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4 No.1 pp.137-145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17.14.1.16

Short-term Change on Pressure Pain Threshold and Vertical Jump when Foam Roll Exercises and Vibration Foam Roll Exercises

Sangwan Ha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lth University
교신저자: 한상완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E-mail: rpthan@ghu.ac.kr
June 6, 2018 June 14, 2018 June 21, 2018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hange on pressure pain threshold and vertical jump when foam roll exercises and vibration foam roll exerci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having pain in at least three areas of the lower limbs and recording at least 5 points on the VAS. A total of thirt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qually, randomized into a foam roll exercises(n =15) and a vibration foam roll exercises(n =15). Both groups performed exercises for 45secs/five times and rest time 15secs. Pressure pain threshold, and vertical jump were all measur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n repeated measure ANOVA was used to find statistical differences within and between the two group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at α = .05.


Results:

Both foam roll and vibration foam roll had significant changes on pressure pain threshold and vertical jump among to pre and after 24hrs, 48hrs time. However, there was a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Conclusion:

Although there was a slight advantage to doing vibrated foam roll exercise than foam roll exercise.



폼롤러와 진동 폼롤러 운동이 단기간 압통 역치와 수직점프의 변화

한 상완*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초록


    Gwangju Health University

    Ⅰ 서 론

    현대인들은 컴퓨터의 발달과 교통문화 및 이동수단 의 발달에 의해 일상생활은 과거와 다르게 지속적인 자세를 장기간 유지하며, 단순하고 반복적인 움직임 패턴과 근력 약화에 의해 비정상적인 움직임들이 나 타난다. 비정상적인 움직임과 반복적인 패턴은 인체 의 중심축과 균형을 무너뜨리고, 통증을 유발 시킨다. 통증의 발생은 일상생활을 할 때 보상적인 움직임이 같이 나타나 바른 자세를 무너뜨려 유연성의 감소 및 운동 제한 등의 근골격계의 불균형과 기능장애를 초 래한다.

    근골격계의 불균형은 결합조직들의 손상에 의해 염증이 유발한다. 염증은 통증수용기를 활성화 시켜 인체 보호기전을 촉발시켜 근막 및 근긴장도가 증가되 며, 근경련이 발생한다. 이러한 결과 연부조직 등이 유 착되어 압통점이 형성되고 정상적인 탄력성이 감소된 다(Clark, Lucett, & Sutton, 2014). 압통점과 탄력성 감소는 움직임 패턴에 영향을 주어 관절의 기능장애와 고유수용감각 저하가 나타난다(Janda, 1986). 관절의 기능장애와 고유수용감각 저하를 촉진하기 위해 근방 추(muscle spindle), GTO(golgi tnedon organs) 및 기계 수용기들(mechanoreceptors)을 촉진시키는 치료방법 들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방법들은 진동(Vibration) 과 압박(compress), 브러싱(Brushing)과 가볍게 두르 리기(Tapping)등을 제시하였다(유승현 등, 2012). 이러 한 치료방법들 중 2000년 이후 폼롤러를 이용한 운동 방법의 개발로 물리치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직업군에 서 자가 근막이완과 스트레칭 도구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Han, Lee, & Lee, 2017). 폼롤러를 이용한 운동은 신체의 일부분을 폼롤러에 접촉시킨 후 체중을 지지하면서 천천히 움직이면, 압력으로 근막의 이완과 근긴장의 감소 효과가 나타나 관절가동범위를 증가시 킨다(Cheatham et al,. 2015). 조직에 지속적이고 느린 압박은 기계적 수용기를 자극하여 중추신경계와 자율 신경계로 정보를 전달하여 근긴장도를 완화시키며, 유 체의 흐름에 영향을 주어 근막에 위치한 민무늬근육 (smooth muscle)세포의 긴장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Clark, Lucett, & Sutton, 2014). 폼롤러를 이용한 선 행연구들은 지연성 근육통 환자들에게 적용했을 때 동 적 균형능력과 통증척도에서 유의한 감소가 있다고 제 시하였으며(전현주, 2017), 6개월간 엉덩관절 굽힘이 90゚미만인 40명을 기준으로 정적 스트레칭과 폼롤러 운동에서 폼롤러 운동이 유연성증가에 효과적이며 (Mohr 등, 2014), 근육의 압력 통증 역치를 증가시키고 근육 기능과 능력을 향상시킨다고 보고 하였다(Pearcey 등, 2015).

