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5 No.2 pp.95-100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19.15.2.12

The Effect of IoT-based Upper and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Medical Device Training on Gait in Chronic Stroke Survivor: A Case Study

Jiwon Seong, Youngchae Cho, Eunyoung Seo, Rockhyun Kim, BumChul Yoon*
Major in Rehabilitation Science, Department of Health Science,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교신저자: 윤범철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재활과학과) E-mail: yoonbc@korea.ac.kr
2019.12.02 2019.12.22 2019.12.28

Abstract

Purpose:

For stroke survivors, abnormal gait patterns lead to a significant risk of falls. We have recently developed an IoT-based Upper and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Medical Device (RoBoGat) that enables continuous passive motion (CPM) training, squat training (ST), and gait training (G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RoBoGat on gait in a chronic stroke survivor.


Methods:

In this study, an individual with right-side chronic hemiparesis post-stroke participated. The participant underwent 14 days of RoBoGat training that involved continuous passive motion training, squat training, and gait training. During the training, knee and hip joint angles were adjusted within the range where the subject felt no pain. We assessed gait, timed up and go test, and visual analog scale at baseline and after first and final interventions.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positive changes were observed such as stride, gait velocity, and loading phase. Improvements were also observed in timed up and go test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VAS, which assessed pain in training and daily life.


Conclusion:

The main finding of this case-control study is that robot-based upper and lower extremity training may be a feasible approach in the neurorehabilitation field. It can be concluded that repetitive and continuous robot rehabilitation exercises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physical function of chronic stroke survivors.



IoT 기반 상·하지 재활의료기기 훈련이 후기 뇌졸중 생존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성 지원, 조 영채, 서 은영, 김 록현, 윤 범철*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재활과학과

초록


    Ⅰ. 서 론

    뇌졸중의 후유증은 지속적인 균형과 보행문제를 발생 시킨다 (Hyndma et al, 2002;Weerdesteyn et al, 2008). 뇌졸중 환자에게 재활치료를 통해 일상생활을 독립적으 로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Yoo et al, 2013). 뇌졸중은 병적 공동수축(synergy)에 의한 뻣뻣한 무릎 보행 (Campanini et al, 2013), 발목 배측 굴곡의 제한 또는 부 재, 마비측 무게중심 이동 능력의 제한(A. Mansfield et al, 2013), 비정상 또는 불충분 한 근육 활성화 또는 수축 으로 비정상적인 보행 패턴을 유발하여 삶의 질에 큰 영향 을 줄 수 있다 (Arene et al, 2009;Allen et al, 2011).

    뇌졸중 후 환자들의 균형 및 보행 능력 회복을 위해 체 중이동, 보행 훈련, 시각 되먹임 훈련 (Davies, 1985;Kim et al, 2013;Woollacott et al, 1986 ; Celine et al, 2016)등 이 시행되고 있다. 특히 보행 훈련을 통해 보행 속도, 동적 균형, 환측 체중 부하량 증가, 중둔근 활성화 등을 통해 안전한 일상생활을 위해 필수적이다. 로봇 보조 보행 장 치는 보행 능력을 회복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수년 동안 뇌졸중 생존자의 재활에 사용되어 왔다. 수동 보조 런닝 머신 훈련 (manually assisted treadmil training)과 비교 할 때 로봇 보조 훈련(robot-assisted training)의 장점은 훈련 시간이 길고, 다리 움직임의 재현 가능한 대칭 보행 운동학적 패턴, 단일 치료사에 부과되는 물리적 하중 감 소로 제안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로봇 보조 런닝 머신 훈 련의 이점에 대한 증거는 합의된 바가 없다. 일부 연구는 로봇 지원 런닝 머신 훈련을 체중 지원 런닝 머신 훈련 (Werner C et al, 2002;Hesse S et al, 2006) 또는 기타 기존 요법 (Mayr A et al, 2007;Husemann B et al, 2006) 과 비교할 때 비슷하거나 더 나은 훈련 효과를 보고하지 만, 다른 연구에서는 기존 물리치료와 보조 요법을 비교 하면 로봇훈련의 효능은 미비하다. (Hidler J et al, 2009;Hornby TG et al, 2008).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7 년에 발표 된 체계적인 검토 논문에 따르면 물리치료와 함께 전자 기계 보조 보행 훈련을 받는 뇌졸중 환자는 이러한 장치 없이 보행 훈련을 받는 환자보다 독립적인 보행을 달성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서술되어 있다(Mehrholz J et al, 2007).

