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3 No.2 pp.97-108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17.13.2.12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Training on Aerobic Capacity, Balance and Gait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 Pilot study

Lim jinwoo1, Kang Soonhee1*
1Dept. of Physical Therap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교신저자: 강순희 (한국교통대학교) shkang@ut.ac.kr
December 3, 2017 December 12, 2017 December 15, 201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6 weeks of treadmill exercise training could improve aerobic capacity, balance, and gait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Eleve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were randomly assigned in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n=6) or control group (n=5).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readmill exercise training, whereas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general walking training for 6 weeks. Aerobic capacity was assessed by using the 6 Minute Walking Test (6MWT) and single-stage submaximal treadmill walk test. Balance was measured by the BT4 force platform system, Berg Balance scale (BBS), and the timed up-and-go test (TUG). Gait was measured by a 10-m walking test (10 mWT) and Modified Dynamic Gait Index (mDGI)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analyze changes of all intra-group variabl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analyze changes of all inter-group variables.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in the 6MWT, VO2 max, K-BBS, TUG, and 10 mWT after intervention (p<0.05). The control group improved in the 6MWT, VO2 max, TUG, and 10 mWT after intervention (p<0.05).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changes in the 6MWT (p<0.05), VO2 max (p<0.01), K-BBS score (p<0.01), TUG (p<0.05), and 10 mWT (p<0.05)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readmill exercise training can be used as an intervention to improve aerobic capacity, balance, and gait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트레드밀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유산소성 능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 예비연구

임 진우1, 강 순희1*
1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Ⅰ.서 론

    뇌졸중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1500만 명이 경험 하고 있다(Stoller et al, 2012). 뇌졸중으로 인해 다양 한 기능장애를 겪게 되고, 만성 기능장애의 주요 원인 을 나타내는 뇌졸중은 성인에게 빈번히 발생한다. 발 병 후 6개월 이내에 50∼70%의 기능적 독립성에 대한 회복을 보이지만, 그 중 50%는 여전히 기능장애를 보 인다(Stoller et al, 2012).

    만성 뇌졸중 환자는 자세의 비대칭, 신체 균형 비정 상, 섬세한 기능을 수행하는 특정 운동요소의 상실, 체 중 이동 능력 감소 등으로 기능적 동작시 균형과 보행 에 장애를 받으며(Carr & Shephered, 1989), 이는 환자 자신에게 가장 중요시 되는 활동 능력인 일상생활 동 작에 제한을 받게 되는데, 특히 독립적 생활에 기본이 되는 균형과 보행능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김봉 옥, 홍주현 & 윤승호, 1996).

    뇌졸중 이후에 일반적인 증상은 마비측 근력약화이 고, 이러한 약화는 체간 근력 모두 나타난다. 신체의 중심인 체간은 움직일 때, 기능적 자세를 조정해 중력 에 대항하고, 상하지 움직임을 준비하며 동적인 활동 시 중심이동을 조절하여 갑작스러운 움직임과 새로운 자세로 적응을 할 수 있게 도와준다. 체간의 강한 안정 성은 균형과 상하지의 움직임에 필수적이며 상하지의 노련한 사용은 숙달된 기술과 일상생활동작의 필수 조 건이다(Carr & Shephered, 1989; Ryerson et al., 2008). 재활시 보행회복은 뇌졸중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목표 가 된다(Werner et al, 2002).

    만성 뇌졸중 후 초기 휴식기간을 거치면 근위축과 심기능이 저하로 인해 유산소능력이 떨어진다(Landin et al., 1977).

    유산소성 능력, 균형 및 보행을 증진시켜주는 운동 중 하나는 트레드밀 운동이다. Macko et al.(2005, 2010)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24주간 트레드밀 운동을 시행한 결과, 유산소성 능력과 혈당량 조절에 유효한 효과가 나타났고, Ivey et al. (2007)은 24주간 트레드 밀을 이용한 유산소 운동을 시행한 결과 혈당량 조절 에 유효한 효과를 보였다고 하였다. 또한 최근 연구들 (Sullivan, 2007; Luft et al., 2008, Yang. 2010; Duncan, 2011; Kim et al., 2011)에 의하면 12~16주간 트레드밀 훈련을 시행한 결과 보행과 균형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고 보고되었다. Eich et al.(2004)은 뇌졸 중 환자에게 6주간 트레드밀 운동을 시행한 결과 유산 소성 능력, 보행 및 균형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고 하였다.

