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3 No.2 pp.29-35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17.13.2.04

Effect of Hormonal Change according to Menstrual Cycle on Balance and Mood in Females

Ji-hyun Kim1, Won-seob Shin2*
1Dept. of Physical Therapy Graduate School, Daejeon University
2Dept. of Physical Therapy, College of Health Medical and Science, Daejeon University
교신저자: (대전대학교) shinws@dju.ac.kr
November 14, 2017 November 27, 2017 November 29, 201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hormonal changes according to menstrual cycle on balance and mood in non-athletic female subjects.

Twenty non-athletic women with regular menstrual cyc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alance ability was evaluated as static balance and dynamic balance. Static balance was measured using the distance and average velocity of the center of pressure (CoP). Distance indicated the path length for the duration of the trial and average velocity was the path length covered per unit of time. Dynamic balance was measured using the distance of the Y-balance test. Mood was assessed using the Profile of Mood States (POMS). All tests were conducted during a full cycle of menstruation and ovulation.

During ovulation, path length and average velocity of CoP decreased significantly (p<.05). Anterior distance of the Y-balance test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ovulation (p<.05). Posteromedial and posterolateral distanc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menstrual and ovulatory periods (p>.05). In terms of mood, “Anger” and the total POMS score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ovulation (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n-athletic women should be aware of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during each menstrual cycle in order to prevent the increased risk of injury.


월경주기에 따른 성호르몬 변화가 여성의 균형 및 감정상태에 미치는 영향

김 지현1, 신 원섭2*
1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물리치료학과
2대전대학교 보건의료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초록


    Ⅰ.서 론

    여성은 주기적으로 월경을 겪는데 이는 성 호르몬 농도의 변화로 발생한다(Shultz et al., 2005; Khowailed et al., 2015). 월경전후에 여성들이 신체적, 심리적 변화 와 고통을 겪는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며 이는 사회적 활동 등에 영향을 미친다(강다해솜, 2017). 성의 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 수용기는 골격근과 힘줄에 분포 되어있으며 (Lemoine et al., 2003; Wiik et al., 2003) 에스트로겐은 근력(Sarwar, Niclosm, & Rutherford, 1996), 신진대사(Hackney, 1999)와 경직(Eiling et al., 2007)을 조절한다. 월경주기에 따라 성호르몬의 농도는 변화하게 되고, 농도의 변화는 근육과 힘줄 경직도에 영향을 주게 된다(Eiling et al., 2007).

    균형은 일상생활 뿐 아니라 사회에서 기능적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한다(Lee, & Hwang, 2015). 자세와 균형조절 능력은 고위 신경 레벨 신경회로뿐만 아니라 인지적 측면, 근골격계, 고유수용감각 등과 같 은 요소에서도 강한 영향을 받는다(Horak, Shupert, & Mirka, 1989). 발은 골반에서 시작하는 하지의 말단부 위로 체중지지와 신체 이동 역할과 동시에 충격을 흡 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Hintermann, 1999). 월 경주기의 배란기에 발목관절의 느슨함이 가장 증가하 여(Shultz et al., 2012) 발-발목 복합체의 결합조직은 에스트로겐의 농도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Lee, & Yim, 2016).

    월경 전 여성의 60%는 월경 전 긴장감을 느껴 두통, 신경과민, 근무력증, 정서의 불안정, 불안감 등이 나타 났다(Wilcoxon, Schrader, & Sherif, 1976). 정서는 행 복이나 놀람, 분노, 공포, 슬픔 등과 같이 상이한 정서 는 독특한 자율신경 반응패턴을 가지고 있다(Ekman, Levenson, & Friesen, 1983). 월경 시 정서는 월경에 대 한 불편감 정도에 영향을 받는다. 여성은 월경 기간 동 안 신체적, 심리적 증상을 경험하는데 월경전증후군으 로 인해 신체적 불편감을 겪은 경우, 월경에 대해 부정 적인 태도를 가지게 된다(강다해솜, 2017).

