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3 No.2 pp.65-70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17.13.2.08

Effects of Unicycle Exercise for 8 Weeks on the Turtle Neck Posture in University Students

Chi-bok Park1, Woon-soo Cho1, Ah-young Choi2*
1Dept. of Physical Therapy, Nambu University
2Rehabilitation Center, Wooam Hospital
교신저자: (우암병원) caykned@hanmail.net
November 30, 2017 December 19, 2017 December 26, 2017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unicycle exercise on the turtle neck posture in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19 subjects; and the control group, 15 subjects.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unicycle exercise three times per week for 8 weeks. For evaluation of the turtle neck posture, the craniovertebral angle (CVA) and cranial rotation angle (CRA) were measured.

The CVA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ver time (p < .05)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 < .05), and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group (p < .05).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CRA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 < .05).

Unicycle exercise is an effective alternative method for correction of turtle neck posture.


8주간의 외발자전거 운동이 대학생의 거북목 자세에 미치는 영향

박 치복1, 조 운수1, 최 아영2*
1남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2우암병원 재활치료실

초록


    Ⅰ.서 론

    현재 IT 기기의 발달로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을 사 용하는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그 중 2011년 27%에서 2017년 85%에 이를 정도로 스마트폰 이용이 보편화되 고 있으며 다른 연령층에 비해 10~30대에서 IT 기기들 의 사용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방송통신위원회, 2017). IT 기기들의 사용은 실생활의 편리함을 가져다 줌과 동시에 신체적으로는 부정렬과 그로 인한 통증을 가져다 줄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 르면 허리와 목 디스크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연 평균 4.8%씩 증가했는데 이 중 약 20%는 20~30대 젊은 층인 것으로 나타났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5).

    거북목 증후군은 목뼈가 일자로 되거나 혹은 역C자 모양으로 변형되는 증상이며, 이러한 자세가 지속될 경우 둥근 어깨를 유발하게 되고 흉추 후만이 되어 척 추 전체의 불균형을 초래한다(Hickey et al., 2000). 또 한 자세 변형과 만성 통증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턱관 절 장애, 경추 디스크 등의 척추질환으로 진행 될 수 있다(Ferrari & Russell, 2003; Harrison, Barry-Greb, & Wojtowicz, 1996).

    불균형이 이루어진 신체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잘못 된 자세를 바로잡고 적합한 운동을 선택하여 지속적으 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 운동의 지속적인 참여를 위해 서는 무엇보다 쉽고 재미가 있어야 하며, 또한 생활 주 변에서 손쉽게 행할 수 있는 종목을 선택하여야 한다.

    그 중 자전거 운동은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운동 중 하나로 자신의 신체적, 정서적 상태를 고려하여 운동 강도와 빈도, 시기,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 을 가지고 있다(박세준, 정희석, & 최기훈, 2016; Ryschon, 1994). 자전거 운동은 근력과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키고 골다공증 예방과 자세유지를 위한 협응력 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강현식, 2008; 이한용, 2012; 장원석 등, 2009; Short et al., 2003).

    일반적인 자전거 뿐만 아니라 동호회 활동과 초-중 등 학교의 방과 후 활동을 통해 외발자전거 운동이 활 성화 되어가고 있다(박동수, & 천성용, 2015). 외발자 전거 운동은 중심을 잡기 위해 신체 중심선을 외발자 전거 중심에 맞추어 바퀴를 전후, 좌우로 이동하는 운 동으로 단지 상체와 허리를 사용해서 방향을 조절하기 때문에 외발자전거를 잘 타기 위해서는 척추를 바로 세우고 몸의 균형을 유지하여야 하고 그로인해 척추측 만증과 같은 구부러진 척추가 자연스럽게 교정되는 효 과를 누릴 수 있다(고덕주 & 김경래, 2017; 변재경, 김 영태, & 박순희, 2017).