    현재까지 트레드밀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 구들에서 각 연구들 마다 운동프로그램의 운동 강도 및 운동강도가 일치되지 않고 있다(Sullivan, 2007; Luft, 2008, Yang. 2010; Duncan, 2011; Kim, 2011).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40~50% 여유심박수의 운동강도 로 수행하는 트레드밀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들의 유산소성 능력, 균형 및 보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트레드밀 훈련이 유산소성 능력, 균형 및 보행의 개선을 위한 중재방법 이 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Ⅱ.연구 방법

    1.연구 대상자

    본 연구에서는 편마비 진단을 받은 후 6개월 이상 경과한 뇌출혈이나 뇌경색으로 인한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선정기준은 독립적 으로 10m 보행이 가능한 자, 심각한 근골격계 질환이 나 심혈관계 질환이 없는 자, 하지 관절의 수동적 관절 가동범위에 제한이 없는 자,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 사(MMSE-K)의 결과가 24점 이상으로 연구자가 지시 하는 내용을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는 자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혈압으로 혈압 조절이 불가능 한 자, 산소 호흡기에 의존하는 자, 최저혈압 110mmHg, 최고혈압 190mmHg 이상인 자, 혈당량 250mg/dL이상인 자는 제 외하였다.

    2.측정도구 및 실험도구

    1)유산소성 능력의 평가

    (1)6분 보행 검사(6 minute walking test; 6MWT)

    본 연구에서는 유산소성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6분 보행 검사(6 minute walking test; 6MWT)를 사용한다. 실내의 30m거리를 6분동안 왕복하여 얻은 최대의 거 리로 측정한다. 뇌졸중 환자 대상으로 실시한 검사-재 검사 신뢰도계수(r=.99)는 높게 나타났다(Eng et al,. 2004).

    (2)단일단계 최대하트레드밀보행검사

    본 연구에서는 최대산소섭취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최대하운동부하검사인 단일단계 최대하트레드밀보행 검사(Single Stage Submaximal Treadmill Walk Test; SSTWT) (Ebbeling et al., 1991)을 사용하여 심박수를 측정한 다음, 해당 방정식에 대입하여 최대산소섭취량 값을 계산하였다. 단일단계최대하트레드밀보행검사 를 실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준비운동은 0%경사도의 트레드밀에서 2-4분을 3.2 -6.4km/h(HRmax의 50-75%)의 속도로 걷는다. 그 다 음에 5% 경사도로 트레드밀을 조정한 후 환자가 선택 한 보행속도에서 4분간 보행을 하고 난 후, 보행 4분 시점에서 심박수를 심박측정기를 통해 측정하였고, 측 정된 심박수를 다음의 방정식을 사용하여 VO2 max을 계산하였다. VO2 max(mL/Kg/Min) = 15.1 + [ 21.8 × 속도(mph) ]-[ 0.327 × HR (bpm)] - [0.263 × 속도 × age(세)] + [0.00504 × HR × age] + [5.98 × 성별] (남:1, 여:0).

    중등도 운동결손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검 사-재검사 신뢰도 계수는 0.75로 나타났다(Ebbeling et al., 1991).

    2)균형의 평가

    (1)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BBS)

    본 연구에서는 유산소성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버그 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BBS)를 사용한다. BBS는 앉기, 서기, 자세변화 등을 통한 균형을 평가하는 도구 이며, 총 14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항목에서 과제를 수행 할 수 없는 경우최소 0점에서 독립적으로 수행 할 경우 최고 4점으로 배점되어 있고, 총 56점이 다. 20점 이하를 균형 장애로 보게 된다.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검사자간 신뢰도 r=0.98, 검사-재검사 신 뢰도 r=0.99로 높게 나타났다(Beninato at al., 2009).

