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5 No.2 pp.117-126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19.15.2.15

The Effect That the Application of Myofascial Release Has on Neck Pain of Adults and Joint Range of Motion

Hyung chun Nam, Jae yong Choi, Nam jeong Cho*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Kyungbuk College
교신저자: 조남정 (경북전문대학교 물리치료과) E-mail: mjnj12@hanmail.net
2019.12.10 2019.12.22 2019.12.22

Abstract

Purpose:

This study compared myofascial release and therapeutic massage to determine which approach is more effective in treating neck pain and limited joint range of motion.


Methods:

10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The treatments were conducted for 4 weeks, 3 times a week. Measured variables, neck pain and joint range of motion,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tervention.


Result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neck pain and joint range of motion after interventions. Based on the results,


Conclusion:

we conclude that both myofascial release and therapeutic massage techniques decrease neck pain and increase joint range of motion.



근막이완술의 적용이 성인의 목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남 현천, 최 재용, 조 남정*
경북전문대학교, 물리치료과

초록


    Ⅰ. 서 론

    현재 사회에서는 컴퓨터와 휴대폰 사용 시간은 급격하 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일상생활에서 의 신체활동 감소, 부적절한 자세 습관 등으로 인해 바르 지 못한 형태로 근육 및 골격 구조가 변하게 된다(이충열, 2004). 특히 장시간의 스마트폰 사용, 책상이나 컴퓨터 앞 에 오래 앉아 있는 것 혹은 체형에 맞지 않는 책걸상과 부적절한 침구를 사용하는 것과 운동부족은 목과 어깨 그 리고 등 근육의 경직을 일으키며, 효과적인 생체 역학적 기능을 감소시켜 연부조직의 약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하 였다(박순애 등, 2008).

    이에 따른 자세 불량으로는 앞쪽 머리 자세와 둥근 어깨 자세가 있는데 이는 증가된 목뼈 내밈과 상부 등의 부분에 대해 어깨뼈 내밈, 아래쪽돌림, 앞쪽으로 기울어진 것이 특징이며, 목 및 등과 어깨의 통증을 유발하는 선행요인이 며 이러한 자세가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될 경우 상부 교차 증후군을 유발하여 마름근, 앞톱니근, 아래등세모근 등의 약화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큰가슴근, 작은가슴근, 어깨 올림근 그리고 위등세모근이 단축되어 머리, 턱관절, 목, 등, 어깨, 팔 등에 통증을 발생시켜 불안정한 자세가 된다 (정연우 등, 2007; Sahrmann, 2002; Janda, 1994). 그래 서 목과 어깨의 통증은 일반인들이 병원을 찾는 가장 흔한 질환이며, 사회적으로 가장 대두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Aggarwal, 2010; Bong-stein 2004). 대부분의 사람들이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호소하지만 허리통증 과 달리 적극적으로 치료하려는 경우가 드물며 이로 인해 매년 막대한 경제적 비용 손실이 생긴다(정지연 등, 2007).

    전통적으로 목통증과 자세 불량의 치료를 위해 열 치료, 견 인치료, 도수치료, 운동치료법들이 시행되어 왔으며(Posner 와 Glew, 2002), 운동치료법으로는 환자 스스로 참여할 수 있는 능동 운동 뿐 아니라, 관절 가동술, 신장, 등척성 근력 강화운동, 스트레칭, 지구력 및 고유수용성 운동, 안정화 운동 등 환자의 상태나 치료사가 선호하는 방법과 이론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Sarig-Bahat, 2003).

    도수치료 접근법 중 근막이완기법은 인체의 불균형을 균형적인 상태로 유도하여 가장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를 만드는 기법이며 환자의 요구도와 치료사의 숙련된 경험 에 의한 고도의 개별화된 정형물리치료기법 중 하나이며 인체에서 동통을 유발시키는 긴장된 조직을 이완 해주기 위해 환자의 자세와 힘의 방향을 설정시키는 이완기법으 로서(Barnes, 1987) 주로 양손의 대칭적 위치로부터 시작 하여 조직고유의 돌아가는 힘을 유도한 후 단축과 이완이 감지되는 부위에서 근막의 면을 따라 직접 혹은 간접적인 힘을 적용한다(서현규, 2008).

