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3 No.1 pp.61-69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17.13.1.08

The Effects of Mobile-app-based McKenzie Exercises on the Improvement of Neck Pain, Functional Disability, Exercise Adherence, Fear-avoidance Belief and Quality of Life in Intensive Computer Users

JaeHyuk Lee1, Maria Celeste Flores Gimenez1, BumChul Yoon1*
1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Korea University
교신저자: 윤범철 (고려대학교) yoonbc@korea.ac.kr
June 9, 2017 June 19, 2017 June 25, 2017

Abstract

Prolonged sitting is a high-risk factor for chronic neck pain. McKenzie exercises are commonly used in clinics. Mobile app-based care is increasingly popular, and providesaccess to health inform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obile app-based McKenzie exercise on pain intensity, functional disability, exercise adherence, fear avoidance, and quality of life.

Twenty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completion. Neck exercise was performed as directed by the mobile app in the workplace environment for at least 10 min/day, 3 days/week for 8 weeks. The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 for pain intensity, the Neck Disability Index (NDI) for functional disability, the level of exercise adherence, the Fear-Avoidance Belief Questionnaire (FABQ), and the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for the quality of life were used to evaluate outcomes.

After an 8-week intervention, the VAS (p < .001) and NDI(p < .001) scor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with app-based neck exercise. The work-related subscale (p = 0.023) in the FABQ and physical component summary (p < .001) of the SF-36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The exercise adherence rate was 87.5 %.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app-based neck exercise can reduce pain intensity and functional disability.


모바일 앱 기반 멕켄지 운동이 장시간 컴퓨터 사용자의 목 통증 및 기능장애, 운동지속성, 공포 회피 반응 그리고 삶의 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

이 재혁1, 마리아 셀레스테 플로레즈 기메네즈1, 윤 범철1*
1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초록


    Ⅰ서 론

    목 통증은 매년 13.3%에서 17.9%의 발병률과 전 세 계적으로 지속적인 증가율을 보이는 척추 질환 중 하 나로서(Croft et al. 2001; Cote et al. 2004) 통증과 기 능 장애로 인한 심리적 공포 및 움직임 제한으로 인한 통증 만성화,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하며 사회경제적 측 면에서 막대한 손실을 초래한다(Makela, 1991; Linton, 2000; Hogg et al 2008). 여러 선행 연구에 따르면, 만 성 목 통증 유발의 위험 요인에는 장시간의 컴퓨터 사 용 시간, 불안정한 자세 유지, 반복적인 상지 사용, 업 무 환경, 불명확한 업무-휴식 조절(Bernard, 1997; Punnett, 1997; Tittiranonda, 1999; Seppala P. 2001) 등이 있으며 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무직 종사자 는 전체 목 통증 집단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고 보고하고 있다 (Stahl et al. 2004; Ehrmann et al. 2002; Croft et al. 2001). 최근, Anastasia Beneka (2014)의 연구에 따르면 같은 장시간 컴퓨터 사용자에 게는 목 통증을 업무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자가 중재 전략과 수단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Chiara Rasotto 등(2015)은 목 통증을 포함한 만성 통 증의 경우 병원 치료 외 자가 관리가 상태 개선과 치료 효과 증대를 위해 중요하다 하였다.

    현재까지 만성 목 통증 관리를 위해 제시된 다양한 중재 전략과 운동 방법 가운데 멕켄지 접근은 척추 통 증(spinal pain)을 진단하기 위한 간편한 평가 도구 (Helen, 2004; Gorel, 2002; Aina et al., 2004)이면서 효과적인 자가 관리 방법으로서 임상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Battie et al 1994; Foster et al 1999; Hurly et al 2000). 멕켄지 접근은 반복적인 굽힘 또는 폄 동작 시 통증이 특정 지점으로 국소화되거나 신경 학적 증상이 완화되는 증상을 기반으로 척추 통증의 종류를 감별하고 개별적인 관리 방법을 제시한다 (McKenzie, 1990).

