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5 No.2 pp.109-115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19.15.2.14

Effect of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Program on Body Fat and Muscle mass of Male University students

Hyung chun Nam, Nam jeong Cho, Jae yong Choi*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Kyungbuk College
교신저자: 최재용 (경북대학교 물리치료과) E-mail: elisha12@naver.com
2019.06.14 2019.06.23 2019.06.29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CLT) on body fat and muscle mass.


Methods:

A total of eight male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treadmill exercise group (n=4) and CLT group (n=4). The intervention was performed for 30 minutes, three times a week, four weeks. The treadmill exercise was set at 6.5 intensity for 30 minutes and the CLT was at moderate intensity for the same period. To measure body fat and muscle mass, the In-body system was us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and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CLT is not effective for body fat reduction when compared with general treadmill exercise.



협응이동훈련 프로그램 적용이 20대 남자 대학생의 체지방량과 근육량에 미치는 영향

남 형천, 조 남정, 최 재용*
경북전문대학교 물리치료과

초록


    Ⅰ. 서 론

    현대 사회에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정보화, 기계화, 자 동화는 인간의 편리성 기여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이 로 인한 사회 구조의 변화로 인간소외, 공동체 의식 결여, 운동부족, 각종 스트레스 등의 사회 병리적 현상은 점차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정진성, 2013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그 가운데 병리적 현상으로 인 해 발생하는 체지방률 증가는 인체에 많은 문제점을 일으 킨다. 체지방이 과잉으로 축적되면 제2형 당뇨병, 고혈 압, 심혈관질환 등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게 되는데(황경 하, 2006), 이로 인해 걷기, 조깅, 수영, 줄넘기, 등산, 자 전거, 에어로빅 등 각종 유산소 운동프로그램들이 관심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유진 과 김석일, 2004).

    트레드밀 운동은 보행속도 심혈관계기능, 하지근력과 지구력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박성 훈, 2017), 심폐기능을 향상시키고 신체대사의 영항을 주 는 운동이라고 보고하였다(최명수, 2014). 최근들어 건강 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 며, 남녀노소 모두에게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공성아, 2006). 트레드밀을 이용한 운동은 많은 선행 논문에서 근력강화와 체지방률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되었다(황영인 등, 2007;최명수, 2014 ; 신효섭 2014).

    또한, 체지방률 감소와 근력강화를 할 수 있는 다른 운동 법이 있다. 바로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패턴을 이용한 협 응이동훈련 프로그램(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CLT)이다.

    물리치료 임상현장에서 많이 쓰이는 고유수용성신경촉 진법은 외수용기와 고유수용기를 자극하는 운동방법으로 인체의 움직임을 정형화시킨 패턴을 이용하여 환자의 문 제점을 해결한다.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의 패턴은 일 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동작들을 정형화시켜 놓은 것이며, 이 패턴들을 조합하여 보행향상을 위해 사지간 협응능력 을 향상시키고자 하였으며, 각각의 패턴의 조합을 스프린 터 패턴과 스케이터 패턴으로 명명하여, 이것을 협응이동 훈련이라 하였다(임재헌, 2013).

    협응이동훈련은 달리는 사람을 나타내는 스프린터와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 의 두 가지 형태를 통해 인체의 협 응 구조를 과학적으로 체계화 시킨 훈련으로 Dietz(2009) 가 고안하였다. 협응이동훈련는 팔다리의 협응적인 움직 임을 이용하여 자세조절의 향상을 위해 임상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조운수 등, 2019).

    이러한 스프린터 패턴(sprinter pattern)과 스케이터 패 턴(skater pattern)은 가장 효율적이고 기능적인 동작을 가장 잘 표현한 것이며, 패턴의 결합을 이용하는 것은 체 간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사지의 고유수용성감각을 증 진시킨다고 하였다.

    스프린터 패턴과 스케이터 패턴의 교차훈련으로 적용한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은 근육과 건 내의 고유수용기를 자극함으로써 기능을 향상시키고, 주로 근활성, 근력, 그 리고 근신경계 자극에 반응하는 협응력을 증가시켜 운동 단위가 최대로 반응하는데 효과적이다(임재길, 2014).

