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5 No.2 pp.69-75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19.15.2.09

The Effect of Using Fast Backward Step Training with the Treadmill by Speed and Height on Turtle Neck Posture's Improvemen

Jun-hyun ju*
Vision College of Jeonju,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교신저자: 전현주 (전주비전대학교 물리치료학과) E-mail: juju98jhj@hanmail.net
2019.12.02 2019.12.22 2019.12.28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fast backstep treadmill training, modifying speed and slope, on the improvement of turtle neck. We recruited 2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Turtle neck syndrome.


Methods:

We measured neck angles using a goniometer in the following speed and slope conditions: (1) 3.5km and 0%, (2) 3.5km and 5%, (3) 3km and 0%, (4) 3km and 5%.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the neck angles were changed by fast backstep treadmill training. Specifically, the neck angle of 3.5km and 0% condition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at of 3km and 0%.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fast backstep treadmill training with modifying walking speed will help improve the turtle neck. In fast backstep treadmill training, walking speed may be an important factor in turtle neck patients.



속도와 경사에 따른 트레드밀 빠른 후방걸음 훈련이 거북목 개선에 미치는 영향

전 현주*
전주비전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Ⅰ. 서 론

    현대사회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넷 북 등 소형 IT 기기의 사용량이 많아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시간을 컴퓨 터 앞에서 보내는 직장인의 경우 자세와 스트레스로 인해 긴장한 근육에서 오는 목통증이 많이 호소하고 있다(김지 영, 2011). 목의 통증은 장애와 손상을 유발하는 근골격계 질환에서 발생 빈도가 높은 기능적 장애이다(Shekelle PG 등, 2003). 목뼈는 해부학적⋅기능적으로 큰 운동성 범위 이며, 불안정한 손상이 발생하기 쉽다(Youdas JW 등, 2012). 동일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게 되면 척추 윗부분의 스트레스가 발생하여 목 근육과 인대가 늘어날 수 있다(박 진기, 2000). 이러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신체적 증상이 거북목 증후군이다(유지은, 2006; 김영주, 2012).

    거북목증후군이란 컴퓨터 모니터의 높이가 눈높이보다 낮을 경우 오랫동안 내려다보는 사람들에게 흔히 일어나 는 증상이다.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람들 가운데는 무의식적으로 머리를 앞으로 향한 채 구부정한 자세는 증 후군증세르 진행시키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두산 백 과사전, 전계삼, 2017). 지속적인 거북목 자세는 목 디스 크, 팔다리 저림, 두통, 하지 마비 발생 등 심각한 2차적인 증상을 초래한다. 거북목 증후군은 증상이 천천히 진행되 므로 증상이 심각하게 진행되기 전에 증상을 인지하고 교 정해 주는 치료 및 훈련방법이 필요하다(김기홍, 2013). 거북목 증상의 감소를 위해 목의 조직을 무리하게 사용하 지 않고 주의하면서 움직임과 훈련을 장려해야 하고 (MCkinny LA 등, 2018), 매일 운동하고, 한 번에 장시간 운동하는 방법보다 고빈도의 짧은 운동이 효과적이다 (Rosenfeld M 등, 2000).

    평지의 걷기 운동은 관절의 체중 부하의 부담이 적어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는 기본적인 운동이다. 걷기 운동 시 턱은 당기고 머리는 어깨선과 일자를 유지하면서 가슴 은 펴고 복부에 힘을 주는 자세에서 걸을수록 운동의 효과 는 최대화 된다(Galley와 Foster, 2001). 턱을 당기고 어깨 를 펴고 걷는 자세는 거북목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고 하였다(Katherine와 Cheryl, 2005). 바른 자세로 걷기 의 운동 방법으로는 앞으로 걷기(Forward walking, FW), 뒤로 걷기(Backward walking, BW)로 구분할 수 있는데, 걷기 방법에 따라 사용되는 근육과 인체의 움직임 정도가 달라진다(유연주, 2007;김민정 등, 2013).

