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4 No.2 pp.45-53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18.14.2.06

Effects of Muscle Activity and Muscle Strength According to Verbal Command Volume in Isokinetic and Isometric Exercise of Quadriceps

Lee Hyoungsoo1, Kim Yoonhwan2*
1Dep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University
2Dept. of Physical Therapy, Gwangyang Health Sciences University
교신저자: 김윤환 (광양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E-mail: sc3002@hanmail.net
November 7, 2018 December 18, 2018 December 26, 2018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scle activity and muscle strength according to verbal command volume during isokinetic and isometric quadricep exercises.


Methods:

To measure muscle activity and muscle strength, surface electrodes were attached to the participants, as they sat on a Biodex chair. The isometric exercise was performed three times, with maximum exercise at 30° bending angle, based on a maximum extension state of the knee at 0°. The average holding time was unified to three seconds. In addition, the isokinetic exercise was performed three times, at 60°/sec. The verbal command ranged between 0∽60 dB and 0∽75 dB.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4D-MT, Relive, Gimhae, Korea). The Biodex System 4 was used to measure the isometric and isokinetic strength of the nodal line, and 4D-MT was used to measure muscle activity.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maximal and relative muscle strengths, when the 0∽ 60 dB and 0∽75 dB verbal commands were applied with isokinetic extension/flexion (p<.05). The isokinetic exercise (0∽75 dB)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stus medialis oblique muscle activity change (p<.05), while the isometric exercise (0∽75 dB)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ctus femoris muscle activity change (p<.05).


Conclusions:

Our results reveal that verbal commands effectively improve muscle activity and muscle strength during isokinetic and isometric quadricep exercises.



넙다리네갈래근의 등속성 및 등척성 운동에서 구두명령 크기에 따른 근 활성도와 근력에 미치는 영향

이 형수1, 김 윤환2*
1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2광양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초록


    Ⅰ. 서 론

    무릎관절은 체중부하관절로서 인체활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관절중 하나이다(Messier,2000). 일상생활속에서 앉았다 일어서기, 보행, 계단 오르내 리기 등과 같은 움직임으로 굽힘과 폄이 빈번하게 일 어나는 무릎관절은 마모와 손상 또한 잦아 퇴행성 무 릎 관절염(degenerative knee joint arthritis)을 비롯한 여러 질환이 발생(장준섭, 1993)할 수 있어 무릎관절의 기능 회복과 안정성 및 주변 근육과 인대의 강화 운동 이 강조된다(김계엽 등, 2010).

    임상에서 무릎관절 재활훈련 프로그램 초기에는 관절 의 가동 범위가 제한되므로 부분적인 근력강화운동을 시행하고 있다(김호성, 2001).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 강화를 위한 운동 형태는 등척성 운동, 등장성 운동, 등속 성 운동 등이 있다. 이 중 근력뿐 아니라 근 기능 향상에는 등장성 운동이나 등척성 운동보다 등속성 운동이 더 큰 효과가 있으며 근 수행능력을 측정하는 데 가장 객관적 이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한상완 등, 2010).