    아직까지는 두 운동이 근력강화와 체지방률을 감소시 킬 수 있다는 연구가 많지 않으며, 트레드밀 운동과 협응 이동 훈련 프로그램 중 어느 운동이 더 효과적인지 불분명 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대 대학생 남성에게 트레드밀 운동과 협응이동훈련(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CLT)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어떤 운동이 체지방량 감 소와 근육량 증가에 더 효과적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는 경상북도 영주시 소재의 00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20대 남성 8명을 대상으로 실시, 정형외과적 질환이 없는 인원들로 구성하였고, 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대상 자에게 연구에 대한 내용을 충분히 설명하였고, 이 실험 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자들로 구성되었다.

    연구의 기간은 2019년 9월 3일부에 사전평가를 실시하였 고, 연구의 진행은 2019년 9월 3일~2019년 10월 4일로 총 4주 진행하였으며, 사후평가는 2019년 10월 4일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 1).

    2. 측정도구 및 실험도구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체지방량 감소와 근육량 증가를 검사하기 위해 Inbody(Inbody 370, ㈜인바디, KOR)를 사 용하였다. 측정방법은 먼저 피검자가 가벼운 운동복을 입 고 임피던스 측정장치에 올라가서 손 전극을 잡고 발 전극 을 밟은 후 직립자세로 팔과 다리를 약간 벌린자세를 취한 후 스타트 버튼을 누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스위치를 작동시키면서 임피던스 측정장치는 오른팔, 왼팔, 몸통, 오 른다리, 왼다리에서 4가지 주파수(5 kHz, 50 kHz, 250 kHz, 500 kHz) 대역에서 인체 부위별 전기 저항을 측정하 고, 측정결과는 약 2분 후에 결과지에 출력된다. 결과지는 체중, 체지방량, 제지방량, 근육량, 복부지방률, BMI, 체구 성을 기초로 한 영양상태(단백질, 무기질, 지방질)와 상 하·좌우에 대한 결과를 포함한다(Yom, H. W 등, 2003).

    3. 실험절차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협응이동훈련(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CLT) 프로그램과 트레드밀을 각 4명씩 나눠 주 3회 30분씩 실시한다. 트레드밀의 속도는 6.5으로 일정하 게 진행하며, 협응이동훈련 프로그램은 연구자의 지도하 에 중간정도의 강도로 진행한다. 체지방감소가 목적이기 때문에 높은강도가 아닌 대상자들에게 부담이 되지 않는 강도로 실시하여 유산소운동으로 진행한다.

    4. 자료분석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Subscription 를 이용 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수집한 자료에서 정규성을 이루지 못하였으므로 비모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룹 내 운동 전, 후의 차이를 구하기 위해 wilcoxon과 그룹 간 운동 전, 후 차이를 구하기 위해 Mann-Whitney 통계 처 리 하였으며,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한 유의 수준은 a=0.05 로 설정하였다. Figure 1

    Ⅲ. 연구 결과

    1. 두 그룹 간의 체지방량과 근육량 비교

    협응이동훈련 체지방량은 27.78±19.21, 트레드밀 체지방 량은 26.18±9.19로 시작하였으며, 운동 후 협응이동훈련 체 지방량은 24.15±13.34, 트레드밀 체지방량은 24.13±8.34 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유의확률이 0.564로 유의한 차이 는 나타나지 않았다.

    협응이동훈련 근육량은 32.88±3.32, 트레드밀 근육량 은 41.8±3.64로 시작하였으며, 운동 후 협응이동훈련 근 육량은 35.03±2.41, 트레드밀 근육량은 42.75±3.87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유의확률이 0.248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Figure 2

    2. 그룹 내의 체지방과 근육량 비교

    협응이동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 체지방량은 운동 전 27.78±19.21, 운동 후 24.15±13.34로 체지방량은 감소했 지만 유의확률이 0.465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근육량은 운동 전 32.88±3.32, 운동 후 35.03±2.41 로 근육량은 증가했지만 유의확률이 1.000로 유의한 차이 는 나타나지 않았다. Figure 3, 4, 5, 6

    트레드밀 프로그램을 실시한 체지방량은 운동 전 26.18± 9.19, 운동 후 24.13±8.34로 체지방량은 감소했지만 유의확 률이 0.068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근육량 은 운동 전 41.8±3.64, 운동 후 42.75±3.87로 근육량은 증가 했지만 유의확률이 0.068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able 2, 3, 4, 5, Figure 7, 8

    Ⅳ. 고 찰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협응이동운동 훈련 프로그램이 체지방 감소와 근육량 증가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하였다.