    그러나, 멕켄지 운동과 같은 만성 통증 관리에 효과 적인 중재일지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운동 지속률은 감소하고 이로 인해 최대 운동 효과를 경험하기 힘든 제약이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이 필요 한 실정이다(Petri, 2012).

    최근, 스마트 폰 사용 증가와 함께 모바일 웹은 의학 및 건강 분야로 시장이 점차 확대되어 왔다. 또한 다양 한 건강 관련 웹은 건강 정보에 대한 접근성 증가, 치료 비용 절감, 자가 건강 관리 및 개선을 촉진시키고 있다 (Christiansen & Gupta, 2014; Mosa 2012). 특히, 최근 선행 연구에서는 모바일 웹의 자가 모니터링 기능과 같은 이점이 건강 관리에 대한 사용자의 운동에 대한 동기부여와 적극성을 유도하고 임상적으로 심혈관 및 호흡계 질환, 인지 장애 개선에 기여한다고 보고하고 있다(Leib, 2015; Wang, 2014; Zmily, 2014). 그러나, 이와 같이 다양한 건강 관리 모바일 웹 개발과 임상적 효과 검증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지금까 지 만성 통증 관리를 위한 모바일 웹의 운동지속성 유 지와 통증 개선에 대해 주는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미 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멕켄지 운동을 제공하는 모바일 웹을 개발하여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하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8주간의 적용하였을 때 운동지속성을 조사 하고 운동지속성에 따른 목 통증, 기능 장애, 통증 회피 반응 그리고 삶의 질에 대한 변화를 관찰하고자 한다.

    Ⅱ연구 방법

    1연구 대상

    본 연구는 장시간 컴퓨터 사용자로서 최소 6개월 이 상 비특이성 만성 목 통증을 호소하는 만 18세 이상부 터 39세 미만의 K 대학교 대학원생 20명을 모집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실험과 관련된 정보와 절차에 대한 내용에 대한 설명을 들은 후 본 연구의 취 지를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자로 선정 하였다. 선정 기준은 실험 전 멕켄지 평가에 따라 목 폄 동작 시 통증의 중심화 현상이 있으며 시각적 통증 척도 3 이상인 자로 하였고 배제 기준은 외상 병력이 있는 자, 선천적 기형을 가 진 자, 목의 외과적 수술 또는 시술을 받은 자로 하였다. 본 연구는 고려대학교 연구윤리 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KU-IRB-15- 94-P-2).

    2측정 도구

    1)시각적 통증 척도(Visual Analog Scale, VAS)

    개인마다 주관적인 통증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시각 적 통증 척도(VAS)를 이용하여 0mm(통증 없음)에서 100mm(극심한 통증)의 수평선 사이에 대상자가 자신 의 통증 정도를 표시하도록 하였다(Anne et al., 2008).

    2)목 장애지수(Neck disability Index, NDI)

    목 통증으로 인한 일상생활 수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Vernon과 Mior (1991)에 의해 개발된 목기능장 애지수(NDI)를 이용하였다. 총 10문항으로 이루어져있 으며 설문을 통하여 목 통증이 일상 활동을 수행하는 능력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평가한다. 각 문항당 6점 척도(0: 전혀 어려움 없음, 6: 매우 어려움) 로 평가되며 50점 만점에 점수가 높을수록 통증으로 인한 일상생활에서 목 통증으로 인한 활동 제약이 크 다는 것을 의미한다(Vermon & Mior, 1991).

    3)운동 지속성(Exercise adherence)

    운동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해 설정한 목표 운동 기 준은 1회 운동시간 10분, 주간 운동 횟수 3회를 기준으 로 8주간 총 240시간의 운동 시간과 24회 운동 횟수이 며 모바일 내 탑재된 운동 기록 저장 기능을 사용하여 5가지 영역 1) 1회 평균 운동시간, 2) 8주 총 운동시간 3) 주간 평균 운동 횟수, 4) 8주 총 운동 횟수 5) 운동 달성률을 평가하였다. 특히, 운동 달성률의 경우(총 운 동 횟수/목표 운동 횟수) X 100 으로 계산하였다(Lee et al., 2017).