    치료사의 구두명령(verbal command)은 환자에게 어 떤 운동을 해야 하고, 언제 운동을 해야 하는지를 알려 준다. 구두명령은 간결하고 명확하게 하는 것이 바람 직하며, 원하는 운동을 가르치기 위해 수동 운동과 결 합되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구두명령은 환자의 반응 을 조정 즉, 운동과 근수축의 시작을 유도하고 환자가 움직임을 수정하면서 정확하게 수행하는 것이 매우 중 요하다(권미지 등, 2018). Andreacci 등(2002)의 연구 에서는 청각적 격려가 고강도의 운동을 수행할 때 운 동을 수행하는 주체가 최대근력을 내고 유지할 수 있 도록 도우며, 장시간 동안 운동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한다. 청각적 격려를 적용시킨 경우에 주어지지 않은 경우보다 운동시간과 최대자각 운동강도 변수가 유의 하게 증가한다고 하였다(Andreacci 등, 2002). Charity 등(1983)의 연구에서도 큰 소리의 구두명령에서 더 강 한 등척 수축이 발현되었다고 한다. 이 치료과정에서 구두명령의 자극은 운동학습 과정을 촉진하고 환자에 게 복잡한 기술을 습득하도록 하여 운동의 목적을 달 성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Magill, 2004). 이와 같이 치료과정에서 물리치료사가 환자에게 다양한 크기의 소리와 구두명령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할 때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치료과정 중 구두 명령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임상에서 물리치료사는 환자의 수의적 근수축을 증 가시키기 위해 촉각, 고유수용성감각, 시각, 청각적인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기도 한다(신길수 등, 1999). 치료사의 구두명령은 훌륭한 가치가 있는 치료적 도구 가 될 수 있다. 향상된 인식과 조화로운 치료사의 목소 리는 도수근력검사(Manual Muscle Test)와 같은 정확 한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Charity 등, 1983). 하지만 운 동수행능력의 측정에서 소리나 구두 명령을 붙여주는 것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이며, 구두명 령의 크기에 따른 근력과 근 활성도에 대한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료사가 환자의 운동수행능력측정 에서 동기부여 차원에서 제공하는 구두명령의 크기에 따 라 넙다리네갈래근의 등속성 운동, 등척성 운동에서 나타 나는 근활성도와 근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OO대학교에 재학 중인 20대 남, 여 대학생 25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고,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2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대상자는 무작 위로 0∽60㏈군 10명, 0∽75㏈군 10명으로 구분하여 실험을 적용하였다. 실험 최소 24시간 전 실험에 영향 을 미칠 수 있는 심한 운동과 청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에 노출되지 않게 교육하였다(지홍주, 2015). 또한, 대상자의 선정 조건은 오른발이 우세한 자, 무릎 관절의 기능학적 부전이 없고 통증이 없는 자, 청각장 애가 없는 자, 최근 6개월 간 다리에 정형외과적, 신경 외과적 질환이나 병력이 없는 자, 실험내용을 이해하 고 수행하는데 무리가 없는 자로 하였다.

    2.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 20명을 각각 10명씩 무작위로 0∽60㏈ 군과 0∽75㏈군으로 배치하여 평가 순서 및 우세측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좌우측 넙다리네갈래근에 측정 근육의 순서는 무작위로 하여 각각 3회 실시하였 다. 검사 측정 전 갑작스런 운동으로 근 경련이 일어나 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간단한 스트레칭(오른발, 왼 발 각각 다리 눌러 펴기 10회, 앉았다 일어서기 10회)을 실시하였다(지홍주, 2015;Weerapong 등, 2004). 대상 자의 넙다리네갈래근에 근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표면 전극을 부착한 다음 Biodex 의자에 위치시켰다.

    1) 구두명령 지시

    구두명령은 0∽60㏈군은 0㏈에서 60㏈로, 0∽75㏈ 군은 0㏈에서 75㏈로 각각 제공하였고, 대사는 “자, 준 비. 무릎을 펴세요. 더 더 힘껏.”으로 녹음하였다. 이 음성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스마트폰(아이폰7, Apple, USA)과 블루투스 스피커(JBL GO, JBL, CHINA)를 연결 하여 데시벨 측정 장비(GM-1351, BENETECH, CHINA) 를 사용해 피험자에게 제공할 데시벨 값에 맞췄다. 스 피커와 피험자사이의 거리는 대략 1m이고 높이는 귀의 위치에 동일선상에서 제공하였다.

    2) 등척성 운동

    등척성 운동은 0°를 무릎의 최대 폄 상태를 기준으 로 하여 30° 굽힘 각도에서 최대 근력으로 운동을 각 3회씩 시행하고 평균 유지 시간은 3초로 통일하였다. 운동 후 측정 부위의 근 피로를 줄이기 위해 Velcro Strap을 풀고, 5분 동안의 충분한 휴식을 가진 뒤 등척 성 운동을 실시하였다.

    3) 등속성 운동

    등속성 운동 또한 등척성 운동과 같이 넙다리네갈래 근에 전극을 부착한 후 60°/sec에서 3회 시행한다. 이 때, 운동 중 발생 할 수 있는 근 피로감, 반복학습의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하루씩 데시벨에 따른 등속성, 등척성 운동을 각 3회씩 3일에 걸쳐 진행한다.

