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5 No.2 pp.1-10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19.15.2.01

The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Combined Lumbar Stability Exercise on the Muscle Activity and Jump Performance of the Soccer Player

Daejung Yang1, Yohan Uhm2*
1Sehan University,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2Kunjang University,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교신저자: 엄요한 (군장대학교 물리치료학과) E-mail: uhmyo112@naver.com
2019.10.22 2019.11.13 2019.12.20

Abstract

Purpose:

The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lumbar stability exercise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muscle activity and jump performance in soccer player.


Methods: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combined lumbar stability exercise have been implemented on 15 trainees and general lumbar stability exercise have been implemented on another 15 trainees for 30 minutes at 5 times per week during 8 weeks, and elector spinae, rectus abdominis, external abdominal obilique have been measured using to evaluate the muscle activity of the trunk. The counter movement jump, counter movement jump with arm swing have been measured using g-jump to measure the jump performance.


Results: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on the elector spinae, rectus abdominis, external abdominal obilique in the muscle activity of the trunk and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on counter movement jump, counter movement jump with arm swing in the jump performance(p<.05).


Conclusion:

Based on above, it is realized that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combined lumbar stability exercise is more effective than the general lumbar stability exercise on the improvement of the muscle activity of the trunk and the jump performance.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을 결합한 허리 안정화 운동이 축구선수의 몸통 근활성도와 점프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양 대중1, 엄 요한2*
1세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2군장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Ⅰ. 서 론

    축구라는 종목은 다른 스포츠와 다르게 뇌와 가장 멀리 떨어진 신체 부위인 발을 사용해 공을 다루어야 하는 스포 츠이며, 고도의 평형성, 순발력, 민첩성, 조정력 등의 여 러 체력적 요인들을 필요로 한다(Impellizzeri et al., 2008). 경기 중 선수들은 주로 고강도의 간헐적인 달리기 와 점프 그리고 순간적인 가속과 감속의 연속 동작을 반복 적으로 수행하게 되며, 다양한 체력 요소들을 골고루 갖 추어야 기량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Hoff, 2004). 순발 력은 움직임을 수행하는 속도에서 빠르게 힘을 발휘하는 능력으로 대부분의 스포츠 경기에서 경쟁자를 이기기 위 해서는 필수적인 체력 요소이다(Sandler, 2005).

    스포츠의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요소인 점프는 스포 츠 과학자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로 점프력 개 선에 관한 연구를 꾸준히 수행하고 있다(Prieske et al., 2017). 점프와 달리기는 대부분의 운동 종목에서 흔히 쓰이 는 동작이며, 이 두 동작을 포함하는 스포츠 훈련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Winnick et al., 2005). 점프능력은 경기의 승패나 기록을 좌⋅우할 만큼 중요한 요소이다(Stojanović et al., 2017). 점프는 기본적인 움직임으로 우리가 일상생 활에서의 움직임과 스포츠 활동에서 크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Bogdanis et al., 2017). 특히 점프 동작은 손이나 발에 의하여 생성된 자체의 힘이 지면으로부 터 작용할 때 생성되는 지면 반발력으로 사람의 몸을 공중으 로 띄우는 동작이다. 이러한 점프는 다양한 스포츠에 필요한 기본기술로 평가받고 있다(Barker et al., 2018). 점프능력은 다양한 스포츠 종목의 기본적인 요소로서 농구의 리바운드, 배구의 스파이크, 축구의 헤딩 등의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유영규 등, 2004). 수직 점프는 대표적인 기능적 수행력 검 사로서 다리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Brotzman & Manske, 2011). 점프와 관련된 평가는 축구 활동의 신체적 수행능력을 대표적으로 반영한다(Garstecki et al., 2004). 수직 점프는 역학적 특성에 따라 나뉘며, counter movement jump는 빠른 신장·단축 주기(fast stretch shortening cycle) 를, counter movement jump with arm swing은 느린 신장·단 축 주기(slow stretch shortening cycle)를 갖는다(Markovic, 2007). 근육의 신장·단축 주기 작용은 운동 수행력에 매우 중요하며, 전력-달리기와 점프 그리고 던지기와 킥과 같은 빠른 동작 시에 급격한 힘 발생의 속도와 더불어 성공적인 운동 수행력에 필수적인 요소로, 수직 점프 평가는 다리 근육의 폭발력 측정에 적합하다(Jakobsen et al., 2012;Markovic et al., 2004).