    최근 기술력의 발전으로 로봇 재활의료기기의 반복 동 작을 사용하여 안전하고 집중적인 재활 치료 제공이 가능 하고, 연구에 따르면 로봇 다리 보조기는 환자의 보행 및 보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Horst 2019;Sanford et al, 1993;Duncan et al, 1983). 선행연 구를 바탕으로 보행 훈련 시 안전하고 반복적인 움직임을 실시하였을 때 치료사의 노력과 시간을 절약하는데 유용 할 수 있다.

    뇌졸중 환자들 대상으로 진행된 로봇 재활 연구는 상지 위주의 연구가 많았으며 (홍원진 2018;성윤정 2018;박진 혁 2013) 만성 뇌졸중 생존자에게 상·하지 재활의료기기 를 적용한 보행훈련을 적용한 연구는 미비하다. 한 선행 연구에 따르면 상·하지 훈련이 환측 다리의 공동 수축을 줄이고 뇌졸중 후 균형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제안하지 만, 해당 연구에서 사용된 장비는 보행훈련이 아닌 자전 거형 상·하지 훈련기로 인한 결과이다 (Stephen J et al, 2008). 본 연구는 후기 뇌졸중 생존자에게 상·하지 재활 훈련기의 보행 모드를 실시한 후 보행과 관련하여 전·후 비교를 하고자 실시되었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79세 남성으로 2016년 3월 에 뇌실질출혈(ICH, Intra Cerebral Hemorrhage)에 의한 우측 편마비(Rt. hemiplegia)로 진단받았으며 혈종 제거 뇌수술을 받았다. 수술 전부터 지금까지 K대학교에서 진 행하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매주 2회씩 참석하였다. 개 발된 치료 기구에 의한 치료에 대한 설명을 하였고 대상자 의 동의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대상자는 고혈압 이외에 과거력이 없으 며 MMSE가 28점으로 인지능력에 문제가 없어 연구를 정 확히 수행할 수 있었다(Folstein et al., 1975).

    2. 측정 도구 및 방법

    1) 보행 분석

    보행 분석은 Zebris FDM-T Treadmill (Zebris Medical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걸음 길이(stride length), 보행속도 (gait velocity), 동시 입각기(double stance)를 측정하였다. Zebris는 10,240개의 압력 센서가 내장되어 있는 트레드밀이며 걷는 동안 보행 속도, 보폭, 보장 시 간, 걸음 길이, 입각기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험 전 5분 동안 보행을 실시하여 트레드밀 보행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한 후에 측정을 실시하였다. Table 2

    2) TUG (Timed Up & Go Test)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는 동적 균형능력을 알아보는 평 가 방법으로 기본적인 운동성과 균형 능력을 빠르게 측정 할 수 있는 검사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는 “시작”이 라는 구령에 의해 의자에서 일어나 전방 3m를 걸어간 후 돌아와 의자에 다시 앉는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3회 측정 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이 검사의 측정자 간 신뢰도 는 r=.99, 측정자 내 신뢰도는 r=.98의 높은 신뢰도를 보 인다(Podsiadlo et al; 1991). Table 3

    3) 통증정도 (Visual analogue Scale)

    시각적 통증 척도는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통증의 정 도를 10cm 길이의 눈금 없는 직선위에 환자가 느끼는 통 증 정도를 표시하는 방법이다. 무릎 통증을 측정하기 위 해 사용하였으며 통증이 없는 상태는 0점, 통증이 심한 상태는 10점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H.C.Nam et al., 2010). 검사-재검사간 신뢰도(r=1)와 검사자간 신뢰도 (r=.99)가 매우 높은 평가도구이다(Wagner et al., 2007). Table 4

    3. 실험 방법

    중재는 개발된 치료기구인 ROBOGAT (싸이버메딕, Korea)을 사용하였다. ROBOGAT은 상·하지 재활훈련기 로 능동 및 수동 관절 가동 범위 운동이 가능한 CPM(Continuous Passive Movement)모드, 능동 및 수동 으로 보행이 가능한 GT(Gait training)모드, 기립 및 상· 하지 교대운동, 근력 증진이 가능한 ST(Strength)모드로 구성되어 있다. 기기를 이용하여 GT모드에서 보행운동을 기기가 스스로 움직이는 수동모드로 40분씩 2주동안 주 말을 제외하고 10회 실시하였으며 통증이 있거나 불편함 을 느낄 경우 중지하였다. 평가는 실험 직전, 실험 직후, 실험 마지막 날 총 3번 실시되었다.