    일곱 번째 목뼈를 지나는 수평선과 일곱 번째 목뼈에서 귓기 둥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각을 머리척추각(cervicalvertebral angle, CVA)으로 정의하였다(채윤원, 2002). 머리척추각 이 증가하게 되면 거북목자세를 교정하여 바른 자세에 영 향을 미친다고 하였다(최영준, 2007). 걷기 방법에서 앞으 로 걷기는 목뼈 중력선의 변화가 없었고, 뒤로 걷기는 목 뼈 중력선이 감소하였고, 목뼈 만곡 도가 증가하여 거북 목 자세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으며, 경사진 트레드밀에서 실시하는 뒤로 걷기가 평지에서 실 시하는 것보다 더욱 효과적이라고 하였다(박주완 등, 2010). 뒤로 걷기로 인한 시각적 정보의 차단은 환자의 균 형능력 향상을 위해 시각 의존을 억제하여 고유수용성 몸 감각과 안뜰감각 입력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Yelnik 등, 2008). 선행연구는 트레드밀에서 앞으로 걷기와 뒤로 걷기 방법에서 뒤로 걷기가 앞으로 걷기보다 하지 근육의 근활성도가 높으며 재활운동으로서 보다 효 과적이라고 제시하였다(한상완, 2005 : 조규권 등, 2007). 뒤로 걷기 방법에서 배가로근, 뭇갈래근과 같은 심부 근육 과 척추 주변 근육들의 근력 향상에 도움을 주어 허리뼈, 등뼈와 목뼈의 각도 회복에 효과적이다(조부권, 2018).

    이러한 뒤로 걷기운동의 효과를 설명한 선행연구를 바 탕으로 본 연구는 거북목 환자를 대상으로 트레드밀 위에 서 빠른 후방 걸음을 적용하여 거북목 개선에 차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는 전주시에 소재한 V대학교에 재학 중인 거북 목 증후군이 있는 20대의 남녀 대학생 20명을 연구대상자 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실험 전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충분히 설명을 듣고, 연구 참여에 동의를 한 자들로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선정 기준은 최근 신 경학적 질환이 없는 자, 연구 수행에 있어서 신체적과 정 신적인 제약이 없으며, 의사소통의 문제가 없는 자들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 다(Table 1)

    2. 연구 설계 및 절차

    1) 실험도구

    (1) 트레드밀(treadmill)

    본 연구에서 빠른 후방걸음의 동일한 조건(시간, 속도, 거리, 경사)을 맞추고 예상치 못한 변수(기후, 장소, 등)를 막기 위해 트레드밀(Dyna Force PT3010, Korea)을 사용 하였다 (Figure 1).

    (2) 각도계

    거북목의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각도계(Six-Piece Goniomente Set, SAMMONS PRESTON, China)를 사용 하였다(Figure 2).

    (3) 중력선 측정기

    옆으로 선 자세로 대상자의 바깥귀길을 중력 선에 정확 히 맞추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Figure 3).

    (4) 카메라 삼각대

    거북목 각도를 측정할 때 예상치 못한 변수를 막고 오 차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였다 (Figure 4).

    3. 실험 방법

    1) 중력선 측정기에 의한 거북목 각도 측정

    검사자 간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본적인 해부학 지식에 근거하여 측정하였다. 시상면에 대한 중력 선을 대상자의 바깥귀길에 맞춘다. 거북목 각도를 한 눈에 알 아보기 위해 거북목 환자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60cm 로 두고 찍는다. 머리척추각은 측면에서 관찰 했을 때 7번 째 목뼈에 대한 머리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각도는 귓기둥의 중간 지점과 7번째 목뼈의 가시돌기를 표시 한 지점 사이를 잇는 선과 7번째 목뼈의 가시돌기 높이를 지 나는 수평선을 이루는 각도이다 (김정석, 2006). C7의 수 직선과 바깥귀길의 수직선을 그어 두 지점이 만나는 그 각을 측정하여 31〬 보다 거북목이라고 하였다(Figure 5).