    진동(vibration)은 근수축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 지고 있으며(Luo, McNamara, & Moran, 2005), 통증을 조절하거나 운동과 병행하여 그 효과를 높이는데 적용 된다(허광호 등, 2008). 미세한 진동에너지로 인하여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빠르게 진행시켜 근섬유를 키우 는 것 뿐 아니라, 조직손상 위험이 적은 장점과 함께 역학적 효과로는 순환증진, 연부 조직의 스트레칭, 유 착 파괴방지, 조직의 유연성 증가, 통증 감소의 효과가 있다(Machteld 등, 2004). 또한, 진동은 성장호르몬과 같은 특정 호르몬을 일시적으로 증가를 시킬 수 있으 며(Bosco et al, 1999), 진동자극으로 야기된 근 방추 수용기의 활성은 직접적으로 진동자극을 받은 부위의 근육뿐만 아니라 주변의 근육에까지도 영향을 미치며, 근 방추 수용기의 활성화를 촉진시킨다고 하였다 (Kasai, Kawanishi, & Yahagi, 1992). 진동을 이용해 신 체에 적용하는 방법은 전신 진동(Whole Body Vibration; WBV)을 이용한 방법으로 운동 전 워밍-업(Warm-up) 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주파수는 30Hz, 진폭은 2.5mm 를 이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으나(Cormie 등, 2006), 아직까지 최적의 전신 진동 주파수와 진폭에 대해 명 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다.

    이와 같이 선행 연구 결과에서 폼롤러 운동에 대한 효과는 근육 및 근막에 긍정적이며, 진동도 근육 및 근 수용기를 촉진시킨다고 하였다. 기존 임상에서 사용하 고 있는 전형적인 폼롤러와 진동을 추가한 폼롤러를 이용한 자가 근막이완 운동을 실시했을 때 단기간의 압통역치와 수직점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 으며, 추후 진동 폼롤러 운동을 이용한 새로운 운동방 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진행 되었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는 G대학에 재학중인 20대 대학생 가운데 실 험참가에 앞서 본 연구에 대한 목적 및 실험방법을 충 분히 듣고 동의서에 확인을 한 대상자 30명으로써 선 정기준은 헬싱키선언에 준하는 안내문과 설명을 듣고 실험에 동의한 자로 넙다리곧은근, 뒤넙다리근, 종아 리근, 엉덩정강근막띠 부위의 압통점(trigger point)에 압력을 가했을 때 3개 부위 이상에서 시각사상척도 (Visual Analog Scale, VAS) 점수가 5점 이상인 학생을 대상자로 선정 하였으며,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 다(Table 1). 압통점은 Dimitrios 등(2004)이 제시한 부 위를 참고하였다. 대상자 3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일반 폼 롤 운동 집단 15명과 바이브레이션 폼 롤 운동 집단 15명으로 나누었다. 모든 대상자는 연구의 목적 과 절차를 확실히 이해시키고 실험 전, 24시간 후, 48 시간 후 측정에 참여할 것을 자의에 따라 참가 동의서 를 작성하게 하였다.