    Castro-Sanchez 등 (2011)의 연구에서 86명의 섬유근 육통 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20주 동안 근막이완기법을 적용한 집단과 허위 단파, 초음파 치료를 적용한 집단의 통증과 기능, 자세 안정성을 비교 한 결과 근막이완술을 적용한 집단에서 통증감소와 기능향상에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치료적 마사지는 신체의 통증 경감과 함께 신경계와 근육계, 순환계, 골격계, 혈관계 등의 치료 의 효과를 목적으로 실시되며(임정일 등, 2004), 조직의 유착감소와 이완을 증진시키고, 관절가동범위의 증가 및 국소적인 혈액순환을 증가시키며, 부교감 신경계의 자극 과 근육 내 온도 상승 그리고 신경과 근육계의 흥분을 줄 이는 도수치료 접근법 중 하나이다(권형수 등, 2002). 장 진혁(2017)의 연구에 의하면 급성기 어깨통증 환자에게 치료적 마사지를 6주 간 주 3회 적용한 결과 마사지 적용 후 통증감소 및 환측 파악력의 증가를 보였다.

    목 통증의 치료의 대한 도수치료 접근법 중 근막이완술 과 치료적 마사지는 효과적이었다는 연구는 많이 있다. 그러나 근막이완술과 치료적 마사지 간의 치료효과의 차 이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근막이완술의 적용이 목의 통증 및 관절가동범위에 변화가 줄 것이다. 둘째, 치 료적 마사지의 적용이 목의 통증 및 관절가동범위에 변화 를 줄 것이다. 셋째, 근막이완술과 치료적 마사지의 적용 그룹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는 가설에 따라 근막이완 술과 치료적 마사지를 비교하여 어떤 접근법이 목 통증과 제한된 관절가동범위에 좀 더 효과적인지에 대하여 연구 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는 20~30대 성인 남, 여중 전체적인 연구 목적 과 내용을 이해하고 안정성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듣고 실험에 동의한 총 10명이 참여하였으며, 각 군마다 5명으 로 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다 음 <Table 1>과 같다. 연구 기간은 2019년 9월 2일 ~ 10월 2일 까지 4주간 주 3회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 (1) 최근 6개월 이내 목 통증을 호소하는 20~30대 남녀

    • (2) 실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목 이외의 통증이 없는 자

    • (3) 목 통증 및 관절가동범위에 영향을 미치는 정형외과적 문제가 없는 자

    2. 실험절차

    본 연구의 전체적인 연구 절차는 <Figure 1>과 같다.

    3. 실험방법 및 측정도구

    1) 측정도구 및 방법

    (1) 측정도구

    가. Goniometer

    Goniometer(㈜ZHOU, 대한민국)는 그리스계에서 각도 측정도구를 뜻하는 말이며, 입체에서의 전기 위상 위치뿐 만 아니라 각도를 결정하는 측정 도구이다(Figure 2)

    나. Visual Analog Scale

    Visual Analog Scale(VAS)은 10cm길이의 선으로 한쪽 끝에는 통증이 없음을 기록하고 다른 편의 끝에는 상상 가 능한 가장 심한 고통을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환자의 통 증 정도를 파악하는 방법의 하나이며, 통증이 어떻게 변동 하고 있는지를 상당히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Figure 3).

    (2) 측정방법

    가. VAS 측정방법

    1cm 간격으로 나누어진 총 10cm 길이의 수평선상에 대 상자가 직접 느끼는 통증정도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통증 이 없는 ‘0’점부터 참을 수 없는 심한 통증 ‘10’점까지로 구성하였고, 대상자가 표시한 부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 여 점수화하였다.

    나. Range of motion(ROM) 측정방법

    목의 가동범위는 굽힘, 폄, 회전 및 가쪽 굽힘을 측정하 였다. 검사방법은 피험자가 앉은 자세에서 목과 허리를 고정시킨 후 Goni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목의 가동범위로는 굽힘, 폄, 왼쪽회전, 오른쪽회전, 왼쪽 가쪽 굽힘과 오른쪽 가쪽 굽힘을 측정하였다.