    일반적으로 축구선수들의 경기수행력 향상을 위한 다 양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고, 지금 까지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웨이트 트레이닝, 서킷 트레이닝 등이 대표적인 방법으로 시행되어왔다. 허리 안 정화 운동은 만성적인 허리 통증이나 척추 손상 후 치료와 선수의 운동 수행능력 향상 및 부상 예방을 위한 훈련에 보편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사용하게 되었다(Garstecki et al., 2004). 안정화란 사람이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관절에서 큰 또는 미세한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며 유연성, 협응력, 근력, 근지구력을 강화하여 기능적 움 직임을 수행할 때 동적 자세조절을 제공하기 위한 운동이 다(Akuthota et a., 2008). 허리 안정화 운동은 소근육과 대근육을 동시에 활성화시켜 미세손상이나 재발성 통증으 로부터 척추관절 구조들을 보호하기 위한 운동으로 이로 인하여 요통을 감소시키거나 기능장애를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Horsak et al., 2017). 몸통 근육을 활성화시켜 척 추의 안정성과 고유수용성 감각을 증진시키고 이를 통해 근육과 운동조절능력을 회복하기 위해 적용한다(McGill & Karpowicz, 2009). 동적인 동작에서 신체의 안정적인 움직 임을 위해서는 코어 근육들의 협응이 중요하게 작용하므 로, 움직임이 지속적으로 동원되는 선수들에게 있어 코어 근육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Omkar et al., 2009). 코어 근육은 척추에 가까운 깊은 근육으로 허리에 압력을 주는 기능을 하는 척주 주변을 둘러싼 근육으로서 엉덩관절과 발목관절의 동요를 포함하여 신체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 할을 제공하고 있다(Desai et al., 2010). 허리의 안정성 즉 코어 근육의 조절이 없다면 인체가 달리기나 점프를 하는 동안 몸을 추진하고자 할 때 다리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고, 달리기나 착지 시 부하를 받는 동안 골반과 다리의 원심성 조절을 할 수 없다(Brotzman & Manske, 2010).

    두피에 전류를 흘려 뇌 국소부위 신경원의 흥분성을 변화 시키는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은 적용방법이 간편하고, 선택적으로 대뇌피 질의 기능적인 변화를 유도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지속할 수 있으며, 전기장이 두피와 두개를 통과하여 대뇌피질의 흥분성을 조절함으로써 기능을 변화시키는 기전으로 다 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다(Wagner et al., 2007).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은 신체적 운동 수행능력 향 상뿐 아니라 의사소통, 기억력 향상, 만성 통증 조절, 우 울증 개선, 섬유 근육통, 암 통증 등 다양한 적용 분야에서 유의한 효과 보고되었다(Silva et al., 2007).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은 휴대성이 뛰어나고 안전하며 여타 비침습적 뇌 자극 장비에 비해 경제적이므로, 연구 또는 임상적인 치료를 목적으로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Schlaug et al., 2008).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은 일차 운동 겉질에 약한 전류를 주어 전기자극 시간, 강도를 이용하여 흥분성의 조절이 가능하며, 극성에 대한 흥분성의 변화도 보여준다 (Nowak et al., 2009). 최근에는 비침습적 대뇌피질 자극 을 보다 촉진시키기 위해 기능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훈련 과의 결합을 시도하고 있다(Nair et al., 2008). 환자나 운 동선수들이 스스로 착용하고 중재할 수 있는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 장비의 개발이 이루어져 체력 훈련과 재활운동 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장비들을 DIY tDCS(Do it your self tDCS)라고 부르고 있다(Edwards et al., 20170.