    2 측정도구 및 실험도구

    1) 폼롤러 운동 프로그램(foam roller exercise)

    폼롤러 운동프로그램은 재질이 같은 일반 폼롤러와 진동 폼롤러(Expanded Polyproplyene소재의 TRATAC Acive Roll, 나음케어, 대한민국)를 사용하였으며, 이 제품의 진동 모드는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단계 저 강도 진동모드1300RPM, 2단계 저 강도 진동모드 2000RPM, 3단계 리듬 패턴모드, 4단계 파워 모드 3700RPM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4단계 모 드인 3700RPM을 사용하였다. 폼롤러를 이용하여 자가 근막이완운동을 실시하였다. 개별근육의 자가 근막이 완운동은 교정운동학에 제시된 동작을 참고하였으며 (Clark M,A,, Lucett S, C,, Sutton B, G, 2014). 물리치 료 15년 경력 치료사에 의해 자세훈련 및 적용방법을 지도 받은 후 넙다리곧은근, 뒤넙다리근, 엉덩정강근 막띠, 종아리근육에 적용하였다. 다른 동작 사이에 2 분간의 휴식시간을 주었다.

    2) 압통역치 측정(Pressure-pain thesholds)

    본 연구에서는 Commander Algometer TM(JTech Medical Industries, USA)를 사용 하여 압통 역치 (Pressure pain thesholds: PPTs)를 측정하였다, 제품 은 탐색자, 손잡이 그리고 기록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손잡이 끝에 탐색자가 있고 표면의 크기는 10×10mm 이다. 측정 방법은 마지막 운동이 끝난 후 5분간의 휴 식을 준 다음, Fischer(1987) 가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 여 측정 시 대상자는 편안하게 앉은 자세를 취하였으 며, 검사 하고자 한 부위를 확인 후 압통각계를 안정적 으로 잡기 위하여 압통각계의 중간부위를 가볍게 잡고 느린 속도로 압력을 점차 증가시켰다. 측정 근육은 넙 다리곧은근, 뒤넙다리근, 종아리근, 엉덩정강근막띠 이며, 측정하기에 앞서 대상자에게 “제가 이 기구를 이 용하여 당신의 압통점을 누르는 과정에서 만약 누르는 느낌이 처음과 다르게 아픔이 느껴지면 ‘아!’ 라고 소리 쳐주십시오”라고 설명하여 실험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3번 측정 후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압력의 단위는 파운 드(lb.)를 사용하였고, 평균 pearson상관계수는 r=0.990 으로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19)

    3) 수직점프 측정

    압통역치 측정이 끝난 즉시, 수직점프 측정기(Helmas SH-9600F,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자에게 최대한 높이 점프할 수 있도록 독력한 후, 디지털 매트위 에서 양 발을 어깨 넓이로 벌려 선 자세에서 준비 자세를 취하고 무릎을 굽혔다가 높이 뛰게 하였다. 총 2회 실시하 여 그 중에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3 실험절차

    선행논문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서는 넙다리곧은근, 뒤넙다리근, 종아리근, 엉덩정강근막띠 부위에 각 45초 운동, 15초 휴식, 5회를 실시하였으며, 운동 속도는 1비트 당 1.2초정도의 속도로 적용하였다(박세준, 2014). 사용 된 진동 폼 롤러는 EPP(Expanded Polyproplyene)소재의 TRATAC Acive Roll(나음케어, 대한민국)으로써 총 4단 계의 진동 모드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위별로 적용 한 폼 롤러 운동과 진동 폼 롤러 운동은 다음과 같다(Figure 1).

    1) 넙다리곧은근

    엎드린 자세에서 실시하였으며, 먼저 폼롤을 위앞엉 덩뼈가시로 부터 약 3inch(7.62㎝) 낮은 곳에 위치시킨 다. 한쪽 다리는 반대쪽 다리 위로 교차시고 자신의 팔 꿈치를 이용해 무릎 힘줄의 위쪽 위치까지 움직이도록 하였다(Gregory 등, 2015). 양쪽 다리를 동시에 실시하 였다.

