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5 No.2 pp.27-35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19.15.2.04

Effects of Golf Rehabilitation Exercise on Swing Power, Swing Speed, X-factor and Club Head Speed of Novice and Expert Golfer

Junggyu Yoon*
Namseoul University,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교신저자: 윤정규 (남서울대학교 물리치료학과) E-mail: velsa@hanmail.net
2019.11.30 2019.12.21 2019.12.28

Abstract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olf rehabilitation exercise on swing power, swing speed, X-factor and club head speed between novice and expert golfer.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2 novice and 12 experts. They participated in a golf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for 6 weeks. This program consisted of 5 steps and 4 items (sleeper stretch, full side plank, push-up to plank, high plank knee unders). A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zer was used to measure the X-factor (angle between shoulder and pelvis at top of backswing). Primus RS was used to measure the swing power and swing speed. The golf simulator was used to measure the clubhead speed. In the study, we compared the dependent variables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between the novice and expert.


Results:

Swing power, swing speed, X-factor, and clubhead spee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exercise in both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wing power, swing speed, and X-factor between the groups, but the clubhead speed of expert golfer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at of the novice.


Conclusion:

This study exhibits that the rehabilitation exercise for golfers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swing power, swing speed, X-factor, and club head speed for both novice and expert golfers.



골프재활운동이 초보자와 숙련된 아마추어 골퍼의 스윙파워, 스윙스피드, X-factor와 클럽헤드 스피드에 미치는 영향

윤 정규*
남서울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Ⅰ. 서 론

    골프스윙은 체중이동을 통해 몸의 근위부에서부터 원위 부로 힘을 전달하면서 클럽을 이용하여 볼을 타격하는 복 잡한 전신 움직임이다. 최근 골프의 대중화를 통해 골프인 구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Marsan et al., 2019). 초보자 에서 숙련된 골퍼에 이르기까지 모든 골퍼들은 안정성과 가동성을 최대화 시키면서 일관성 있는 골프 스윙 연습을 하고 있다. 또한 많은 골퍼들이 스윙파워, 스윙 스피드, X-factor와 클럽헤드 스피드를 증가시켜 스윙비거리를 향 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Davies & Disaia, 2010)

    골프스윙 시 비거리 향상을 위해서는 어깨뼈와 골반의 회전각도인 X-factor가 중요한 요소로 거론된다(Joyce, 2017). X-factor는 스윙스피드와 연관되어 있다. 백스윙 탑 에서 어깨와 골반의 회전은 몸통 근육의 스트레칭을 유발시 켜서 다운스윙 시 보다 빠른 스윙스피드를 발생시킬 수 있 으며 이를 통해 클럽헤드 스피드를 증가시킬 수 있다(Lamb & Pataky, 2018). 일반적으로 비거리가 많이 나가는 숙련된 골퍼들의 X-factor 각도는 초보자에 비해 큰 것으로 보고되 고 있다(Queen et al., 2013;Cole & Grimshaw, 2008; Myers et al., 2008). 스윙파워는 신체에서 발생하는 회전력 을 클럽을 통해 공에 전달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라고 할 수 있다. 비거리 향상을 위한 스윙파워의 증가는 필수적이며 스윙파워의 증가는 클럽헤드 스피드 증가와 밀접한 상관관 계를 갖고 있다(Nesbit & Serrano, 2015).

    현대 골프스윙은 골반과 어깨의 회전각을 증가시켜 최대한 의 클럽헤드 스피드로 볼을 타격하는 것이 일반화되어있다. 하지만 골반과 어깨의 회전각 증가는 많은 골퍼들에게 허리와 어깨 부위 손상을 유발시킬 수 있다(Cole & Grimshaw, 2016; Zouzias et al., 2018). 골프는 연령제한 없이 즐길 수 있는 스포츠인 반면에 과도한 스윙 연습이나 잘못된 신체역학적 스윙은 근골격계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Zouzias et al., 2018). 신체의 손상은 테이크백에서부터 피니쉬에 이르기 까지 골프스윙 전범위에서 발생할 수 있다(Robinson et al., 2109). 상지에서는 볼을 타격할 때 손, 팔꿈치, 어깨에 손상 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허리와 하지 또한 일반적으 로 발생하는 골프 손상 부위라고 할 수 있다(Davies & Disaia, 2010; Zouzias et al., 2018).