    김상우 (2017)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안정화 운동을 적 용하였을 때, 제자리멀리뛰기, 서전트 점프에 유의한 차이 가 있다고 하였고, 박양훈 (2014)은 중학교 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8주간의 코어트레이닝 결과 민첩성이 유의하 게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박완서 (2019)는 축구선수들 을 대상으로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을 적용하였을 때, 균형 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고, Kaminski et al. (2016)은 일차 운동 피질의 다리 부위에 적용한 결과 동적 균형능력이 향상되었음을 보고하였다. 이처럼 경두 개 직류 전기자극을 가만히 앉아있는 편안한 자세에서 중 재하는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축구선 수에게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을 결합한 안정화 운동이 점 프 수행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비교 분석하 여, 중재 방법에 대한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축구선수 들의 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는 목포 소재 대학교의 축구선수 30명을 대상으 로 허리에 병리 또는 수술이 없는 선수, 정형외과적으로 부상이나 이상이 없는 선수, 신경학적 병력이 없는 선수, 시각 및 청각에 의학적 문제가 없는 선수, 자발적 참여에 동의한 자로 선정하였다. 설정한 기준에 적합한 선수 30 명을 대상으로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을 결합한 안정화 운 동 그룹 15명, 안정화 운동 그룹 15명으로 무작위 배치하 였다. 실험군에게는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을 결합한 안정 화 운동을 30분 시행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일반적인 안정 화 운동을 30분 시행하였다. 실험군 15명과 대조군 15명 은 무작위 임의 선정되었으며,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 성은 Table 1과 같다.

    2. 측정도구 및 실험도구

    1) 몸통 근활성도 측정

    몸통의 근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MP100 표면 근전도 시스템(Biopac System Inc., California, USA)을 이용하 였고 여기에서 전환된 디지털 신호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Acqknowledge 3.91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자료 처리하였 다. 이극 표면 전극(bipolar electrode)을 측정하고자 하는 근육에 부착하였다. 신호의 표본추출률(sampling rate)은 1,024 Hz로 설정하였고, 잡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대역 여과 필터(notch filter) 60 Hz,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 30~500 Hz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신호는 root mean square (RMS) 처리를 하였다. 표면 근전도 신호에 대한 피부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부착 부위의 털을 제거하 고 가는 사포로 3∼4회 문질러 피부 각질층을 제거한 후, 소독용 알코올로 피부를 깨끗이 하였다. 각 근육들의 활동 전위를 표준화하기 위해 맨손 근력 검사 자세에서 최대 등 척성 수축 시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5초 동안 3번의 자료 값을 측정한 후 초기와 마지막 1초를 제외한 3초 동안 의 평균 근전도 신호량을 %MVIC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로 사용하였다. 측정 근육은 척추 세움근, 배곧은근, 배바깥빗근이다. 척추세움근은 이마면 과 시상면에서의 허리뼈 및 허리-골반 부위에서 지속적 인 수직 안정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배곧은근과 배바 깥빗근은 척추세움근의 당기는 힘에 대항하여 골반을 안 정화 시키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Neumann, 2013).

    2) 점프 수행력 측정

    점프 수행력 측정 장치인 G-jump(BTS bioengi neering, Italy)를 이용하였다. 특수 센서가 내장된 G-sensor를 피 험자의 허리뼈 5번 부위에 고정한 후 3축 가속도계, 3축 회전의, 3축 자력계를 통하여 위치, 방향 및 속도를 초당 200Hz로 감지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측정값은 G-studio 로 전송한 후 점프 수행력 알고리즘에 의해 분석하였다. 수직점프는 역학적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신장·단축 주 기를 갖는 counter movement jump와 counter movement jump with arm swing을 측정하였다. counter movement jump는 최초 기립 자세에서 허리에 손을 얹은 상태로 시 작하여 바닥에서 뛰어 오르기 전, 무릎을 구부려 하향 움 직임을 만들어낸 후 뛰어올랐으며, counter movement jump with arm swing은 같은 방법으로 수행되지만 팔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두었다. 측정은 총 3회 점프 시행 후 평균값을 제시하였고, 점프 높이를 분석하였다.