    2) 뒤넙다리근

    엉덩이가 바닥에 닫지 않은 상태에서 엉덩이 주름 아래쪽으로 운동을 실시하였다. 양쪽발을 폼롤 위에 놓고, 자신의 팔로 몸이 지지하고, 엉덩이 주름 아래부 터 오금 뒷면의 위쪽부분 까지 움직이도록 하였다 (Gregory 등, 2015). 양쪽 다리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3) 엉덩정강근막띠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실시하였으며, 큰돌기 바로 아래에서 시작하였다. 이때, 한쪽 다리는 발끝이 고정 된 상태에서 반대쪽 다리의 앞에 자유롭게 놓였다. 그 발을 이용해 가쪽관절융기 바로 위쪽까지 움직이도록 하였다(Gregory 등, 2015). 측정한 다리만 실시하였다.

    4) 종아리근

    엉덩이가 받침 되지 않는 상태에서 폼롤에 아킬레스 건 위쪽에 위치시킨다. 양쪽 발을 폼롤 위에 놓고, 자 신의 팔로 몸을 지지하고, 무릎 바로 밑 부분에서 아킬 레스건 위 부분 까지 움직이도록 하였다(박일봉 & 홍 정기 2014). 양쪽 다리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4 자료분석

    통계분석은 윈도우용 SPSS 21.0(0(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그룹 간 넙다리곧 은근, 뒤넙다리근, 종아리근, 엉덩정강근막띠의 사전, 24시간 후, 48시간 후의 압통 역치, 수직 점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Mauchly의 구 형성 검정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으면 구형성 가정의 값으로 검정하고 Mauchly의 구형성 검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면 Greenhouse Geisser 값으로 측정 시기 간 유의성 검정을 하였다. 측정시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면 그룹별 반복대비검정을 통하여 결과를 분석하였 다. 모든 자료의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압통 역치 변화

    하지 근육의 압통 역치 변화에 대한 결과는 (Table 2), (Figure 2, 3)과 같다. 시간에 따른 그룹 간 변화 양 상의 차이를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넙다리 곧은근(p=0.000), 뒤넙다리근(p=0.000), 엉덩정강근 막띠(p=0.010), 종아리근(p=0.000)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두 그룹 사이의 변화 양상은 비슷하며, 유 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 일반 폼롤러운동 그 룹에서 넙다리곧은근은 24시간 후 약 16% 압통역치가 감소한 후, 48시간 후 26%가 증가하였으며, 사전 측정 값보다는 0.6Ib 증가하였다. 진동 폼롤러 그룹은 24시 간 후 11% 정도 감소한 후, 48시간 후 23%가 증가하였 으며, 사전 측정값보다는 1.0Ib정도 증가하였다. 일반 폼롤러운동 그룹에서 뒤넙다리근은 24시간 후 약 13% 압통역치가 감소한 후, 48시간 후 17%가 증가하였으 며, 사전 측정값보다는 1.0Ib 증가하였다. 진동 폼롤러 그룹은 24시간 후 0.8% 정도 감소한 후, 48시간 후 16% 가 증가하였으며, 사전 측정값보다는 0.7Ib정도 증가 하였다. 일반 폼롤러운동 그룹에서 엉덩정강근막띠는 24시간 후 약 16% 압통역치가 감소한 후, 48시간 후 19%가 증가하였으며, 사전 측정값보다는 0.1Ib 증가하 였다. 진동 폼롤러 그룹은 24시간 후 변화가 없었으며, 48시간 후 7%가 증가하였으며, 사전 측정값보다는 0.6Ib정도 증가하였다. 일반 폼롤러운동 그룹에서 종 아리근은 24시간 후 약 22% 압통역치가 감소한 후, 48 시간 후 25%가 증가하였으며, 사전 측정값보다는 0.2Ib 감소하였다. 진동 폼롤러 그룹은 24시간 후 0.9% 정도 감소한 후, 48시간 후 18%가 증가하였으며, 사전 측정값보다는 0.8Ib정도 증가하였다.

