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4 No.1 pp.1-9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18.14.1.01

Effects of Apply to Home-based Exercise Program that Consisted of Lower Extremity Exercise on Isokinetic Knee Strength in Elderly at Nursing Home

Jaejin Cho1, WanHee Lee2*
1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Sahmyook University
2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ahmyook University
교신저자: 이완희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E-mail: whlee@syu.ac.kr
February 26, 2018 May 25, 2018 June 11, 201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ly to home based exercise program that consisted of lower extremity exercise on isokinetic knee strength in elderly at nursing home. Thirty eight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current study and divided two groups that home exercise program group and control group (home exercise group 76.83±4.06 years, control group 78.82±3.00). The subject’s isokinetic knee strength was measured by Biodex isokinetic system 4 (Biodex medical. U.S.A) at pre-intervention, post-intervention. We measured muscle’s peak torque, endurance and ratio(H/Q ratio). Home exercise program group has receive lower extremity exercise program that consisted of 6 exercises for 5 weeks. Control group has no intervention. The home exercise program group has significant change of muscle’s peak torque and endurance after applying intervention. But muscle ratio has no significant change both groups. On basis of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home based exercise program that consised of lower extremity exercise has improved isokinteic knee strength in elderly at nursing home.



하지운동으로 구성된 가정운동프로그램이 시설거주 노인의 무릎근력에 미치는 영향

조 재진1, 이 완희2*
1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일반대학원
2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Ⅰ 서 론

    노인은 연령이 증가 할수록 신체의 유연성과 피로회 복 능력이 저하되며, 골격근의 구성요소 중 큰 힘을 발 휘하는 역할을 하는 제 2형 근섬유의 위축이 일어나 근 지구력을 담당하는 제 1형 근섬유가 주로 역할을 하게 되어 큰 힘을 쓰는 동작에 제한이 생긴다(박래준 & 박 환진, 2000). 또한 근육의 크기와 근수축력이 감소하여 운동범위, 관절 움직임 및 일상생활 능력에 대한 기능 저하가 나타나게 되어 낙상의 내재적 위험요인으로 작 용하게 되며, 노인의 삶의 질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 게 된다(Gehlesen & Whaley, 1990; Hill, Soeken & Spellbring, 2002; Jeeyoung Hong, Jeongeun Kim, Sukwha Kim & Hyounjoong Kong, 2017).

    노인의 하지에 발생하는 근위축 및 근손실은 이동, 보행, 균형, 옷입기, 장보기와 같은 일상생활에 어려움 을 주는 직접적인 인자로 알려져 있다. 특히 보행 시 보폭 또는 걷는 자세 등에 문제점을 야기하여 낙상의 발생률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김종민 & 이명 선, 2007). 낙상이 발생하면 기능장애, 신체손상, 사망 등의 결과를 초래하여 노인의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송경애, 문정손, 최정현 & 강성실, 2001).

    이를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노인의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균형능력 개선과 더불어 하지근력 강화 가 적절히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구미옥, 전미양, 김희자 & 은영, 2005). 타이치 운동, 댄스스포츠 훈련, 하지밴드 운동 등과 같이 노인의 하지근력을 강화 시킬 수 있는 운동프로그램들은 노인의 균형능력과 보행능 력을 향상시키게 되어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박소연 & 신인수, 2011). 노인을 위한 다 양한 운동프로그램 중 가정운동프로그램은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며 간단한 방법으로 노 인들의 신체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으로 알려져 있다(Kamide, Shiba & Shibata, 2009). Baker 등은 무릎관절염을 가지 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4개월 동안 점진적인 하지 근력운동으로 구성된 가정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결 과 하지근력, 통증의 정도, 신체기능과 삶의질의 개선 을 보였다고 보고하였으며(Baker, Nelson, Felson, Layne, Sarno & Roubenoff, 2001), Liu-Ambrose 등은 하지 근력, 균형운동으로 구성된 가정운동프로그램이 낙상 경험이 있는 노인들의 인지기능을 향상시켜 재낙 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보고 하였다(Liu-Ambrose, Donaldson, Ahamed, Graf, Cook, Close & Khan, 2008).