    (2)Timed up and go test(TUG)

    본 연구에서는 균형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Timed up and go test(TUG)를 사용한다. TUG는 의자에서 일 어난 후 3m 지점을 돌아 다시 의자에 앉은 시간을 측 정하는 방법(Podsiadlo & Richardson, 1991)으로써 뇌 졸중 환자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r=0.95로 높게 측 정되었다(Ng & Hui-Cahn, 2005).

    3)보행의 평가

    (1)10m 보행 검사(10m Walking test; 10mWT)

    본 연구에서는 보행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10m 보행 검사(10m Walking test;10mWT)을 사용한다. 10m 보행 검사는 Dean(2000)의 방법으로 총 14m를 자연스러운 걷기 속도로 하였으며, 가속과 감속구간으로 처음과 끝에 2m를 측정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0m 보행 검사를 대상자에 대하여 3회 측정 후, 3회 측정 값의 평균을 산출하여 제시하였다. 뇌졸중 환자 대상 으로 실시한 검사-재검사 신뢰도계수(r=.95)는 높게 나타났다(Tilson et al, 2010).

    (2)동적 보행지수(Modified Dynamic Gait Index; mDGI)

    본 연구에서는 보행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동적 보행 지수(Modified Dynamic Gait Index;mDGI)를 사용한 다. mDGI는 6.1m 걷기, 보행의 속도 변화, 보행 하면 서 좌우로 고개 돌리기, 보행 하면서 고개를 위・아래로 움직이기, 보행 하면서 180도 회전 후 멈춰서기, 보행 하면서 장애물 넘기, 보행하면서 장애물 가로지르기, 4개의 계단을 오르고 내리기 등 총 8개의 보행 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수행시간에 따라 0~3점, 보행양상에 대해 0~3점, 보조도구 및 보조자의 도움에 정도에 따 라 0~2점으로 과제 당 8점으로 총 64점이 만점이다 (Shumway-Cook et al., 1995). 노인 대상의 mDGI는 (k =.96)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게 입증 되었다(Shumway -Cook et al., 2013).

    3.중 재

    1)트레드밀 운동

    본 연구에서 실험군은 준비운동, 트레드밀 운동 및 정리운동으로 구성된 트레드밀 운동프로그램을 6주간 주당 5회, 회기당 45분간 수행하였다(table 1). 트레드 밀 운동의 운동강도는 훈련 1-3주에는 여유심박수 (heart rate reserve; HRR)의 40-45%, 훈련 4-6주에 는 여유심박수의 45-50%의 범위로 운동심박수를 증가 시키기 위해서 트레드밀 속도를 증가시켰다. 실험군의 대상자들은 물리치료사의 감독하에서 심박측정기 (Polar system, Polar Electro, Finland)를 착용한 후에 준비운동으로 스트레칭과 가볍게 걷기 10분을 한 다 음, 운동심박수 범위에서 트레드밀 운동을 15분간 수 행하였고 중간에 2분간 의자에 앉아서 휴식을 한 다음 에 다시 15분간 트레드밀 운동을 수행하였고, 정리운 동으로 스트레칭 5분을 수행하였다. 대상자들은 트레 드밀 운동을 하는 동안, 트레드밀의 손잡이를 잡지 않 고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대상자들이 원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를 잡고 걷도록 하였다.

    2)일반적 보행 운동

    본 연구에서 대조군은 보호자 감독하에 환자가 선호 하는 보행속도로 실내에서 일반적인 보행 운동을 6주 간 주당 5회, 회기당 45분간 수행하였다.

    4.자료분석

    본 연구에서는 SPSS Win. 21.0 Package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실 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과 제 변수에 대한 동질 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χ2 검정 또는 Mann-Whitney U 검정을 사용한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 집단 내 유산 소성 능력, 균형과 보행 변수에서 훈련 전・후에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 을 사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두 집단 간 유산소 성 능력, 균형과 보행 변수에서 훈련 전・후 변화량에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Mann-whitney U 검정을 사용하였다.