    2 수직 점프 변화

    수직 점프 변화에 대한 결과는 (Table 2), (Figure 4) 와 같다. 시간에 따른 그룹 간 변화 양상의 차이를 반복 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점프력은 두 그룹 간 변 화 양상이 비슷하며,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대조그 룹은 실험 전과 후에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으며(p=0.000), 그룹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 다. 일반 폼롤러운동 그룹에서 수직 점프 변화는 24시 간 후 약 13% 증가하였으며, 48시간 후 0.2%가 증가하 였다. 사전 측정값보다는 2.9cm 증가하였다. 진동 폼 롤러 그룹은 그룹에서 수직 점프 변화는 24시간 후 약 20% 증가하였으며, 48시간 후 0.5%가 증가하였다. 사 전 측정값보다는 3.8cm 증가하였다.

    Ⅳ 고 찰

    본 연구는 일상생활 및 운동수행에 관련된 하지의 대표적인 근육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전형 적인 폼롤러와 진동을 추가한 폼롤러를 이용한 자가 근막이완 운동을 실시했을 때 단기간의 압통역치 변화 와 수직점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근육 통증들은 점차 악화되어 근육 위축이 나타나 며, 압통이 있는 근육부위를 자극하게 되면 연관통, 압 통, 운동신경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 는 방법으로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칭, 자가 근막이완 운동 등을 사용하여 임상에서 또는 스포츠 현장에서 근육 통증을 관리하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와 요가, 필라테스, 운동센터 등에서 폼롤러를 이용한 자가 근 막이완 운동이 보편화 되었다(Miller, & Rockey, 2006). 폼 롤러는 근육의 불균형을 교정하고 근육통을 완화하 며, 관절의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신경근의 효율성을 향상 시키며 관절가동범위를 향상시킨다(Curran, Fiore, & Crisco, 2008). 또한 폼롤러 운동 같은 마사지는 근육 의 경련을 풀어주기 위하여 근육의 깊숙한 곳까지 자 극을 주며, 자극을 주는 과정은 신경을 안정시키고 근 육을 풀어주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신체의 피 로 회복을 돕는다(Cheatham et al, 2015). DeBruyne 등 (2017)은 폼롤러 운동이 뒤넙다리근 유연성을 증진시 키며, 넙다리네갈래근에 폼롤러를 적용한 후 단기간 무릎 관절의 가동범위를 측정한 결과 2분 후 12.7% 증 가, 10분 후 10.3% 증가했으나, 근육의 수축력의 변화 는 나타나지 않았다(MacDonald et al, 2013). 최근에 기 존 폼롤러에 진동을 추가한 진동 폼롤러가 개발되어 많은 재활 전문가 및 트레이너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 고 사용하고 있다. 진동(vibration)은 근수축력에 긍정 적인 효과와 진동 계수 50-200Hz에서 근방추가 민감 하고, 진동을 적용하면서 근 수축이 발생하는 동안 근 력을 증가시킨다(유승현 외, 2012). 또한 진동은 성장 호르몬과 같은 특정 호르몬의 일시적인 증가를 자극시 키며(Bosco et al, 2000), 근섬유 type Ⅱ를 빠르게 활성 화 시킬 수 있다(Rittweger, Mutschelknauss, & Felsenberg, 2003). 이러한 기전은 운동 시합 전에 신경근 자극에 의해 근육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Cormie et al, 2006).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압통 역치는 신경생리학적 수준에서 표면 및 심부 조직의 통증 민 감성을 반영하며, 근골격계 통증의 기전을 조사하기 위해 민감한 검사 중 하나이다(Rollman & Lautenbacher, 2001). 본 연구의 결과 넙다리곧은근, 엉덩정강띠, 뒤 넙다리근, 엉덩근 모두 운동 후 24시간 후에 두 그룹 모두 약 0 – 22% 정도 감소하였으나, 48시간 후에는 7 – 26%까지 증가하였으며, 두 그룹 모두 동일한 패턴 의 양상이 나타났으며, 그룹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런 요인은 피부 통각 수용체 (skin nociceptors) 및 근육 통각 수용체가 운동 후 24시 간 내에는 폼롤러로 연부조직을 자극시켜 민감한 상태 에 이기 때문에 압통 역치가 감소하였으며, 48시간 후 에는 통각 수용체가 모두 회복 되어 사전 보다 모두 압 통 역치가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와 동일하게 Cheathaam & Kolber (2017)의 연구에서 넙다 리네갈래근과 뒤넙다리근에 역치를 효과적으로 줄여 준다고 하였으며, 운동 유발 근육 손상 후 압통 역치의 변화를 보면 사전 보다 직후, 1일 후 까지 역치 값이 감소하다 3일 째 사전 값보다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병주 등, 2008).