    시설거주 노인은 재가노인보다 활력, 신체적 기능, 신체적 역할 부분에서 제한점이 많이 나타나 다면적 건강상태의 현저한 저하와 함께 신체활동 저하로 인하 여 우울증의 유병율이 상승하기 때문에 균형능력 강화 를 포함한 근력강화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필 요하다(현혜진, 장애경, 유수정 & 박연환, 2012). 그러 나 본 연구자의 최선의 지식으로는 국내에서는 재가노 인을 위한 가정운동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분 야에서 진행 되었지만, 시설거주 노인들의 낙상예방 혹은 신체적 기능개선을 위한 가정운동프로그램에 관 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 서는 시설 거주 노인들을 대상으로 낙상예방 혹은 신 체적 기능 개선을 위하여 하지운동으로 구성된 가정운 동프로그램이 시설거주 노인의 무릎근력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고 이를 기반으로 시설거주 노인들을 위한 가정운동프로그램의 기초자료 제공을 위한 연구를 진 행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는 2017년 3월부터 2017년 5월 사이에 서울 시 광진구 소재의 C노인 주거복지시설에서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4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대상 자들에게는 연구의 방법과 목적에 대하여 충분한 설명 을 하였으며, 참가자의 동의를 얻어 연구를 진행하였 다. 대상자가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중단을 원할 경우 연구에서 제외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대상자들은 한국 형 간이정신상태 검사(MMSE-K)에서 24점 이상을 기 록하고 시각, 청각과 전정기능의 장애가 없으며 일상 생활 및 독립보행이 가능하고 최근 6개월 이내에 수술 이력 및 근골격계 질환이 없으며, 균형 및 보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의 복용이 없는 자로 구성되었다.

    대상자들은 1부터 20으로 구성된 숫자카드를 무작 위로 선택하여 선택된 숫자가 홀수인 경우 가정운동프 로그램군(HEP; Home Exercise Program), 짝수인 경우 대조군(Control group)으로 배정하여 가정운동프로그 램군 20명(남성: 10명, 여성: 10명), 대조군 20명(남성: 8명, 여성: 12명)으로 나누었다. 중재 전, 두 집단 모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5주 후 중재 이전에 실시하 였던 검사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5주 후 검사 및 연구를 종료한 후에 가정운동프로그램군에 게 적용한 프로그램을 동일하게 적용 및 실시하여 두 집단간의 윤리적 불평등을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연구 진행 중 가정운동프로그램군에서 개인여행 일 정과(남: 1명), 질병으로 인한 입원으로(여: 1명) 인하 여 연구에 참여할 수 없어 연구대상자에서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가정운동프로그램군 18명(남성: 9명, 여 성: 9명), 대조군 20명(남성: 8명, 여성:12명)으로 최종 진행하였다. 검사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동일한 물리치 료사가 검사와 중재 등의 모든 연구를 통제하여 실시 하였으며, 단일 맹검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 들의 신체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Table 1).

    2 연구 방법

    1) 무릎근력 측정 및 평가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무릎근력을 측정 및 평가 하기 위하여 등속성 근관절 기능 평가장비인 Biodex isokinetic system 4 (Biodex medical. U.S.A)를 사용하 여, 양측 무릎의 굽힘, 폄 동작의 구심성 수축의 최대 근력과 근지구력을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자세를 곧게 편 상태로 의자에 앉힌다. 보 상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체에 고정 벨트를 X자로 착용하도록 하였으며, 특정질환이 없는 대상자들이기 에 우세측 다리의 학습효과(learning effect)를 방지하 기 위하여 무작위 순서로 구성하였다(Figure 1).