    2) 실험방법

    (1) 근막이완술

    대상자의 목빗근의 긴장을 최소화하기 위해 바로 누운 자세를 취하게 하고 시행자는 손에 힘을 빼고 손을 교차하 는 기법을 사용하여 목빗근의 근막이 자극되도록 한손은 이는곳인 빗장뼈 1/3지점에 약간의 힘을 가하고 다른 한손 은 닿는곳인 꼭지돌기에 약간의 힘을 가한다음 근막이 이 완 될 수 있도록 부드럽게 60초∼90초정도 압력을 유지하 며 기다린 다음 서서히 손에 힘을 뺀다. 휴식시간은 30초 로 하였고 위등세모근의 긴장을 최소화하기 위해 바로누 운 자세를 취하게 하고 시행자는 손에 힘을 빼고 손을 교차 하는 기법을 사용하여 위등세모근의 근막이 자극되도록 한손은 이는곳인 목덜미인대에 약간의 힘을 가하고 다른 한손은 닿는곳인 어깨뼈 봉우리에 약간의 힘을 가한 다음 근막이 이완될 수 있도록 부드럽게 60초∼90초정도 압력 을 유지하며 기다린 다음 서서히 손에 힘을 뺀다. 휴식시 간은 30초로 하였다(Barnes, 1987)(Figure 4).

    (2) 치료적 마사지

    근육의 이완을 위해 목의 목빗근과 등세모근의 윗섬유는 집기촉진과 압박법을, 목갈비근 및 뒤쪽 목 근육들은 스 트라이핑 방법을 사용하였다. 집기 촉진과 압박은 엄지와 시지, 중지 또는 첫 3개 의 손가락(집게, 가운데, 반지) 끝부분 또는 굽혀진 집게손가락의 바깥쪽 면을 이용하여 조직을 잡아 통증 유발점 또는 다른 민감한 부위를 주의 깊게 찾아 이완 될 때까지 유지하는 방법이다. 스트라이 핑 방법은 근육을 따라 이동하면서 압을 가하는 것으로 보통 근육 섬유의 방향에 따라 한 부착점 에서 다른 부착 점까지 미끄러지게 하는 방법이다(성기석 등, 2011; 이성 진, 2017)(Figure 5).

    4. 자료분석

    자료 분석은 SPSS ver 19.0 for Window를 사용하여 각 그룹의 실험 전, 후의 차이를 구하기 위해 대응표본-T검정 과 두 그룹의 차이를 구하기 위해 독립표본-T검정으로 통계 처리 하였다.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한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Ⅲ. 연구 결과

    실험의 참가한 대상자는 총 10명으로 연구대상자의 특 성은 다음과 같다.

    1. 그룹별 동질성 검정(표)

    연구에 대한 동질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동일한 집단인 것으로 확인 되었다(p>0.05)(Table 2).

    2. Visual Analog Scale 변화

    치료를 통한 통증강도의 전·후 변화를 측정한 결과 (Table 3, Figure 6) 그룹 내 치료적 마사지 그룹의 실험 전 통증수치는 6.00±1.00 실험 후 통증수치는 3.60± 1.34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그룹 내 근막이완술 그룹의 실험 전 통증수치는 7.20± 0.83 실험 후 통증수치는 4.00±1.22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3. Range of Motion 변화

    두 가지 방법의 치료를 통한 목의 관절가동범위 전·후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굽힘 각도

    그룹 내 치료적 마사지 그룹의 실험 전 굽힘 각도는 76.40±8.29 실험 후 굽힘 각도는 82.00±4.69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그룹 내 근막이완술 그룹의 실험 전 굽힘 각도는 68.00± 11.51 실험 후 굽힘 각도는 77.80±10.20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Table 4, Figure 7).

    (2) 폄 각도

    그룹 내 치료적 마사지 그룹의 실험 전 폄 각도는 60.00 ±8.39 실험 후 폄 각도는 66.80±5.45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그룹 내 근막이완술 그룹의 실험 전 폄 각도는 54.00± 9.61 실험 후 폄 각도는 64.00±8.94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Table 5, Figure 8).

    (3) 오른쪽 가쪽 굽힘 각도

    그룹 내 치료적 마사지 그룹의 실험 전 오른쪽 가쪽 굽 힘 각도는 26.00±7.41 실험 후 오른쪽 가쪽 굽힘 각도는 36.60±3.20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그룹 내 근막이완술 그룹의 실험 전 오른쪽 가쪽 굽힘 각도는 28.40±9.76 실험 후 오른쪽 가쪽 굽힘 각도는 37.00±5.70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Table 6, Figure 9).