    협응이동훈련(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CLT) 은 독일의 브리타(Britta)가 고안한 운동방법으로 인간의 가장 협응적인 움직임인 걷기를 시너지 패턴으로 만들었 으며 그 패턴을 달리는 사람을 뜻하는 스프린터(sprinter) 와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을 뜻하는 스케이터(skater)의 두 형태로 통합하여 인간의 움직임을 형상화 하고 단순화 하 였다(Dietz, 2009).

    또한 열린 운동 사 슬과 닫힌 운동 사슬의 중재가 가능하 여 어떤 자세에서든 복합적이고 통합 적인 운동을 기능적으 로 할 수 있고, 두 개의 단순하고 통합된 동작으로 누구나 손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Ann 과 Park, 2013; Choi 등, 2008; Hwang 등, 2016). 체지방의 감소를 위하여 사용되는 운동 방법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걷기 또는 달리기와 같은 유산소 운동이 사용되는데 특히 장시간 중강도의 걷기 운동은 복부지방량의 감소와 하체 근육의 근 육량과 근력을 증가시킨다(Kwon HR 등, 2010).

    하지만 이러한 운동들은 상대적으로 긴 시간을 요구하며 흥미도가 떨어지는 관계로 규칙적인 참여 자체가 어렵다는 문 제점을 가지고 있다(Lippincott williams 와 wilkins, 2006).

    임재길(2014)에서는 스프린터 패턴과 스케이터 패턴 교 차훈련으로 적용한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이 근육과 건 내의 고유수용기를 자극함으로써 기능을 향상시키고, 주 로 근활성, 근력, 그리고 근신경계 자극에 반응하는 협응 력을 증가시켜 운동단위가 최대로 반응하는 효과가 나타 났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협응이동훈련 프로그램과 트 레드밀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약간의 체지방량 감소와 근력 증진은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유의한 값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두 가지 운동은 체지방 감소와 근력의 증가라 는 효과를 보여주었지만 결과를 해석함에 있어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훈련기간이 4주였으므로 연구의 결과를 장기간 효과로 판단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둘째, 실험자 개개인 의 식단조절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결과가 정확하다는 판 단을 내리기는 어려울 것이다. 셋째, 실험의 대상자가 선 행논문에서는 환자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이므로 결과에서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 과를 일반화시키기 위해서는 이런 제한점을 해결하는 연 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 기간 동안 통제되지 못하였던 여러 변 수들에 대한 사항들을 보완하고 다양한 평가 도구의 사용 과 장기적인 연구를 통해 보다 명확한 향후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의 목적은 협응이동훈련 프로그램 적용이 20대 남자 대학생의 체지방량 감소와 근육량 증가에 미치는 영 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협응이동훈련 프로그램 대상자 남자 4명, 트레드밀 프로그램 대상자 남자 4명으로 배정하여 총 8명 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지방량 감소에서는 협응이동훈련 프로그램이 약간 의 유의한 결과를 얻었지만, 두 그룹간을 비교했을 때 상당한 유의값은 얻어내지 못하였다.