    최대근력 평가는 60각속도를 이용하였으며, 총 5회 씩 무릎 관절의 굽힘과 폄 동작을 번갈아가며 수행하 도록 하였다. 근지구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180각속도 를 이용하였으며, 총 15회씩 무릎 관절의 굽힘과 폄 동 작을 번갈아가며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등 속성 평가방법에서 60각속도의 측정 값은 속근의 발현 능력 기능을 나타내며, 180각속도의 측정 값은 지근의 발현능력의 기능을 나타낸다(B.J.M. Drouin, T.C. Valovich-mcleod, S.J. Shultz, B.M. Gansneder, D.H. Perrin, 2004). 최대근력 평가와 근지구력 평가 사이에 는 30초의 휴식시간을 제공하였다. 한쪽 무릎 관절의 평가가 끝나면 대상자는 2분간 휴식시간을 가지고 동 일한 방법으로 반대편 무릎 관절의 최대근력, 근지구 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부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검사 전 간단한 스트레칭 및 워밍업을 수행하 였으며, 최대한의 근 발현능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 기 위하여 매회 구두 지시를 실시하였다.Table 2

    2) 무릎근력의 근비율(H/Q ratio)

    대상자들의 무릎 근력 관련 기능에 대한 평가를 위 하여 60각속도 검사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왼쪽, 오른 쪽으로 나누어 H/Q ratio (Hamstring / Quadriceps ratio), 즉 무릎 관절의 굽힘과 폄 동작의 근력 비율을 측정하였다.

    3) 가정운동프로그램

    본 연구에 적용된 가정운동프로그램은 시설거주 노 인들이 각각의 거주공간에서 어렵지 않게 따라할 수 있는 하지운동 6가지로 구성하였으며 5주간 매일 실시 하였다. 누워서 다리 앞으로 들어올리기, 누워서 다리 뒤로 들어올리기, 의자에 앉아 다리 스트레칭하기, 의 자에 앉았다 일어서기, 제자리 걷기, 한쪽 다리로 서서 균형잡기 등 총 6가지 동작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 다. 각각의 동작의 방법과 반복횟수, 세트수 등은 Table 3에 기술하였다. 가정운동프로그램군에게는 운 동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스스로 체크할 수 있는 자 가운동확인지를 각각 배포하였으며, 시설거주 노인의 특성상 모든 실험군에게 매일 1회 전화로 운동 여부를 확인하여 높은 수준의 연구참여도를 유지 할 수 있도 록 하였다.

    4) 통계처리

    연구를 통하여 얻은 자료는 Windows용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량 및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두 집단 내에서 중재 전,후의 종속변수 변화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대응 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두 집단 간의 종속변수 변화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사전에 측정한 값을 공변 인으로 설정하여 사후측정 값을 집단 간 비교하는 공 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사용하였다. 통계 학적 유의수준은 p < .05로 규정하였다.

    Ⅲ 결 과

    1 무릎 근력의 변화

    1) 무릎 폄 최대근력

    가정운동프로그램 중재 적용 전과 후의 무릎 폄 최대 근력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 가정운동프로그램군 에서 오른쪽 무릎의 폄 최대근력은 중재 전 77.17 ±31.71에서 중재 후 82.69±31.88로 유의하게 증가하 였으며(p < .05), 왼쪽 무릎의 폄 최대근력도 중재 전 84.24±31.13에서 중재 후 90.57±35.05로 유의하게 증 가하였다(p < .05) 대조군의 경우 중재 전후 오른쪽과 왼쪽 무릎의 폄 최대근력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 > .05), 그룹간 비교에서는 오른쪽과 왼쪽 무릎 모두 중재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5)(Table 2).