    Ⅲ. 결 과

    본 연구는 남성 후기 뇌졸중 생존자에게 상·하지재활 훈련기를 실시한 후 보행과 관절가동범위, TUG, 통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행 분석

    걸음 길이는 실험 전 0.48m에서 실험 후 0.69m로 약 1.4배 증가하였으며 보행 속도도 2km/h에서 2.8km/h로 약 1.4배 증가하였다. 입각기는 실험 전 42.2%에서 31.2% 로 0.8배 감소하였다.

    2. TUG 분석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에서는 실험 전 9.6초에서 실험 후 7.2초로 0.8배 감소하였다.

    3. 통증 분석

    통증은 실험 전 3에서 실험 후 3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 었다.

    Ⅳ. 논 의

    본 연구는 후기 뇌졸중 생존자 남성 환자에게 상·하지 재활훈련기를 적용 실행한 후 보행능력, 균형능력, 통증 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2주동안 상·하지재활훈련기를 적 용 후 살펴본 결과 통증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보행 능력과 균형능력은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뇌졸중은 발병 후 첫 2주간 회복되는 속도가 가장 빠르 고 13주까지 50%의 회복이 진행된다(Skibeck et al., 1983). 기능적 회복은 외부환경, 훈련의 유무, 환자의 의지 력 등에 의해 좌우되며, 뇌졸중 발병 이후 1개월 이상 생존 자 중 약 80%에서 신경학적 결함이 잔존하지만 기능적 회 복은 서서히 진전 된다고 하였다 (Ng, Tong & Li, 2008).

    편마비는 뇌졸중 환자에게 흔히 볼 수 있는 후유증이 며, 균형 및 자세조절에 어려움을 지니고 있어 기립과 보 행에 영향을미친다 (Verheyden et al., 2006). 특히 편마 비 환자의 보행패턴은 뇌혈관 질환의 정도와 위치에 따라 다르지만 거의 비슷한 보행 패턴을 보이며 느린 보행주기 와 보행속도, 환측(마비측) 걸음과 건측(비마비측) 걸음간 의 보폭의 차이, 환측의 짧은 입각기와 상대적으로 긴 유 각기 등의 특징을 가진다 (Ryerson, Levit 1997, 김용욱 2000). 또 다른 선행연구에서 뇌졸중 환자는 정상보행에 필요한 관절과 근육조절 기능의 손상으로 보폭이 짧으며 보행속도가 느려졌다(Perry et al, 1974). 이러한 문제점 을 해결하기 위해 마비측 하지의 수동적·능동적 관절 운 동과 더불어 보행이나 체중 부하를 통한 지속적인 노력과 훈련이 필요하다(원종임, 2012). 본 연구에서는 2주간 보 행 모드를 실시 하였을 때 걸음 길이, 보행 속도, 입각기 등이 개선되었다. 훈련기에 의한 보행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보행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주며 향후 환자 들이 치료를 받을 때 효과와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균형 능력과 보행 능력은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Bohannon & Leary, 1995). 보행 시 신체는 불안 정한 상태이고 넘어지지 않고 안정된 보행을 하려면 균형 을 잘 조절해야한다 (Hase & Stein, 1999). 선행 연구에서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보행 훈련 프로그램 적용 후 보행 중 균형 능력, 보행 속도, 보행 거리를 향상시켰다고 하였 으며 (Salbach et al, 2004) 본 연구의 결과도 보행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보행 능력과 균형 능력이 향상 되었다. 개발된 기기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보행훈련 시 균형의 증가로 안정적인 보행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환자의 통증은 일상생활을 하면서 느끼는 전반적인 신 체적 통증이 중재를 적용하였을 때 실험 전·후 크게 차이 가 없었다. 환자가 만성질환자라는 점, 또한 수술 전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운동을 실시하여 비슷한 상황의 다른 대 상자들에 비해 적응하였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추후 연구에서는 신경계 환자뿐만 아니라 무릎관절전 치환술과 같은 근골격계 환자에게도 적용되어 효과를 검 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보행모드 이외에도 지속적 수 동 운동부터 실시하여 기기 하나만으로 전반적인 재활을 할 수 있다는 것과 관련된 실험도 진행 되어야 할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후기뇌졸중 남성 생존자에게 상·하지 재 활훈련기인 ROBOGAT을 적용하여 보행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에 살펴보았다. 2주 동안 보행 모드를 실시하였을 때 보행속도가 증가, 걸음 길이가 증가하였으며 균형능력 역 시 개선되었다. 하지만 통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ROBOGAT은 후기뇌졸중 환자 에게 보행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만성질환자들 의 지속적인 적용은 긍정적인 보행 패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개발된 기기의 프로그램을 따라 다양한 환자들에게 적용시 효과적인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신경계 환자뿐만 아니라 무릎관절 전치환술 및 엉덩관절 전치환술 환자들에게도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할 것이다.