    (4) 왼쪽 가쪽 굽힘 각도

    그룹 내 치료적 마사지 그룹의 실험 전 왼쪽 가쪽 굽힘 각도는 29.40±9.12 실험 후 왼쪽 가쪽 굽힘 각도는 33.00 ±4.52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그룹 내 근막이완술 그룹의 실험 전 왼쪽 가쪽 굽힘 각도 는 22.00±7.58 실험 후 왼쪽 가쪽 굽힘 각도는 33.00±5.70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Table 7, Figure 10).

    (5) 오른쪽 돌림 각도

    그룹 내 치료적 마사지 그룹의 실험 전 오른쪽 돌림 각 도는 68.00±4.47 실험 후 오른쪽 돌림 각도는 74.80± 4.81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그룹 내 근막이완술 그룹의 실험 전 오른쪽 돌림 각도 는 69.00±12.45 실험 후 오른쪽 돌림 각도는 74.60± 13.06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Table 8, Figure 11).

    (6) 왼쪽 돌림 각도

    그룹 내 치료적 마사지 그룹의 실험 전 왼쪽 돌림 각도 는 67.60±4.50 실험 후 왼쪽 돌림 각도는 74.60±4.98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그룹 내 근막이완술 그룹의 실험 전 왼쪽 돌림 각도는 64.00±8.94 실험 후 왼쪽 돌림 각도는 72.00±10.36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Table 9, Figure 12).

    Ⅳ. 고 찰

    본 연구는 20~30대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근막이완술과 치료적 마사지의 적용 중 어떠한 접근법이 목의 통증과 관절 가동범위에 좀 더 효과적인지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목 통증을 호소하는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4주간 주 3회 근막이완술과 치료적 마사지를 적용하였고, 측정 은 VAS와 Goniometer를 사용 하였다.

    관절가동기법과 근막이완기법이 경부의 관절가동범위 에 있어서는 관절가동기법 적용군이 더 효과가 있었고, 통증 역치 부분에서는 근막이완기법 적용군이 더 효과가 있었다(박윤기, 2009). 근막이완기법이 통증 역치 부분에 서 효과 적이었다는 부분은 본 연구와 유사하나 관절가동 기법을 사용하여 관절가동범위 증진의 효과를 보인 것은 본 연구와 차이가 있었다.27명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2 주간 주 3회 뒷목부위에 근막이완요법과 마사지를 실시하 여 유의하게 통증이 감소하였다(전한수, 2014). 본 연구에 서는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고 뒷목 부위뿐만 아 니라 목의 영향을 줄 수 있는 근육들을 대상으로 근막이완 술을 시행하였다는 부분에서 선행 연구와 차이가 있었다.

    28명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5개월간 2일 간격으로 3 회(1, 3, 5 일) 위 등세모근 부위에 근막이완 요법을 실시 하였을 때, 통증정도, 시각적 통증 강도가 유의적으로 감 소하였다(Yon, J. 2014). 본 연구에서는 1달의 기간 동안 실험을 진행한 것의 비해 선행 연구 에서는 5달의 시간이 있었고 적용대상에도 차이가 있었다.

    근막이완요법 적용 후 성인 환자의 VAS 수치가 10에서 치료 후 3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하현진, 2008). 선행 연구의 근막이완술을 적용하여 VAS 수치를 감소 시켰다 는 부분은 본 연구와 유사 하였다.

