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5 No.2 pp.37-44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19.15.2.05

Effect of Static Stretching and Hold-Relax Techniques for Shortened Iliopsoas Muscle

Yeong-Taek Oh*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Masan University
교신저자: 오영택 (마산대학교 물리치료과) E-mail: oilpali@hanmail.net
2019.11.30 2019.12.21 2019.12.28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etching techniques on pressure pain threshold (PPT) of myofascial trigger points in the iliopsoas muscle and to compare the effect of two stretching techniques (static and hold-relax stretching).


Methods: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Static group (n=12); hold-relax group (n=12). For each group, stretching was applied to the dominant leg and performed three times a week for a period of two weeks. PPT of each subject was recorded at pre- and post-tests, respectively.


Results:

As a result, PPT was different between pre- and post measurements. However,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In conclusion, two stretching techniques are useful for improving Iliopsoas muscle shortening.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choice for a qualified technique should be decided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patient and therapist.



장요근 단축에 대한 정적신장과 유지-이완 기법의 효과

오 영택*
마산대학교 물리치료과

초록


    Ⅰ. 서 론

    일상에서 많은 활동들이 장요근에 단단한 띠(taut band)를 만들거나 악화시킬 수 있으며, 너무 오래 앉아 있 는 것이 가장 흔한 악화 요인이다(Sauer & Biancalana, 2010). 현대인들은 대부분 앉은 자세에서 생활을 보낸다. 앉아있는 시간이 길어지면 장요근이 오랜 시간에 걸쳐 영 향을 받으면서 적응성 단축(adaptive shortening)이 일어 나게 된다(D'Ambrogio & Roth, 1997). 단축은 수동 또는 능동 신장에 대하여 현저한 저항과 관절가동범위를 제한 함으로써 운동의 기능성을 떨어트리게 만든다. 장요근이 손상되었을 때의 통증 연관 패턴(pain referral pattern)은 척추의 하부에 평행하게 척추를 따라 위, 아래로 오르내리 는 통증을 느낄 수도 있으며, 근육 치료를 통해서 통증이 감소되거나 완전히 사라진다면 장요근에 통증 유발점이 있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다(Sauer & Biancalana, 2010).

    사람이 바로 선 자세로 걷기 시작한 이래로 고관절을 구부리고 다리를 들어 올릴 수 있는 정도의 강한 근육들이 필요해졌고, 장요근은 골반과 허리를 서로 연결하여 위치 를 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Clay & Pounds, 2008). 장요근은 요추 사이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근육으로 요추 의 굴곡, 신전, 측면굴곡 등에 관여한다(Penning, 2000). 특히 비뇨생식기 질환 및 하복부, 서혜부의 문제가 발생되 는 경우에는 반드시 평가해야 하며, 요추 굴곡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허리를 펴지 못하는 환자들에게 장요근은 반드 시 신장(stretching)이 필요한 근육이다. 이처럼 장요근의 기능이 요통과 임상과학적인 면에서 많은 관련성이 있지 만 아직 충분히 고려되고 있지 않다(Hu et al., 2011). 지금 까지 허리 뒤쪽의 근육조직이 요통 치료에 있어서 연부조 직 치료의 중점이 되어 왔다. 그 이유는 직접적인 통증을 느끼는 부위 위주로 치료가 행해졌고, 실제로 근육 긴장이 있는 부위였기 때문이다(이준용 & 윤홍일, 2006). 앞으로 는 요통의 치료에 있어서 단지 허리 통증만 있는 환자들이 라도 장요근의 문제로 인한 고관절의 신전감소에 관한 역 학적인 관계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이준재, 2012).

    이준용 & 윤홍일(2006)은 만성요통의 원인은 장요근의 짧아짐으로 인해 생기며, 장요근의 기능이상이 이차적으 로 통증을 일으킬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가져올 수 있다고 하였다. 황종헌 등(1996)의 연구에서도 만성 요통 환자에게서 장요근의 짧아짐이 관찰이 되고 이는 요통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요통을 미리 예방하 기 위해서는 단축된 장요근의 정상적 유연성 회복을 위한 처치가 필요할 것이며, 신장(stretching)은 근육의 처음과 끝을 가능한 멀리 벌어지게 해서 근육조직을 점차적으로 늘리는데 매우 효과적이다(Sauer & Biancalana, 2010).