    감사의 글

    본 논문은 중소기업청 2019년 중소기업선도형기술혁신 전략과제지원사업 (No.Q1723392)과 고려대학교 학술지 원연구비(No.K1818381)의 연구수행으로 인한 결과물임.

    Figure

    Table

    신체적 특성

    보행 분석 결과

    TUG 분석 결과

    통증 분석 결과

    Reference

    1. 김용욱, 원종혁, &정보인 (2000). 기능적 전기자극이 뇌졸 중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지, 7(3), 72-80.
    2. 박진혁 (2013). 손 재활 로봇의 적용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로봇학회논문지, 8(4), 273-282.
    3. 성윤정, & 양영애 (2018). 상지 재활로봇 훈련이 뇌졸중 후 아탈구에 미치는 영향: 단일 대상 연구. 고령자·치 매작업치료학회지, 12(1), 55-61.
    4. 안창만, & 원종임 (2012). 만성 편마비 환자의 발목에 적용 한 능동운동을 동반한 관절가동술이 하지근력과 보행 의 시공간적 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 회지, 19(3), 20-30.
    5. 홍원진, 김용욱, 김종배, & 박지혁 (2018). 상지로봇치료가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팔뻗기 움직임에 미치는 단기 효과. 재활치료과학, 7(4), 79-91.
    6. Allen, J. A. , Kautz, S. A. , & Neptune, R. R. (2011). Step length asymmetry is epresentative of compensatory mechanisms used in post-stroke hemiparetic walking. Gait Posture, 33, 538–543.
    7. Arene, N. , & Hidler, J. (2009). Understanding motor impairment in the paretic lower limb after a stroke: A review of the literature. Top Stroke Rehabilitation, 16, 346–356.
    8. Bohannon, R. W. , & Leary, K. M. (1995). Standing balance and function over the course of acute rehabilita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6(11), 994-996.
    9. Campanini, A. M. , & Damiano, B. (2002). A method to differentiate the causes of stiff-knee gait in stroke patients. Gait Posture, 38, 165–169.
    10. Celine, T. , Melvyn, R. , Marielle, W. , et al. (2016). Walking adaptability therapy after stroke: 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BioMed Central, 17(1), 425.
    11. Cruz, T. H. , Lewek, M. D. , & Dhaher, Y. Y. (2009). Biomechanical impairments and gait adaptations post-stroke: Multi-factorial associations. Journal of Biomechanics, 42, 1673–1677.
    12. Davies, P. M. (2000). Steps to follow: the comprehensive treatment of patients with hemiplegia.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3. Duncan, P. W. , Propst, M. , & Nelson, S. G. (1983). Reliability of the Fugl-Meyer assessment of sensorimotor recovery following cerebrovascular accident. Physical Therapy, 63, 1606–1610.
    14. Folstein, M. F., Folstein, S. E., Mchugh, P. R. (1975).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2(3), 189-198.
    15. Hase, K. , & Stein, R. B. (1999). Turning strategies during human walking. Journal of Neurophysiology, 81(6), 2914-2922.
    16. Hesse, S. , Werner, C. , Uhlenbrock, D. , v Frankenberg, S. , Bardeleben, A. , & Brandl-Hesse, B. (2006). Hemiparetic stroke patients: Preliminary results. Phys Ther, 86, 1466–1478.
    17. Hidler, J. , Nichols, D. , Pelliccio, M. , Brady, K. , Campbell, D. D. , Kahn, J. H. , et al. (2009). Multicenter randomized clinical trial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Lokomat in subacute 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3, 5–13.
    18. Hornby, T. G. , Campbell, D. D. , Kahn, J. H. , Demott, T. , Moore, J. L. , & Roth, H. R. (2008). Enhanced gait-related improvements after therapist- versus robotic-assisted locomotor training in subjects with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Stroke, 39, 1786–1792.
    19. Horst, R. W. (2009). A bio-robotic leg orthosis for rehabilitation and mobility enhancement. Conference Proceedings of IEEE Engineering and Medicine Biological Society, Minneapolis, USA, 5030–5033.
    20. Husemann, B. , Muller, F. , Krewer, C. , Heller, S. , & Koenig, E. (2007). Effects of locomotion training with assistance of a robot-driven gait orthosis in hemiparetic patient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Stroke, 38, 349–354.
    21. Hyndman, D. , Ashburn, A. , & Stack, E. (2002). Fall events among people with stroke living in the community: circumstances of falls and characteristics of faller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3(2), 165-170.
    22. Kim, I. S. , Jeon, S. J. , Lee, G. C. , et al. (2013). Effects on balance a gait for chronic stroke patiens with side walking trai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Integrative Medicine, 1(1), 1-9.
