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_cover_img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pISSN : 2508-8262 | eISSN : 2508-8998

Journal Abbreviation : Korean Soc. Sport Phys. Ther.
Frequency : semiannual
Doi Prefix : 10.24332/aospt
Year of Launching : 2005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Physical Therapy

Aims & scope more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Physical Therapy (KSSPT) has consistently been leading trends in the field of sports physical therapy by conducting educational programs for academia within and outside Korea with the aim of ensuring academic journals are of high quality. The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AOSPT) is a journal released by the KSSPT and its main goal is to publish studies related to sports physical therapy and sports science that are based on recent scientific evidence. Studies published in the AOSPT must engage with creative topics to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and physical therapy. The AOSPT focuses on fields related to sports physical therapy, medicine, and rehabilitation. The chief editor designates an editor to each research field corresponding to their areas of specialization which are as follows:

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5 No.2 pp.11-18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19.15.2.02

Feasibility of High-frequency Stimulation on Knee Pain : Based on investigati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User Needs and Usage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Groups

Jaehyuk Lee1, JongMin Lim2, JungJin Kim2*
1Department of Rehabilitation Science, Korea University
2Department of Health Rehabilitation, Yeoju Institute of Technology
교신저자: 김정진 (여주대학교 건강재활과) E-mail: jgroom@naver.com
2019.10.22 2019.11.13 2019.12.20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the newly-developed high-frequency stimulation based on investigati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user needs and usage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groups.


Methods:

Thirty participants with knee pain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participant received the high-frequency stimulation over both knees over three times a week during a total of two weeks. We investigated each participants’ clinical characteristics, user needs and post-intervention usage satisfaction by newly modified questionnaires.


Results:

As a result, 93.3% of participants wanted to receive the home-based management using the highfrequency stimulation and more than 60% of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pain relief after 2-week intervention period. The twenties and thirties reported the largest satisfaction scores (3.722±0.575) after the intervention than other age groups.


Conclusion:

We conclude that the high-frequency stimulation over both knee is feasible to reduce the knee pain as a home-based pain management tool, especially for the younger.



무릎 통증을 위한 신개념 고주파 치료기의 이용 가능성 고찰 : 연령대별 임상학적 특징 및 수요도와 사용 만족도 조사를 중심으로

이 재혁1, 임 종민2, 김 정진2*
1고려대학교 재활과학과
2여주대학교 건강재활과

초록


    Ⅰ. 서 론

    류마티스 또는 퇴행성 골관절염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 이나 반월판 손상 또는 스포츠 부상 등 외상에 의한 무릎 통증은 임상 현장에서 연령대 구별 없이 많은 환자들이 호소하는 증상 중 하나이다(Son & Park, 2006;Kim et al., 2010;왕중산 등 2016). 이 때문에 무릎 통증에 대한 비용효과 면에서 우수한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의료 서비스를 환자에게 제공하는 의료기관의 측면에서 통증 의 양상을 세심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나아가 의료기 기를 의료기관에 납품하는 기업의 측면에서 사용자의 환 경적 조건과 수요를 사전에 파악하고 이에 맞는 의료기기 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Hurley et al., 2016).

    현재까지 재활연구 분야에서는 주로 의료기관의 측면에 서 정확한 통증 양상 파악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평가도 구를 개발해왔다. 사용자들이 평가 문항에 쉽게 답할 수 있도록 대다수 통증 관련 평가도구의 문항은 리커트 척도 나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가도구를 통해 통증 크기를 파악하거나 특정 활동 시 통증 또는 주/ 야간 시 통증 등 통증 시점을 의료기관에서 사전 파악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그리고 평가결과를 통해 무릎 통증 치료를 위한 최적의 임상적 의사결정 과정이 이루어지고 치료 전후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지금까지 평가도구로서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되어 임 상 현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무릎 통증 관련 척도는 대표적으 로 1) The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subjective knee score, 2) the WOMAC osteoarthritis index 과 3) Knee Injury and Osteoarthritis Outcome Score (KOOS) 등이 있으며 이 척도들은 정신물리학 분야 에서 유래된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개발되어 현재 전 세계적으로 임상 현장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Roos et al., 1998;Bellamy, 2005;Ebrahimzadeh et al., 2015).