    장거리 선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난포기에 활 기가 높고 긴장, 우울, 피로 및 혼란이 낮은 것으로 나 타났으며, 황체기 중에는 전체 기분상태 점수가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Wiliams, & Krahenbuhi, 1997). 이외 에도 선수의 긍정적 정서 상태가 운동 수행에 정적 영 향을 미친다는 보고가 있다(Tardieu-Berger et al., 2004).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은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호르몬이 비운동선수 여성에게 정적 균형 에 미치는 영향과 감정상태를 포괄적으로 연구한 논문 은 부족한 실정이다. 월경주기와 감정상태를 연구한 대부분의 논문은 대상자가 운동선수 및 군인 등으로 이들은 신체적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한 훈련과 스트레스를 줄이고 감정 조절을 위해 심리기술훈련을 받는다. 이러한 심리기술훈련이 선행연구의 결과에 영 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따라서 감정 에 관한 자기통제 및 운동능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훈 련을 거치지 않은 일반적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 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월경주기에 따른 성호르몬의 변화 가 여성의 균형 및 감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 는데 목적이 있다. 여성의 성호르몬 중 에스트로겐이 신체적, 감정적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에스트로겐이 가장 높은 배란기와 가장 낮아지는 월경 기에 측정하여 균형 및 감정상태에 차이가 있는지 알 아볼 것이다.

    Ⅱ.연구방법

    1.연구대상자

    본 연구의 대상자는 D시에 거주하는 비 운동선수 여 성으로서 20~30세 사이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실시 되었다. 선정기준은 초경이 지난 지 1년 이상 되었고, 최근 3개월 동안 안정된 월경주기를 가진 여성으로 하 였다. 연구기간 동안과 3개월 이전에 호르몬 피임제 또 는 호르몬 제품을 사용한 자, 결합조직에 영향을 주는 질병을 가진 자, 골절이나 수술 병력이 있거나 부종이 있는 자, 흡연자, 임신과 출산의 경험이 있는 여성은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모든 연구 대상자는 연구 목적 과 실험 방법에 대하여 충분한 설명을 듣고 자발적인 동의 후 연구 참여 동의서에 서명하였다. 본 연구의 모 든 절차와 방법은 대전대학교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진행하였다 (IRB 1040647-201708-HR- 001-03).

    2.측정도구 및 실험도구

    1)측정시점의 결정방법

    측정시점은 에스트로겐 수치가 최저인 월경기 (menstruation)와 최고인 배란기(Ovulation)로 나누었 다(Shultz et al., 2005; Khowailed et al., 2015). 월경 측정시점은 월경이 시작된 후 2일 안으로 측정하며, 배란 측정시점은 99% 정확성을 가진 배란 테스트기를 사용하 여 양성이 나타나면, 2일 안에 측정하였다(Khowailed et al., 2015). 모든 대상자에게 정확한 배란일 추정을 위해 배란기테스트기(SU-HLHS-01, 수젠텍, 한국)를 제공하여 생리가 끝난 날부터 매일 사용하도록 하였다.

    2)균형능력

    (1)정적균형 평가

    정적균형은 신체압력중심점(Center of Pressure)의 이동거리와 평균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Wii Balance Board(Nintendo, Japan)와 Balancia 2.0(Mintosys, Korea)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WBB의 측정자 내 신뢰 도는 .66~.94, 측정자 간 신뢰도는 .77~.89 이었다 (Clark, Ulrik, & Julia, 2015).

    (2)동적균형 평가

    동적균형은 발목의 안정성 한계를 평가하는 방법으 로 Y-balance Test를 통해 평가하였다. Y-balance Test는 하지 근력과 고유수용성 감각, 유연성을 측정 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별 모양 편위 균형 테 스트(Star Excrusion Balance Test)의 반복성을 높이기 위해 고안된 방법으로 앞쪽, 뒤안쪽, 뒤바깥쪽 방향을 이용한다. 측정자 간 ICC 0.85-0.89, 측정자 내 ICC 0.99-1.0 이었다(Hyong, & Kim, 2014). 1.5 inch 테이 프를 이용해 앞쪽 방향의 선을 기준으로 양 쪽으로 135゚ 방향에 뒤안쪽과 뒤바깥쪽 선을 표시하여 앞쪽, 뒤안 쪽, 뒤바깥쪽 총 세가지 방향을 검사에 이용하였다.