    3. 측정도구 및 실험도구

    1) 근 활성도 측정

    근전도는 4D-MT(Relive, Gimhae, Korea)를 사용하여 넙다리네갈래근의 근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피험자 우측 안쪽넓은근, 넙다리곧은근, 가쪽넓은근에 표면 전 극을 부착하였다. 근전도 측정 장비와 컴퓨터를 연결한 후 Myolab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피험자의 프로토콜을 설정하였다. 근전도 측정 시 전극을 부착하기 전에 피부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피험자의 전극 부착 부위의 피 부에 있는 털을 제거하고 에틸알코올 솜으로 깨끗이 닦 아내어 표면전극을 근육의 이는 곳과 닿는 곳의 가장 발달된 부위인 근복에 부착하였다(김은영 등, 2010). 근 전도의 전극은 1회용 전극인 Ag-Agcl (3M, korea)을 사 용하였고, +나 -극 상관없이 한 채널 내 두 전극의 간격 을 2㎝로 유지하게 하였다(Cowan 등, 2001). 근전도의 전극 부착 위치는 SENIAM(Surface lectomyography for the Non-Invasive Assessment of Muscles)이 제시한 부 위에 부착하였다. 안쪽넓은근은 위앞엉덩뼈가시(Anterior spina iliaca Superior, ASIS)와 안쪽곁인대 전면부의 80% 부위에 전극을 부착하였다. 넙다리곧은근은 위앞엉 덩뼈가시와 무릎뼈 위쪽면의 50%(9∼16㎝) 지점에 전극 을 부착하였고, 가쪽넓은근은 위앞엉덩뼈가시와 무릎뼈 가쪽면 사이의 2/3(6∼8㎝) 지점에 전극을 부착하였다 (Hermens 등, 2000;Cowan 등, 2001)(Figure 1).

    근전도의 측정단위는 ㎶로 기록하였다. 근전도 신호 의 주파수 범위는 신호의 98%를 허용하는 20~500㎐의 조건으로 설정하였다(Cram 등, 1998). 구두명령에 따 른 등속성과 등척성 측정한 결과를 수집된 근전도 신 호 데이터는 등속성 운동시 실효평균값(Root Mean Square, RMS), 등척성 운동시 최대 수의적 등척 수축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으 로 처리하여 분석하였다(이귀열, 2010; 지홍주 2015).

    2) 근력 측정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 측정을 위해 Biodex System 4 (Biodex medical systems, USA)를 사용하였으며, 대 상자를 Biodex 측정 장비 의자에 위치시킨 후 다이나모 메타(dynamometer) 회전축과 무릎 관절의 중심점이 일치하도록 테이블과 등받이를 이용하여 조정하였다. 그리고 폄 및 굽힘 운동 시 보상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다리를 제외한 다른 신체부위가 골반 및 운동에 외적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상체와 골반을 고정시켰다. 근 력발휘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강이 길이와 조정축의 길이를 조정하여 Velcro Strap으로 발목관절 2㎝ 위인 지점을 묶어 폄 및 굽힘 운동을 부하속도별로 실시하였다(지홍주, 2015)(Figure 2).

    등속성 운동 시 부하속도는 근력측정을 위한 전형적 인 부하속도인 60°/sec를 사용하였다. 피험자는 무릎 관절 중심으로 0°에서 60°로 움직이도록 하여 무릎관 절을 중심으로 폄 운동을 실시한다.

    등척성 운동은 등속성 운동과 같은 방법으로 준비 운동과 운동 사이 휴식시간을 제공하였으며 30° 각도 로 굽힘 시킨 상태에서 최대 근력으로 등척성 수축을 3초간 유지하였다. 넙다리네갈래근의 데시벨에 따른 최대근력과 상대근력은 Biodex System 4를 통해 자동 산출되었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의 모든 작업과 통계는 SPSS/Window(21.0 version)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통계처 리하였다. 군내의 데시벨 크기에 따른 넙다리네갈래근 의 근력, 근 활성도를 비교하기 위해 비모수 검정 중 Wilcox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고, 데시벨 크기에 따른 두 군 간의 근 활성도와 균형능력의 변화를 비교하 기 위해 비모수 검정 중 Mann-Whitney U Tests를 실시 하였다. 모든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α=.05로 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0∽60dB 군의 평균 연령은 21.70±1.63세, 평균 신장 은 167.01±10.94cm, 평균 체중은 60.94±11.74kg이였 으며, 0∽75dB 군의 평균 연령은 21.60±1.71세, 평균 신장은 166.96±7.72cm, 평균 체중은 62.88±12.67kg 이였다(Table 1)(p>.05).