    23. Mansfield, A. , Danells, C. J. , Zettel, J. L. , Black, S. E. , & McIlroy, W. E. (2013).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for standing balance of spontaneous weight-bearing on the paretic side among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Gait Posture, 38, 428–432.
    24. Mayr, A. , Kofler, M. , Quirbach, E. , Matzak, H. , Frohlich, K. , & Saltuari, L. (2007). Prospective, blinded, randomized crossover study of gait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using the Lokomat gait orthosis. Neurorehabil Neural Repair, 21, 307–314.
    25. Mehrholz, J. , Werner, C. , Kugler, J. , & Pohl, M. (2007). Electromechanicalassisted training for walking after stroke. Cochrane Database of Syst Rev, (Online), CD006185.
    26. Murphy, T. H. , & Corbett, D. (2009). Plasticity during stroke recovery: from synapse to behaviour. Nature Review Neuroscience, 10, 861–872.
    27. Nam, H. C. , & Cho, Y. H. (2010). The Effects of Extension Exercise Program in LBP Patients when Using Kinesio Taping.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9(4), 429-436.
    28. Page, S. J. , Levine, P. , Teepen, J. , & Hartman, E. C. (2008). Resistance-based, reciprocal upper and lower limb locomotor training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crossover study. Clinical Rehabilitation, 22(7), 610-617.
    29. Perry, J. , & Davids, J. R. (1992). Gait analysis: 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Journal of Pediatric Orthopaedics, 12(6), 815.
    30. Podsiadlo, D. , & Richardson, S. (1991). The timed “Up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39(2), 142-148.
    31. Salbach, N. M. , Mayo, N. E. , Wood-Dauphinee, S. , Hanley, J. A. , Richards, C. L. , & Cote, R. (2004). A task-orientated intervention enhances walking distance and speed in the first year post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18(5), 509-519.
    32. Sanford, J. Moreland, J. , Swanson, L. R. , Stratford, P. W. , & Gowland, C. (1993). Reliability of the Fugl-Meyer assessment for testing motor performance in patients following stroke. Physical Therapy, 73, 447–454.
    33. Sharp, S. A. , & Brouwer, B. J. (1997).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of the hemiparetic knee: effects on function and spasticit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8(11), 1231-1236.
    34. Skibeck, C. E. , Wade, D. T. , Hewer, R. L. , & Wood, V. A. (1983). Recovery after stroke. Journal of Neurol Neurosurgery Psychiatry, 46, 5-8.
    35. Tong, N. M. , & Li, R. (2008). A pilot study of randomized cinical controlled trial of gait training in sub-acute stroke patients with partial body weight support electromechanical gait trainer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l Six-month follow up. Storke, 39, 154-160.
    36. Verheyden, G. , Vereeck, L. , Truijen, S. , Troch, M. , Herregodts, I. , Lafosse, C. , ... & De Weerdt, W. (2006).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nd the relationship with balance, gait and functional ability. Clinical Rehabilitation, 20(5), 451-458.
    37. Wagner, D. R. , Tatsugawa, K. , Parker, D. , et al. (2007). Reliability and utility of a visual analog scale for the assessment of acute mountain sickness. High Altitude Medicine & Biology, 8, 27-31.
    38. Weerdesteyn, V. , de Niet, M. , van Duijnhoven, H. J. R. , et al. (2008). Falls in individuals with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5(8), 1195-1213.
    39. Werner, C. , Von Frankenberg, S. , Treig, T. , Konrad, M. , & Hesse, S. (2002). Treadmill training with partial body weight support and an electromechanical gait trainer for restoration of gait in subacute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rossover study. Stroke, 33, 2895–2901.
    40. Woollacott, M. H. , Shumway-Cook, A. , & Nashner, L. M. (1986). Aging and posture control: Changes in sensory organization and muscular coordin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23(2), 97-114.
    41. Yoo, C. M. , Woo, M. O. , & Yang Y. A. (2013). Effect that self exercise program gives to increase the functions of an acute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5(2), 47-53.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