    3. 실험절차

    연구 대상자들은 일반적인 축구훈련을 받은 후, 부가적 으로 각각의 중재를 시행하였다. 중재는 8주간, 3회/1주, 30분/1일 동안 시행하였다. 실험군에게는 경두개 직류 전기 자극을 결합한 안정화 운동을 30분 시행하였고, 대조군에 게는 일반적인 안정화 운동을 30분 시행하였다. 경두개 직 류 전기자극을 결합한 안정화 운동을 위해 Halo sport(Halo Neuroscience, USA)을 사용하였다(Figure 1). Halo sport 는 잘 구부러지는 스펀지 형태의 전극으로 크기는 6.4×4.4 ㎝ 이며 28 ㎠의 영역이 자극된다.(Figure 2) 부착 부위는 10-20 국제 뇌파 검사시스템에 따라 1차 운동 영역(primary motor cortex)인 C3, C4, CZ부위에 자극하였다. 자극은 총 1회 20분 동안 2.0 ㎃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되었다. 전달 된 최대 전류 밀도는 0.071 ㎃/㎠ 였다(Tanaka et al., 2009). 허리 안정화 운동 프로토콜은 McGill et al. (2009) 의 연구를 바탕으로 bridge, Birddog, side-bridge, dead bug 운동으로 구성하였다(Figure 2, 3).

    4. 자료분석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은 Window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Shapiro-wilk를 실시하였고, 중재 방법에 따른 몸통 근활성 도와 점프 수행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을 실시하였다. 공분산분석에서 공변량은 근활성도와 점프 수행력으로 설정하였다. 그리 고 통계학적 유의 수준은 p=0.05로 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몸통 근활성도 비교

    그룹 간의 중재 전후 척추세움근 근활성도 비교에서 실 험군은 31.33±4.19 ㎶에서 40.62±5.01 ㎶로(p<.022), 배곧 은근 근활성도 비교에서 24.61±3.92 ㎶에서 35.87±4.65 ㎶로(p<.007), 배바깥빗근 근활성도 비교에서 27.71±3.98 ㎶에서 36.34±4.91 ㎶로(p<.018),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 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able 2).

    2. 점프 수행력 비교

    그룹 간의 중재 전후 counter movement jump 비교에서 실험군은 46.81±8.81 ㎝에서 52.85±5.88 ㎝로(p<.009), counter movement jump with arm swing에서 53.25± 5.34 ㎝에서 61.12±6.98 ㎝로(p<.011), 대조군과 비교하 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able 3).