    초보자와 숙련된 골퍼 모두 골프스윙으로 인한 근골격 계의 손상 발생 가능성은 연습장이나 필드경기에 관계없 이 항상 존재한다(Davies & Disaia, 2010;Robinson et al., 2109). 골프스윙으로 인한 손상의 예방과 치료는 골프 경기를 지속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Zouzias et al., 2018). 골프에 특화된 골프재활운동은 골 프로 인한 손상의 예방 및 골프 경기력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게된다(윤정규 & 조병윤, 2019; Hegedus et al., 2016; Zouzias et al., 2018). 일반적으로 골프스윙 과 관련된 몸통과 상하지의 저항운동은 근력향상을 통해 근골격계 손상을 예방하면서 스윙파워와 스윙스피드를 증가시켜 클럽헤드 스피드를 향상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Hegedus et al., 2016;Thompson & Osness, 2004). Parker et al. (2017)은 숙련된 골퍼들의 스윙파워를 향상 시키기 위해서 등척성 운동이 필수적이라고 보고하였다. Hegedus et al. (2016)은 아마추어 여성골퍼를 대상으로 골프에 특화된 10주간의 저항운동을 통해 골프수행력을 향상시켰다고 보고하였다. Alvarez et al. (2012)은 핸디 캡 5이하의 숙련된 골퍼들을 18주간 체중이동훈련, 플라 이오메트릭 훈련, 탄력밴드 운동 등을 수행시켜 근력, 순 발력 및 골프수행력을 향상시켰다고 보고하였다.

    지금까지 골프 손상의 예방 및 경기력 향상을 위한 대 부분의 연구들은 전통적인 저항운동 위주로 진행되어왔 으며(Hegedus et al., 2016;Thompson & Osness, 2004; Parker et al., 2017), 골프스윙에서 필요한 신체의 대칭성 과 균형을 유지하면서 골프의 기능적 동작을 수행시키는 골프재활운동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Davies & Disaia (2010)는 골프 스윙단계에 따라 활성화되는 근육 기능과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적합한 기능적 저항운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골프 스윙 시 빈번 하게 사용되어 손상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허리와 어깨 부위의 근육들을 활성화시키면서 골프 수행력을 향상시 킬 수 있는 4가지 운동법을 통해 골프재활운동이 초보자 와 숙련된 아마추어 골퍼의 스윙파워, 스윙스피드, X-factor와 클럽헤드 스피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는 3개월 미만의 골프초보자 12명과 구력 11.14±3.51년, 핸디캡9.51±4.63개의 숙련된 아마추어 골 퍼 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골프초보자들은 과거에 골프수업을 들었거나 현재 골프수업을 듣고 있는 성인 남 녀로 구성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오른손이 우세수로 최 근 1년간 근골격계, 신경계에 이상 병력을 갖고 있지 자들 로 선정하였다. 정기적인 근력 운동을 하는 자들은 외생 변수 발생 가능성으로 대상자에서 배제하였다. 모든 대상 자들은 실험에 참가하기 전 연구의 목적 및 절차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듣고 실험 참여에 동의하였으며, 실험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은 체 성분분석기(Inbody720; Medicompany, Korea)를 통하여 측정되었으며 다음과 같다(Table 1).