    신장기법에는 적용하는 방법에 따라 정적신장기법 (static stretching), 동적신장기법(dynamic stretching), 능동적 자가 신장기법(active self-stretching), 발리스틱 신장기법(ballistic stretching), 그리고 PNF 신장기법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stretching) 등이 있다(Davis et al., 2005). 이중에서 정적신장기법은 신장의 통제가 용이하기 때문에 관련 관절의 신전성 한계 를 넘는 위험이 적다는 것과 상당히 효과적이고, 보편적으 로 사용되는 신장기법 중의 하나이다(Prentice, 2004). 또 한 PNF 신장기법은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수축- 이완 기법(contract-relax; CR)과 유지-이완 기법(holdrelax; HR) 그리고 수축-이완-길항근 수축기법(contractrelax antagonist-contract; CRAC)이 주로 사용되며, 특 히, 유지-이완 기법은 효과적인 근 이완법으로 등척성 수 축 시 최대의 저항을 가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피로와 통증감소, 안정성 촉진 등 다양한 치료 목적을 위 해 사용되고 있다(오영택, 2013).

    실제로 단축된 근육의 신장을 위해 정적신장기법(김복 규, 2010; 김용정 등, 2011;신윤혁, 2015)을 이용한 다수 의 선행연구들이 있으며, PNF의 유지-이완 기법 역시 슬 괵근(hamstring)의 신장을 비롯하여(오영택, 2013;Davis et al., 2005;Nagarwal et al., 2010) 사각근의 신장이 폐활량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변성학 & 한동욱, 2016)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장요근을 대상으 로 한 선행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앉아서 보내는 시 간이 많은 현대인들에게 대퇴 후부에 위치한 슬괵근의 단 축과 요통의 연관성은 어느 정도 확립되어 있으며(오영 택, 2013), 장요근 또한 오랜 시간 앉아 있는 자세에서 단 축되기 쉬운 근육으로 요통과 관련이 있다고(Hu et al., 2011) 알려져 있으므로 요통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두 근육 모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요근이 단축되어 있는 대학생을 대상 으로 정적신장과 PNF의 유지-이완 기법을 적용하여 장요 근의 발통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더불어 두 방법 간의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M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선정기 준은 1) 신경계 및 근골격계질환으로 인한 임상적 진단이 없 는 자 2) 토마스 검사(Thomas Test) 검사에서 양성(positive) 반응이 나타난 자로 양성이란 요추를 편평하게 한 상태에서 한 쪽 다리의 고관절을 최대(135°)로 굴곡했을 때 고관절 굴 곡근의 구축 때문에 반대 측 다리가 요추 전만이 없이 완전 하게 신전할 수 없는 자를 말한다(정진우, 2000)(Figure 1). 3) 장요근의 발통점에 통증을 호소한 자 4)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 효과 및 부작용에 관한 충분한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 로 연구에 동의하고 참여한 자로 하였다.

    위 사항에 적합한 대상자는 총 24명이었으며, 신장기법에 따 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적신장(Static stretching)을 적용 하는 군(n=12)과 유지-이완 기법(Hold-relax technique)을 적용하는 군(n=12)으로 구분하여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2. 측정도구 및 측정방법

    장요근의 발통점(trigger points; TrPs)에 압통역치를 측정하기 위해 디지털 압력 통증측정기((J-Tech 12-1485 Commander Algometer, JTECH Medical, USA)를 사용 하였다. 장요근 단축으로 유발되는 발통점은 세 곳으로 위치는 배꼽의 바깥쪽으로 약 2인치(inch) 부분에 위치한 것(TrPs1), 장골(Ilium)의 내측면, 장골 능(crest)을 따라 1인치 정도 내려간 곳(TrPs2), 대퇴(thigh)의 위쪽에 위치 한 것(TrPs3)이다(Sauer & Biancalana, 2010)(Figure. 2).

    세 곳의 발통점 중에 대부분의 대상자들이 3번 지점 (TrPs3)의 측정을 기피하여 본 연구에서는 나머지 두 개 의 지점만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 구자는 치료 전에 대상자를 바로 눕힌 자세(supine)에서 장요근 단축이 있는 다리에 두 지점의 발통점을 확인하 고, 측정도자를 접촉하였다. 그런 다음에 각 지점에 대상 자가 통증을 느낄 때까지 측정도자를 눌렀으며, 통증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대상자가 ‘아’ 하는 소리를 내도록 하 였다. 바로 그 순간에 통증을 느낀 압력을 각각 3회 측정 하여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만약 양측 모두에 단축이 있 는 경우에는 좌. 우를 측정하여 평균값이 낮은 곳을 우세 측(dominant)으로 정하여 기록하였다. 측정은 실험 전과 치료 2주 후에 실시하였다.