    Ⅲ.결 과

    1.연구 대상자의 특성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table 2)와 같다. 실 험군 및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 정을 실시한 결과, 성별, 뇌졸중 유형, 마비측 및 보조 기 착용여부의 비율, 나이, 신장, 체중, 발병 후 기간, BMI, 안정시 심박수, 최대 심박수 및, K-MMSE(score) 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따라서 실 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의 모든 변수에서 동질성 이 확인되었다(table 2).

    2.훈련 전・후 유산소성 능력의 변화

    훈련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6분 보행 검사 값과 VO2 max 값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으므로(p>.05), 유산소성 능력에서 두 집단의 동질성이 확인되었다 (table 3).

    1)훈련 전・후 6분 보행 검사 값의 변화

    6분 보행 검사 값에 있어서 실험군은 훈련 전 265.00 ±141.24m에서 훈련 후 295±142.65m로 유의하게 증 가하였다(p<.05). 대조군에서도 훈련 전 252m±220.04 에서 훈련 후 270±214.83m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5).

    집단 간 6분 보행 검사 값의 변화량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즉, 실험군이 대조군보 다 6분 보행 검사 값의 점수에서 변화량이 더 컸다.

    2)훈련 전・후 VO2 max 값의 변화

    VO2 max 값에 있어서 실험군은 훈련 전 24.4±4.82ml /kg/min에서 훈련 후 26.92±5.56ml/kg/min로 유의하 게 증가하였다(p<.05). 대조군에서도 훈련 전 23.49± 6.38 ml/kg/min에서 훈련 후 24.29±6.52ml/kg/min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집단 간 훈련 전・후 VO2 max값의 변화량은 통계학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즉, 실험군이 대 조군 보다 VO2 max값에서 변화량이 더 컸다.

    3.훈련 전・후 균형의 변화

    훈련 전 BBS 점수와 TUG 값의 균형 변수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으므로(p>.05), 두 집단의 균형에 서 동질성이 확인되었다(table 4).

    1)훈련 전・후 BBS 점수의 변화

    BBS 점수에 있어서 실험군은 훈련 전 42.17±2.64점 에서 훈련 후 46.50±2.88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5). 대조군에서는 훈련 전 44.80±6.54점에서 훈 련 후 45.80±6.42점으로 증가하였으나, 훈련 전・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집단 간 훈련 전・후 6분 보행 검사의 변화량은 통계 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즉,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BBS의 점수에서 변화량이 더 컸다.

    2)훈련 전・후 TUG 값의 변화

    TUG 값에 있어서 실험군은 훈련 전 24.26±12.30초 에서 훈련 후 19.83±10.76초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5). 대조군에서도 훈련 전 22.76±10.44초에서 훈 련 후 20.22±9.82초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집단 간 훈련 전・후 TUG 값의 변화량은 통계학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즉,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TUG 값에서 변화량이 더 컸다.

    4.훈련 전・후 보행의 변화

    훈련 전 10m 보행 검사 값, DGI 값, 분당 걸음수, 보 행 속도, 걸음거리(Stride Length)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으므로(p>.05) 두 집단의 보행 능력에서 동질 성이 확인되었다(table 5).

    1)훈련 전・후 10m 보행검사 값(보행속도)의 변화

    10m 보행검사 값에 있어서 실험군은 훈련 전 0.50± 0.19m/sec에서 훈련 후 0.83±0.56m/sec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대조군에서도 훈련 전 0.51±0.35m /sec 에서 훈련 후 0.74±0.50m/sec로 유의하게 증가하 였다(p<.05).

    집단 간 훈련 전・후 10m 보행검사 값의 변화량은 통 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즉, 실험군 이 대조군 보다 10m 보행검사 값에서 변화량이 더 컸다.