    2. 측정도구 및 실험도구

    1) 스윙파워와 스윙스피드 측정

    골프스윙시 파워와 스피드를 측정하기 위해 등속성/등 장성 측정장비(Primus RS; BTE co., USA)를 사용하였다. 본 측정 장비는 기능성 운동 재활 및 평가 장비로써 피실 험자의 표준화된 스윙파워와 스윙속도를 측정하기 위하 여 3회 스윙 동작 시 발생하는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값의 평균을 대상자의 MVIC 값으로 설정하였다. 측정의 시작 자 세는 백스윙 탑 위치이며 케이블의 높이는 정면을 바라보고 선 자세에서 대상자의 어깨뼈 봉우리로 설정하였다. 측정 시 발생할 수 있는 피로를 통제하기 위하여 3초간의 수축마 다 1분간의 휴식을 제공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표준화된 스윙파워와 스윙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측정된 MVIC 값의 30%에 해당하는 저항을 설정하여 골프스윙을 실시하였다. 자료값은 3회 측정 시 평균값을 이용하였다. 측정장비의 구 성은 본체 1대, 내장 컴퓨터와 모니터, 평가용 의자와 현장 업무 평가를 위한 각종 부착물 및 기본 스포츠용 도구가 포 함되어 있다. 측정신뢰도는 r= .98이며 타당도는 r= .96이 다(윤정규, 2013;Törpel 등, 2017)(Figure 1).

    2) X-factor 측정

    풀 스윙 시 백스윙 탑에서 발생하는 골반과 어깨의 회 전각도인 X-Factor를 측정하기 위하여 3차원 동작분석기 (Smart-E; BTS Inc., Italy)를 사용하였다. 동작분석기는 6대의 적외선 카메라와 2대의 비디오 카메라(vixta 2 TVC; BTS Inc., Italy)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작분석을 위 한 마커는 원형 수동마커(passive marker)를 사용하였다. 촬영속도는 120Hz로 설정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mart-E 동작분석 프로그램(SMART Analyser; BTS Inc., Italy)을 이용하였다(윤정규 & 조병윤, 2019).

    3) 클럽헤드 스피드 측정

    클럽 헤드 스피드 측정은 골프존 가상골프 시뮬레이터 (Golf simulator; GOLFZON, Korea)를 사용하여 드라이 버 클럽의 헤드 스피드를 측정하였다. 가상골프 시뮬레이 터의 구성은 대형스크린, 적외선센서, 렌더링 PC와 프로 젝터로 이루어져 있다(최진영, 2016).

    3. 실험절차

    1) 사전측정

    모든 대상자는 실험전 실험참가 동의서에 서명을 하였 으며 체성분분석기를 이용하여 일반적특성을 측정하였 다. 표준화된 스윙파워와 스윙 스피드를 측정하기위해 백 스윙 탑 지점에서 다운스윙 시 Primus RS를 통해 대상자 의 MVIC를 3회 측정하고 3회 측정의 평균값을 MVIC 값 으로 설정하였다. 대상자들은 사전측정을 위하여 드라이 버 클럽을 이용하여 10회의 연습스윙을 실시하였다. 연습 스윙이 종료되면 백스윙 탑 지점에서 대상자 별 MVIC 값 의 30%로 설정된 저항을 이용하여 3회의 다운스윙을 실 시하였다. 스윙 시 발생한 파워와 스피드는 3회의 평균값 을 이용하였다. 각 스윙시마다 30초의 휴식을 제공하였다 (서동규, 2012). 어깨와 골반의 회전각인 X-factor의 측정 을 위해 피험자의 양쪽 어깨뼈 봉우리(acromion)와 목뼈7 번(C7), 양쪽 엉덩뼈 능선 중앙과 꼬리뼈 1번(S1) 총 6개의 마커를 부착하였다. 대상자는 동작분석기 중앙에 위치하 고 총 3회의 풀 스윙을 실시하였으며 백스윙 탑에서 측정 된 어깨와 골반의 회전각도인 X-factor를 3회 측정하여 평균을 측정값으로 사용하였다(윤정규 & 조병윤, 2019). 클럽헤드 스피드의 측정은 가상골프 시뮬레이터를 이용 하여 측정하였다. 대상자들은 드라이버 풀 스윙을 10회 연습한 후 스스로 설정한 티 높이에 볼을 위치시키고 3회 풀 스윙을 실시하였다. 3회 풀 스윙 시 발생한 헤드 스피 드의 평균을 측정값으로 사용하였다(최진영, 2016).