    그러나 몇몇 연구와 임상 사례를 통해 상기 척도들이 서구 문화를 중심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좌식 생활에 익 숙한 아시아인들과 비도시 지역주민에게는 평가지의 내용 면에서 적절하지 않은 제한점들이 발견되었다(Kim et al., 2013). 또한 통증은 단순히 특정 신체활동 시 느껴지는 감 각차원의 문제가 아닌 일상에서 느껴지는 불편감과 우울 감 등 정신적 고통까지 포괄하는 복합적인 개념으로서 특 정 치료 이후 효과를 검증하는 면에서도 현재 임상에서 사 용되는 상기의 척도들은 무릎통증 환자의 세심한 상태를 세심히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Sullivan et al., 2001).

    통증으로 인한 신체활동의 제약이 정신적으로 사소한 불편감에서 시작하지만 궁극적으로 단/장기적인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추는 통증과 삶의 질 간의 반비례적 상관성은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해 밝혀져 왔다(Creamer et al., 1999). 따라서 환자의 통증 양상을 파악할 때 대상자 가 느끼는 삶의 질 측면에서의 정신적 고통과 감정적 문제 에 대한 질문이 추가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환자의 통증 양상에 대해 보다 세심히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재활치료 전후의 효과를 보다 면밀히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Imamura et al., 2008).

    또한, 상대적으로 재활연구 분야는 의료기기를 개발하여 의료기관에 납품하는 기업 측면에서 사용될 환자의 제품 수 요도 파악을 위한 평가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통증을 지닌 환자의 환경적인 면과 통증으로 인한 특수한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의료기기 개발 이후 궁극적으로 의료 기기를 사용하게 되는 환자의 수요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 무릎 통증의 양상을 파악 하는 것부터 의료기기 수요에 대한 평가까지 상기의 제안 을 반영하여 설문지를 제작하고 신개념 고주파 치료기를 개발 후 전 연령층에게 적용시켜봄으로써 치료기의 만족 도와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조사 대상

    본 연구는 만성 무릎 통증을 지닌 성인 30명을 대상으 로 진행하였으며 1) 평소 무릎 및 오금부위 통증, 불편감 등으로 건강이 좋지 않아 만성 피로를 호소하는 자, 2) 무 릎 및 오금부위 만성 통증을 가지고 있는 자, 3) 평소 운동 중재에 관심이 있는 자를 연구자 선정기준으로 설정했다. 단, 1) 최근 내・외과적 수술을 받아 피부 또는 근육에 개방 성 상처 또는 염증으로 인해 전류투과가 어려운 자, 2) 근 육의 압통 또는 경련 증상이 잦은 자, 3) 고주파의 심부조 직 열감에 감각적으로 민감한 자는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2. 고주파 중재

    새롭게 개발된 고주파자극치료기(Rfine, Human-dream, Korea)를 이용하여 모집된 30명의 양쪽 무릎에 고주파 자 극을 2주동안 주 3회 시행하였으며 고주파 자극을 받는 동안 대상자는 편안히 앉은 자세에서 고주파 패드에 양쪽 무릎을 접촉시키고 패드가 흔들리지 않도록 무릎을 고정 시켰다. 고주파 전류는 초기 5분간 290W로 적용하고 나 머지 15분간 220W로 유지하였다.

    3. 설문지 제작 및 연구 흐름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들의 1)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기 위한 평가 설문지(Table 1, 2) 무릎 통증 양상을 파악하기 위한 평가 설문지(Table 2, 3) 중재 후 치료기에 대한 통증 완화 효과(Table 34) 제품 만족도(Table 4) 를 평가하는 설문지 네 가지를 제작하여 Figure 1의 연구 흐름에 따라 각 필요한 시점마다 제작된 설문지로 평가를 진행하였다.

