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사격은 정적인 스포츠로서 신체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경기력에 중요한 요소이다(Mon et al., 2014). 사격의 거총 자세는 신체가 정지된 상태에서 최소한의 신체 움직임을 허용하며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 이 필수적이다(고영규, 2011). 여러 선행연구에서도 사격 과 신체균형에 연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alto et al., 1990;Ball et al., 2003;Era et al., 1996). 신체균형의 전·후, 좌·우의 안정성은 우수한 사격기록 을 획득하기 위해서 없어서는 안 될 요소라고 하였다 (Mononen et al., 2007). 자세균형은 짧은 시간 내에 격발 하기 위한 기초로 총구의 안정성과 더불어 이는 곧 경기력 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안정선, 2017). 그러므로 효율적인 사격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총구의 움직 임과 몸의 동요 및 균형 소실이 최소한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경기력 향상을 위하여 선재적으로 사격선수들에게 균형 향상훈련 프로그램을 실시 해야한다(Italainen et al., 2016).
균형 증진을 위하여 코어 근육 안정화의 중요성이 최근 대두되고 있으며 몸의 기능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허리 안정화를 위한 코어 근육의 원활한 조절이 필요하다 고 하였다(Fredericson & Moore, 2005;Granacher et al., 2013). 코어 근육의 중심 안정성은 사지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러한 우리 몸의 중 심을 잡아 균형을 잡아주는 근육을 코르셋에 비유하여 척 추세움근, 복부근육, 엉덩근육, 가로막 등을 지칭하는데 몸통 근육은 인체의 모든 힘과 운동성을 발휘하게 하는 핵심이 되는 곳으로 우리가 몸을 움직일 때마다 중심을 잡아주고 특히 엉덩이 부위의 근육을 바로 잡아 균형감각 을 증가시킨다(Akuthota & Nadler 2004;Borghuis et al., 2008).
균형 증진을 위하여 여러 가지 중재가 제시되었으며 그 중 대표적으로 코어 근육의 근력강화와 불안정한 지지면 에서의 코어 운동이 있다. 코어 근육 근력 훈련은 균형 증진을 통한 이동성, 신체기능 증진에 많은 이점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Kahle & Tevald, 2014) 신경계 환 자의 일상생활 증진(Cabanas-Valdés et al., 2016) 허리 통증 환자의 통증감소 및 기능뿐 아니라(Yalfani et al., 2017) 다양한 스포츠 관련 분야의 경기력 향상 및 부상 예방 등의 목적으로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Fredericson & Moore, 2005). 불안정한 지면에서의 코어 운동은 감각과 운동 제어를 통하여, 균형능력을 향상시켜 우리 몸의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Borghuis et al., 2008) 뇌졸중 환자의 균형 증진(이지연 & 노효련, 2011) 및 코어 근육 활성도 증진 등의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김수현, 2018).
이와같이 선행 연구들에 의하면 균형 증진을 위하여 불안정한 지지면과 근력운동이 매우 효과적이라고 하였 으나 사격 종목에 대하여 그 효과를 비교한 논문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5주간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코어 훈련과 코어 근육 강화훈련이 엘리트 사격선수들에 균형 및 사격기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연구하 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경상북도 Y시에 소재한 K대학교 재학생 사격선수로 최근 1년 동안 부상 경력이 없으며 의 학적으로 특별한 질환이 없는 자로 선정하였다. 본 실험 은 2019년 9월 2일부터 사전 평가를 실시하였고, 본 연구 의 진행은 2019년 9월 2일~2019년 10월 2일까지 5주에 걸쳐 주 3회 실시하였다. 모든 연구 대상자는 실험 전에 연구의 목적과 실험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듣고 실험에 동의하였으며, 연구 참여 동의서에 서명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 1>.
2. 실험절차
설정한 기준에 적합한 사격선수 14명을 대상으로 봉투 를 이용하여 7명씩 두 군으로 무작위 임의 선정하였다. 대상자들은 기존의 기초체력 훈련은 40분간 실시하였으 며 추가로 대조군에는 20분의 코어 강화 운동을 실시하였 으며, 실험군에는 20분의 불안정한 지지면 코어 운동을 실시하였다<Figure 1>.
본 연구에서는 측정 전 운동 자세에 대한 교육을 실시 하였으며, 준비 운동과 본 마무리 운동으로 나누어 실시 하였으며 대조군의 경우 평소 프로그램된 기초체력 훈련 40분과 코어 강화 운동 20분, 실험군의 경우 기초체력 훈 련 40분에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코어 훈련을 20분 실시 하였다. 기초체력 훈련, 코어 강화 운동, 불안정한 지지면 에서의 코어 훈련은 다음과 같다<Table 2>.
3. 측정도구 및 실험도구
1) 균형 측정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균형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Good Balance(Metitur, Finland)를 사용하였다. 정확한 측정값을 얻기 위하여 정적균형능력 3번, 동적균형능력 3번 측정 후 평균값을 산출하여 사용하였다<Figure 2>.
(1) 정적균형지수(Static Balance) 측정
정적균형 측정 시 발뒤꿈치 간의 거리를 5~6cm 유지하 면서 자연스럽고 편안한 자세로 힘판 위에 서도록 하고, 시선은 정면 벽의 표시점에 고정하도록 한 자세를 30초 동안 유지하도록 하였다.