    2) 트레드밀을 이용한 빠른 후방걸음

    빠른 후방걸음 운동을 4주간 1주일의 2번씩 운동을 적 용하여 실시한다. 빠른 후방걸음의 대상자는 속도3.5km 그룹은 10명으로 경사0%와 경사5%를 적용하여 실시하고, 속도3.0km 그룹은 10명으로 경사0%와 경사5%를 적용하 여 그룹 간 유의성을 비교하였다. 대상자는 속도3.5km와 경사0%, 속도3.5km와 경사5%. 속도3.0km와 경사0%, 속 도3.0km와 경사5%의 그룹은 속도를 기준으로 10명을 선 정하여 각 경사를 다르게 적용하여 20명으로 선정하였다. 속도를 기준으로 경사별 그룹 내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Table 2)(Figure 6).

    4. 자료 분석

    본 연구를 분석하기 위해 IBM SPSS Statistics 19.0(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속도와 경사에 따른 그룹 내 전 후 거북목 각도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 test)을 사 용하였으며, 속도와 경사에 따른 그룹 간 전 후 거북목 각 도 비교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을 사용하였다. 사후분석 방법으로는 Bonferroni 검정을 사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한 유의수준(a) 은 0.05로 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속도와 경사에 따른 빠른 후방걸음의 그룹 내 거 북목 각도 비교

    1) 속도와 경사(S3.5 H5)에 따른 거북목 각도

    속도3.5km와 경사5%에 따른 빠른 후방걸음의 그룹 내 전 후 거북목 각도를 비교한 결과 평균값의 차이가 있었지 만, 분석을 통한 유의성 검정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Figure 7).

    2) 속도와 경사(S3.5 H0)에 따른 거북목 각도

    속도3.5km와 경사0%에 따른 빠른 후방걸음의 그룹 내 전 후 거북목 각도를 비교한 결과 평균값에는 작은 차이가 있었지만, 분석을 통한 유의성 검정에는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p<0.05)(Figure 8).

    3) 속도와 경사(S3 H5)에 따른 거북목 각도

    속도3.0km와 경사5%에 따른 빠른 후방걸음의 그룹 내 전 후 거북목 각도를 비교한 결과 평균값에는 작은 차이가 있었지만, 분석을 통한 유의성 검정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Figure 9)

    4) 속도와 경사(S3 H0)에 따른 거북목 각도

    속도3.0km와 경사0%에 따른 빠른 후방걸음의 그룹 내 전 후 거북목 각도를 비교한 결과 평균값에는 작은 차이가 있었지만, 분석을 통한 유의성 검정에는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p<0.05)(Figure 10)

    2. 속도와 경사에 따른 빠른 후방걸음의 그룹 간 전 후 거북목 각도 비교

    속도와 경사에 따른 빠른 후방걸음의 그룹 간 전 후 거 북목 각도를 비교한 결과 분석을 통한 유의성 검정에는 속도3.5km, 경사0%와 속도3.0km, 경사0% 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Figure 11).

    Ⅳ. 고 찰

    본 연구는 속도와 경사에 따른 트레드밀 빠른 후방걸음 훈련이 거북목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자 하였다.

    본 연구의 속도와 경사에 따른 빠른 후방걸음의 그룹 내 전⋅후 거북목 각도를 비교한 평균값에는 작은 차이가 있었고, 속도3.5km, 경사0%와 속도3km, 경사0% 에서 유 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속도3.5km, 경사5%와 속도3km, 경사5% 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거북목 증후군 대 상자의 운동에서 무게중심이 뒤로 이동하는 뒤로 걷기 운 동을 적용하였을 때 목뼈의 중력선이 뒤로 걷기 전(16.13± 7.712)보다 뒤로 걷기 후 (10.20±10.338)의 기록이 감소 하였고, 걷기 운동 적용 후 자세의 변화에서 효과적이라 보고하였다(조부권, 2018).