    4. 통계 처리

    통계처리는 Windows용 SPSS 21.0을 이용하였으며 평 가지 문항별로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빈도분석은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반올림하여 백분율로 기술하였다.

    Ⅲ. 연구 결과

    조사응답자 30명 중 연령대별 응답분포는 20-30대 54.5%, 40-50대 21.2%, 60-70대 3%, 70대 이상 12.1%를 각각 차지하였고 여성은 51.5%를 차지하였다. 또한, 무릎 통증으로 인한 진료경험 유무에 있어 1-3회는 36.4%, 4-6회는 12.1%, 7회 이상은 15.2%를 각각 차지하였으며 진료경험이 없는 자는 27.3% 였다. 특히, 무릎통증 진료 에 대해 Figure 2의 이유로 회피 경험이 있었던 자는 69.7%를 차지하였다. 고주파 통증치료에 대해 사전에 들 어본 적이 있는 자는 40%였으며, 병원방문 없이 통증 자 가 중재에 대해 들어본 자는 13.3%였다. 그 외, 대상자의 1) 제품 수요도, 2) 무릎통증의 임상학적 양상 및 심리적 특성과 3) 2주간의 주 3회 고주파 20분 중재 후 통증 변화 및 만족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고주파 치료기에 대한 제품 수요도

    병원 방문없이 무릎 및 관절 질환 완화와 건강증진을 위한 중재 방법이 있다면 시도해 볼 의향이 있는 자는 93.3%였으며, 희망하는 중재 기간은 1주미만 3.3%, 1주 이상~2주 미만 6.7%, 2주 이상~1개월 미만 40%, 1개월 이상~2개월 미만 40% 이었으며 3개월 이상은 10%였다. 병원 방문없이 자가 중재를 할 수 있는 치료기에 대한 구 매 시 희망 가격에 대해서는 10-50만원 사이(70%)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Figure 3).

    2. 연령대별 무릎통증 임상학적 양상 및 심리적 특성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를 사용하여 현재 지닌 무릎통증 정도를 확인한 결과, 20대-30대는 2.375 (1.668), 40-50 대는 4.166 (1.834), 60대 이상은 4.8 (1.924)였다. 그 외 통증에 대한 심리적 상태는 Table 5와 같다.

    3. 고주파 치료 중재 후 제품 만족도 및 통증 완화정도

    2주간의 중재 후 제품 만족도 조사(Table 4) 에서는 각 항목별로 1번 항목 ‘고주파 전극 기반의 무릎 및 관절 질환 완화 시스템 사용으로 허리 및 요추부 증상이 완화되었습 니까?’에 대해 매우 만족 10%, 만족 50%, 보통 36.7%, 미 흡 3.3%로 나왔으며, 2번 항목 ‘본 제품의 사용으로 기존 에 느끼던 불편사항(통증) 개선에 대한 만족하십니까?’에 대해 매우 만족 3.3%, 만족 50%,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무릎 통증의 양 상 및 자가 치료기의 수요도를 조사하고 새롭게 개발한 고주파 치료기를 이용하여 20분간의 고주파를 주 3회 2주 간 적용 시 제품에 대한 만족도 및 통증 완화 정도를 빈도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고주파 치료는 심부조직의 열을 촉진시켜 혈액순환을 개선시키는 등 의료적 효과가 과거로부터 검증되었으나 상대적으로 비만이나 피부관리 등 미용을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다시 가정용 의료기기 형태로 사용 범위를 넓혀오고 있다(Takahashi, 1999;강신옥 & 원윤 경, 2005; 김호용 & 배현숙, 2011, 김정진 등 2019). 본 연구는 이러한 추세 속에 고주파 치료기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가정에서 무릎통증 조절을 위해 사용되기 적합 한지 이용 가능성을 보고자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통증 유형 및 수요도 조사와 함께 실제 치료 효과 및 제품 만족 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고주파 치료기의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고 만족도 역시 가장 컸던 연령층은 20대와 30대였다. 이는 20대와 30대 연령층의 무릎 통증 유형이 고령자와 달리 퇴 행성으로 인한 구조적 문제보다 근육 또는 연부조직의 문 제이며 심부 열로 인해 혈류가 개선되고 조직이 이완됨으 로써 통증 완화를 가장 크게 유도했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이는 최근 이덕재 등(2016)에서 십자인대 재건술 이후 주 파수가 높은 러시안 전류 적용 후 통증 완화효과를 보고한 바와 같이 심부 열이 조직의 직접적인 생리학적 변화에 미 치는 효과를 방증한다. 또한 최근 고주파 치료의 효과에 대 해 연구한 임종민 등 (2019)에서 보고한 바와 같이 고주파 치료는 심부 열 촉진으로 인해 근탄성도(D)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고 통증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지지한다.