(2) 동적균형지수(Dynamic Balance) 측정
동적균형 측정 시 발을 지면에서 떼지 않고 화면에 나 타나는 컴퓨터 시스템이 지시하는 방향으로 몸의 무게중 심을 움직여서 과제를 수행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2) 사격 기록 측정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사격 기록을 측정하기 위해서 평소 대상자들이 훈련하는 사격장에서 시간제한 없이 10 발씩 사격한 기록지를 얻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정확한 측정값을 얻기 위하여 측정은 3번 진행하였으며, 평균값 으로 결과를 산출하였다<Figure 3>.
4. 자료분석
자료 분석은 IBM SPSS 2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수집한 자료에서 정규성을 이루 지 못하였으므로 비모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룹 내 운동 전·후의 차이를 구하기 위해 wilcoxon과 그룹 간 운동 전·후 변화량의 차이를 구하기 위해 Mann- Whitney 통계 처리하였으며,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한 통 계학적 유의 수준 α = 0.05로 설정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균형 능력의 비교
1) 그룹내 정적 균형 변화
실험군의 실험 전 평가에서 7.29±3.07, 실험 후 5.73± 2.56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대조군의 실험 전 평가에서는 5.16±2.08, 실험 후 평가에서는 4.60± 0.88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3>.
2) 그룹내 동적 균형 변화
실험군의 M-L은 실험 전 평가에서 663.49±122.59, 실 험 후 528.81±115.54로 변화되었으며 Distance는 실험 전 평가에서 1117.40±169.03, 실험 후 905.86± 169.40로 두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p <0.05) A-P 항목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조군의 경우 모든 항목 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Table 4, 5>.
3) 그룹내 사격 점수 변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실험 전과 실험 후 사격 점수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Table 6>.
4) 그룹간 변화량 차이 비교
실험군과 대조군 간 모두 실험 전과 실험 후 모든 항목 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Table 7>.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사격 선수 14명을 대상으로 균형 및 경 기력 향상을 위하여 코어근육 강화 훈련과 소도구를 이용 한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코어 운동을 하였을 때 사격선수 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또한 사격 선 수들의 경기 기록 향상과 부상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격 선수들에게 있어 좋은 경기력을 보이기 위한 조건 으로 좋은 자세 균형과 총구의 안정성 유지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자세 유지가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한다 (Mononen et al., 2007). 균형은 정적 균형과 동적 균형으 로 나눌 수 있으며, 정적 균형은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기 저면 내에서 유지하는 것이며 동적 균형은 불안정한 지지 면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이나 자세를 수행하는 동안 신체를 유지하는 능력이다(Hrysomallis, 2011).
본 연구에서 코어근육 강화 운동 적용 그룹의 경우 정 적, 동적 균형 및 경기력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 였다. 이옥규 등(2014)의 연구에서 사격선수를 대상으로 6주간의 코어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세 정렬에는 유의한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균형에 유의한 효과를 보지 못하였으며 전정희(2015)의 연구에서 8주간의 코어 트레 이닝을 실시하여 근력 향상에서는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 나 평형성에서는 유의한 효과를 보지 못하여 본 연구의 결 과와 일치 한다고 볼 수 있다. 환자를 대상으로 Cabanas- Valdés(2016)의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4주 간의 몸통 안정화 운동이 앉은 자세 균형과 선 자세 균형, 보행에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Kim(2009)의 연구 역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코어 강화 운동을 실시하여 균형 과 보행에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유사한 중재 방법 임에도 불구하고 상이한 결과가 도출된 이유는 대상자의 차이로 인하여 운동선수의 높은 체력 수준으로 인하여 코 어 강화훈련의 중재가 천장효과(ceiling effect)로 인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훈련군의 경우 실험 전·후 정 적균형과 동적균형에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사 격 점수에서는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Park(2019)의 연구에서는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사격선수에게 균형 훈 련을 실시하여 균형 향상의 유의성을 확인하였으며, Oliver (2009)의 연구에서 여자 배구팀과 축구팀 26명을 대상으 로 4주간의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운동에서 한발 스쿼트에 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균형훈련은 고유수용성 감각 증진과 몸의 사지에서 발생하는 동요에 대하여 몸의 중심 조절을 통한 균형 능력의 향상을 볼 수 있다(Park et al., 2019). 그러나 사격 점수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확인할 수 없었는데 이는 사격은 몸통과 총구의 안정성만큼 심리적인 부분도 크게 작용하여(문창일, 2011) 이에 대한 부분이 고려되지 않았 으며, 신체 사지의 어깨 벌림근과 손가락 굽힘근의 작용 역시 크게 작용함으로써(Mon et al., 2015) 균형훈련 중재 만으로 사격점수의 향상을 기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 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사격 선수들의 부상 예방과 균형능력 향상을 위한 중재방법으로 불안정한 지지면에 서의 훈련을 프로그램화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후속 연구에서는 더욱 많은 대상자를 바탕으로 사격 경기 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연구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연구기간 동안 일상생활에서 통 제되지 못하였던 여러 변수들에 대한 사항들을 보완하고 다양한 평가 도구의 사용과 장기적인 연구를 통하여 명확 한 향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대표적인 편측 운동인 사격 선수에게 균형증 진과 경기력 향상을 위한 운동 방법에 대한 효과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중재는 5주간 주 3회 실시하였으며 그 결 과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운동군에서 균형능력에 유의 한 차이를 확인하였으나 사격 점수에서는 실험군과 대조 군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사격 선수의 균형증진을 위하여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운동 방법은 사격 선수의 훈련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