    2)훈련 전・후 DGI 값의 변화

    DGI 값에 있어서 실험군은 훈련 전 13.83±4.36score 에서 훈련 후 16.50±3.62score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5). 대조군에서는 훈련 전 12.00±6.67score에서 훈련 후 13.00±6.07score로 증가하였으나, 훈련 전・후 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집단 간 훈련 전·후 DGI 값의 변화량은 통계학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Ⅳ.고 찰

    본 연구는 6주간의 트레드밀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 자들의 유산소성 능력, 균형 및 보행에 어떤 영향을 미 치는지 알아봄으로써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트레드밀 훈련이 유산소성 능력, 균형 및 보행의 개선을 위한 중 재 방법이 될 수 있는지를 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만성 뇌졸중 환자 12 명을 실험군 6명, 대조군 6명으로 무작위 배정한 후, 실험군은 트레드밀 훈련, 대조군은 일반적 보행운동을 6주간, 주 5회, 회기당 45분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서는 실험군에 대하여 ACSM에서 권고하는 방법의 트 레드밀 훈련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훈련 전・후 유산 소성 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6MWT와 단일 단계 최대하 트레드밀 보행검사로 측정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은 훈련 전보다 훈련 후에 모두 6MWT값과 VO2 max가 증가되었고,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6MWT값 (30m, p<.05)과 VO2 max(2.53mL/kg/min, p<.01)의 변 화량이 유의하게 더 컸다. 이런 결과와 유사하게 Globas 등(2012)의 연구에서는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3개월간 주당 3회를 점진적으로 등급화한 고강도 유산 소 트레드밀 운동 또는 전통적인 물리치료를 적용한 결과, 전통적인 물리치료군보다 트레드밀 운동군이 VO2 peak(6.4mL/kg/min, p<.001) 및 6MWT값(53m, p<.001)의 변화량이 더 컸다. 본 연구에서 트레드밀 훈 련군이 대조군보다 유산소성 능력이 더 크게 향상된 것은 트레드밀 훈련이 일반적 보행운동에 비해 운동강 도를 대상자들의 유산소성 능력에 맞게 처방하고 훈련 1~3주에는 40~45% HRR의 운동심박수, 훈련 4~6주 에는 45~50% HRR의 운동심박수로 운동강도를 증가 시켰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Globas, Christoph, et al., 2012). 따라서 트레드밀운동은 일반적인 보행운동 보다 뇌졸중 환자의 유산소성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더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의 6MWT 값의 변화량에서 통계학적으로 최소한의 유의 한 변화인 MDC(Minimal Detectable Change) 값인 36.6m(Flansbjer et al, 2005)과 임상적으로 최소한의 유의한 변화인 MCID(Minimally Clinically Important Difference) 값인 34.4m(Tang, Eng, & Rand, 2012)에 는 못 미쳤다.

    본 연구에서 균형 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BBS 와 TUG로 측정한 결과, 실험군의 BBS 점수와 TUG 값 은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대조군은 TUG 값은 유 의하게 향상되었으나 BBS 점수는 변화가 없었다. 실험 군의 BBS 변화량은(4.33점)이 대조군의 BBS 변화량(1 점) 보다 더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p<.01). 실험 군의 BBS 변화량은 BBS의 MDC 값인 4.13점(Flansbjer 등, 2012) 보다 더 컸다. 본 연구결과에서 실험군의 TUG 변화량은(4.33점)이 대조군의 것(2.54점) 보다 더 유의하게 컸고(p<.05), TUG의 MDC 값인 2.9초(Flansbjer 등, 2005) 보다 더 컸다. 따라서 트레드밀운동은 일반 적인 보행운동보다 뇌졸중 환자의 균형을 향상시키는 데 더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런 결과와 유사하게 Flansbjer et al.(2012)의 연구에서도 물리치료군 보다 트레드밀 운동군이 BBS 점수의 변화량(6.4점, p<.001) 이 유의하게 더 컸다.