    Ⅳ. 고 찰

    축구는 고도의 민첩성, 순발력, 평형성, 근력, 체력 등 의 요인이 드리블이나 킥, 헤딩, 슈팅 등의 기술습득 과정 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이준희, 2016). 운동 수행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근력, 유연성, 관절가동범위, 운동제어능력, 허리의 안정성, 고유수용성 감각 능력 등 이 유기적으로 작용해야 한다(이경우, 2005). 몸통의 근 력약화 및 불균형은 무릎관절을 중심으로 발휘되는 근육 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고, 경기력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다리의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 는 허리 안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고하였다(김제호, 2010). 허리의 안정화를 유지하는 몸통과 척추 주변 근육 을 단련시키게 되면 허리 주위와 몸통의 중심에 기인하 여, 신체 균형 유지와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Brill & Couzens, 2001). 척추와 복부 주위의 근육들의 안정성은 균형적인 움직임을 위해 필수적이다(Barr et al., 2005).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은 일차 운동 겉질 영역에 전류를 주어 흥분성의 조절이 가능하며, 운동피질의 흥분성에 영 향을 미쳐 운동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다고 보 고하였다(Nowak et al., 2009).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 축 구선수들에게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을 결합한 허리 안정 화 운동이 몸통 근활성도와 점프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그 효과를 구명함 으로서 다양한 감각 훈련을 통해 기존의 축구선수들에게 보다 더 나은 훈련의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안정화 운동은 허리의 안정성에 관여하는 근육의 발달 을 통하여 만성 요통을 치료하고자 실시하는 능동적인 운 동이다. 이 운동을 통하여 배곧은근, 배바깥빗근, 배속빗 근의 발달과 조절을 통해 복강 내압을 강화함으로써 복압 을 증가시켜 복부의 내부장기를 지지하고 보호하며 신체 의 안정성을 높여준다고 보고하였다(김진산 등, 2005). Mori (2004)는 건강한 성인 11명을 대상으로 6주간의 허 리 안정화 운동을 실시한 결과에서 배와 허리의 근활성도 에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고, 김광준 & 정진욱 (2009)는 남 자대학생 골프선수 13명을 대상으로 10주간 허리 안정화 운동을 실시한 결과, 몸통 근력의 유의한 향상을 보고하였 다. Souza et al. (2001)은 건강한 일반인 12명을 대상으로 네발기기 자세에서 팔과 다리를 교대로 움직이는 허리 안 정화 운동 중재한 연구에서 배곧은근과 배바깥빗근 근활 성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같은 쪽 팔 과 반대쪽 다리를 든 네발기기 운동 시, 배가로근과 배곧 은근의 근활성도가 향상된다고 보고하였다(Bjerkefors et al., 20100. 본 연구에서도 팔과 다리를 교대로 움직이는 허리 안정화 운동을 중재한 결과 배곧은근과 베바깥빗근 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뇌졸중 환자의 병변쪽 대뇌피 질의 다리 운동영역에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을 중재 후 무릎 폄근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고 보고하였고(김영욱, 2013), Tanaka et al. (2011)은 만성 편마비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을 병변쪽 대뇌피질 다리 운동영역에 자극하였을 때 가짜 자극을 주었을 때에 비해 병변쪽 무릎관절 폄 근력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경 두개 직류 전기자극을 일차 운동영역에 시행하였을 때, 대 뇌 피질의 일차 운동영역의 활성도가 증가됨과 동시에 운 동 기능이 회복된다고 보고하였다(Rocca & Filippi, 2006). 고운 등(2018)은 일반인 18명을 대상으로 경두개 직류 전 기자극을 중재한 실험군과 허위 자극을 중재한 대조군을 비교한 연구에서 경두개 직류 자극을 중재한 실험군이 대 조군과 비교하여 근수축 반응 시간이 단축되고 사이드 스 텝과 버피 테스트에서의 횟수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도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을 중재한 그룹에서 근활성도와 점프 수행력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이는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이 운동과 관련된 대뇌 겉질 흥분성 에 영향을 미쳐 운동 피질 영역이 활성화되어 근수축 속도 와 반사 속도를 높여 근활성도를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 쳤을 것으로 생각한다. Kim et al. (2010)은 정상인 남녀 24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연구에서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 이 운동 수행력에 유의한 영향이 있다고 하였다.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은 적용은 뇌신경 탈분극의 방법으로 뇌신 경의 수의적인 신경원 활동에 영향을 주어 뇌의 기능을 구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신체의 수행능력에 영향 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Berlim et al., 2009).