    2) 무릎 굽힘 최대근력

    가정운동프로그램 중재 적용 전과 후의 무릎 굽힘 최대근력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 가정운동프로그 램군에서 오른쪽 무릎의 굽힘 최대근력은 중재 전 43.13±15.74에서 중재 후 48.83±17.89로 유의하게 증 가하였으며(p < .05), 왼쪽 무릎의 굽힘 최대근력도 중 재 전 43.61±17.65에서 중재 후 48.51±19.50으로 유의 하게 증가하였다(p < .05). 대조군의 경우 중재 전후 오 른쪽과 왼쪽 무릎의 굽힘 최대근력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 > .05), 그룹간 비교에서는 오른 쪽과 왼쪽 무릎 모두 중재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5)(Table 2).

    3) 무릎 폄 근지구력

    가정운동프로그램 중재 적용 전과 후의 무릎 폄 근 지구력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 가정운동프로그램 군에서 오른쪽 무릎의 폄 근지구력은 중재 전 864.70 ±359.27에서 중재 후 950.08±369.56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 < .05), 왼쪽 무릎의 폄 근지구력도 중 재 전 921.22±392.11에서 중재 후 999.57±389.58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5) 대조군의 경우 중재 전 후 오른쪽과 왼쪽 무릎의 폄 근지구력은 유의한 변화 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 > .05), 그룹간 비교에서는 오 른쪽과 왼쪽 무릎 모두 중재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5)(Table 2).

    4) 무릎 굽힘 근지구력

    가정운동프로그램 중재 적용 전과 후의 무릎 굽힘 근지구력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 가정운동프로그램 군에서 오른쪽 무릎의 굽힘 근지구력은 중재 전 435.79 ±212.03에서 중재 후 510.09±245.50으로 유의하게 증 가하였으며(p < .05), 왼쪽 무릎의 굽힘 근지구력도 중재 전 458.89±254.98에서 중재 후 498.11±246.01로 유의하 게 증가하였다(p < .05) 대조군의 경우 중재 전후 오른쪽과 왼쪽 무릎의 굽힘 근지구력은 유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며(p > .05), 그룹간 비교에서는 오른쪽 무릎에서 만 중재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5), 왼쪽 무릎에 서는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5) (Table 2).

    5) 무릎 근력 근비율(H/Q ratio)

    가정운동프로그램 중재 적용 전과 후의 무릎 근력 근비율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 가정운동프로그램 군에서 오른쪽 무릎의 근력 근비율은 중재 전 63.13 ±41.98에서 중재 후 66.05±43.96로 유의하게 증가하 였지만(p < .05), 왼쪽 무릎의 근력 근비율은 중재 전 52.28±10.20에서 중재 후 54.23±12.29로 유의한 변화 를 보이지 않았다.(p > .05) 대조군의 경우 중재 전후 오른쪽과 왼쪽 무릎 근력 근비율의 유의한 변화는 나 타나지 않았으며(p > .05), 그룹간 비교에서는 오른쪽 과 왼쪽 무릎 모두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다(p > .05)(Table 2).