    진동은 근섬유 type Ⅱ를 빠르게 활성화 시킬 수 있 다(Rittweger, Mutschelknauss, & Felsenberg, 2003). 이러한 기전은 운동 시합 전에 신경근 자극에 의해 근 육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Cormie, Deane, Triplett, & McBride, 2006). Torvinen 등(2002) 의 연구에서는 4분간의 진동 운동 적용 후 2분, 60분 후 점프능력을 측정한 결과 2분 후 측정치에서 하지의 점프능력이 2.5% 증가하였으며, 2분 후와 60분 후 측 정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 다. Burke et al(1996)은 진동자극을 넙다리네갈래근에 자극을 주었을 때 무릎힘줄 반사의 민감도를 촉진시켰 으며, Bailey(2014)는 진동 폼롤러와 전형적인 폼롤러 를 6분간 각 다리에 90초씩 적용했을 때 수직 점프는 증가하였으나, 그룹 간에는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도 사전 연구와 같이 폼롤러 그룹은 24 시간 후 약 13% 증가, 48시간 후 0.2% 증가했으며, 진 동 폼롤러 그룹은 24시간 후 약 20% 증가, 48시간 후 0.5% 증가하였다. 두 그룹 모두 24시간 후 측정은 수직 점프가 증가하였으나, 48시간 후에는 증가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동 폼롤러 그룹이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아니지만 더욱 수직 점프 높 이가 약 7%정도 더 증가하였다. 이런 결과는 근육의 활동성과 관련 있으며, 진동이 근육의 수축시간 및 생 리적 기전 반사를 변화시켜 나타난 결과라고 생각된다.

    진동 폼 롤러를 이용하였을 때 대상자들의 호기심 유발과 진동 자극으로 운동 중 통증 자각도가 낮게 느 껴지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아 대상자들이 일반 폼 롤러 그룹보다 더 편하게 접근할 수 있었다. 앞으로 진동 폼 롤러를 이용한 긍정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진동 폼롤러를 이용한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하다고 생각되 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대상자들 모두 폼 롤러 를 처음 접해보아 초기 운동 동작 수행에 어려움을 겪 었던 점과 그룹 모두 운동 시간을 제외 한 일상생활을 통제하지 못한 점, 대상자들이 운동 동작 수행에 있어 시간이 지나감에 운동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까지 제대 로 통제를 하지 못하였으므로 다음 연구에서는 좀 더 장기간의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했을 때의 신체적 및 통증 변화에 대한 연구와 근골격계 질환자들을 대상으 로 진동 폼롤러 운동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 요하다 생각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전형적인 폼롤러와 진동을 추가한 폼롤러 를 이용한 자가 근막이완 운동을 실시했을 때 단기간 의 압통역치와 수직점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20대 대 학생 30명을 무작위로 일반 폼롤러 그룹과 진동 폼롤 러 그룹으로 분류하여, 넙다리곧은근, 뒤넙다리근, 종 아리근, 엉덩정강근막띠 부위에 운동을 45초씩 각 5회 를 실시한 후 압통 역치와 수직점프 변화를 측정한 결 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두 그룹 모두 압통 역치는 운동 실시한 후 24 시간 뒤에 측정한 결과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48시간 후에는 다시 사전 측정 값 보다 모두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그룹 모두 수직 점프에서는 운동 실시한 후 24시간 뒤에 측정한 결과 모두 증가하였으며, 48시간 후에도 유지 되었다.