    근막이완요법과 마사지가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주관 적 통증지표를 통하여 확인하고, 근막이완요법군의 VAS 점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고, 마사지요법군의 경우에도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차성원, 2017). 선행 연 구의 근막이완요법과 마사지를 사용하였다는 점과 VAS 를 사용하여 두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 하였다는 것은 본 연구와 유사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근막이완술과 치료적마사지를 사용하여 목의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근막이 완술 그룹과 치료적마사지그룹 모두에서 목 통증의 주관 적 통증지표인 VAS를 사용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하 였으나 치료적마사지 그룹의 좀 더 유의한 감소를 보였 다. 또한 관절가동범위의 변화 중 폄 각도에서 근막이완 술 그룹이 좀 더 유의한 값을 보였으며, 왼쪽 가쪽 굽힘 각도에서 치료적 마사지그룹은 유의한 값이 나오지 않았 다. 마지막으로 오른쪽 돌림 각도에서는 근막이완술 그 룹에서 유의한 값이 나오지 않았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봤을 때 실제 치료에서 통증의 감소 를 위해서는 치료적마사지를 적용해야하며, 관절가동범 위에 있어서는 폄 각도의 증진을 위해서는 근막이완술의 사용을 적용해야한다. 좌우의 동작에서 비대칭적인 결과 가 나온 동작들에 대해서는 적용해야하는 치료의 결정이 어려워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4주간 주3회라는 단기간의 실험을 실시 하였고, 각 그룹의 실험대상자가 5명의 적은 인원으로 진 행되어 일반화하기에 제한이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연구의 기간과 실험에 참가하 는 인원수를 늘린다면 보다 정확하고 객관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근막이완술의 적용이 성인의 목통증과 관절 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위하여 실시하였다. 최근 6개월 이내 목통증을 호소하는 20~30대 남녀를 대상으로 치료적 마사지와 근막이완술을 이용하여 4주간 주 3회씩 실험을 실시하여 VAS와 ROM을 Goniometer로 측정하여 통증강도와 관절의 가동범위를 평가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1) 실험군에서 치료 전⋅후에 VAS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2) 대조군에서 치료 전⋅후에 VAS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3)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치료 전⋅후에 굽힘 각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4)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치료 전⋅후에 폄 각도에서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5)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치료 전⋅후에 가쪽굽힘R 각 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6) 실험군에서 치료 전⋅후에 가쪽굽힘L 각도에서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7 대조군에서 치료 전⋅후에 가쪽굽힘L 각도에서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8) 실험군에서 치료 전⋅후에 돌림R 각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9) 대조군에서 치료 전⋅후에 돌림R 각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10)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치료 전⋅후에 돌림L 각도에 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근막이완술과 치료적마사지 모 두 목 통증과 대부분의 관절가동범위의 향상이 있었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적으로는 향상이 없는 움직임이 있 어 교정운동이나 테이핑과 같은 정형물리치료기법을 병 행하고 근막이완술과 치료적 마사지를 치료 대상에게 적 용하는 시간을 늘려 적용한다면 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Figure

    AOSPT-15-2-117_F1.gif

    연구절차

    AOSPT-15-2-117_F2.gif

    Goniometer

    AOSPT-15-2-117_F3.gif

    Visual Analog Scale

    AOSPT-15-2-117_F4.gif

    근막이완술 적용

    AOSPT-15-2-117_F5.gif

    치료적 마사지 적용

    AOSPT-15-2-117_F6.gif

    VAS변화

    AOSPT-15-2-117_F7.gif

    굽힘각도 변화

    AOSPT-15-2-117_F8.gif

    폄각도 변화

    AOSPT-15-2-117_F9.gif

    오른쪽 가쪽 굽힘 각도 변화

    AOSPT-15-2-117_F10.gif

    왼쪽 가쪽 굽힘 각도 변화

    AOSPT-15-2-117_F11.gif

    오른쪽 돌림각도 변화

    AOSPT-15-2-117_F12.gif

    왼쪽 돌림각도 변화

    Table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10)

    동질성 검정 (N=10)