    2. 등속성 운동에서 근활성도 전·후 비교

    등속성 운동의 0∽60dB 군에서 넙다리네갈래근의 근 활성도 변화에 대한 비교는 넙다리곧은근, 안쪽넓 은빗근, 가쪽넓은근의 근 활성도는 증가하였으나, 근 활성도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5). 등속성 운동의 0∽75dB 군에서 넙다리네갈래 근의 근 활성도 변화에 대한 비교는 넙다리곧은근, 안 쪽넓은빗근, 가쪽넓은근의 근 활성도는 증가하였으나, 안쪽넓은빗근의 근 활성도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넙다리곧은근과 가쪽넓은 근의 근 활성도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Table 2).

    3. 등척성 운동에서 근활성도 전·후 비교

    등척성 운동의 0∽60dB 군에서 넙다리네갈래근의 근 활성도 변화에 대한 비교는 넙다리곧은근, 안쪽넓은빗 근, 가쪽넓은근의 근 활성도는 증가하였으나, 근 활성 도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등척성 운동의 0∽75dB 군에서 넙다리네갈래근의 근 활성도 변화에 대한 비교는 넙다리곧은근, 안쪽넓은빗 근의 근 활성도는 증가하였으나, 가쪽넓은근의 근 활성 도는 증가하지 않았다. 넙다리곧은근의 근 활성도 변화 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안쪽 넓은빗근과 가쪽넓은근의 근 활성도 변화는 통계학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Table 3).

    4. 넙다리네갈래근의 최대근력 전·후 비교

    0∽60dB 군과 0∽75dB 군에서 넙다리네갈래근의 최 대근력의 변화에 대한 전·후 비교는 등속성 폄・굽힘 에서 최대근력은 증가하였으며, 최대근력의 변화는 통 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등척성 폄 에서 최대근력은 증가하였으나, 최대근력의 변화는 통 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Table 4).

    5. 넙다리네갈래근의 상대근력 전·후 비교

    0∽60dB 군에서 넙다리네갈래근의 상대근력의 변화 에 대한 비교는 등속성 폄, 굽힘, 등척성 폄에서 상대 근력은 증가하였으나, 상대근력의 변화는 통계학적 유 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0∽75dB 군에서 넙다리곧 은근의 상대근력의 변화에 대한 비교는 등속성 폄, 등 척성 폄에서 상대근력은 증가하였으며, 상대근력의 변 화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등척성 폄에서 최 대근력은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Table 5).

    6. 구두명령의 크기에 따른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과 근 활성도의 군간 비교

    구두명령의 크기에 따른 넙다리네갈래근의 최대근 력과 상대근력은 차이가 있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P>.05). 등속성 운동과 등척성 운동 에서 구두명령의 크기에 따른 넙다리네갈래근의 근 활 성도는 차이가 있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Table 6).

    Ⅳ. 고 찰

    일상생활에서 말은 사람에게 고통을 주기도 하고 기 쁨을 주기도 하며, 일상생활에 존재하는 여러 종류의 소리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신체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소리의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는 데시 벨(㏈)로 표시하며 우리가 나누는 대화는 보통 60㏈, 격동적인 근 수축을 유발하는 75㏈, 그리고 교통량이 많은 도시의 거리는 약 68∼80㏈ 정도로 고막에 큰 자 극을 준다(정정윤, 2016). 노래방, 기차 소리는 약 100 ㏈이 넘어 두통, 귀의 고통을 유발하는 등 신체적 변화 와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이정원, 2002).

    본 연구는 건강한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넙다리네갈 래근의 등속성 운동과 등척성 운동에서 0∽60㏈과 0∽ 75㏈로 제공한 구두명령이 근활성도와 근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넙다리네갈래근의 등속성 운동에서 구두명령을 0에 서 60dB로 적용한 후 넙다리곧은근, 안쪽넓은빗근, 가 쪽넓은근의 근 활성도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두명령을 0에서 75dB로 적용한 후 안쪽넓은빗근의 근 활성도 변화는 통계학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넙다리 곧은근, 가쪽넓은근의 근 활성도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넙다리네 갈래근의 등척성 운동에서 구두명령을 0에서 60dB로 적용한 후 넙다리곧은근, 안쪽넓은빗근, 가쪽넓은근 의 근 활성도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두명령을 0에서 75dB로 적용한 후 넙다리 곧은근의 근 활성도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쪽넓은빗 근, 가쪽넓은근의 근 활성도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David 등 (2017)의 연구에서 무릎 폄의 최대 등속성 수축 시 운동 과 근육 특성에 초점을 둔 구두지시가 특정 근육에 주 의를 기울이는 것이 유익한 결과 도출이나 국소적인 활성화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연구와 비슷한 결과 를 얻었다.