    2. 근육량 증가에서도 협응이동훈련 프로그램이 약간 의 유의한 결과를 얻었지만, 두 그룹간을 비교했을 때 상당한 유의값은 얻어내지 못하였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협응이동훈련 프로그램이 트레드밀 프로그램보다 체지방량 감소와 근육량 증가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앞서 말한 제한점을 보 충하여 실험한다면 두 그룹 간과 그룹 내에 나타나지 않았 던 상당한 유의값을 얻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체지방이 과잉으로 축적되면 나 타나는 다양한 질병을 가진 사람에게 트레드밀 프로그램 과 협응이동훈련 프로그램을 동시에 적용하면, 더욱 효과 적인 치료법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Figure

    AOSPT-15-2-109_F1.gif

    연구절차

    AOSPT-15-2-109_F2.gif

    인바디 측정기

    AOSPT-15-2-109_F3.gif

    협응이동훈련 프로그램 동작1

    AOSPT-15-2-109_F4.gif

    협응이동훈련 프로그램 동작2

    AOSPT-15-2-109_F5.gif

    협응이동훈련 프로그램 동작3

    AOSPT-15-2-109_F6.gif

    트레드밀 프로그램

    AOSPT-15-2-109_F7.gif

    트레드밀 프로그램 그룹 간, 그룹 내 체지방량 비교

    AOSPT-15-2-109_F8.gif

    그룹 간, 그룹 내 근육량 비교

    Table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8)

    그룹 간 체지방 변화 (Unit: kg)

    그룹 간 근육량 변화 (Unit: kg)

    그룹 내 체지방 비교 (Unit: kg)

    그룹 내 근육량 비교 (Unit: kg)

    Reference

    1. 김병곤, 공원태, & 정연우 (2007). 트레드밀 보행시 경사도 와 속도에 따른 체간근육과 대퇴사두근의 근활동성 분석.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13(1), 44-57.
    2. 김석일 (2004).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중앙대 학교 대학원).
    3. 박성훈 (2016). 트레드밀 속도 변화 방법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 및 폐 기능 변화(석사학위논문, 대전 대학교 대학원).
    4. 신효섭, & 최종덕 (2014). 동적 스트레칭을 접목한 경사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만성 뇌졸중 환자의 경직과 보행 에 미치는 효과. J Korean Soc Phys Med, 9(4), 447-454.
    5. 유진, & 김석일 (2004). 운동 참여자들의 신체적 자기개념 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 지, 15(4), 85-106.
    6. 임재길 (2014). 스프린터와 스케이터를 이용한 고유수용성 촉진법 패턴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 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6(4), 249-256.
    7. 임재헌, 이문규, 김태윤 등 (2013). 협웅이동훈련을 위한 PNF 패턴의 결합.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지, 11(1), 17-25.
    8. 정진성, & 김영식 (2013). 체지방 변화량에 따른 고등학생 의 신체구성과 신체적 자기개념의 관계. 통합교육과정 연구, 7(1), 139-155.
    9. 조운수, 박세주, & 최아영 (2019). 탄력밴드를 이용한 협응 이동훈련이 초등학교 야구선수의 균형 및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7), 261-266.
    10. 최명수 (2014). 경사도에 따른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폐 기능과 기립균형에 미치는 영향(석 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11. 한상완, & 공성아 (2006). 20대 여성에 있어 트레드밀 전ㆍ 후방 걷기 후의 기초체력의 변화. 코칭능력개발지, 8(3), 269-276.
    12. 황경하 (2006). 한국인의 비만관련 위험인자에 대한 체지방 률 (% Fat) 분별치 정립과 이에 근거한 체질량지수 (BMI) 기준의제시(박사학위논문, 을지의과대학교 대 학원).
    13. Ann, Y. D. , & Park, J. H. (2013). The effects of PNF combined patterns training on balance ability and functional ability of hockey play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1), 521-528.
    14. Dietz, B. (2009). Let’s sprint, let’s skate. Innovationen im pnf-konzept. Berlin: Splinger.
    15. Hwang, Y. I. , & An, D. H. (2008). Effects of Slope Changes During Body Weight-Supported Treadmill Training on Gait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Hemiplegia. Physical Therapy Korea, 15(4), 10-17.
    16. Kwon, H. R. , Min, K. W. , Ahn, H. J. , et al. (2010).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abdominal fat, thigh muscle mass and muscle strength in type 2 diabetic subject. Korean Diabetes J, 34(1), 23-31.
    17.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6). ACSM, ACSM's resource manual for guideline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fifth edition).
    18. Yom, H. W. , Kim, S. J. , Whang, I. T. , et al (2003). Correlation between body fat percent estimat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and other variable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46(8), 751-757.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