    본 연구에서는 훈련 전・후 보행 능력의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해 10MWT, mDGI, G-Walk를 이용한 분당 걸음 수, 걸음거리를 측정한 결과, 실험군은 mDGI, 분당 걸 음수 및 걸음거리에서 훈련 전보다 훈련 후에 유의하게 증가(p<.05)한 반면에 대조군은 10MWT와 분당 걸음수 는 증가한 반면에 mDGI와 걸음거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보행속도(10MWT 값)에서 실험군(0.33m/s)이 대조군(0.23m/s)에 비해 변화량의 크기가 더 유의하게 컸다(p<.05). 10MWT값의 MCID의 실질적인 유의한 차 이인 0.14 m/s(Perera et al., 2006)보다는 더 컸다. 그러 나 mDGI의 변화량(실험군의 변화량 2.67점, 대조군의 변화량 1.6점)에서는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 나 실험군의 경우에 DGI값의 MDC인 2.6점(Jonsdottir & Cattaneo, 2007)보다 컸다. 본 연구결과에서 트레드 밀 훈련군의 보행속도가 일반적인 보행 훈련군 보다 더 향상된 것은 실험군의 경우, 훈련 4주째부터 운동강 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트레드밀의 속도를 증가시킨 상태에서 보행을 훈련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 라서 트레드밀 운동은 일반적인 보행운동보다 뇌졸중 환자의 보행을 향상시키는 데 더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와 유사하게 Globas et al.(2012)의 연구에서도 실험군(0.08m/s, p<0.001)이 대조군(0.03m/s, p<0.05)에 비해 보행속도의 변화량이 더 큰 것으로 보고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유병기간이 6개월 이상인 자 로 국한되었고, 연구대상자의 수가 적어서 모든 뇌졸 중 환자에게 일반화하기에 제한점이 있다. 향후 연구 에서는 보다 많은 연구대상자를 대상으로 중재 후 후 속 연구를 통하여 훈련 효과의 유지 여부를 알아볼 필 요가 있다.

    Ⅴ.결 론

    본 연구는 6주간의 트레드밀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 자의 유산소성 능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기 위해 예비연구를 시행하였다.

    결론적으로 6주간의 트레드밀 훈련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유산소성 능력, 균형 및 보행을 향상시키기 위 한 중재임을 제안한다.1

    Figure

    AOSPT-13-97_F1.gif

    실험동의서

    Table

    트레드밀 운동 프로그램

    HRR, heart rate reserve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BMI, body mass index; HRrest, heart rate rest; SD, standard deviation; HRmax, heart rate max; K-MMSE, Korean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훈련 전·후 유산소성 능력의 변화