    경사도의 증가는 평균가속도에 유의한 차이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거나 오히려 평균가속도의 감소를 나타냈다 (권유리 등, 2010). 속도3.5km, 경사0%와 속도3km, 경사 0% 에서 유의한 차이의 결과는 무게 중심이 앞에 있는 거 북목 증후군 대상자의 빠른 후방걸음으로 인하여 무게중 심이 뒤로 향하게 하여 거북목 개선에 좋은 영향을 미친것 이라고 생각한다. 속도3.5km, 경사5%와 속도3km, 경사 5% 에서는 뒤로 걷기로 인해 시각이 차단되어 안정성이 요구되고 있는데 경사의 증가는 더욱 높은 안정성이 요구 되며 하지에서 활성화되는 근육의 활성도 증가도가 이유 일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의 속도와 경사에 따른 빠른 후방걸음의 그룹 간 전⋅후 거북목 각도를 비교한 결과 속도3.5km 경사0%와 속도3.0km 경사0%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보행 동작 은 보행 속도에 따라 시상 면에서 관찰되는 폄과 굽힘 운동 으로 보행 동작에서 하지 관절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Eng, & Winter, 1995). 속도와 경사에 따른 빠른 후방걸음 의 그룹 간 전⋅후 거북목 각도를 비교한 결과 속도3.5km 경사0%와 속도3.0km 경사0% 간의 유의한 차이는 후방걸 음 동작이 속도에 따라 보행 동작에서 영향을 미칠 것이라 고 생각한다. 턱은 당기고 머리는 어깨선과 일자를 맞추며 가슴을 펴고 배에 힘을 줘 배를 당긴 상태에서 걸을수록 운 동효과는 극대화 된다(Galley & Foster, 2001). 경사를 높이 면 지지면이 불안정해짐으로써 신체의 안정성을 확보하려 고 하여서 올바른 자세를 유지 할 수 없으므로 경사도 증가 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내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 번째로 연구 대상자를 20대의 남녀로 선정하였으며 많은 표본을 구하지 못한 점에서 전 체적으로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고 다양한 연령 층에서 볼 수 있는 변화를 확인하기에는 제한이 있었다. 두 번째로 연구 대상자의 수가 미흡했다. 세 번째로 선행 연구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의견을 뒷받침할 자료가 충분하 지 못했다. 그러므로 추후 연구에는 거북목 개선의 효과검 증을 일반화하기 위해서 대상자의 수와 기간을 증가시켜 서 운동의 효과에 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빠른 후방걸음의 연구들이 이 루어져야 할 것이고 빠른 후방걸음과 목과의 관계뿐만 아 니라, 다른 비정상적인 자세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 요하고, 다양한 경사와 속도에 대해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제한점들에 대해 좀 더 고려하여 진행한다 면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연구결과와 경사와 속도를 고려한 긍정적인 빠른 후방걸음 훈련의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거북목을 완화시키기 위한 다 양한 환경이나 치료소도구를 매번 사용 할 수 없기 때문에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는 속도와 경사에 따른 빠른 후방걸 음의 거북목 개선을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빠른 후방걸 음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속도와 경사에 따른 빠른 후방걸음의 그룹 내 전 후 거북 목 각도를 비교한 결과 평균값에는 작은 차이가 있었지만 속도3.5km 경사0% 와 속도3km 경사0%에서 유의한 차이 가 있었고, 속도3.5km 경사5%와 속도3km 경사5% 에서 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속도와 경사에 따른 빠른 후방 걸음의 그룹 간 전 후 거북목 각도를 비교한 결과 속도 3.5km 경사0% 와 속도3km 경사0% 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속도3.5km 경사5%와 속도3km 경사5% 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속도에 따른 트레드밀 빠 른 후방걸음 훈련이 거북목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 된다. 또한 선행연구에서는 빠른 후방걸음으로 인하여 무 게중심이 뒤로 향하게 됨으로 거북목 개선에 좋은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하였기 때문에 추후에 다양한 경사와 속도 에 대해 고려하는 빠른 후방걸음 훈련의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AOSPT-15-2-69_F1.gif