    3. 중재방법

    신장기법은 장요근 단축이 심한, 우세측에 주 3회, 2주 간 실시하였으며, 연구자의 감독 하에 적용된 본 연구의 중재방법은 다음과 같다(Figure. 3).

    1) 정적신장(Static stretching)

    장요근에 적용된 정적신장의 방법은 러너스 런지(runner's lunge) 방법이다. 방법은 먼저 한 다리는 앞으로, 반대쪽 다리는 뒤로한 다음에 다리 사이의 간격을 2피트(약 60cm) 정도로 하고 선다. 그런 다음 숨을 들이마시고 내뱉으면 서 대상자는 두 손을 앞발 뒤꿈치 바로 옆 바닥에 짚을 때까지 양쪽 무릎을 굽힌다. 뒷다리는 충분히 밀어내며 무릎을 바닥에 댄다. 이때 슬개골에 무게가 실리지 않도 록 주의한다. 다시 숨을 들이마시고 뱉으면서 앞쪽 다리 의 엉덩이가 바닥을 향하도록 부드럽게 압력을 가한다. 정적신장은 30초간 유지하고, 10회 반복하며, 반복 사이 에 8초간 휴식한다(Winters et al., 2004).

    2) 유지-이완 기법(Hold-relax technique; HR)

    유지-이완 기법은 대상자가 단축된 장요근을 수축시킬 때 연구자가 반대 방향으로 저항을 주는 것이다. 대상자는 토마스 검사와 같은 자세로 눕는다. 연구자의 손은 단축이 있는 장요근이 가벼운 통증을 느낄 때까지 펴지도록 바닥 을 향해 대퇴 하부를 눌러준다. 통증을 느끼는 지점에서 장요근이 수축되도록 등척성 수축(isometric contraction) 을 지시하고, 7초간 유지한다. 수축 후에 5초 동안 완전히 이완을 한 다음, 새로 획득된 범위까지 천천히 장요근을 신장한다. 휴식과 안정을 위해 2~3회 호흡을 실시한 후에 이러한 과정을 5회 반복하였다(오영택, 2013;Nagarwal et al., 2010).

    4.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PC ver 12.0(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자의 일반적 특성과 처치 결과는 평균(M)과 표준편차(SD) 로 산출하였으며, 실험 전ㆍ후에 대한 집단 내의 비교는 대응 t-검정을 실시하였다. 집단 간의 실험 전ㆍ후 변화 량의 차이에 대해서는 독립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유의수준은 α=.05로 하였다.

    Ⅲ. 연구결과

    1. 각 군 내의 압통역치의 변화

    실험 전ㆍ후에 각 군 내의 압통역치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정적신장의 경우에 TrPs1은 실험 전 22.33±10.37에 서 실험 후 42.39±13.37로 증가하였고(p=0.001), TrPs2 는 실험 전 16.98±7.56에서 실험 후 36.19±13.74로 증가 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0). 유지-이완 기 법(HR)의 경우에 TrPs1은 실험 전 26.58±7.91에서 실험 후 39.36±17.69로 증가하였고(p=0.017), TrPs2는 실험 전 22.31±7.00에서 실험 후 36.20±19.10으로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7)(Table 2).

    2. 각 군(group) 간의 평균차이의 비교

    실험 전ㆍ후에 군 간의 평균차이에 대하여 비교한 결 과, 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3).

    Ⅳ. 고 찰

    장요근의 단축은 요추에 비정상적인 부하를 유발하고, 요추 전만과 골반전방경사(anterior tilting)를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Malai et al., 2015). Simons et al. (1999)은 장요근에 대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면 서 종종 통증을 일으키는데 배 깊숙한 곳에 있는 위치적 특성 때문에 상대적으로 접근하기 쉽지 않다는 의미에서 일명 숨어 있는 장난꾸러기(hidden prankster)라고 표현 하였다. 이준용 & 윤홍일(2006)은 요통환자의 고관절 각 도가 정상인에 비해 유의하게 작았다고 보고하면서 요통 환자의 치료 시에 장요근 긴장의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Corbin & Lindsey(1997)는 엉덩관절 굽힘근(hip flexors)과 허리근(psoas muscle)등의 유연성 훈련을 통한 요통예방을 강조하였다.