    6MWT, 6 Minute Walking test
    *p<.05,
    **p<.01

    훈련 전·후 균형의 변화

    BBS, Berg balance scale; TUG, Timed up and go test
    *p<.05,
    **p<.01

    훈련 전·후 보행의 변화

    10mWT, 10m walking test; DGI,Dynamic Gait Index
    *p<.05,
    **p<.01

    Reference

    1. 김봉옥 (1996) 편마비환자에서 보행 중 에너지 소모와 Physiological Cost Index의 유용 성 , 대한통합의학회지, Vol.20 (1) ; pp.39-44
    2. 김홍채 (2011) 뇌졸중 환자에서 트레드밀을 이용한 유산 소 운동의 효과 , Brain & NeuroRehabilitation, Vol.4 (1) ; pp.50-56
    3. StollerO. de BruinE.D. KnolsR.H. HuntK.J. (2012) Effects of cardiovascular exercise early after strok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BMC Neurol, Vol.12 ; pp.45
    4. BeninatoM. PortneyL.G. SullivanP.E. (2009) Using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as a framework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falls and clinical assessment tools in people with stroke , Phys. Ther, Vol.89 (8) ; pp.816-825
    5. CarrJ.H. ShepherdR.B. (1989) A motor learning model for stroke rehabilitation , Phys. Ther, Vol.75 (2) ; pp.372-380
    6. CarrJ.H. ShepherdR.B. NordholmL. (1985) Investigation of a new motor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 Phys. Ther, Vol.6 (2) ; pp.175-180
    7. DeanC.M. AdaL. BamptonJ. MorrisM.E. KatrakP.H. PottsS. (2010) Treadmill walking with body weight support in subacute non-ambulatory stroke improves walking capacity more than overground walking: a randomised trial , J. Physiother, Vol.56 (2) ; pp.97-103
    8. DeanC.M. RichardsC.L. MalouinF. (2000)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 Arch. Phys. Med. Rehabil, Vol.81 (4) ; pp.409-417
    9. DuncanK. PozehlB. NormanJ.F. HertzogM. (2011) A self-directed adherence management program for patients with heart failure completing combined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 Appl. Nurs. Res, Vol.24 (4) ; pp.207-214
    10. EbbelingC.B. WardA. PuleoE.M. WidrickJ. RippeJ.M. (1991) Development of a singlestage submaximal treadmill walking test , Med. Sci. Sports Exerc, Vol.23 (8) ; pp.966-973
    11. EichH.J. WernerM.C. HesseS. (2004) Aerobic treadmill plus Bobath walking training improves walking in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Clin. Rehabil, Vol.18 ; pp.640-651
    12. FlansbjerU.B. BlomJ. BrogardhC. (2012) The reproducibility of Berg Balance Scale and the Single-leg Stance in chronic strok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ests , American Academy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4 (3) ; pp.165-170
    13. FlansbjerU.B. HolmbackA.M. DoownhamC. PattenC. LexellJ. (2005) Reliability of gait performance tests in men and women with hemiparesis after stroke , J. Rehabil. Med, Vol.37 (2) ; pp.75-82
    14. GlobasC. BeckerC. CernyJ. JudithM. L. (2012) Chronic stroke survivors benefit from high-intensity aerobic treadmill exercise: a randomized control trial , Neurorehabil. Neural Repair, Vol.26 (1) ; pp.85-95
    15. IveyF.M. Hafer-MackoC.E. MackoR.F. (2008) Task-oriented treadmill exercise training inchronic hemiparetic stroke , J. Rehabil. Res. Dev, Vol.45 (2) ; pp.249
    16. IveyF.M. Hafer-MackoC.E. RyanA.S. MackoR.F. (2010) Impaired Leg Vasodilatory Function After Stroke , Stroke, Vol.41 (12) ; pp.2913-2917
    17. IveyF.M. RyanA.S. Hafer-MackoC.E. GoldbergA.P. MackoR.F. (2007) Treadmillaerobic training improves glucose tolerance and indices of insulin sensitivity in disabled stroke survivors , Stroke, Vol.38 (10) ; pp.2752-2758
    18. JonsdottirJ. CattaneoD. (2007)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ynamic gait index in persons with chronic stroke , Arch. Phys. Med. Rehabil, Vol.88 (11) ; pp.1410-1415
    19. KimC. GongW. KimS. (2011) The effects of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and treadmill walking exercise on the gait and balance of stroke patient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amd , Science, Vol.23 (3) ; pp.405-408
    20. LandinS. HagenfeldtL. SaltinB. WahrenJ. (1977) Muscle metabolism during exercise in hemiparetic patients , Clin. Sci, Vol.53 (3) ; pp.257-269
    21. LuftA.R. MackoR.F. ForresterL.W. VillagraF. IveyF. HanleyD.F. (2008) Treadmill exercise activates subcortical neural networks and improves walking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Stroke, Vol.39 ; pp.3341-3350
    22. MackoM.F. IveyF.M. ForresterL.W. HaneyD. SorkinJ.D. GoldbergA.P. (2005) Treadmill exercise rehabilitation improves ambulatory function and cardiovascular fitness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 Stroke, Vol.36 ; pp.2206-2211