    그러나 외발자전거 운동이 체력이나 근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본 연구들은 존재하지만 거북목 증후 군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에 나타나는 변화를 알아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 적은 젊은 연령층에서 많이 발생하는 거북목 증후군을 교정하기 위한 운동 중재법으로서 외발 자전거 운동이 효과적인지 알아보고 신체 부정렬과 관련된 질환을 예 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Ⅱ.연구 방법

    1.연구 대상자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N대학교에 재학 중 인 20대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40명이 본 실험 참여 에 동의하였고 각각 실험군 20명, 대조군 20명이 실험 에 참여하였으나 실험 도중 실험군에서 1명, 대조군에 서 5명이 탈락하여 총 실험군 19명, 대조군 15명이 실 험을 완료하였다. 연구 대상자들로 모두 의사소통이 원활하고 근골격계 질환이 없으며, 경부장애지수 (neck disability index) 설문 결과가 14점 이하이고, 귀 의 중심이 어깨의 중심보다 2.5cm 이상 앞에 위치한 자들로 선정하였다(박종현, 2013). 그리고 BBS(berg balance scale) 41점 이상으로 외발자전거 훈련을 하는 데 있어서 균형 능력에 이상이 없는 자를 선정하여 연 구를 진행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 다(Table 1).

    2.운동 방법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하 기 위하여 운동 초기에는 안전봉(p-bar)을 이용하여 쉽고 안전하게 외발자전거 기술을 습득하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그 후 콘과 같은 장애물들을 지그재그 와 같은 형태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운동을 하였고, 10~20M 중-단거리 주행의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고덕 주 & 김경래, 2017; 변재경, 김영태, & 박순희, 2017).

    실험군의 훈련 프로그램은 주 3회, 총 8주 동안 실시 하였다. 운동 전 5분간의 준비 운동, 40분간의 본 운동, 5분간의 마무리 운동, 총 50분의 시간으로 구성하였 다.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외발 자전거 운동 진행 시 보조자 한명이 항시 대기를 하고 있었으며, 실험군 의 대상자들은 외발 자전거 운동 시 항상 헬멧과 팔꿈 치 보호대 및 무릎보호대를 착용하였다(Table 2).

    3.측정 방법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들의 거북목 자세를 측정하기 위해 전방머리자세를 측정하였다. 전방머리자세는 두 개척추각(CVA; craniovertebral angle)과 두개회전각 (CRA; cranial rotation angle)을 이용해 평가하였다 (Lau, Chiu, & Lam, 2009). 대상자를 편안하게 서있게 하고 머리는 자가-균형위치를 통해 자연스런 머리자 세를 유지하게 하며, 양팔은 이완하여 몸통 옆에 놓게 하였다. 자연스런 머리자세를 유지하는 동안 시각에 의해 자세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면을 주 시하도록 하였으며 핸드폰 카메라(Galaxy S7, Samsung, 한국)로 측면 머리・목뼈 사진을 촬영하였다. 두개척추 각(CVA)은 귀의 이주와 7번 목뼈, 그리고 7번 목뼈를 지나는 수평선이 이루는 각을 기준으로 잡아 측정하였 고, 두개회전각(CRA)은 귀의 이주와 7번 목뼈, 그리고 눈의 외측 안각이 이루는 각을 기준으로 잡아 측정하 였다(채윤원, 2002).

    4.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측정된 자료가 정규분포를 이루는 지 확인하기 위해 콜로고로프-스미르노프(kolmogorovsmirnov) 검정을 실시하였다. 각 군간 및 시기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사용하였다. 모든 변인에 대한 통계학적 유의 수준 α= .05로 하였다.

    Ⅲ.연구 결과

    1.두개척추각(CVA)의 변화

    실험군에서는 사전-사후 변화량에서 7.09% 두개척 추각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대조군에서는 사 전-사후 변화량에서 1.53%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주었 다. 사전, 중간, 사후 검사에서 시기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났으며(p<.05) 그룹간에서 또한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났다(p<.05). 그리고 상호작용에서도 유의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Table 3).