    2)감정상태 평가

    대상자들의 월경주기별 감정상태 변화는 무드상태 검사지(Profile of Mood States, POMS)를 이용하여 평 가하였다. 총 6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타당도가 입 증된 검사지로 긴장(tension), 우울(depression), 분노 (anger), 활력(vigor), 피로(fatigue), 혼동(confusion) 의 6개 하위 변인을 측정한다. 점수를 표준점수로 환산 하여 활력은 점수가 높을수록, 나머지 5개 하위요인들 과 총 정서점수는 낮을수록 정서적 건강이 좋다는 것 을 의미한다(Shahid et al., 2011).

    3.실험절차

    모든 대상자는 측정시점의 결정방법에 따라 월경주 기에 따른 에스트로겐 호르몬의 변화가 가장 큰 시점 에서 균형 능력과 감정상태를 측정하였다. 대상자에게 실험방법에 대해 충분하게 설명하고 측정하였다. 대상 자들은 동적균형과 정적균형을 측정하기 전에 무드상 태검사지를 작성하였다. 65개 문항에 대한 감정상태를 충분히 설명한 후에 문항을 보고 처음 떠오르는 감정 에 해당되는 번호를 찾아 체크하게 하였다. 대부분의 대상자는 약 3~5분 내에 작성을 완료했다. 정적균형은 WBB 위에서 눈을 뜬 상태로 바로 선 자세에서 양쪽 다 리에 체중을 균등하게 지지하라고 지시한 후 10초간 3 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눈을 뜬 상태에서 양발서기를 유지하는 동안 힘판을 통해 측정된 신체압 력중심점이 이동한 거리와 속도를 측정하였다. ybalance test는 동작에 익숙해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 해 6회 이내의 연습 후 측정하였다(Hertel, Miller, & Denegar, 2000). 중앙선에서 대상자가 다리를 뻗은 지 점까지의 거리를 cm 단위로 측정하였다. 우세측 다리 를 지지하는 다리로 삼고 반대쪽 다리로 세 방향을 따 라 가능한 만큼만 뻗어 그 길이를 측정하도록 한다. 균 형을 잡기 위해 뻗은 발로 바닥을 지지하거나 발을 뻗 고 나서 시작자세로 돌아오지 못하는 경우에는 재측정 하였고 총 3회 측정하여 최고 측정값을 기록하였다 (Hyong, & Kim, 2014).

    4.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2.0 Window ver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은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정규성을 검증하 기 위해 Shapiro-Wilks test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월경기와 배란기 시점에서의 정적, 동적 균형, 감정상 태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 하기 위한 유의수준은 α= .05로 설정하였다.

    Ⅲ.연구 결과

    1.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총 20명으로 연구 대상 자의 나이, 신장, 체중 등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2.균형 비교

    (1)정적균형

    정적 균형 능력은 두 측정시점에서 동일하게 측정되 었고 신체압력중심의 평균속도와 이동거리를 이용하 였다. 두발서기를 10초간 수행하는 동안 신체압력중심 의 이동거리는 배란기보다 월경기에 유의하게 증가하 였고(p<.05), 평균속도 또한 월경기에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p<.05)(Table 2).

    (2)동적균형

    Y-balance test를 이용한 동적 균형 능력에서 앞쪽 방향으로 최대한 뻗은 거리는 월경기에 비해 배란기에 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뒤바깥쪽 방향도 앞 쪽 방향과 같이 측정된 거리가 배란기에 더 길었으나 뒤안쪽 방향은 월경기보다 배란기에 측정된 거리가 더 감소하였다. 그러나 뒤안쪽과 뒤바깥쪽 방향의 최대 거리는 월경기와 배란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Table 3).