    임상적으로 두 그룹 모두 압통 역치와 수직점프의 변화가 긍정적으로 나타나 폼롤러를 이용한 자가근막 이완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진동 폼 롤러를 이용하였을 때 진동의 기계적 자극으로 운 동 중 통증 자각도가 낮게 느껴지는 것 같은 느낌을 받 아 대상자들이 일반 폼 롤러 그룹보다 더 편하게 접근 할 수 있었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7년도 광주보건대학교 교내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3017010).

    Figure

    AOSPT-14-137_F1.gif

    Using a foam roller to exercise program the lower extremity muscles

    AOSPT-14-137_F2.gif

    Changes in pressure pain thershold of muscles on foam roller group

    AOSPT-14-137_F3.gif

    Changes in pressure pain thershold of muscles on vibration foam roller group

    AOSPT-14-137_F4.gif

    Changes in vertical jump between groups

    Tabl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30)

    Changes in pressure pain thershold of muscles and vertical jump

    FR: Foam Roller
    VFR: Vibration Foam Roller

    Reference

    1. 김병주, 임영은, 윤세원, 박승규, & 김태열 (2008) 지 연성 근육통 및 근 기능 회복에 대한 사전 원심성 운동의 효과,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20 ; pp.1-9
    2. 박세준 (2014) 요추굴곡 유연성 향상에 대한 스트레칭 운 동과 폼 롤러 운동의 효과 비교(석사학위논문, 국민 대학교 스포츠 산업 대학원, 한국),
    3. 박일봉, & 홍정기 (2014) 운동수행능력 향상 트레이닝. 서울: 한미의학,
    4. 전현주 (2017) 폼롤러를 이용한 자가근막 이완 요법이 지연성 근육통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정형스 포츠물리치료학회지, Vol.13 (2) ; pp.55-64
    5. 유승현 외 (2012) 얀다의 근육 불균형의 평가와 치료(1판, pp.139-141). 한국: 영문출판사,
    6. 허광호, 이현민, & 천송희 (2008) 국소적 진동 적용이 주관절의 위치 감각과 최대악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Vol.3 (3) ; pp.145-149
    7. U. Bailey (2014) Effect of Vibration Foam Rolling and NonVibration Foam Rolling in the Lower Extremities on Jump Height (Masters thesis, Eastern Washington University, USA).,
    8. C. Bosco , R. Colli , M. Introini , O. Cardinale , A. Tsarpela , J. Madella , A. Viru (1999) Adaptive responses of human skeletal muscle to vibration exposure., Clin. Physiol., Vol.19 (2) ; pp.183-187
    9. J.R. Burke , M.C. Schutten , D.M. Koceja (1996) Age-dependent effects of muscle vibration and the Jendrassik maneuver on the patellar tendon reflex response., Arch. Phys. Med. Rehabil., Vol.77 (6) ; pp.600-604
    10. S.W. Cheatham , M.J. Kolber , M. Cain , M. Lee (2015) The effects of self-myofascial release using a foam roll or roller massager on jointrange of motion, muscle recovery, and oerformance: A Systematic Review., Int. J. Sports Phys. Ther., Vol.10 (6) ; pp.827-838
    11. S.W. Cheatham , M.J. Kolber (2017) Does Self Myofascial Release With a Foam Roll Change Pressure Pain Threshold of the Ipsilateral Lower Extremity Antagonist and Contralateral Muscle Groups? An Exploratory Study., J. Sport Rehabil., Vol.2 ; pp.1-18
    12. M.A. Clark , S.C. Lucett , B.G. Sutton (2014) 교정운동학(1판, 204-205). 한국: 한미의학,
    13. P. Cormie , R.S. Deane , N.T. Triplett , J.M. McBride (2006) Acute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on muscle activity, strength, and power.,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Vol.20 ; pp.257-261
    14. P.F. Curran , R.D. Fiore , J.J. Crisco (2008) A comparison of the pressure exerted on soft tissue by myofascial rollers., J. Sport Rehabil., Vol.17 (4) ; pp.432-442