    박완서 (2018)는 축구선수 15명을 대상으로 감각훈련을 적용한 그룹과 감각훈련과 함께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 적 용한 그룹을 비교 분석할 결과, 감각훈련과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을 적용한 그룹이 감각훈련을 적용한 그룹에 비 해 동적 균형능력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 다. 본 연구에서도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을 적용한 그룹 에서 점프 수행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비록 선행 연 구에서 동적 균형 능력을 측정한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점프 수행 능력을 측정하였으나, 균형 능력과 근육의 빠 른 근력 출력 및 힘 발생 사이에서 높은 상관성을 가지므 로(Gruber et al., 2007), 이는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 연 구와 일한다고 볼 수 있다. Salles et al. (2011)은 점프 시 근육 파워는 주로 종아리에서 발생하며, 최대 점프를 위 한 기계적 에너지는 대부분 허벅지와 엉덩이 근육에서 발 생한다고 보고하였다. Madhavan et al. (2011)에 의하면 뇌졸중에 의한 반신마비 환자에게서도 병변측 대뇌피질 을 자극하였을 때, 마비쪽 다리의 운동능력이 향상된다고 보고하였고, 김영욱 (2013)은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 11명 에게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 치료를 병변 쪽의 다리 대뇌피 질 영역에 시행한 결과 무릎관절 등척성 폄 근력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하였다. Furubayashi 등(2008) 은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이 일차운동영역을 자극하면 피 질척수로의 신경세포 흥분성을 촉진시켜 근육 활동을 일 으킨다고 보고하였다. Tanaka et al. (2009)은 경두개 직 류 전기자극을 건강한 성인 10명에게 중재한 결과, 다리 의 발가락 근력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Ghanim et al. (2009)은 정상인에게 서기에서 앉기 동작 시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을 중재한 결과, 장딴지근의 근활성도의 증가를 보고하였다.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과 다른 운동 학습을 병행하였을 때, 대뇌피질의 활성도를 증가시키고 운동 기 능을 향상시킨다고 보고하였다(Schlaug et al., 2008). Nitsche et al. (2008)은 연구에서는 효과적이고 선택적인 피질 영역의 자극을 위해 정상인에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 의 적용 시, 전 운동피질 영역의 활성화가 증가된다고 보 고하였으며, 이러한 증가는 손 운동영역뿐만 아니라 다리 영역에서도 활성화가 증가 된다고 보고하였다. 선행 연구 에서는 다리의 근활성도를 측정하고 본 연구에서는 점프 수행력을 측정하였지만, 수직 점프 평가는 이러한 다리 근육의 폭발력 측정에 적합하다고 하였고, 수직점프는 대 표적인 기능적 수행력 검사로써 다리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고 보고하였다(Brotzman & Manske, 2011;Markovic et al., 2004) 본 연구에서는 경두개 직류 전기자 극이 대뇌피질의 다리 영역을 활성화시키고, 이로 인해 다 리 근활성도에 영향을 미쳐 점프 수행력에 긍정적인 효과 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연구 대상자의 지역적 제한으로 모든 축구선수를 일반화하기 어려웠고, 대상자들의 일상생활 통제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여러 종목의 엘리트 운동선수 들에게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을 이용한 다양한 중재가 근 활성도와 운동 수행 능력에 대한 연구를 실시해 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을 결합한 안정화 운동을 8주간 실시한 후 몸통의 근활성도와 점프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 여,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을 결합한 안정화 운동의 효과 를 알아보았다. 척추세움근, 배곧은근, 배바깥빗근의 근활 성도 값의 분석을 통하여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을 결합한 안정화 운동이 일반적인 안정화 운동보다 근활성도를 증 가시키기 위해 더 효과적임을 증명하였다. 또한 counter movement jump와 counter movement jump with arm swing 검사를 통하여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을 결합한 안 정화 운동이 일반적인 안정화 운동보다 점프 수행력을 증 가시키기 위해 더 효과적임을 증명하였다. 그러므로 경두 개 직류 전기자극을 결합한 안정화 운동이 일반적인 안정 화 운동보다 근활성도와 점프 수행력의 능력을 향상시키 는 것으로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는 축구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임상적 근거 자료로 제공하자고 한다.

    감사의 글

    본 논문은 2019학년도 세한대학교 교내연구비의 지원 에 의해 이루어졌음.

    Figure

    AOSPT-15-2-1_F1.gi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Halo sports)

    AOSPT-15-2-1_F2.gi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Halo sports)

    AOSPT-15-2-1_F3.gif

    Lumbar stability exercise

    Tabl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30)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between groups