    2.두개회전각(CRA)의 변화

    실험군에서는 사전-사후 변화량에서 1.41% 두개회 전각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주었고, 대조군에서는 사 전-사후 변화량에서 0.14%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주었 다. 사전, 중간, 사후 검사에서 시기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룹간에서는 유의한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상호작용에서는 유 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고 찰

    본 연구에서는 외발 자전거 운동이 대학생의 거북목 자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 험 결과 두개척추각(CVA)에서는 시기 간 차이, 군 간 차이, 시기*군 간의 상호작용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고, CRA에서는 그룹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Yip, Chiu, & Poon(2008)은 두개척추 각(CVA)이 상대적으로 작은 사람, 즉 거북목 자세가 심 한 사람들이 두개척추각(CVA)이 상대적으로 큰 사람 들에 비하여 목 통증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유의한 상 관관계가 있다고 하였고, Fernández et al.(2006)도 두 개척추각(CVA)이 작을수록 경추부 통증 및 두통이 유 의한 수준으로 증가하면서 경추의 가동범위가 감소하 는 것을 보여주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실험을 진행하는 동안 실험군의 두개척추각(CVA)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거북목자세가 지속적으로 교정되는 양 상을 보여주었다.

    고덕주와 김경래(2017)는 고등학교 남학생을 대상으 로 12주간의 외발자전거 운동을 실시한 결과 허리의 근 력 및 가동성이 증진되었는데 이는 외발자전거 운동이 균형을 잡거나 방향을 조절하고자 할 때 주로 몸통과 허리를 사용해서 조절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또한, 변재경, 김영태, & 박순희(2017)는 외발자전거를 잘 타 기 위해서는 척추를 바로 세우고 몸의 균형을 유지해 야 하기 때문에 척추가 자연스럽게 교정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시행한 외 발자전거 운동이 척추의 자세 정렬에 나타나는 변화가 머리와 목뼈의 자세 교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 각된다.

    또한, 외발자전거를 탈 때 균형을 잡기 위해서는 허 리를 바르게 펴고 고개를 들어서 지속적으로 시야를 전방으로 두어야 하는데 이 과정 속에서 올바르게 직 립된 몸통과 머리의 자세가 거북목 자세를 교정하는데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시각은 개인 및 주위 환경이 움직임에 따라 적절하게 공간에서 머리의 움직 임과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이병권, 한동욱, 2010). 시각신경으로부터 오는 입력신호는 신체의 중 심의 균형을 조절하기 위해 목과 몸체의 위치를 결정 하기 때문에 자세조절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Fabio, 1995). 때문에 불안정한 외발자전거 위에서 지속적으 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각의 의존도가 높아진 다. 1개의 바퀴를 가지고 있는 외발자전거 위에서 신체 의 균형을 잡고 제어하기 위해 시각적 정보를 지속적 으로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머리의 위치가 교정이 되 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 34 명에 국한되어 연구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를 일 반화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 그리고 대조군에 다른 운동 중재법을 적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효과 비 교가 어려웠다는 점, 그리고 실험 외의 시간에 대상자 들이 수행하는 운동 등의 환경적 요인을 통제할 수 없 어 연구결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 다는 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후속연구에서는 더 많은 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외발자전거 운동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결 론

    본 연구는 외발자전거 운동이 대학생의 거북목 자세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8주간 외발자전거 운 동을 시행하는 동안 거북목 자세의 변화를 측정하였 다. 그 결과, 외발자전거 운동이 두개척추각(CVA)과 두개회전각(CRA)의 변화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게 하여 거북목 자세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따라 서 외발자전거 운동이 거북목 자세를 바로 잡는데 효 과가 있으며, 이는 외발 자전거 운동이 신체적 불균형 을 줄여주는 데 있어서 한가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 여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Table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a평균±표준편차