    Ⅳ 논 의

    본 연구에서는 하지운동으로 구성된 가정운동프로 그램이 시설거주 노인의 무릎근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하여 알아보고자 중재 전과 후 등속성 근력검사를 통 하여 무릎의 폄과 굽힘의 최대근력, 근지구력을 측정 하여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재를 적용한 가정운동프로그램군에서 왼쪽 무릎 근력 근비율을 제 외한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승이 나타났 으며, 중재 후 대조군과의 그룹간 비교에서도 양 무릎 근력 근비율과 왼쪽 무릎 굽힘 근지구력을 제외한 모 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대상자들의 무릎 폄 동작의 최 대근력과 근지구력은 대조군의 경우 중재 전후의 유의 한 변화는 없었지만 가정운동프로그램군의 경우 중재 후에 최대근력과 근지구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등 속성 근력 평가 항목 중 무릎 폄 최대근력은 대퇴사두 근의 속근 발현능력과 연관성이 있다. 즉, 넙다리네갈 래근 속근의 발현이 잘 일어날수록 무릎 폄 동작의 등 속성 최대근력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J.L. Ivy, R.T. Withers, G. Brose, B.D. Maxwell & D.L Costill, 1981; T. Ryushi, & T. Fukunaga, 1986). 노인은 일반 성인에 비하여 연령이 증가할수록 근육의 크기가 감소 하게 되는데, 특히 속근 섬유의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 타나며 지근섬유는 그에 비하여 감소폭이 작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Evans, William J. & Lexell, Jan, 1995). 속근섬유의 진행성 위축은 근력감소를 야기하며 이는 결국 낙상의 위험요소로 작용하게 된다(L.B. Verdijk, R. Koopman, G. Schaart, K. Meijer, H.H.C.M. Savelberg & L.J.C. van Loon, 2007). 결국 대퇴사두근 에서 속근의 위축을 예방하거나 속근의 발현 능력을 상승시켜줄 수 있다면 노인에게 발생하는 신체적 문제 점을 예방하고 나아가 낙상예방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litgaard 등의 연구에 따르면 젊은 성인과 일반 노인 그리고 근력운동을 정기적으로 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무릎 폄근과 팔꿈치 폄근의 기능과 근육 형태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일반 노인은 젊 은 성인에 비하여 속근 섬유의 선택적 감소가 두드러 지게 나타났지만 근력운동을 정기적으로 하는 노인의 경우에는 젊은 성인과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근력과 움직임의 속도 등의 기능도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으며, 정기적인 근력운동이 노화에 대응하여 근육의 형태와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하였다(Klitgaard, H., Mantoni, M., Schiaffino, S., Ausoni, S., Gorza, L., Laurent-Winter, C. & Saltin, B., 1990). Stewart 등의 연구에서도 저항운동을 이용 한 신체훈련은 노인의 근력과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 과적이며 근감소증에 유의미한 적응증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하였다(Stewart, V. H., Saunders, D. H. & Greig, C. A., 2014). 본 연구에서도 운동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은 중재 전 후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지만 가정운동프로그램군은 중재 전 후 유의한 상 승 보였다. 이는 본 연구의 결과와 선행연구의 보고가 상응하는 부분으로써 본 연구를 뒷받침 해줄 수 있다 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대상자들의 무릎 굽힘 동작의 최대근력과 근지구력은 대조군의 경우 중재 전후 유의 한 변화는 없었지만 가정운동프로그램군의 경우 중재 후에 최대근력과 근지구력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무릎 굽힘에 관여하는 근육인 뒤넙다리근은 노인의 보 행 및 낙상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보행 시 뒤꿈치 닿기(heel contact) 속도는 뒤넙다리근의 활성도에 영 향을 받으며 특히 노인의 경우 뒤넙다리근의 활성도 변화가 낙상 발생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Winter DA., 1991.). 