    또한, 6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이 역시 관절의 구조적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만성 무릎 통증의 경우 단기간의 고주파 적용은 효과 크기 면에서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 었다. 특히 여성의 경우 60대 이후 폐경기를 겪으면서 호 르몬 수치 저하로 인한 골다공증과 같은 뼈 골격 약화도 심부 열 자극효과를 반감시켰을 것으로 사료된다 (Nevitt et al., 2001;Nguyen et al, 2011). 그러나, 제품 수요도 조사에서 90% 이상의 응답자가 무릎 통증에 대한 자가 중재를 선호하였으며 이는 무릎 통증이 사람의 보행에 직 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의료기관 방문에 대해 오히려 거 부하게 되는 회피 현상 때문이라는 것을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해석할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연령층 별로 통증에 대한 효과 크기는 각 기 달랐으나 제품의 만족도 측면에서는 50% 이상이 만족 하다는 결과를 미루어볼 때 고주파 치료기가 무릎 통증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자가중재 치료기로서 적합하다는 사 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금까지의 대다수 선행 연구는 치료기기의 효과를 정량적 평가만을 통해 검증하려 했다 면 본 연구에서는 통증으로 인해 느끼는 감정적, 정신적 문제에 대한 정성적 측면에서 접근하였으며 무릎 통증 환 자의 수요를 보다 세심히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자료를 향후 무릎 통증 환자를 위한 다양한 치 료기법 개발 시 정성적 측면에서 근거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조사했 으나 대상자 수가 많지 않았으며 고령층의 경우 짧은 중재 기간으로 인해 효과가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에 서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 제약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연구에서 특정 치료에 대한 효과를 검증할 시 무릎 통증 환자의 정신적, 감정적 측면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치료 방향 설정에서 있어 새로운 지표를 제안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치 료기기 개발 시 전 연령층에서 다양한 기전으로 나타나는 무릎 통증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고주파 개발에 앞서 필요한 수요 조사와 개발 후 고주파 치료를 전 연령층에 직접 적용하고 만족도 및 효과 여부를 조사하였다. 향후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무릎 통증 완화를 위한 의료기기 개발 시 연령별 통증 양 상을 고려해야 하며 임상적 효과 검증 시 통증에 대한 정 성적 측면까지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감사의 글

    본 논문은 2017-19년도 중소벤처기업부의 기술개발사 업 지원에 의한 연구임 [S2463310]