    4)공포회피반응(Fear-Avoidance Belief Questionnaire, FABQ)

    목 통증으로 심리사회적 요인의 영향과 일상생활에 서 신체적 활동과 직업 활동을 평가하기 위해 공포-회 피 반응 설문지(FABQ)를 사용하였다. 각 문항당 7점척 도 (0: 전혀 동의하지 않음, 6: 완벽하게 동의함)로 구 성되며 점수 범위는 0-66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공 포-회피 반응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Waddell et al, 1993; Cleland et al., 2008).

    5)삶의 질(Short-Form 36, SF-36)

    통증으로 인한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건강관련 삶의 질(Short form 36, SF 36)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총 36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8개의 범주(신체기 능, 건강인식, 신체통증, 활력, 사회기능, 역할제한(정 서), 역할제한(신체), 정신건강)로 나뉜다. 8개의 범주 는 다시 신체적 측면과 정신적 측면으로 분류되어 각 측면의 점수가 높으면 신체 또는 정신적 측면에서 삶 의 질이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Crispin, 1993; Quyen Ngo-Metzger et al., 2008).

    3연구 절차

    본 연구는 8주간 20명의 대학원생을 모집하여 운동 기간 전 모바일 웹을 개인 스마트 폰에 설치하고 웹 조 작법에 대해 교육하였으며 최소 1회 10분, 주 3회 자가 운동을 영상을 보고 실시하도록 권고하였다. 연구 목 적에 따라 모바일 웹의 실효성 및 효과 검증을 위해 평 가는 운동 전과 8주 운동 후, 총 2회 시행하였다. 웹으 로 제공되는 영상은 McKenzie (1990)가 제안한 멕켄지 목 운동 중 Table 1과 같이 대표적인 6가지 동작을 선별 하여 총 10분 가량 제시하는 모바일 웹 영상으로 제공 되었다. 각 동작은 동작 별 1회 시행 동안 5초의 유지 시간으로 총 6회 제공되었다.

    4자료 분석

    대상자의 정규성 분포는 Shaprio-Wilk 검정을 통해 평가하였으며 8주간의 운동 전, 후에 대한 시각적 통증 척도, 목기능장애 지수, 공포-회피 반응과 삶의 질의 집단 내 평균을 비교하기 위해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 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통계 처리는 SPSS version 12.0을 사용하였으며, 통계학적 유의 수준은 .05로 설 정하였다.

    Ⅲ연구 결과

    1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20명이었으며, 대상자는 모두 평균 7시간 이상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하는 22세 에서 32세 사이의 대학원생이었다. 8주 모바일 운동 전 대상자는 멕켄지 척추 통증 유형 분류법에 따라 반복 적인 목 폄 동작 시 통증이 완화되는 폄 증후군 중에서 교란성 증후군으로 분류되었다[Table 2].

    1)목 통증 및 기능 장애 변화

    시각적 통증 척도 (VAS)와 목 장애지수(NDI)를 이용 하여 운동 전과 후의 통증 정도와 기능장애 정도의 변 화를 평가한 결과 8주간의 모바일 멕켄지 운동 후 통계 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01) [Table 3]

    2)운동 지속성

    본 연구는 20명의 대상자의 8주간의 모바일 멕켄지 운동 후 운동 지속성을 5가지 영역으로 평가했을 때, 운동 달성률은 운동 전 설정한 목표 기준(주 3회 총 24 회)에 87.5%를 기록하였다. 또한 1회 평균 운동시간, 8주 총 운동시간 영역에서도 모두 목표 기준보다 초과 하였다[Table 4].

    3)공포 회피 반응 변화

    공포 회피 반응 설문지(FABQ)를 이용하여 신체 활동 과 업무 관련 통증에 대한 공포 회피 반응의 변화를 평 가한 결과, 업무 관련 공포 회피 영역에서 통계학적으 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23) [Table 3].