    3.감정상태 비교

    무드상태검사지를 이용해 월경기와 배란기에 대상 자의 감정상태를 평가한 결과, 6개의 요인 중 활력을 제외한 5개 요인과 총점은 배란기와 비교해 월경기에 점수가 높아졌고, 활력은 월경기에 점수가 낮아지는 양상을 보여 상대적으로 월경기에 정서상태가 나빠지 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 는 분노 요인과 총점 항목에서만 나타났다. 분노 요인 과 총점 항목은 배란기와 월경기 사이에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p<.05)(Table 4).

    Ⅳ.고 찰

    본 연구에서 정적 균형 능력은 눈 뜨고 두발서기 시 신체압력중심의 이동거리와 이동속도가 배란기 유의 하게 감소하여 정적 균형 능력이 향상되었다. 발목관 절의 느슨함은 월경주기 중 배란기에 가장 커지고, 발 과 발목 복합체의 결합조직은 에스트로겐의 농도에 영 향을 받는다(Shultz et al.. 2012). 신체압력중심점의 동요거리와 동요면적은 균형 유지를 위한 발목 근육들 의 수축 작용과 밀접한 연관이 있고 서 있는 자세를 유 지하기 위해 발목 주변 근육에서 발생되는 원심성 (accentric)-구심성(concentric) 수축은 근 피로도와 직 접적으로 관련된다(Oh, Chon, & Shim, 2010). 변화한 근 피로도는 월경기에 비해 배란기에 더 빠르게 회복 되는 양상을 보인다(Sipavičienė et al., 2013). 선행연 구에서 요통은 하지의 근력 및 운동능력, 협응능력과 고유수용성 감각 저하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김현 지, 2006). 요통을 호소하는 월경기에 측정된 중심 동 요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윤태영, 2009)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요인이 정적균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발등쪽 굽힘의 관절가동범위는 Y-balance test의 앞 쪽 방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동적 움 직임에 있어서 발등쪽 굽힘 확보의 중요성을 의미한다 (Hoch et al, 2011). Lee, & Shin(2016)의 연구에서 월경 주기 중 에스트로겐이 가장 높은 시기인 배란기에 전 방십자인대가 가장 이완되는 결과(Khowailed et al., 2015)와 관련해 한발 착지 시 배란기에서 근활성도가 증가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에스트로겐의 영향은 근 활성도, 근피로 등에 영향을 주어 근육의 작용에 영향 을 끼쳤으리라 생각된다. 고관절 주변의 근육은 하지 와 골반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하지를 조절 하고 안정성을 제공한다(Hwang et al., 2016). 뒤안쪽 과 뒤바깥쪽의 거리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선 행연구에서 요통이 있으면 변형된 감각 정보로 인해 체간과 고관절의 고유수용성 감각이 감소하기 때문에 두 방향에서 유의한 거리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보 고했다(Appiah-Dwomoh et al, 2016). y-balance test 의 동작은 한다리 스쿼트 자세와 유사한데 이 때 자세 가 무너지지 않고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쿼트 시 넙다리곧은근, 안쪽넓은근, 가쪽넓은근이 활성화 되는 양과 비율이 무릎관절의 각도에 따라 상 이하다고 보고한 선행연구를 고려하였을 때 이러한 근 활성의 특징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조상희, & 이수영, 2016).