    2) 골프재활운동

    운동 방법은 Davies와 DiSaia(2010)의 ‘Golf Anatomy’에 서 어깨와 몸통근육의 근력강화 및 안정성에 도움이 될 수 4가지 운동방법을 선택하여 6주간 실시하였다. 운동방법에 대한 교육은 임상과 교육경력 25년 이상의 숙련된 물리치료 사에 의해 정해진 운동치료실에서 실시되었다. 운동을 실시 하기에 앞서 갑작스런 운동으로 인한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 운동 전 후로 5분간의 스트레칭을 실시하였다. 운동의 순서 는 슬리퍼 스트레치를 시작과 끝으로 정하고 풀 사이드 플 랭크, 푸시업 투 플랭크, 하이 플랭크 니 언더즈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지연발생근육통을 줄이기 위해 운동회기 간 휴 식 간격은 30초, 세트 간 휴식 간격은 20초로 설정하였으며 자세한 운동 방법은 다음과 같다(Table 2).

    3) 사후측정

    스윙파워, 스윙스피드, X-factor와 클럽헤드 스피드에 대한 사후측정은 사전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4. 자료분석

    자료의 통계 처리는 상용 통계 프로그램인SPSS/PC+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Personal Computer+) 21.0을 이용하였으며, 모든 자료의 정규분포 를 입증하기 위하여 KS(Kolmogorov-smirnov)검증을 실 시하였다.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이용하였다. 초보자와 숙련된 아마추어 골퍼 의 골프재활운동 전/후, 스윙 스피드, 스윙 파워, x-factor 와 클럽헤드 스피드를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 대응 표본 T 검증(paired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다. 골프재활 운동 전후 차이값에 대한 초보자와 숙련된 아마추어 골퍼 간의 스윙파워, 스윙스피드, X-factor와 클럽헤드 스피드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유 의 수준 α=.05로 설정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골프재활운동 전후 초보자의 스윙파워, 스윙스피 드, X-factor와 클럽헤드 스피드 비교

    골프재활운동 후 스윙파워, 스윙스피드, X-factor와 클럽헤드 스피드가 운동전보다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p<.05)(Table 3).

    2. 골프재활운동 전후 숙련된 아마추어 골퍼의 스윙파 워, 스윙스피드, X-factor와 클럽헤드 스피드 비교

    골프재활운동 후 스윙파워, 스윙스피드, X-factor와 클럽헤드 스피드가 운동전보다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p<.05)(Table 4).

    3. 골프재활운동 전후 차이값에 대한 초보자와 숙련 된 아마추어 골퍼 간의 스윙파워, 스윙스피드, X-factor와 클럽헤드 스피드 비교

    스윙파워, 스윙스피드, X-factor에서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p>.05), 숙련된 아마추어 골퍼 의 클럽헤드 스피드가 초보자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한 것 으로 나타났다(p<.05)(Table 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골프 스윙 시 빈번하게 사용되어 손상의 위 험에 노출될 수 있는 허리와 어깨부위의 근육들을 활성화 시키면서 골프 수행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4가지 운동법 을 통해 골프재활운동이 초보자와 숙련된 아마추어 골퍼 의 스윙파워, 스윙스피드, X-factor와 클럽헤드 스피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초보자와 숙련된 아마추어 골퍼 모두에서 골 프재활운동 후 스윙파워, 스윙스피드, X-factor와 클럽헤 드 스피드가 운동전보다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 다. 골프재활운동은 슬리퍼 스트레치를 시작과 끝으로 정 하고 풀 사이드 플랭크, 푸시업 투 플랭크, 하이 플랭크 니 언더즈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슬리퍼 스트레치는 양쪽 어깨주변 근육들을 스트레칭 시키는데 효과적인 운동방법 으로 플라이오메트릭 운동의 효과와 같이 스트레칭을 통 한 Ⅰa와 Ⅰb 감각신경의 자극을 통해 어깨 주변근육들의 수축활성화를 촉진시켰을 것이다(Zubac & Šimunič, 2017; Wells et al., 2018). 더불어 어깨 주변근육들의 활성화는 스윙파워, 스윙스피드 및 클럽헤드 스피드를 증가시켜 골 프수행력을 향상시키는 도움을 주었을 것이라 사료된다 (Davies & Disaia, 2010; Alvarez et al., 2012;Blasimann, Eberle, & Scuderi, 2018).