    4)삶의 질 변화

    건강 관련 삶의 질 척도(SF-36)를 이용하여 운동 전 과 후의 삶의 질의 변화를 평가한 결과, 운동 후 삶의 질 8항목 중 5가지 항목인 신체 기능(p=.002), 신체관 련 역할 제한(p=.044), 신체 통증(p=.012), 건강 인식 (p=.007), 활력(p=.032)에 대한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 의한 개선을 보였다. 또한 신체적 요소 척도(PCS)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p<.001) [Table 3].

    Ⅳ논 의

    본 연구에서는 만성적인 목 통증을 지닌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멕켄지 운동을 제공하는 모바일 웹을 개발 및 적용하여 모바일 웹이 운동지속성, 통증, 기능적 제 한, 공포회피반응 그리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해 관찰하였다.

    일반적으로 대학원생과 같은 장시간 컴퓨터 사용자 는 불안정한 자세가 장시간 유지되고 불규칙한 휴식 시간 및 업무 과다로 인한 스트레스와 같은 만성 근골 격계 통증을 유발하는 위험요인에 노출되어 있으며 현 장에서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관리법이 필요하다. 8주간의 모바일 웹을 적용한 20명에 대한 운 동 지속성은 87.5 % 였으며 이는 모바일 웹 운동이 높 은 운동지속성 유지에 유용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 었다. 운동 전, 후 시각적 통증 척도, 목 장애 지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공포 회피 반응 검사는 업무과 관련된 문항에서 유의하게 감소하 였다. 삶의 질의 경우 8가지 항목 중 5가지 항목(신체 기능, 신체적 역할 제한, 신체 통증, 건강 인식, 활력) 과 신체 요소 점수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의 시각적 통증 척도와 목 장애 지수에 대한 결과는 과거 선행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정연우 (2006)의 연구에서는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4주간 멕 켄지 중재 후 시각적 통증 척도는 3.73(1.44) mm에서 1.93(1.44), 목 장애 지수는 7.93(1.91)에서 4.40(2.29) 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Go¨rel Kjellman(2002) 의 연구에서는 8주간의 멕켄지 중재를 만성 목 통증 환 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을 때 만성 목 통증 환자의 주 관적 통증 척도의 경우 53(23)mm에서 19(18)mm, 목 통 증 기능 장애 지수는 30(12)에서 16(12)로 유의한 감소 를 보였다.

    운동지속성의 경우 모바일 기반 멕켄지 운동 이후 87.5%의 높은 운동 지속성을 보였으며 스마트 폰을 이 용한 만성 목 통증 관리와 관련된 Lee et al(2017)가 보 고한 선행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모바일 웹이 높 은 운동지속성을 유지하는데 유용한 이유는 여러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을 때, 모바일 웹이 제공할 수 있는 주 요 이점 중 자가 피드백 기능이 사용자의 동기부여 증 진에 기여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T.M. Palermo et al., 2004; R.N. Jamionson et al., 2002). 높은 운동지 속성은 자가 운동의 효과 크기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인으로서 본 연구의 주요 변수인 통증과 기능 개선 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본다.

    공포 회피 반응 평가의 경우, 업무 활동 관련 공포 회피 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8주간 의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모바일 자가 분류 알고 리즘을 사용하여 맞춤식 목 운동의 효과를 본 Lee et al(2017)에서는 공포 회피 반응에서 어떠한 유의한 차 이도 없었다. Lee et al(2017) 연구에서는 각 그룹별로 다른 중재 방법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와 같이 멕켄지 운동만을 적용한 결과와 직접적으로 비교하기 어렵다. 그러나, 선행 연구에서는 공포 회피 반응과 목 통증 및 기능 장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하였다(김성식, 2012; Kjersti Myhre, 2013). 따라서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만성 적인 목 통증은 직장내 업무 요구량, 직장내 결정 능 력, 직장 내 동료간 지지에 의해 영향을 깊게 받으며 이는 공포 회피 반응의 업무관련 점수와 강한 상관관 계를 갖으므로(Kjersti Myhre, 2013) 공포 회피 반응 하 위 항목 중 신체적 활동보다 업무관련 영역에서 유의 한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본다.