    본 연구에서 감정상태는 월경기에 분노와 정서동요 총점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월경기간 중의 여성 60%가 월경 전에 긴장감과 두통, 무기력증, 신경과민, 정서 불안정 등이 나타나고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행동이 약화된다(wilcoxon, 1976). 신체적 증상과 심리적 증상은 월경전기에 악화하기 시작하는데(Taylor, 1979) 월경시 에 나타나는 신체 변화에 대한 불안은 신체 활동에 부정적 인 영향을 미치고 운동에 대한 욕구도 감소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POMS 설문지를 통해 평가한 기분상태는 “분 노” 항목에서만 월경기에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는 데(p<.05) 이는 여자운동선수를 대상으로 기분상태를 살펴본 연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결과와 상반되지만 윤태영(2009)의 논문에서 비 운동선수의 기 분상태 중 “분노” 항목의 점수가 배란기에 비해 월경기에 서 높은 수치를 보인 것(p<.05)과 일치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월경주기가 안정된 20대 비 운 동선수 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모든 연령대와 월경주 기가 안정되지 않은 여성을 대상으로 결론을 내리기에 는 제한이 있다. 추후 연구에서 제한점을 보완한 연구 설계 및 다양한 변수를 통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Ⅴ.결 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월경주기에 따른 성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배란기 때 눈 뜨고 두발서기 시 신체압력 중심의 평균속도와 이동거리가 감소하여 월경기에 비 해 정적균형 능력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배란기에 Y-balance test에서 앞쪽 방향 측정거리가 증가되었으 나 나머지 뒤안쪽, 뒤바깥쪽 방향으로는 유의한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감정상태는 “분노”와 총점 항목에서 배란기에 비해 월경기에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 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월경주기가 일정한 비 운동 선수 여성은 배란기에 균형 능력이 증가하고, 월경기 에 감정상태가 악화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월경 기에 나타나는 균형 능력의 감소와 감정상태의 악화를 감안하여 일상생활 및 스포츠 활동 강도 조절에 대한 고려사항을 제시할 수 있다.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s (N=20)