    Malai et al. (2015)은 장요근의 단축으로 인하여 제한 된 복부 근육의 움직임과 악순환으로 인한 만성 통증은 유지-이완 기법으로 멈출 수 있다고 하였고, 전통적으로 는 관절가동범위를 증가하고, 근육을 강화하고,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정적신장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Young & Behm, 2002). 유지-이완 기법은 짧아진 근육의 가동범위 끝에서 등척성 수축을 실시하여 골지힘줄기관을 흥분시 켜 자가억제(autogenic inhibition)를 통해서 짧아진 근육 을 이완시킨 후 신장하는 방법으로써 근육이 수축하면 근 육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골지힘줄기관이 흥분되어 작 용근을 억제하고, 대항근을 촉진하는 신경생리학적 이론 에 기초를 두고 있다(박지환 등, 2013). 정적신장은 골지 건기관이 긴장 증가에 반응을 시작하기에 충분한 시간인 6~60초 정도 지속적으로 신장을 유지해 준다. 골지건 기 관으로부터의 자극은 근방추로부터 나온 자극을 능가하 여 길이 변화에 대한 처음의 반사적 저항 후에 근육이 반 사적으로 이완하게 해준다(Prentice, 2004). 지금까지 전 자와 후자의 신경생리학적 이론을 확인하는 여러 연구들 이 슬괵근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에서는 장요 근에 정적신장과 PNF의 유지-이완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정적신장은 러너스 런지(runner's lunge) 방법으로 30초간 유지하고, 10회 반복하였으며, 반 복 사이에 8초간 휴식하여 장요근의 압통역치에 유의한 증 가를 나타내었다. Bandy et al. (1997)은 슬괵근이 단축된 21-39세의 남녀 93명에게 6주 동안, 주 5일, 1일 1회, 30초 의 지속적인 정적신장을 적용한 결과, 슬괵근의 유연성이 가장 향상되었다고 하였고, 김복규(2010)는 내측 슬괵근에 30초의 정적신장을 유지하여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고 하여 본 연구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정적신장의 경우 에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 중에서 근육 신장 유 지시간이 큰 영향을 미치는데 선행연구에서 가장 효율적 이고, 효과적인 근육 신장 유지시간이 30초인 것으로 알려 져 있으므로(Bandy et al., 1997) 본 연구에 적용한 30초의 유지시간은 매우 적합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심제 명 등(2008)의 연구에서는 슬괵근에 30초의 정적신장을 적용한 결과, 90-90 하지 직거상 검사에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고 한 것과 최근의 일부 연구에서 정적신장이 힘 (force), 세기(strength), 체력(power)을 감소하여 수행능 력을 저하하는 것으로 증명되고 있어(Chaouachi et al., 2008) 방법 및 목적에 따라 정적신장의 적용은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PNF의 신장기법은 등척성 수축과 수동신장이 결합된 것으로 정의된다(Wang, 2013). 오영택(2013)Nagarwal et al. (2010)은 슬괵근 단축이 있는 대학생에게 유지-이완 기법을 적용하여 유의한 증가를 확인하였고, Spernoga et al. (2001)은 건강한 군 생도를 대상으로 1회의 유지-이완 기법을 적용하여 슬괵근의 유연성이 뚜렷하게 증진하였 다고 하였다. Nachtwey & Stricker(2003)는 슬괵근의 유 연성 증진을 위해 건강한 성인 27명에게 유지-이완 기법 을 적용하여 슬괵근의 이완과 함께 고관절의 움직임이 유 의하게 증가하였다고 하였다. 일반적으로 유지-이완 기 법의 수축시간과 이완시간이 정형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Chaitow, 2001) 적용방법에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PNF의 신장기법에 관한 선행연구들이 대부분 단축된 근 육에 유의한 변화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단축된 장요근에 7초 동안 등척성 수축, 5초 이완, 그리고 새로 획득된 범위까지 천천히 슬괵근을 신장하는 것을 1회로 하여 5회의 유지-이완 기법을 2주간 주 3회 적용한 결과, 장요근 발통점의 압통역치에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결국에 본 연구에서는 유지-이완 기법과 정적신장이 장 요근이 단축된 상태에서 측정한 압통역치를 효율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두 방법 간의 효 과를 비교한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압통역치 의 변화는 정적신장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결과는 정적신장과 PNF신장의 비교연구에서 일반적으 로 PNF신장이 정적신장보다 유연성 증진에 더 효과적이 라는 보고(Ferber et al., 2002;Prentice, 2004)와 상반되 는 것으로 이유는 다음과 같이 짐작된다. 신장기법이 근육 의 신장성 증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는 적용하는 신장기법, 적용 강도, 기간 및 빈도 등(Davis et al., 2005) 이 있는데 정적신장이 유지시간에 영향을 받는다면 유지- 이완 기법은 근 수축 강도에 영향(Feland & Marin, 2004) 을 받는다. 즉 유지-이완 기법은 등척성 수축을 하는 대상 자의 내재적 힘과 연구자의 반대압이 정확히 조절된 힘과 조절된 방향으로 근수축을 유도하는 기술이 필요한데 이 부분에서 연구자의 기술이 미흡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끝으로 본 연구에는 몇 가지의 제한점이 있다. 먼저 대 상자의 선정기준에 있어 이준재(2012)가 엉덩허리근의 10°단축이 있는 환자를 선정한 것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각도의 측정 없이 장요근의 발통점에 통증이 있고, 토마 스 검사에 양성반응을 나타낸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는 것 이다. 또한 Reid & Kim(2014)이 신장기법을 통해 획득된 관절가동범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1주에 3회 정도 지속 할 것을 보고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유지여부를 알 수 없었다는 점에서 임상에 일반화하기는 아직 미흡하다. 따 라서 앞으로는 선정기준을 더욱 구체화하고, 효과의 지속 여부도 증명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장요근이 단축되어 있는 대학생들에게 정적 신장과 PNF의 유지-이완 기법을 적용하였을 때 발통점에 미치는 효과와 두 방법 간의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치료는 주 3회 2주간 실시하였으며 그 결 과, 두 방법 모두 발통점의 압통역치가 처치 전에 비해서 처치 후에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근육의 유연성 을 증진시키고자 할 때 정적신장과 유지-이완 기법이 모 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요추 전만과 골반전방경사를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단축된 장요근에 실시하는 신장기법은 요통의 예방 및 감 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AOSPT-15-2-37_F1.gif