    삶의 질 평가의 경우, 본 연구에서는 정신적 요소 점 수에서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신체 요소 점수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 선행 연구를 살펴보 았을 때 자가 목 운동의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본 연구는 장기간 중재 후 평가한 결과이기에 직접적 으로 본 연구 결과와 비교할 수 없었다. 그러나, 자가 운동의 경우 1년 이상 장기간 중재 시 삶의 질 요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Salo, 2012) 모바일 웹을 통한 자가 관리 중재 기간이 삶의 질의 정신적 요소까지 개선시키기에는 충분하지 않았 던 것으로 생각된다.

    Ⅴ결 론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8주간의 모바일 기반 멕 켄지 운동은 사용자에게 높은 운동지속성을 유지하도 록 도와주고 이는 통증 및 기능, 업무 관련 공포 회피 반응 그리고 삶의 질의 신체 영역에 있어 단기간 중재 에도 불구하고 유의한 개선을 제공하는 유용한 도구임 을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적은 대상자 수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 키기 어렵다는 점과 8주 이후 추적 조사를 통한 운동 효과의 지속성을 보지 못했던 제한점이 있다. 또한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원생은 모두 멕켄지 평가에 따라 통증의 중심화 현상을 보이는 교란성 증후군으로 분류 되었다. 이는 다른 통증 증후군에서 본 연구의 결과를 적용시키기에 제한이 있다. 그러나, 교란성 증후군은 멕켄지 통증 유형 중 가장 대표적이고 많은 비율을 차 지하는 증상이며(Hefford, 2008), 본 연구는 멕켄지 운 동을 제공하는 모바일 웹이 대학원생과 같은 장시간 컴퓨터 사용자가 근무 현장 내에서 목 통증을 효과적 으로 예방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 과 근거를 제시하고 추후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 한 점을 시사한다.

    Figure

    Table

    멕켄지 운동 프로그램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결과값은 mean SD or n로 표시되었음. 약어: F, female; M, male

    8주간의 모바일 멕켄지 운동 전과 후 결과

    결과값은 mean ± SD 로 표시되었음
    약어: PA, Physical activity; WA, Work-related activity; PCS, Physical component scale; MCS, Mental component scale;
    **P<.001
    *>P<.05