    풀 사이드 플랭크, 푸시업 투 플랭크, 하이 플랭크 니 언더즈는 플랭크 운동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프랭크 운 동은 몸통 및 어깨의 깊은 근육들을 등척성으로 수축시켜 몸통 및 어깨의 안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Davies & Disaia, 2010;Blasimann, Eberle, & Scuderi, 2018). 골 프 스윙 시 발생하는 대부분의 손상은 허리, 어깨, 손목, 손의 순서로 보고되고 있다(Zouzias et al., 2018). 손상 후 재활에서 초기단계의 운동 대부분은 관절가동범위를 줄이면서 수행되는 등척성운동을 통해 몸통이나 어깨의 심부근육을 활성화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Kisner & Colby, 2016). 숙련된 골퍼들의 골프 수행력 향상을 위해 서 등척성 운동을 실시한다는 것은 Parker et al. (2017)에 의해 이미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 골프재활운동 프 로그램으로 구성한 대부분의 동작들은 골프 스윙 시 부족할 수 있는 몸통의 좌우 대칭성을 향상시키면서 몸통 및 어깨 의 심부근육들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플랭크 운동으로 이 루어져 있다(Davies & Disaia, 2010). 골프 스윙의 기본은 몸통의 안정성을 기본으로 사지의 가동성이 자유로울 때 가 장 좋은 수행력을 발휘할 수 있다(Davies & Disaia, 2010).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풀 사이드 플랭크, 푸시업 투 플랭크, 하이 플랭크 니 언더즈는 골프 스윙시 부족할 수 있는 편측회전을 보상하면서 몸통과 어깨의 심부근육을 활 성화시켜서 스윙파워, 스윙스피드, X-factor와 클럽헤드 스피드를 운동전보다 증가시켰을 것으로 사료된다(Nesbit & Serrano, 2005; Hegedus et al., 2016;Thompson & Osness, 2004; Parker et al., 2017).