    Thomas test.

    AOSPT-15-2-37_F2.gif

    Iliopsoas trigger points.

    AOSPT-15-2-37_F3.gif

    Static stretching and Hold-relax techniqu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Change of PPT within two groups (unit: lbf)

    Comparison of mean differences of PPT between two groups (unit: lbf)

    Reference

    1. 김복규 (2010). 신경근 전기자극을 이용한 PNF 신장기법이 내측 슬괵근의 신장성 및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석 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국).
    2. 김용정, 김택연, 김선엽, & 오덕원 (2011).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슬괵근 유연성과 보행능력에 대한 신경 가동기법, 정적 신장기법 및 수축-이완기법의 즉각적 효과 비교.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4), 369-379.
    3. 박지환, 김근조, 김명준, 김선엽, 김성수...황보각 (2013). 정형도수물리치료학 총론. 한국: 현문사.
    4. 변성학, & 한동욱 (2016). 사각근에 대한 수동신장운동이 노력성폐활량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1(1), 35-43.
    5. 신윤혁 (2015). 좌골신경 가동기법과 슬건근 정적신장기법 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슬건근 유연성, 하지 근력, 보행능력에 미치는 즉각적인 영향(석사학 위논문, 건양대학교 대학원 한국).
    6. 심제명, 김병선, 하해정, 한상용, 배성수...구봉오 (2008). 정적신장과 고유수용성 신경근촉진(PNF) 신장기법 적 용 후 슬괵근에 대한 진단 초음파를 통한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3(2), 81-88.
    7. 오영택 (2013). 슬괵근 단축이 있는 대학생에 대한 유지-이 완 기법의 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8(3), 433-441.
    8. 이준용, & 윤횽일 (2006). 요통환자와 정상인의 장요근의 긴장도 비교.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12(2), 11-20.
    9. 이준재 (2012). 엉덩허리근의 수동과 능동 신장운동이 요통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 학원. 한국).
    10. 정진우 역 (2000). 척추와 사지의 검진 (제3판). 한국: 대학서림.
    11. 황종헌, 김영백, 권정택, 민병국, 황성남...석종식 (1996). 만성요통환자에 있어서 척추주위 근육의 위축에 대한 관찰. 대한신경외과학회지, 25(4), 842-845.
    12. Bandy, W. D. , Irion, J. M. , & Briggler, M. (1997). The effect of time and frequency of static stretching on flexibility of the hamstring muscles. Physical Therapy, 77, 1090-1096.
    13. Chaitow, L. (2001). Muscle energy techniques. Oxford, UK: Elsevier.
    14. Chaouachi, A. , Chamari, K. , Wong, P. , Castagna, C. , Chaouachi, M. , ... Behm, D. G. (2008). Stretch and sprint training reduces stretch-induced sprint performance deficits in 13-to 15-year-old youth.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04(3), 515-522.
    15. Clay, J. H. , & Pounds, D. M. (2008). Basic Clinical Massage Therapy: Integrating Anatomy and Treatment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6. Corbin, C. B. , & Lindsey, R. (1997). Concepts of fitness and wellness with laboratories. Dubuque, IA: Brown and Benchmark.
    17. D’Ambrogio, K. J. , & Roth, G. B. (1997). Positional release therapy: assessment and treatment of musculoskeletal dysfunction (1st ed). St. Louis: Mosby.
    18. Davis, D. S. , Ashby, P. E. , McCale, K. L. , McQuain, J. A ,. & Wine, J. A. (2005). The effectiveness of 3 stretching techniques on hamstring flexibility using consistent stretching parameters.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19(1), 27-32.
    19. Feland, J. B. , & Marin, H. N. (2004). Effect of submaximal contraction intensity in contractrelax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stretching.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38(4), E18.
