이충휘, 권오윤, & 전혜선 (2011). 요부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이 요양보호사의 만성요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8(2), 9-17.
    9. 이태임, 이영정, 이주섭, 박준성, 김대환, & 구혜경 (2008). 만성 요통 환자에서 척추 안정화 운동과 요추부 신전근 강화 운동의 효과. 대한재활의학회지, 32(5), 570-575.
    10. 이호준, & 김선엽 (2015). 요추부 불안정성을 가진 요통환 자의 복부 드로우-인 기법과 복부 확장 기법을 이용한 체간안정화운동의 효과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지, 22(1), 37-48.
    11. 전창훈, 김동재, 김동준, 이환모, & 박희전 (2005). 한국어판 Oswestry Disability Index(장애지수)의 문화적 개작. 대한척추외과학회지, 12(2), 146-152.
    12. 정순철 (2016). 요부 안정화 운동 순서가 만성요통환자의 요통과 척추기립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 위논문,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한국).
    13. 최원제, 박범석, 유병국, 전재근, & 손경현 (2018). 코어 프로그램 운동이 만성요통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 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5(1), 1-10.
    14. Behm, D. G. , Drinkwater, E. J. , Willardson, J. M. , et al. (2010). The use of instability to train the core musculature. Arch. Applied Physiology, Nutrition, and Metabolism, 35(1), 91-108.
    15. Earl, J. E. (2005). Gluteus medius activity during 3 variations of isometric single-leg stance. Journal of Sport Rehabilitation, 14, 1-11.
    16. Fritz, J. M. , Cleland, J. A. , Speckman, M. , et al. (2008). Physical therapy for acute low back pain: Associations with subsequent healthcare costs. Spine, 33(16), 1800-1805.
    17. Kim, D. W. , & Kim, T. H. (2018). Effects of abdominal draw-In maneuver, abdominal bracing, and pelvic compression belt on muscle activities of gluteus medius and trunk during side-lying hip abduction. Physical Therapy Korea, 25(1), 22-30.
    18. Kisner, C. , & Colby, L. A. (2009).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Philadelphia. FA Davis.
    19. Macedo, L. G. , Maher, C. G. , Latimer, J. , et al. (2009). Motor control exercise for persistent, nonspecific low back pain: A systematic review. Physical Therapy, 89(1), 9-25.
    20. Park, S. H. , & Lee, M. M. (2019). Effects of a progressive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using respiratory resistance for patients with lumbar instabili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dical Science Monitor: International Medical Journal of Experimental and Clinical Research, 25, 1740-1748.
    21. Richardson, C. A. , & Jull, G. (1995). Muscle controlpain control: What exercise would you prescribe. Manual Therapy, 1(1), 2-10.
    22. Sihvonen, S. , Sipila, S. , Taskinen, S. , & Era, P. (2004). Fall Incidence in frail older women after individualized visual feedback-based balance training. Gerontolog, 50, 411-416.
    23. Son, H. H. (2015). Trunk muscle activation during bridge exercise with various shoulder supporting surfac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10(3), 81-86.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