    넙다리네갈래근의 등속성 폄과 굽힘에서 최대근력 은 구두명령을 0에서 60dB과 75dB로 적용한 후 넙다리 네갈래근의 최대근력의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등척성 폄에서 최대 근력은 구두명령을 0에서 60dB과 75dB로 적용한 후 넙 다리네갈래근의 최대근력의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넙다리네갈 래근의 등속성 폄・굽힘, 등척성폄에서 상대근력은 구 두명령을 0에서 60dB로 적용한 후 넙다리네갈래근의 상대근력의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속성 폄과 등척성 폄에서 상대근 력은 구두명령을 0에서 75dB로 적용한 후 넙다리네갈 래근의 상대근력의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등속성 굽힘에서 상대근 력은 구두명령을 0에서 75dB로 적용한 후 넙다리네갈 래근의 상대근력의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Miguel 등(2014)이 연구한 13명의 젊은 남성을 대상으 로 벤치 프레스 운동 시 동력 및 근전도 파라미터를 사 용하여 청력 자극이 힘의 발달 및 반응 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 운동 중 깜짝 놀랄 정도가 아닌 청각자극이 있었을 때 Post-Hoc 분석을 통해 청각 자 극이 빠른 반응 시간과 높은 힘 발달이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보고와도 일치되는 결과이다.

    Peter 등(1996)은 팔꿉 굽힘의 등척성 운동 중 최대 힘에 대한 구두격려의 차이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Peak forces는 Kin-Com 동력계를 이용한 구두명령의 제공은 296N에 서 311N으로 5%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고 하였으며, 신길수 등(1999)은 시각적 피드 백과 청각적 격려가 하지의 근력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 보기 위한 연구에서 청각적 격려가 근력 발 현에 있어 효과적임을 보고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와 선행 연구의 일부 차이점은 일정한 리듬과 크 기로 대상자에게 직접적인 구두명령을 제공하였지만, 본 연구는 데시벨 크기에 맞춘 녹음 파일을 제공하였 기 때문에 대상자가 받아들이는 느낌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치료적인 면에서는 Wulf 등(2010)의 연구에서 동작 그 자체에 대해 초점을 두는 것은 수행능력에 효과가 없고 대신 어떤 동작으로 인한 효과에 집중하는 것이 근 활성의 효과성이나 효율성에 있어서 더 나은 결과 를 가져다준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치 료사는 환자에게 구두명령을 할 때 특정 근육을 수축 하라고 지시하는 것 보다는 목표지점을 설정하여 그 지점에 도달하게끔 전반적인 동작 궤적을 교육하고 지 시하며 치료를 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추후연구에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치료사의 구두 명령이 노화로 인해 자연적 청력 손실을 지니는 노인 대상자와 같은 다른 대상자들에게도 적용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20대 남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넙다 리네갈래근의 등속성 등척성 운동에서 구두명령 크기 에 따른 근 활성도와 근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0∽60㏈군과 0∽75㏈군으로 각각 10명씩 구분하 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등속성 폄과 굽힘에서 최대근력은 구 두명령을 0에서 60dB과 75dB로 구두명령 크기로 적용 한 후 넙다리네갈래근의 최대근력은 증가되었으며, 등 속성 폄과 등척성 폄에서 상대근력은 0에서 75dB로 구 두명령 크기로 적용한 후 넙다리네갈래근의 상대근력 은 증가되었다. 또한 등속성 운동에서 0에서 75dB로 구두명령 크기로 적용한 후 안쪽넓은빗근의 근 활성도 가 향상되었으며, 등척성 운동에서 0에서 75dB로 구두 명령 크기로 적용한 후 넙다리곧은근의 근 활성도가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임상에서 환자치료를 위해 자신 의 몸을 사용하는 것뿐 아니라 치료사의 구두명령을 그들의 손과 같은 훌륭한 가치가 있는 도구가 될 수 있 을 것이다. 목소리의 음량을 조절 할 수 있는 것은 치료 의 효율성과 치료사들의 다른 운동 치료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치료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구두 명령 뿐만 아니라 다양한 도구와 방법들에 대한 연구 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Figure

    AOSPT-14-45_F1.gif

    Location of surface electrode(RF:rectus femoris, VMO:Vastus Medialis oblique, VL:vastus lateralis)

    AOSPT-14-45_F2.gif

    Biodex System 4

    Tabl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20)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in the group(Isokinetic exercise) 단위(㎶)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in the group(Isometric exercise) 단위(㎶)