    VAS 변화

    굽힘각도 변화

    폄각도 변화

    오른쪽 가쪽 굽힘각도 변화

    왼쪽가쪽 굽힘 각도변화

    오른쪽 돌림각도 변화

    왼쪽돌림 각도 변화

    Reference

    1. 고미아 (2012). 경부통증을 호소하는 고등학생에게 적용한 밸 런스 테이핑요법의 효과(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 학원).
    2. 권원안, 김동대, & 이재홍 (2010). 마사지 및 정적 스트레 칭이 20대 정상 성인의 경부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1(11), 4346-4353.
    3. 권형수, & 백종희 (2002). 스포츠마사지의 유래와 발전과 정. 한국체육사학회지, 7(10), 219-229.
    4. 박경희, & 류희옥 (2012). 근막이완요법의 뭉친 상부승모 근 이완효과. 한국미용학회지, 18(2), 465-473.
    5. 박순애, 이경일, & 김권영 (2008). 중학생의 생활 습관과 바른 자세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3, 603-614.
    6. 박영석, 김선엽, 오덕원 등 (2012). 상승모근 근막동통증 후군 환자에 대한 마사지, 신장운동, 견갑골 안정화 운동의 효과 비교.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17(1), 1-8.
    7. 박윤기, 현상욱, & 서현규 (2009). 관절가동기법과 근막 이완기법이 경부에 미치는 영향. 대한정형도수치료학 회지, 15(2), 69-79.
    8. 박지혜 (2010). 근막이완술이 노인의 경부 통증과 관절가동범 위에 미치는 효과(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9. 박진석 (2015). 닫힌사슬 운동과 열린사슬 운동이 정상성인의 목 근육 두께, 근력, 근지구력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 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10. 서동천 (2010). 근막이완요법이 피아노 연주자의 상부 승모근 근막통증 완화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 교 대학원).
    11. 서현규, & 공원태 (2010). 적외선치료와 근막이완술이 경 부통증환자의 경추가동범위와 통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16(2), 1-8.
    12. 유하영 (2019). 둥근 어깨가 있는 대상자에게 정형도수물리치 료와 어깨안정화운동이 통증과 기능에 미치는 영향(석사 학위논문,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13. 이명효 (2019). 목 운동이 고교생의 목·어깨자세와 통증에 미 치는 효과(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14. 이중호, 황경옥, & 박영한 (2012). 안정화 운동, 체외충격 파, 테이핑이 상승모근 근막통증증후군에 미치는 효 과 비교.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4(2), 82-89.
    15. 이성진, 오환희, 채지수 등 (2017). 치료적 마사지와 맥켄 지 운동이 만성 경부통 환자의 통증과 관절가동범위 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연구. 대한물리치료사학회지, 24(2), 61-70.
    16. 이충열 (2004). 고등학교 남학생의 자세변형정도에 따른 생활 습관 자세(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7. 이한숙, & 유지훈 (2012). 스트레칭과 등척성 운동이 만성 경부통증환자의 근력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 리의학회지, 7(3), 329-337.
    18. 임정일, 노덕선, & 김재흥 (2004). 건강스포츠 마사지론. 서 울: 홍경.
    19. 장진혁 (2017). 급성기 어깨통증 환자에 대한 치료적 마사지와 어깨관절 안정화 운동의 복합적용이 통증 및 파악력에 미 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 전한수 (2014). 중년여성의 후경부에 대한 근막이완요법과 마 사지가 스트레스와 통증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21. 정연우 (2007). 견갑대 안정화 운동이 상지 근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1), 11-20.
    22. 정지연, 진영수, 김희상 등 (2007). 8주간 경부 자가 운동 이 만성 경부 통증 환자의 통증, 경부기능장애지수, 가동범위 및 경추배열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지, 46(4), 437-445.
    23. 차성원 (2017). 뒷목부위 근막이완요법과 마사지가 카지노종 사자의 근 긴장도, 통증, 수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석 사학위논문,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4. 하현진 (2008). 정형물리치료와 근막이완요법이 특발성 척추 측만증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동신대학 교 대학원).
    25. 한동국 (2017). 능동이완기법과 근막이완기법이 만성 경부통증 환자의 통증, 경부 기능장애지수, 압통 역치와 관절가동범 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삼육대학교 대학원).
    26. Aggarwal, P. , Aggarwal, B. , & Jani, D. (2010). Clinical approach to neck pain. Indian Journal of Rheumatology, 5(4), 193-198.
    27. Barnes, J. F. (1987). The body is a self-correcting mechanism. Physical Therapy Forum, 8, 8-9.
    28. Castro-Sánchez, A. M. , et al. (2011). Effects of myofascial release techniques on pain, physical function, and postural stability in patients with fibromyalgia. Clinical Rehabilitation, 25(9), 800–813.
    29. Janda, V. (1993).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muscle length, pain and muscle imbalance. International Perspectives in Physical Therapy.
    30. Janda, V. (1994). Muscles and motor control in cervicogenic disorders: Assessment and management. Physical therapy of the cervical and thoracic spine New York.
    31. Posner, J. , & Glew, C. (2002). Neck pain. Ann Intern Med, 136(10), 758-759.
    32. Sahrmann, S. A. (2002). Diagnosis and treatment of movement impairment syndromes. Mis-souri, Mosby.
    33. Sarig-Bahat, H. (2003). Evidence for exercise therapy in mechanical neck disorders. Manual Therapy, 8(1), 10-20.
    34. Yon, J. , Lee, H. , & Lee, O. (2014). Effects of Myofascial Release on Nerve Conduction Studies and Pain Scale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6), 425-432.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