    연구결과, 초보자와 숙련된 골퍼와의 스윙파워, 스윙스 피드, X-factor에서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 았으나, 숙련된 아마추어 골퍼의 클럽헤드 스피드가 초보 자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서 볼을 직접 타격하는 것은 가상골프 시뮬레이터를 통한 클럽헤드 스피드 측정이었다. 숙련자의 경우 골프재활운 동을 통한 몸통과 심부근육의 활성화와 대칭적 운동 패턴 이 골프 스윙 시 몸통의 안정성을 기반으로 효율적으로 가 동성을 증가시켰기 때문에 운동전후의 변화량이 크게 나 타났을 것으로 생각된다(Davies & Disaia, 2010; Parker et al., 2017). 반면, 초보자 집단의 경우 골프경기를 한번 도 경험해보지 못한 대상들이었으며 스윙에 대한 교육만 받은 집단으로 골프재활운동을 통해 클럽헤드 스피드의 변화가 있었다 할지라도 볼을 타격하는 데 효율적으로 신 체를 움직이지 못했기 때문에 숙련자의 변화량과는 차이 가 나타났을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보자 와 숙련자 집단간의 골프수행력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아 니며 골프재활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 집단내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골프의 대중화는 골프인구의 증가를 가져왔지만 그에 따 라 골프스윙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상 또한 증가시켰다 (Marsan et al., 2019; Zouzias et al., 2018). 본 연구에서 나타난 골프에 특화된 골프재활운동의 장점은 골프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의 예방 및 골프 경기력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근거를 제시하였다고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 에서 실시된 골프재활운동은 스포츠물리치료 및 스포츠 의 학에서 골퍼들의 손상예방 및 경기력 향상을 위한 특화된 운동으로 긍정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초보자 집단은 20대 성인남녀, 숙 련자 집단은 40대와 50대 성인 남녀만으로만 구성되었기 에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남녀노소 모두에게 일반화하여 적용하는데 제한이 있을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대의 남녀노소를 대상으로 보다 심도있는 연구가 진 행될 수 있기를 제언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골프재활운동 의 효과검증을 위해 대상자들에게 개인적인 운동을 통제 하였다고는 하지만 개인의 일상생활을 추적할 수 없었기 때문에 완벽한 실험환경을 구현할 수는 없었다. 본 연구에 서는 골프재활운동이 스윙파워, 스윙스피드, X-factor와 클럽헤드 스피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알아보지 못한 골프수행력의 다양한 요소들에 대해 골프재활운동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지에 대한 보다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골프 스윙 시 빈번하게 사용되어 손상의 위 험에 노출될 수 있는 허리와 어깨부위의 근육들을 활성화 시키면서 골프 수행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4가지 운동법 을 통해 골프재활운동이 초보자와 숙련된 아마추어 골퍼 의 스윙파워, 스윙스피드, X-factor와 클럽헤드 스피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초 보자와 숙련된 아마추어 골퍼 모두에서 골프재활운동 후 스윙파워, 스윙스피드, X-factor와 클럽헤드 스피드가 운 동전보다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보자 와 숙련된 골퍼와의 스윙파워, 스윙스피드, X-factor에서 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숙련된 아 마추어 골퍼의 클럽헤드 스피드가 초보자에 비해 유의하 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골프재활운동은 초보자와 숙련된 아마추어 골퍼 모두에서 스윙파워, 스윙 스피드, X-factor와 클럽헤드 스피드를 증가시키는데 효 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9년도 남서울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해 연구되었음.

    Figure

    AOSPT-15-2-27_F1.gif

    Primus RS

    Tabl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24)

    Rehabilitation exercise protocol for golfers

    Comparison of swing power, swing speed, X-factor and club head speed before and after golf rehabilitation exercise for novice (N=12)

    Comparison of swing power, swing speed, X-factor and club head speed before and after golf rehabilitation exercise for expert (N=12)

    Comparison of variable differences between expert and novice group before and after golf rehabilitation exercise