노인의 경우 일반 성인에 비 해 뒤넙다리근의 활성도가 낮으며 이는 보행 시 보폭 의 감소로 이어지며 결국 낙상의 요소로 작용할 수 있 다(Lockhart, Thurmon E. & Sukwon Kim, 2006). 즉, 노인의 경우 넙다리네갈래근 뿐만 아니라 뒤넙다리근 의 활성도를 높이는 것도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근육 의 활성도가 높아진다는 것은 근력이 증가되는 것과 유사한 의미로 볼 수 있다. Jaesoo Hong 등은 표면 근 전도 검사와 등속성 근력 측정 후 비교 분석을 통하여 근력과 근활성도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하였는데, 해당 동작에 관여하는 근육의 근활성도 가 증가하게 되면 해당 동작으로 발생하는 등속성 근 력이 증가함을 밝혀내었다(Jaesoo Hong, Joohyun Sim, Jonghyun Kim & Keyoungjin Chun, 2011). 본 연 구에서 나타난 가정운동프로그램군의 중재 후 무릎 굽 힘 최대근력과 근지구력의 유의한 상승은 해당 동작에 관여하는 뒤넙다리근의 근활성도가 함께 증가하였음 을 의미한다고 유추해볼 수 있으며, 이는 노인의 보행 동작에서 보폭을 넓히는 긍정적 변화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나아가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하나의 인자로 써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한 무릎 굽힘과 폄의 등속성 근 비율(H/Q ratio)에서는 가정운동프로그램군과 대조군 모두 중재 전후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그룹간의 비 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임종민의 연구 에 따르면 무릎 폄과 굽힘의 등속성 최대근력은 연령 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근비율(H/Q ratio)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연령 에 따라 감소하는 근력의 양이 굽힘과 폄 근력 모두 일 정한 수준으로 동일하게 감소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 로 사료된다(임종민, 2014). 본 연구에서 가정운동프로 그램군의 경우 그와 반대로 무릎 굽힘과 폄의 등속성 최대근력이 함께 유의한 상승을 보였으며 이에 따라 근비율(H/Q ratio)의 유의한 변화가 보이지 않은 것으 로 사료된다. 이는 임상적으로 본 연구의 가정운동프 로그램이 근기능과 관련된 무릎 굽힘과 폄의 등속성 근비율이 잘 유지시켜 무릎관절과 근육의 올바른 기능 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종합적인 운동프로그램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대상자들의 신체적 기능과 균형능력에 대한 검사를 별도로 진행하지 않아 가정운 동프로그램으로 인한 무릎 근력의 유의미한 상승이 직 접적으로 신체적 기능의 개선과 균형능력의 개선, 나 아가 낙상을 직접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는 결론은 내 리기는 어렵다. 그러나 이미 다양한 선행연구들에서 노인의 무릎근력 향상은 다양한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기능개선과 더불어 낙상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고 하였기 때문에 추후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의 운 동프로그램의 다양한 접근을 해볼 수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진행된 운동프로그램에는 저항을 이용하지 않았지만 유산소 운동보다 하지근력 강화 위주의 운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앉았다 일어서기 동작은 스쿼트 동작을 응용한 동작이며, 누 워서 앞뒤로 다리를 들어주는 동작이 함께 수행되어 무릎 폄과 굽힘 동작의 최대근력과 근지구력이 모두 유의하게 상승하는 결과를 가져왔을 것이라고 사료되 며 이는 결국 보행의 개선과 함께 낙상 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지며 시설거주 노인들에게도 큰 어려움 없이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은 본 연구의 긍정적 인 측면으로 볼 수 있다고 사료된다.