    트레드밀

    AOSPT-15-2-69_F2.gif

    각도계

    AOSPT-15-2-69_F3.gif

    중력선 측정기

    AOSPT-15-2-69_F4.gif

    카메라 삼각대

    AOSPT-15-2-69_F5.gif

    중력선 측정기에 의한 거북목 각도 측정

    AOSPT-15-2-69_F6.gif

    트레드밀을 이용한 빠른 후방걸음 운동방법

    AOSPT-15-2-69_F7.gif

    속도3.5km와 경사5%에 따른 그룹 내 비교

    AOSPT-15-2-69_F8.gif

    속도3.5km와 경사0%에 따른 그룹 내 비교

    AOSPT-15-2-69_F9.gif

    속도3.0km와 경사5%에 따른 그룹 내 비교

    AOSPT-15-2-69_F10.gif

    속도3.0km와 경사0%에 따른 그룹 내 비교

    AOSPT-15-2-69_F11.gif

    속도와 경사에 따른 빠른 후방걸음의 그룹 간 전 후 거북목 각도 비교

    Table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20)

    Reference

    1. 권유리 (2010). 보행속도와 보행로 경사에 따른 대퇴상부와 발목상부에서의 가속도변화. 한국운동역학회지, 20(2), 191-196.
    2. 김기홍 (2013). 거북목 증후군 예방을 위한 퍼베이시브 시스 템 설계 및 구현(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3. 김영주 (2012). 발레프로그램이 직장인의 거북목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4. 김정석 (2006). 일자목 환자를 위한 카이로프렉틱 시술이 효과의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5. 박주완 등 (2010). 경사진 트레드밀에서 후방보행운동을 통한 넙다리네갈래근 강화와 요통의 관계. 재활과학연 구, 28(1), 47-55.
    6. 박진기 (2000). 컴퓨터 증후군. 통권(270), 54-56.
    7. 유연주 (2007). 뒤로 걷기 수행시 근육의 활동. 한국스포츠 리서치, 18(5), 185-192.
    8. 조규권 (2007). 전방보행과 후방보행시 속도변화에 따른 근전도 비교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17(3), 1-10.
    9. 조부권 (2018). 앞.뒤걷기 운동이 초등학생의 거북목 증후 군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 학원).
    10. 채윤원 (2002). 경부근육에 있어 두부전방자세와 압력 통증 역치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4(1), 117-124.
    11. 최영준 (2011). 경추 및 흉추부 스트레칭 운동과 근력강화 운동프로그램이 머리전방자세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 텐츠학회 논문지, 11(10), 293-300.
    12. Eng, J. J. , & Winter, D. A. (1995). Kinetic analysis of the lower limbs during walking: What information can be gained from a three-dimensional model? Journal of Biomechanics, 28(6), 753-758.
    13. Galley, H. R. , & Foster, K. L. (2001). Human Movement. Churchill Livingstone.
    14. Katherine, H. , & Cheryl, L. (2005). Effectiveness of anexercise program to improve forward head posture in normal adults: A randomized, control led 10- week trial. The Journal of Manual & Manipulative Therapy, 3(3), 163-176.
    15. McKinnry, L. A. (2018). Early mobiliazation and outcome in acute sprains of the neck. BMJ, 229, 1006-1008.
    16. Rosenfeld, M. , Bunnarsson, R. , & Borenstein, P. (2006). Early intervention in whiplash-associated disorders: A comparioson of two treatment protocols. Spine, 25, 1782-1787.
    17. Shekelle, P. G. , Markovich, M. , & Louis, R. (2015). An epidemiologic study of episodes of back pain care. Spine, 20, 1668-1673.
    18. Yelink, A. P. , Le Breton, F , Colle, F. M. , et al. (2008). Rehabilitation of balance after stroke with multisensorial training. Neurorehabil Neural Repair, 22(5), 468-476.
    19. Youdas, J. W. , Garret, T. R. , Suman, V. J. , et al. (2012). Normal range of motion of the cervical spine: An initial goniometric study. Phs Ther, 72(11), 770-780.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