    Reference

    1. 서동규 (2012). 등속성 몸통 근력과 골프 스윙 파워와의 상관관계 연구(삭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2. 윤정규 (2013). 근피로 유발 시 개인 성향과 음악형식에 따른 무릎 폄근의 최대수의적수축력, 일률 간 상관분 석. 대한물리의학회지, 8(4), 593-600.
    3. 윤정규, & 조병윤 (2019). Effect of rehabilitation exercise for golfers on the X-factor and ground reaction force according to phase of the golf swing. 국제물리 치료연구학회지. 10(1), 1706-1710.
    4. 최진영 (2016). 엉치엉덩관절에 대한 칼텐본 정형도수물리 치료가 골프플레이어의 헤드스피드에 미치는 영향(삭 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5. Alvarez, M. , Sedano, S. , Cuadrado, G. , & Redondo, J. C. (2012). Effects of an 18-week strength training program on low-handicap golfers' performance.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6(4), 1110-1121.
    6. Blasimann, A. , Eberle, S. , & Scuderi, M. M. (2018). Effect of core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including plank and side plank) on injury rate in male adult soccer players: a systematic review. Sportverletzung Sportschaden, 32, 35-46.
    7. Cole, M. H. , & Grimshaw, P. N. (2008). Electromyography of the trunk and abdominal muscles in golfers with and without low back pain. Journal of Science and Medicine in Sport, 11, 174-181.
    8. Cole, M. H. , & Grimshaw, P. N. (2016). The Biomechanics of the modern golf swing: implications for lower back injuries. Sports Medicine, 46(3), 339-351.
    9. Davies, C. , & Disaia, V. (2010). Golf anatomy. Human Kinetics, 1-168.
    10. Hegedus, E. J. , Hardesty, K. W. , Sunderland, K. L. , Hegedus, R. J. , & Smoliga, J. M. (2016). A randomized trial of traditional and golf-specific resistance training in amateur female golfers: Benefits beyond golf performance. Physical Therapy in Sport, 22, 41-53.
    11. Joyce, C. (2017). An examination of the correlation amongst trunk flexibility, x-factor and clubhead speed in skilled golfers. Journal of Sports Sciences, 35, 2035-2041.
    12. Kisner, C. , & Colby, L. A. (2016).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6th edition). F.A. Davis. 373-390.
    13. Lamb, P. F. , & Pataky, T. C. (2018). The role of pelvis-thorax coupling in controlling within-golf club swing speed. Journal of Sports Sciences, 36, 2164-2171.
    14. Marsan, T. , Thoreux, P. , Bourgain, M. , Rouillon, O. , Rouch, P. , & Sauret, C. (2019). Biomechanical analysis of the golf swing: methodological effect of angular velocity component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kinematic sequence. Acta of Bioengineering and Biomechanics, 21(2), 115-120.
    15. Myers, J. , Lephart, S. , Tsai, Y. S. , Sell, T. , Smoliga, J. , & Jolly, J. (2008). The role of upper torso and pelvis rotation in driving performance during the golf swing. Journal of Sports Sciences, 26(2), 181-188.
    16. Nesbit, S. M. , & Serrano, M. (2015). Work and power analysis of the golf swing. Journal of Sports Science & Medicine, 4(4), 520-533.
    17. Parker, J. , Lagerhem, C. , Hellström, J. , & Olsson, M. C. (2017). Effects of nine weeks isokinetic training on power, golf kinematics, and driver performance in pre-elite golfers. BMC Sports Science, Medicine & Rehabilitation, 11, 9-21.
    18. Queen, R. M. , Butler, R. J. , Dai, B. , & Barnes, C. L. (2013). Difference in peak weight transfer and timing based on golf handicap.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7(9), 2481-2486.
    19. Robinson, P. G. , Murray, I. R. , Duckworth, A. D. , Hawkes, R. , Glover, D. , Tilley, N. R. , Hillman, R. , Oliver, C. W. , & Murray, A. D. (2019). Systematic review of musculoskeletal injuries in professional golfers.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53(1), 13-18.
    20. Thompson, C. J. , & Osness, W. H. (2004). Effects of an 8-week multimodal exercise program on strength, flexibility, and golf performance in 55- to 79- year-old men.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12, 144-156.
    21. Törpel, A. , Becker, T. , Thiers, A , Hamacher, D. , & Schega, L. (2017). Inter-session reliability of isokinetic strength testing in knee and elbow extension and flexion using the BTE Primus RS. Journal of Sport Rehabilitation, 24, 1-14.
    22. Wells, J. E. T. , Mitchell, A. C. S. , Charalambous, L. H. , & Fletcher, I. M. (2018). Relationships between highly skilled golfers' clubhead velocity and force producing capabilities during vertical jumps and an isometric mid-thigh pull. Journal of Sports Sciences, 36(16), 1847-1851.
    23. Zouzias, I. C. , Hendra, J. , Stodelle, J. , & Limpisvasti, O. (2018). Golf injuries: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Th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26(4), 116-123.
    24. Zubac, D. , & Šimunič, B. (2017). Skeletal muscle contraction time and tone decrease after 8 weeks of plyometric training.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31(6), 1610-1619.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