    Ⅴ 결 론

    결론적으로 하지운동으로 구성된 가정운동프로그 램은 시설거주 노인의 무릎 굽힘과 폄의 등속성 최대 근력과 근지구력을 유의하게 상승시키며 시설거주 노 인을 대상으로 무릎근력과 기능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 져왔다. 추후 다양한 관점의 연구를 통하여 시설거주 노인의 신체적 기능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운동프 로그램으로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시설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와 개선책으로써 의 기초자료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Figure

    AOSPT-14-1_F1.gif

    등속성 무릎 근력 검사

    Table

    대상자들의 신체적 특성

    가정운동프로그램 중재 적용에 따른 무릎 근력의 변화

    *<i>p</i><.05
    **<i>p</i><.001

    가정운동프로그램

    Reference

    1. 김종민, & 이명선 (2007)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들 의 낙상사고 관련 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를 이용하여-., 건강증진학회지., Vol.24 (4) ; pp.23-39
    2. 박래준, & 박환진 (2000) 운동생리학으로 본 노인과 운동.,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12 (1) ; pp.141-146
    3. 송경애, 문정순, 최정현, & 강성실 (2001) 지역사회 재 가 노인들의 낙상공포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 학회지., Vol.5 (2) ; pp.324-333
    4. 임종민 (2014) 노인 연령에 따른 무릎 신전 굴곡 근력 비교.,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3 (5) ; pp.1355-1361
    5. 현혜진, 장애경, 유수정, & 박연환 (2012) 시설 노인과 재가 노인의 다면적 건강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 비교.,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3 (1) ; pp.40-50
    6. K.R. Baker , M.E. Nelson , D.T. Felson , J.E. Layne , R. Sarno , R. Roubenoff (2001) The efficacy of home based progressive strength training in older adults with knee osteoarthrit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Rheumatol., Vol.28 (7) ; pp.1655-1665
    7. J.M. Drouin , T.C. Valovich-mcLeod , S.J. Shultz , B.M. Gansneder , D.H. Perrin (2004)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iodex system 3 pro isokinetic dynamometer velocity, torque and position measurements., Eur. J. Appl. Physiol., Vol.91 (1) ; pp.22-29
    8. W.J. Evans , J. Lexell (1995) Human aging, muscle mass, and fiber type composition.,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Vol.50 (Special Issue) ; pp.11-16
    9. G.M. Gehlsen , M.H. Whaley (1990) Falls in the elderly: Balance, strength, and flexibility., Arch. Phys. Med. Rehabil., Vol.71 (10) ; pp.739-741
    10. E.E. Hill-Westmoreland , K. Soeken , A.M. Spellbring (2002) A meta-analysis of fall preven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how effective are they?, Nurs. Res., Vol.51 (1) ; pp.1-8
    11. J. Hong , J. Kim , S.W. Kim , H.J. Kong (2017) Effects of home-based tele-exercise on sarcopenia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adults: Body composition and functional fitness., Exp. Gerontol., Vol.87 ; pp.33-39
    12. J. Hong , J. Sim , J. Kim , K. Chun (2011)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muscle strength and muscle activity on shoulder motion of upper body. 203-206.,
    13. J.L. Ivy , R.T. Withers , G. Brose , B.D. Maxwell , D.L. Costill (1981) Applied physiology isokinetic contractile properties of the quadriceps with relation to fiber type., Eur. J. Appl. Physiol. Occup. Physiol., Vol.47 (3) ; pp.247-255
    14. N. Kamide , S. Yoshitaka , S. Hiroshi (2009) Effects on balance, falls, and bone mineral density of a home-based exercise program without home visits in community-dwlling elderly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Physiol. Anthropol., Vol.28 (3) ; pp.115-122
    15. H. Klitgaard , M. Mantoni , S. Schiaffino , S. Ausoni , L. Gorza , C. Laurent-Winter , B. Saltin (1990) Function, morphology and protein expression of ageing skeletal muscle: a cross-sectional study of elderly men with different training backgrounds., Acta Physiol. (Oxf.), Vol.140 (1) ; pp.41-54
    16. T. Liu-Ambrose , M.G. Donaldson , Y. Ahamed , P. Graf , W.L. Cook , J. Close , K.M. Khan (2008) Otago home-based strength and balance retraining improves executive functioning in older falle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Am. Geriatr. Soc., Vol.56 (10) ; pp.1821-1830
    17. T.E. Lockhart , S.W. Kim (2006) Relationship between hamstring activation rate and heel contact velocity: factors influencing age-related slip-induced falls., Gait Posture, Vol.24 (1) ; pp.23-34
    18. T. Ryushi , T. Fukunaga (1986) Influence of subtypes of fast-twitch fibers on isokinetic strength in untrained men., Int. J. Sports Med., Vol.7 (5) ; pp.250-253
    19. V.H. Stewart , D.H. Saunders , C.A. Greig (2014) Responsiveness of muscle size and strength to physical training in very elderly people: a systematic review., Scand. J. Med. Sci. Sports, Vol.24 (1) ; pp.e1-e10
    20. L.B. Verdijk , R. Koopman , G. Schaart , K. Meijer , H.H. Savelberg , L.J. van Loon (2007) Satellite cell content is specifically reduced in type II skeletal muscle fibers in the elderly.,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Vol.292 (1) ; pp.151-157
    21. D.A. Winter (2009) Biomechanics and motor control of human movement., John Wiley & Sons,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