    15. D.M. DeBruyne , M.M. Dewhurst , K.M. Fischer (2017) Self Mobilization Using a Foam Roller Versus a Roller Massager: Which Is More Effective for Increasing Hamstrings Flexibility?, J. Sport Rehabil., Vol.26 (1) ; pp.94-100
    16. K. Dimitrios , R. Konstantine (2001) The Manual of Trigger Point and Myofascial Therapy., SLACK INC,
    17. A.A. Fischer (1987) Pressure algometry over normal muscles. Standard values, validity and reproducibility of pressure threshold., Pain, Vol.30 (1) ; pp.115-126
    18. E. P. Gregory , D. J. Pearcey (2015) Foam Rolling for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and Recovery of Dynamic Performance Measures., J. Athl. Train., Vol.50 (1) ; pp.5-13
    19. S.W. Han , Y.S. Lee , D.J. Lee (2017) The influence of the vibration form roller exercise on the pains in the muscles around the hip joint and the joint performance., J. Phys. Ther. Sci., Vol.29 (10) ; pp.1844-1847
    20. V. Janda (1986) Some aspects of extracranial causes of facial pain., J. Prosthet. Dent., Vol.56 (4) ; pp.484-487
    21. T. Kasai , M. Kawanishi , S. Yahagi (1992) The effects of wrist muscle vibration on human voluntary elbow flexion-extension movements., Exp. Brain Res., Vol.90 (1) ; pp.217-220
    22. J. Luo , B. McNamara , K. Moran (2005) The use of vibration training to enhance muscle strength and power., Sports Med., Vol.35 (1) ; pp.23-41
    23. G.Z. MacDonald , M.D.H. Penney , M.E. Mullaley , A.L. Cuconato , C.D.J. Drake , D.G. Behm , D.C. Button (2013) An acute bout of self-myofascial release increases range of motion without a subsequent decrease in muscle activation or force., J. Strength Cond. Res., Vol.27 (3) ; pp.812-821
    24. R. Machteld , D. Christophe , V. Sabine (2004) Whole-body-vibration training increase kneeextension strength and speed of movement in older women., J. Am. Geriatr. Soc., Vol.52 (6) ; pp.901-908
    25. J.K. Miller , A.M. Rockey (2006) Foam Rollers Show No Increase in the Flexibility of the Hamstring Muscle Group., UW-L Journal of UndergraduateResearch, Vol.IX ; pp.1-4
    26. A.R. Mohr , B.C. Long , C.L. Goad (2014) Effect of foam rolling and static stretching on passive hip-flexion range of motion., J. Sport Rehabil., Vol.23 (4) ; pp.296-269
    27. G.E. Pearcey , D.J. Bradbury-Squires , J.E. Kawamoto (2015) Foam rolling for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and recovery of dynamic performance measures., J. Athl. Train., Vol.50 (1) ; pp.5-13
    28. J. Rittweger , M. Mutschelknauss , D. Felsenberg (2003) Acute changes in neuromuscular excitability after exhaustiv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as compared to exhaustion by squatting exercise., Clin. Physiol. Funct. Imaging, Vol.23 (2) ; pp.81-86
    29. G.B. Rollmann , S. Lautenbacher (2001) Sex differences in musculoskeletal pain., Clin. J. Pain, Vol.17 (1) ; pp.20-24
    30. S. Torvinen , P. Kannus , H. Sievanen (2002) Effect of four-month vertical whole body vibration on performance and balance., Med. Sci. Sports Exerc., Vol.34 (9) ; pp.1523-1528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