    Figure

    AOSPT-15-2-11_F1.gif

    연구 절차 및 설문지 평가 시점

    AOSPT-15-2-11_F2.gif

    병원진료 회피이유

    AOSPT-15-2-11_F3.gif

    자가통증치료기 희망가격

    Table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기 위한 평가 설문지

    무릎통증 양상을 파악하기 위한 평가 설문지

    중재 후 통증완화 정도를 평가하는 설문지

    신개념 고주파 치료기 만족도를 평가하는 설문지

    무릎 통증으로 인한 현재의 심리적 상태

    Reference

    1. 강신옥, & 원윤경. (2005). 고주파관리가 여성 비만에 미치 는 영향. 대한피부미용학회지, 3(2), 121-131.
    2. 왕중산, 안호정, & 김용연. (2016). 무릎손상 엘리트 배구선 수에 관절가동운동이 무릎통증, 등속성 근력, 근긴장 도, 근경직 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 문지, 17(7), 326-333.
    3. 이덕재, 심재훈, 윤성익, & 박신준. (2017). 융복합기반 러 시안전류와 경피신경전기자극이 앞십자인대재건술 환자의 넙다리네갈래근의 통증, 근력, 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1), 77-87.
    4. 임종민, 엄기매, & 김정진 (2019). 무릎 고주파 자극에 따른 넙다리네갈래근 및 뒤넙다리근의 생리학적 변화: 연송 증례연구. 정형스포츠물리치료학회지, 15(1), 65-70.
    5. Bellamy, N. (2005). The WOMAC knee and hip osteoarthritis indices: Development, validation, globalization and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AUSCAN hand OA indices. Clinical and Experimental Rheumatology, 23(5), S148.
    6. Creamer, P. , Lethbridge-Cejku, M. , & Hochberg, M. C. (1999). Determinants of pain severity in knee osteoarthritis: effect of demographic and psychosocial variables using 3 pain measures. The Journal of Rheumatology, 26(8), 1785-1792.
    7. Ebrahimzadeh, M. H. , Makhmalbaf, H. , Golhasani Keshtan, F. , Rabani, S. , & Birjandinejad, A. (2015). The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subjective short form: a validity and reliability study. Knee Surgery, Sports Traumatology, Arthroscopy, 23(11), 3163-3167.
    8. Hurley, M. V. , Walsh, N. E. , Mitchell, H. L. , Pimm, T. J. , Williamson, E. , Jones, R. H. , ... & Patel, A. (2007). Economic evaluation of a rehabilitation program integrating exercise, self‐management, and active coping strategies for chronic knee pain. Arthritis Care & Research, 57(7), 1220-1229.
    9. Imamura, M. , Imamura, S. T. , Kaziyama, H. H. , Targino, R. A. , Hsing, W. T. , De Souza, L. P. M. , ... & Camanho, G. L. (2008). Impact of nervous system hyperalgesia on pain,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a controlled analysis. Arthritis Care & Research: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59(10), 1424-1431.
    10. Kim, J. G. , Ha, J. K. , Han, S. B. , Kim, T. K. , & Lee, M. C. (20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evaluation system for patients with a floor-based lifestyle: The Korean knee score.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471(5), 1539-1547.
    11. Kim, K. S. , Park, J. K. , & Kim, D. S. (2010).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occurrence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9(4), 405-422.
    12. Nevitt, M. C., Felson, D. T., Williams, E. N., Grady, D., & Heart and Estrogen/Progestin Replacement Study Research Group. (2001). The effect of estrogen plus progestin on knee symptoms and related disability in postmenopausal women: the Heart and Estrogen/Progestin Replacement Study,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Arthritis & Rheumatism, 44(4), 811-818.
    13. Nguyen, U. S. D. , Zhang, Y. , Zhu, Y. , Niu, J. , Zhang, B. , & Felson, D. T. (2011). Increasing prevalence of knee pain and symptomatic knee osteoarthritis: survey and cohort data.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5(11), 725-732.
    14. Roos, E. M., Roos, H. P., Lohmander, L. S., Ekdahl, C., & Beynnon, B. D. (1998). Knee Injury and Osteoarthritis Outcome Score (KOOS)—development of a self-administered outcome measure.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28(2), 88-96.
    15. Son, J. T. , & Park, S. Y. (2006). A survey on experience and illness management of rural women with osteo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3), 419-427.
    16. Sullivan, M. J. , Thorn, B. , Haythornthwaite, J. A. , Keefe, F. , Martin, M. , Bradley, L. A. , & Lefebvre, J. C. (2001). Theoretical perspectives on the relation between catastrophizing and pain. The Clinical Journal of Pain, 17(1), 52-64.
    17. Takahashi, K. , Suyama, T. , Onodera, M. , Hirabayashi, S. , Tsuzuki, N. , & Zhong-Shi, L. (1999). Clinical effects of capacitive electric transfer hyperthermia therapy for lumbago.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11(1), 4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