    BMI : Boby mass index

    Comparison of static balance between menstruation and ovulation phase

    Comparison of dynamic balance between menstruation and ovulation phase

    Comparison of mood between menstruation and ovulation phase

    Reference

    1. 강다해솜 (2017) 간호대학생의 월경전증후군 영향 요 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5 (3) ; pp.277-286
    2. 김현진 (2006) 실험적 요부통증에 의한 하지의 고유수용 성 감각능력과 협응능력 변화(석사학위, 부산가톨릭 대학교, 한국),
    3. 윤태영 (2009) 여자 운동선수의 월경주기에 따른 심리적・ 신체적 증상, 균형능력, 관절이완성 및 성호르몬의 변 화(석사학위, 단국대학교, 한국).,
    4. 조상희 (2016)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 환자 에서 무릎관절 각도별 스쿼트 융합운동이 넙다리 네갈래근의 근력에 미치는 효과 , 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2) ; pp.43-52
    5. Appiah-DwomohE. MA1/4llerS. HadzicM. MayerF. (2016) Star Excursion Balance Test in Young Athletes with Back Pain , Sports, Vol.4 (3) ; pp.44
    6. ClarkN.C. UlrikR. JuliaT. (2015) Proprioception in musculoskeletal rehabilitation Part 2: clinical assessment and intervention , Man. Ther, Vol.20 (3) ; pp.378-387
    7. EilingE. BryantA.L. PetersenW. MurphyA. HohmannE. (2007) Effects of menstrual-cycle hormone fluctuations on musculotendinous stiffness and knee joint laxity ,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Vol.15 (2) ; pp.126-132
    8. EkmanP. LevensonR.W. FriesenW.V. (1983)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distinguishes among emotions ,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Vol.221 (4616) ; pp.1208-1210
    9. HackneyA.C. (1999) Influence of oestrogen on muscle glycogen utilization during exercise , Acta Physiol. Scand, Vol.167 (3) ; pp.273-274
    10. HertelJ. MillerS.J. DenegarC.R. (2000) Intratester and intertester reliability during the Star Excursion Balance Tests , J. Sport Rehabil, Vol.9 (2) ; pp.104-116
    11. HintermannB. (1999) Short-and mid-term results with the STAR total ankle prosthesis , Orthopade, Vol.28 (9) ; pp.792-803
    12. HochM.C. StatonG.S. McKeonP.O. (2011)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dynamic balance , J. Sci. Med. Sport, Vol.14 (1) ; pp.90-92
    13. HorakF.B. ShupertC.L. MirkaA. (1989) Components of postural dyscontrol in the elderly: a review , Neurobiol. Aging, Vol.10 (6) ; pp.727-738
    14. HwangW. JangJ.H. HuhM.J. KimY.J. KimS.W. LeeM.Y. (2016) The effect of hip abductor fatigue on static balance and gait parameters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Vol.5 (1) ; pp.34-39
    15. HyongI.H. KimJ.H. (2014) Test of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for the Star Excursion Balance Test , J. Phys. Ther. Sci, Vol.26 (8) ; pp.1139-1141
    16. KhowailedI.A. PetrofskyJ. LohmanE. DaherN. MohamedO. (2015) 17I -estradiol induced effects on anterior cruciate ligament laxness and neuromuscular activation patterns in female runners , J. Womens Health (Larchmt), Vol.24 (8) ; pp.670-680
    17. LeeH. YimJ. (2016) Increased Postural Sway and Changes in the Neuromuscular Activities of the Ankle Stabilizing Muscles at Ovulation in Healthy Young Women , Tohoku J. Exp. Med, Vol.240 (4) ; pp.287-294
    18. LeeJ.M. ShinW.S. (2016) Effects of Menstrual Cycle Phase on Knee Muscle Activity during One Leg Landing in Non-athletic Females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Vol.28 (5) ; pp.308-313
    19. LeeJ.W. HwangS. (2015) Effects of balance imagery of semi-tandem stance on a flat floor and balance beam for postural control: a comparison between older and younger adults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Vol.4 (2) ; pp.87-93
    20. LemoineS. GranierP. TiffocheC. (2003) Estrogen receptor alpha mRNA in human skeletal muscles , Med. Sci. Sports Exerc, Vol.35 (3) ; pp.439-443
    21. OhD.W. ChonS.C. ShimJ.H. (2010) Effect of shoe heel height on standing balance and muscle activation of ankle joint ,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Vol.29 (5) ; pp.789-795
    22. SarwarR. NiclosB.B. RutherfordO.M. (1996) Changes in muscle strength, relaxation rate and fatiguability during the human menstrual cycle , J. Physiol, Vol.493 (1) ; pp.267-272
    23. ShahidA. WilkinsonK. MarcuS. ShapiroC. M. (2011) STOP, THAT and One Hundred Other Sleep Scales, ; pp.285-286
    24. ShultzS.J. SanderT.C. KirkS.E. PerrinD.H. (2005) Sex differences in knee joint laxity change across the female menstrual cycle , J. Sports Med. Phys. Fitness, Vol.45 (4) ; pp.594
    25. ShultzS.J. SchmitzR.J. BenjaminseA. ChaudhariA.M. CollinsM. PaduaD.A. (2012) ACL research retreat VI: an update on ACL injury risk and prevention , J. Athl. Train, Vol.47 (5) ; pp.591-603
    26. Sipavi ?ien -S. Daniusevi ?iut -L. Klizien -I. KamandulisS. SkurvydasA. (2013) Effects of estrogen fluctuation during the menstrual cycle on the response to stretch-shortening exercise in females , BioMed Res. Int, Vol.2013 ; pp.1-6
    27. Tardieu-BergerM. ThevenetD. ZouhalH. PriouxJ. (2004) Effects of active recovery between series on performance during an intermittent exercise model in young endurance athletes , Eur. J. Appl. Physiol, Vol.93 (1-2) ; pp.145-152
    28. TaylorJ.W. (1979) The timing of menstruation ??related symptoms assessed by a daily symptom rating scale , Acta Psychiatr. Scand, Vol.60 (1) ; pp.87-105
    29. WiikA. GlenmarkB. EkmanM. (2003) Oestrogen receptor I is expressed in adult human skeletal muscle both at the mRNA and protein level , Acta Physiol. (Oxf.), Vol.179 (4) ; pp.381-387
    30. WilcoxonL.A. SchraderS.L. SherifC.W. (1976) Daily self-reports on activities, life events, moods, and somatic changes during the menstrual cycle , Psychosom. Med, Vol.38 (6) ; pp.399-417
    31. WilliamsT.J. KrahenbuhlG.S. (1997) Menstrual cycle phase and running economy , Med. Sci. Sports Exerc, Vol.29 (12) ; pp.1609-1618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