    8주간 외발자전거 운동 방법

    두개척추각(CVA)와 두개회전각(CRA)의 변화 (단위:°)

    a평균 ± 표준편차
    *p<.05

    Reference

    1. 강현식 (2008) 자전거 타기와 건강 , 대한토목학회지, Vol.56 (7) ; pp.59-61
    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5) http://www.hira.or.kr ,
    3. 고덕주 (2017) 외발자전거 운동이 고등학생 의 건강체력과 운동체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교육연구, Vol.30 (1) ; pp.1-20
    4. 박동수 (2015) 성인남성의 외발자전거 타기 가 등속성 슬관절과 족관절 근력에 미치는 영향 ,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4 (1) ; pp.1423-1434
    5. 박세준 (2016) 자전거타기 재미요인 과 체육수업만족도 ,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Vol.12 ; pp.1-19
    6. 박종현 (2013) 자세교정 운동 참여가 거북목 증후군에 미 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한국),
    7. 방송통신위원회 (2017) 스마트폰 앱 접근권한 개인정보 보호 안내서,
    8. 변재경 (2017) 12주간의 외발자전 거 운동이 초등학생의 건강체력 및 하지 근지구 력,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 코칭능력개발지, Vol.19 (1) ; pp.79-85
    9. 이병권 (2010) 고유 수용성 운동프로그램이 성인 편마비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 한국자료분석학회지, Vol.12 (4) ; pp.1903-1914
    10. 이한용 (2012) 저항성 근력 운동과 자전거 운동이 여 성고혈압환자의 혈압과 신체중심 동요에 미치는 효과 분석 , 한국체육과학회지, Vol.51 (4) ; pp.489-495
    11. 장원석 (2009) 대퇴근 활성 화에 대한 자전거 운동 시 근전도와 슬관절 각도와 의 상관관절 연구 , 전자공학협회논문지, Vol.4 (11) ; pp.77-83
    12. 채윤원 (2002) 경부근육에 있어 두부전방자세와 압력 통증 역치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14 (1) ; pp.117-124
    13. FabioR.P. (1995)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platform posturography for identifying patients with vestibular dysfunction , Phys. Ther, Vol.75 (1) ; pp.290-305
    14. Fernandez-de-las-PenasC. Alonso-BlancoC. CuadradoM.L. ParejaJ.A. (2006) Forward head posture and neck mobility in chromic tensiontype headache : A blinded, controlled study , Cephalagia, Vol.26 (3) ; pp.314-319
    15. FerrariR. RussellA.S. (2003) Regional musculoskeletal conditions: Neck pain , Best Pract. Res. Clin. Rheumatol, Vol.17 (1) ; pp.57-70
    16. HarrisonA.L. Barry-GrebT. WojtowiczG. (1996) Clinical measurement of head and shoulder posturevariables , J. Orthop. Sports Phys. Ther, Vol.23 (6) ; pp.353-361
    17. HickeyE.R. RomndeauM.J. CorrenteJ.R. AbysalhC.J. (2000) Reliability of the cervical range of motion device and plumb line techniques in measuring resting head posture (RHP) , J. Manual Manip. Ther, Vol.8 (1) ; pp.10-17
    18. LauH.M. ChiuT.T. LamT.H. (2009) Clinical measurement of craniovertebral angle by electronic head posture instrument: A test of reliability and validity , Man. Ther, Vol.14 (4) ; pp.363-368
    19. RyschonT.W. (1994) Physiologic aspects of bicycling , Clin. Sports Med, Vol.13 (1) ; pp.15-38
    20. ShortK.R. VittoneJ.L. BigelowM.L. ProctorD.N. RizzaR.A. Coenen-SchimkeJ.M. NairK.S. (2003) Impact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age-related changesin insulin sensitivityand muscle oxidative capacity , Diabetes, Vol.52 (8) ; pp.1888-1896
    21. YipC.H. ChiuT.T. PoonA.T.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 posture andseverity and disability of patients with neck pain , Man. Ther, Vol.13 (2) ; pp.148-154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