    Comparison of jump performance between groups

    Reference

    1. 고운, 두영택, 이정우 (2018). 경두개직류자극이 정상 성 인의 하지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J Health Info Stat, 43(3), 231-236.
    2. 김광준, & 정진욱 (2009). 10주간 코어 재활 트레이닝이 요통 유발 골프선수의 유연성, 등속성 근력. 경기수 행력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18, 115-124.
    3. 김상우 (2017). 코어 밸런스 운동이 고등학생의 균형 및 도약능 력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4. 김영욱 (2013). 뇌졸중 편마비 환자에서 경두개 직류전류자극 이 하지근력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충남 대학교 대학원).
    5. 김제호 (2010). 동적 요부 안정화 운동이 축구선수의 근활성도와 균형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대불대학교 대학원).
    6. 김진산, 이창현, & 조미주 (2005). 만성요통환자의 복부 심부근과 표재근을 중심으로 한 운동 효과 비교. 대한 정형도수치료학회지, 11(1), 5-6.
    7. 박양훈 (2014). 코어트레이닝이 중학교 남자 축구선수의 체력 및 슈팅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충북대 학교 대학원).
    8. 박완서 (2018). 감각운동훈련과 경두개직류전류자극이 축구선 수의 균형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석사학위논문, 동신 대학교 대학원).
    9. 유영규, 송원석, & 정연성 (2004). 6주간 복합트레이닝이 농구선수의 근 파워와 최대 근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 체육학회지, 44(2), 405-414.
    10. 이경우 (2005). 청소년 축구선수들의 운동 상해 유형에 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대학원).
    11. 이준희 (2016). 코디네이션 훈련이 유소년 축구선수들의 체력 과 축구기술 능력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신한대 학교 대학원).
    12. Akuthota, V. , Ferreiro, A. , & Moore, T. (2008). Core stability exercise principles. Curr Sports Med Rep, 7(1), 39-44.
    13. Barker, L. A. , Harry, J. R. , & Mercer, J. A. (2018). Relationships Between Counter movement Jump Ground Reaction Forces and Jump Height, Reactive Strength Index, and Jump Time. J Strength Cond Res, 32(1), 248-254.
    14. Barr, K. P. , Griggs, M. , & Cadby, T. (2005). Lumbar stabilization: Core concepts and current literature, part 1.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84(6), 473-480.
    15. Berlim, M. T. , Neto, V. D. , & Turecki, G. (2009). Transcranial directcurrent stimulation: A promising alternative for thetreatment of major depression? Rev Brasil Psiqui, 31, 34-38.
    16. Bjerkefors, A. , Ekblom, M. M. , & Josefsson, K. (2010). Deep and superficial abdominal muscle activation during trunk stabilization exercises with and without instruction to hollow. Manual Therapy, 15(5), 502-507.
    17. Bogdanis, G. C. , Tsoukos, A. , & Veligekas, P. (2017) Improvement of Long-Jump Performance During Competition Using a Plyometric Exercise. Int J Sports Physiol Perform, 12(2), 235-240.
    18. Brill, P. W. , & Couzens, G. S. (2001). The Core Program(1st ed). New York:Bantam Books.
    19. Brotzman, S. B. , & Manske, R. C. (2011). Clinical Orthopaedic rehabilitation: an evidence based approch (3rd ed). Philadelphia:Elsevier Mosby.
    20. Desai, I. , & Marshall, W. M. P. (2010). Acute effect of labile surfaces during core stability exercises in people with and without low back pain. J Electromyogr Kinesiol, 20, 155–1162.
    21. Edwards, D. J. , Cortes, M. , & Wortman-Jutt, S. (2017).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Sports Performance. Front Hum Neurosci, 11(243).
    22. Furubayashi, T. , Terao, Y. . & Arai, N. (2008). Short and long duration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ver the human hand motor area. Exp Brain Res, 185(2), 279-286.
    23. Garstecki, M. A. , Latin, R. W. , & Cuppett, M. M. (2004). Comparison of selected physical fitness and performance variables between NCAA Division I and II football players.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18(2), 292-297.
    24. Ghanim, Z. , Lamy, J. C. , & Lackmy, A. (2009). Effects of galvanic mastoid stimulation inseated human subjects. J ApplPhysiol, 106(3), 893-903.
    25. Gruber, M. , Gruber, S. B. , & Taube, W. (2007). Differential effects of ballistic versus sensorimotor training on rate of force development and neural activation in humans.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21(1), 274-282.
    26. Hoff, J. (2004). Endurance and strength training for soccer players: Physiological considerations. Sports Med, 34(3),165-180.
    27. Horsak, B. , Wunsch, R. , & Bernhart, P. (2017). Trunk muscle activation levels during eight stabilization exercises used in the functional kinetics concept: A controlled laboratory study. J Back Musculoskelet Rehabil, 30(3), 497-508.
    28. Impellizzeri, F. M. , Rampinini, E. , & Maffiuletti, N. A. (2008). Effects of aerobic training on the exerciseinduced decline in short-passing ability in junior soccer players. Applied Physiology Nutrition and Metabolism, 33(6), 1192-1198.