    Comparison of maximal muscle strength in the group 단위(N/m)

    Comparison of relative muscle strength in the group 단위(%)

    Comparison of muscle strength and muscle activity between the group

    Reference

    1. 권미지, 김윤환, ... 김정자 (2018). 신경계운동치료학. 범문에듀케이션.
    2. 김계엽, 김미현, ... 김효동 (2010). 대퇴사두근 집중훈 련이 노인의 슬관절 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대 한스포츠물리치료학회지, 6(1), 35-48.
    3. 김은영, 이승병, ... 전범수 (2010). 전•후방보행 방법 과 트레드밀 각도변화에 따른 넙다리곧은근과 앞 정강이근의 활성도비교.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16(2), 76-81.
    4. 김호성 (2001). 대퇴사두근 등척성 운동 시 효과적인 고관 절 각도에 대한 연구(석사학위, 경희대학교 대학원, 이형수, 김윤환
    5. 신길수 (1999). 시각적 피드백과 청각적 격려가 하지의 근력발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8(3), 373-382.
    6. 이귀열 (2016). 근 수축모드 변화에 따른 대퇴사두근과 상 박근의 근 활성도와 근 피로도에 관한 연구(공학석사 학위,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한국).
    7. 이정원 (2002). 소리–공기의 질주. 성우.
    8. 장준섭 (1993). 퇴행성 관절염 (Degenerativearthritis)- 발병기전 및 퇴행성 슬관절염을 중심으로. Knee Surgery & Related Research, 5(1), 3-7.
    9. 정정윤 (2016). 소리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인 문석사학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
    10. 지홍주 (2015). 정상 성인의 넙다리네갈래근에서 근활성도 와 토크값의 비교연구(석사학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한국).
    11. 한상완, 백윤웅, & 김성수 (2010). 복합관절 운동 형태의 등장성 운동과 등속성 운동이 하지근력 및 기능수행 에 미치는 효과. 코칭능력개발지, 12(1), 161-170.
    12. Andreacci, J. L. , Lemura, L. M. , Cohen, S. L. , et al. (2002). The effects of frequency of encouragement on performance during maximal exercise testing. J Sports Sci, 20(4), 345-352.
    13. Charity, A. J. , Barbara, E. K. , & Katherine, F. S. (1983). Relationship between verbal command volume and magnitude of muscle contraction. Phys Thys, 63(8), 1260-1265.
    14. Cowan, S. M. , Bennell, K. L. , Hodges, P. W. , et al. (2001). Delayed onset of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vastus medialis obliqus relative to vastus lateral isin subjects with patell of emoral pain syndrome. Arch Phys Med Rehabil, 82(2), 183-189.
    15. Cram, J. R. , Kasman, G. S. , & HoltzJ. (1998). Lower extrimity joint kinetics and energetics during backward running. Med Sci Sports, 23(5), 602-610.
    16. David, C. , & Marchant, M. G. (2017). Attentional focusing instructions influence quadriceps activity characteristics but not force production during isokinetic knee extensions. Hum Mov Sci, 52, 67-73.
    17. Hermens, H. J. , Freriks, B. , Disselhorst-Klug, C. , et al. (2000). Development of recommendations for SEMG sensors and sensor placement procedures. J Electromyogr Kinesiol, 10, 361-374.
    18. Magill, R. A. (2004). Motor learing and control: concepts and applications. 7th ed. Boston, McGraw-Hill.
    19. Messier, S. P. , Royer, T. D. , Craven, T. E. , et al. (2000). Long-term exercise and its effecton balance in older, osteoarthritic adults:Results from the fitness, arthritis and seniors trial. J Am Geriatr Soc, 48(2), 131-138.
    20. Miguel, D. O. , Dan, R. R. , Eliseo, L. S. , et al. (2014). Startle auditory stimuli enhance the performance of fast dynamic contractions. Plos One, 9(1), e87805.
    21. Olivea, D. M. (2005). 소리치료. 학지사.
    22. Weerapong, P. , Hume, P. A. , & Kolt, G. S. (2004). Stretching: Mechanisms and benefits for sport performance and injury prevention. Phys Ther Rev, 9(4), 189-206.
    23. Wulf, G. , Shea, C. , & Lewthwaite, R. (2010). Motor skill learning and performance: a review of influential factors. Med Educ, 44(1), 75-84.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