    23. MehrholzJ. PohlM. ElsnerB. (2014) Treadmill training and body weight support for walking after stroke , Cochrane Library Systematic Review, Vol.23 (1) ; pp.CD002840
    24. NgS.S. Hui-ChanC.W. (2005) The timed up & go test: its reliability and association with lower-limb impairments and locomotor capacities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 , Arch. Phys. Med. Rehabil, Vol.86 (8) ; pp.1641-1647
    25. PangM.Y. EngJ.J. DawsonA.S. GylfadottirS. (2006) The use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in improving aerobic capacity in individuals with stroke: a meta-analysis , Clin. Rehabil, Vol.20 (2) ; pp.97-111
    26. PatelH. AlkhawamH. MadaniehR.l. ShahN. KosmasC.E. VittorioT.J. (2017) Aerobicvs anaerobic exercise training effects on the cardiovascular system , World J. Cardiol, Vol.9 (2) ; pp.134-138
    27. PereraS. ModyS.H. WoodmanR.C. StudenskiS.A. (2006) Meaningful change and responsiveness in common physical performance measures in older adults , J. Am. Geriatr. Soc, Vol.54 (5) ; pp.743-749
    28. PodsiadloD. RichardsonS. (1991) The timed ?oUp & Go ??: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 J. Am. Geriatr. Soc, Vol.39 (2) ; pp.142-148
    29. PoleseJ.C. AdaL. DeanC.M. NascimentoL.R. Teixeira-SalmelaL.F. (2013) Treadmill training is effective for ambulatory adults with stroke: a systematic review , J. Physiother, Vol.59 (2) ; pp.73-80
    30. RookeT.W. HirschA.T. MisraS. SidawyA.N. BeckmanJ.A. ZierlerR.E. (2012) 2011 ACCF/AHA Focused update of the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peripheral artery disease (updating the 2005 guideline):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the Society for Cardiovascular Angiography and Interventions, Society of Interventional Radiology, Society for Vascular Medicine, and Society for Vascular Surgery , Catheter. Cardiovasc. Interv, Vol.79 (4) ; pp.501-531
    31. RosenbloomM.J. RohlfingT. O ?(tm)ReillyA.W. SassoonS.A. PfefferbaumA. SullivanE.V. (2007) Improvement in memory and static balance with abstinence in alcoholic men and women: Selective relations with change in brain structure , Psychiatry Res, Vol.155 (2) ; pp.91-102
    32. RothE.J. (1993) Heart disease in patients with stroke: incidence, impact, and implications for rehabilitation part 1: classification and prevalence , Arch. Phys. Med. Rehabil, Vol.74 (7) ; pp.752-760
    33. RyersonS. BylN.N. BrownD.A. WongR.A. HidlerJ.M. (2008) Altered trunk position sense and its relation to balance functions in people post-stroke , J. Neurol. Phys. Ther, Vol.3 (1) ; pp.14-20
    34. SandbergK. KleistM. FalkL. EnthovenP. (2016) Effects of twice-weekly intense aerobic exercise in early subacute stroke: a randomizedcontrolled trial , Arch. Phys. Med. Rehabil, Vol.97 (8) ; pp.1244-1253
    35. Shumway-CookA. WoollacottM.H. (2006)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 pp.108-150
    36. Shumway-CookA. TaylorC.S. MatsudaP.N. StuderM.T. WhettenB.K. (2013) Expanding the Scoring System for the Dynamic Gait Index , Phys. Ther, Vol.93 (11) ; pp.1493-1506
    37. TangA. (2014) Exercise ??induced changes in cardiovascular function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Int. J. Stroke, Vol.9 (7) ; pp.883-889
    38. TangA. EngJ.J. RandD. (2012)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nd measured changes in walking after stroke , J. Neurol. Phys. Ther, Vol.36 (3) ; pp.115-121
    39. TilsonJ.K. SullivanK.J. CenS.Y. RoseD.K. KoradiaC.H. DuncanP.W. (2010) Meaningful gait speed improvement during the first 60 Days post stroke: minimal clinically important difference , Phys. Ther, Vol.90 (2) ; pp.196-208
    40. Toledano-ZarhiA. TanneD. CarmeliE. Katz-LeurerM. (2011) Feasibility, safety and efficacy of an early aerobic rehabilitation program for patients after minor ischemic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NeuroRehabilitation, Vol.28 (2) ; pp.85-90
    41. WernerC. Von FrankenbergS. TreigT. KonradM. HesseS. (2002) Treadmill Training With Partial Body Weight Support and an Electromechanical Gait Trainer for Restoration of Gait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Stroke, Vol.33 (12) ; pp.2895-2901
    42. YangC.B. ZhangS. ZhangY. WangB. YaoY.J. WangY.C. SunX.Q. (2010) Combined short-arm centrifuge and aerobic exercise training improves cardiovascular function and physical working capacity in humans , Med. Sci. Monit, Vol.16 (2) ; pp.CR575-CR583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