    20. Ferber, R. , Ostering, L. , & Gravelle, D. (2002). Effect of PNF stretch techniques on knee flexor muscle EMG activity in older adults. Journal of Electromyography Kinesiology, 12(5), 391-397.
    21. Hu, H. , Meijer, O. G. , van Dieën, J. H. , Hodges, P. W. , Bruijn, S. M. , ...Xia, C. (2010) Is the psoas a hip flexor in the active straight leg raise? European Spine Journal, 20, 759–765.
    22. Malai, S. , Pichaiyongwongdee, S. , & Sakulsriprasert, P. (2015). Immediate Effect of Hold-Relax Stretching of Iliopsoas Muscle on Transversus Abdominis Muscle Activation in Chronic Non-Specific Low Back Pain with Lumbar Hyperlordosis. Journal of the Medical Association of Thailand, 98(5), 6-11.
    23. Nachtwey, M. N. , & Stricker, K. (2003). Effects of the PNF-hold-relax-technique, direct and indirect, on hamstring muscle flexibility. International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IPNFA Report.
    24. Nagarwal, A. K. , Zutshi, K. , Ram, C. S. , & Zafar, R. (2010). Improvement of Hamstring Flexibility: A Comparison between Two PNF Stretching Technique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Science and Engineering, 4(1), 25-33.
    25. O'Sullivan, K , Murray, E ,. & Sainsbury, D. (2009). The effect of warm-up, static stretching and dynamic stretching on hamstring flexibility in previously injured subjects.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16, 10-37.
    26. Penning, L. (2000). Psoas muscle and lumbar spine stability: a concept uniting existing controversies. Critical review and hypothesis. European Spine Journal, 9, 577–585.
    27. Prentice, W. E. (2004). Rehabilitation Techniques for Sports Medicine & Athletic Training (4th ed). New York: McGraw-Hill.
    28. Reid, D. A. , & Kim, J. (2014). The frequency of hamstring stretches required to maintain knee extension range of motion following an initial six-week stretching programme. New Zealand Journal of Physiotherapy, 42(1), 22-27.
    29. Sauer, S. , & Biancalana, M. (2010). Trigger point therapy for low back pain: a self-treatment workbook. Oakland: New Harbinger Publications.
    30. Simons, D. G. , Travell, J. G. , & Simons, L. S. (1999). Myofascial Pain and Dysfunction: The Trigger Point Manual (2nd ed).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1. Spernoga, S. G. , Uhl, T. L. , Arnold, B. L. , & Gansneder, B. M. (2001). Duration of Maintained Hamstring Flexibility After a One-Time, Modified Hold-Relax Stretching Protocol.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36(1), 44-48.
    32. Wang, W. (2013). The Effects of Static Stretching Versus Dynamic Stretching on Lower Extremity Joint Range of Motion, Static Balance, and Dynamic Balance (Master's Theses, University of Wisconsin Milwaukee, USA).
    33. Winters, M. V. , Blake, C. G. , Trost, J. S. , Marcello- Brinker, T. B. , Lowe, L. , ... Wainner, R. S. (2004). Passive Versus Active Stretching of Hip Flexor Muscles in Subjects With Limited Hip Extension: A Randomized Clinical Trial. Physical Therapy, 84(9), 800-807.
    34. Young, W. B. , & Behm, D. G. (2002). Should static stretching be used during a warm-up for strength and power activities? Strength and Conditioning Journal, 24(6), 33-37.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