    29. Jakobsen, M. D. , Sundstrup, E. , & Randers, M. B. (2012). The effect of strength training, recreational soccer and running exercise on stretch–shortening cycle muscle performance during countermovement jumping. Human movement science, 31(4), 970-986.
    30. Kaminski, E. , Steele, C. J. , & Hoff, M. (2016).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tDCS) over primary motor cortex leg area promotes dynamic balance task performance. Clinical neurophysiology, 127(6), 2455-2462.
    31. Kim, C. S. , Nam, S. H. , & Cho, I. S. (2010). The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Motor Performance of Serial Reaction Time Task. J Kor Soc Phys Ther, 22(5), 103-108.
    32. Madhavan, S. , Weber, K. A. , & Stinear, J. W. (2011). Non-invasive brainstimulation enhances fine motor control of the hemiparetic ankle:implications for rehabilitation. Exp Brain Res, 209(1), 9-17.
    33. Markovic, G. (2007). Does plyometric training improve vertical jump height? A meta-analytical review.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41(6), 349-355.
    34. Markovic, G. , Dizdar, D. , & Jukic, I. (2004). Reliability and factorial validity of squat and countermovement jump tests.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18(3), 551-555.
    35. McGill, S. M. , & Karpowicz, A. (2009). Exercises for spine stabilization: Motion/motor patterns, stability progressions, and clinical techniqu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0(1), 118-126.
    36. Mori, A. (2004).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selected trunk muscles during stabilization exercises using a gym ball. Electromyogr Clin Neurophysiol, 44, 57-64.
    37. Nair, D. , Renga, V. , & Hamelin, S. (2008). Improving motor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using simulatenous occupation therapy and tDCS. Stroke, 39(2), 542.
    38. Neumann, D. A. (2013).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foundations for rehabilitation. Elsevier Health Sciences.
    39. Nitsche, M. A. , Cohen, L. G. , & Wasermann, E. M. (2008). Transcranial directcurent stimulation: State of the art. Brain Stimul, 1(3), 206-212.
    40. Nowak, D. A. , Grefkes, C. , & Ameli, M. (2009). Interhemispheric competition after stroke: brain stimulation to enhance recovery of function of the affected hand. Neuro rehabil Neural Repair, 23(7), 641-656.
    41. Omkar, S. N. , Vishwas, S. , & Tech, B. (2009). Yoga techniques as ameans of core stability training. Journal of Bodywork and Movement Therapies, 13(1), 98-103.
    42. Prieske, O. , Demps, M. , & Lesinski, M. (2017). Combined Effects of Fatigue and Surface Instability on Jump Biomechanics in Elite Athletes. Int J Sports Med, 38(10), 781-790.
    43. Rocca, M. A. , & Filippi, M. (2006). Functional mri to study brain plasticity in clinical neurology. Neurol Sci, 27(Suppl 1), 24-26.
    44. Salles, A. S. , Baltzopoulos, V. , & Rittweger, J. (2011). Differential effects of countermovement magnitude and volitional effort on vertical jumping.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11(3), 441-448.
    45. Sandler, D. (2005). Sports power. United States: Human Kinetics,.
    46. Schlaug, G. , & Renga, V. (2008).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 noninvasive tool to facilitate stroke recorvery. Expert Review of Medical Devices, 5(6), 759.
    47. Silva, G. , Miksad, R. , & Freedman, S. D. (2007). Treatment of cancer of pain with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34(4), 342-345.
    48. Souza, G. M. , Backer, L. L. , & Powers, C. M. (2001).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selected trunk muscles during spine stabilization exercises. Arch Phys Med Rehabil, 82(11), 1551-1557.
    49. Stojanović, E. , Ristić, V. , & McMaster, D. T. (2017). Effect of Plyometric Training on Vertical Jump Performance in Female Athl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ports Med, 47(5), 975-986.
    50. Tanaka, S. , Hanakawa, T. , & Honda, M. (2009). Enhancement of pinch force in the lower leg by anod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Exp Brain Res, 196, 459-465.
    51. Wagner, T. , Fregni, F. , & Fecteau, S. (2007).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 computer-based human model study. Neurolmage, 35(3), 1113-1124.
    52. Winnick, J. J. , Davis, J. M. , & Welsh, R. S. (2005). Carbohydrate feedings duringteam sport exercise preserve physical and CNS function. Med Sci Sports Exerc, 37(2), 306-315.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