    8주간의 모바일 웹의 운동지속성 평가 결과

    Reference

    1. 김 성식 , 정 은정 , 이 종수 , 이 병희 (2012) 목 통증 환 자의 공포회피 반응과 통증, 장애지수와의 상관관 계 연구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22 (4) ; pp.123-133
    2. 정 연우 (2006) 만성목 통증증 환자에 대한 McKenzie 운동이 기능 회복과 두부전방자세에 미치는 영향 , 대한물리의학회지, Vol.1 (1) ; pp.93-108
    3. Aina A , May S , Clare H (2004) The centralization phenomenon of spinal symptoms-a systematic review , Manual Therapy, Vol.9 ; pp.134-143
    4. Battie' M , Cherkin D , Dunn R , Ciol M , Wheeler K (1994) Managing lowback pain attitudes and treatment preferences of physical therapists , Physical Therapy, Vol.74 ; pp.219-226
    5. Beneka A , Malliou P , Gioftsidou A (2014) Neck pain and office workers An exercise program for the workplace , ACSM's Health & Fit Journal, Vol.18 ; pp.18-24
    6. Bernard BP (1997)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workplace factors,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7. Boonstra A M , Schiphorst Preuper H R , Reneman M F , Posthumus J B , Stewart R E (2008)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visual analogue scale for dis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31 ; pp.165-169
    8. Christiansen S , Gupta A (2014) Can mobile technology improve treatment of chronic pain? , Pain Medicine, Vol.15 (8) ; pp.1434-1435
    9. Clare HHA , Adams R , Maher CCG (2004) A systematic review of efficacy of McKenzie therapy for spinal pain , Austrian Journal of Physiotherapy, Vol.50 (4) ; pp.209-216
    10. Côté P , Cassidy JD , Carroll LJ , Kristman V (2014) The annual incidence and course of neck pain in the general population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 Pain, Vol.112 (3) ; pp.267-273
    11. Crispin J , Angela C , Lucie W (1993) Short form 36(SF 36):health survey questionnaire normative data for adults of working age , BMJ, Vol.306 ; pp.1437-1440
    12. Croft PR , Lewis M , Papageorgiou AC , Thomas E , Jayson MI , Macfarlane GJ (2001) Risk factors for neck pain a longitudinal study in the general population , Pain, Vol.93 (3) ; pp.317-325
    13. Ehrmann Feldman D , Shrier I , Rossignol M , Abenhaim L (2002)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neck and upper limb pain in adolescents , Spine, Vol.27 ; pp.523-528
    14. Foster NE , Thompson KA , Baxter GD , Allen JM (1999) Management of non-specific low back pain by physiotherapists in Britain and Ireland , Spine, Vol.24 ; pp.1332-1342
    15. Hefford C (2008) McKenzie classification of mechanical spinal pain. Profile of syndromes and directions of preference , Manual Therapy, Vol.13 ; pp.75-81
    16. Hogg-Johnson S , van der Velde G , Carroll LJ , Holm LW , Cassidy JD , Guzman J (2008) The burden and determinants of neck pain in the general population: results of the bone and joint decade 2000-2010 task force on neck pain and its associated disorders , Spine, Vol.15 ; pp.39-51
    17. Hurly DA , Dusior TE , McDonough SM , Moore AP , Linton SJ , Baxter GD (2000) Biopsychosocial screening questionnaire for patients with low back pain Preliminary report of utility in physiotherapy practice in Northern Ireland , Clinical Journal of Pain, Vol.16 ; pp.214-228
    18. Jordan A , Bendix T , Nielsen H , Hansen FR , Høst D , Winkel A (1998) Intensive training, physiotherapy, or manipulation for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A prospective, single-blinded, randomized clinical trial , Spine, Vol.23 (3) ; pp.311-319
    19. Juul T , Søgaard K , Davis AM , Roos EM (2016)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Neck OutcOme Score (NOOS): Neck Disability Index (NDI) and Short form-36 (SF-36):in longitudinal assessment of patients with neck pain ,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36
    20. Kjellman G , Oberg B (2002) A randomized clinical trial comparing general exercise, McKenzie treatment and a control group in patients with neck pain ,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34 (4) ; pp.183-190
    21. Lee M , Lee SH , Kim TY , Yoo HJ , Yoon BC (2017) Feasibility of a Smartphone-Based Exercise Program for Office Workers With Neck Pain An Individualized Approach Using a Self-Classification Algorithm , Archaives Physci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98 (1) ; pp.80-87
    22. Litman L , Rosen Z , Spierer D , Weinberger-Litman S , Goldschein A , Robinson J Eysenbach G (2015) Mobile Exercise Apps and Increased Leisure Time Exercise Activity: A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of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Barriers ,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17 (8) ; pp.195
    23. Linton SJ (2000) A review of psychological risk factors in back and neck pain , Spine, Vol.25 ; pp.1148-1156
    24. Makela M , Heliovaara M , Sievers K , Impivaara O , Knekt P , Aromaa A (1991) Prevalence,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of chronic neck pain in Finland ,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Vol.134 (11) ; pp.1356-1367
    25. McKenzie RA (1990) The Cervical and Thoracic Spine Mechanical Diagnosis and Therapy, Spinal Publications,
    26. McKenzie RA , May S (2003) The Lumbar Spine Mechanical Diagnosis and Therapy, Spinal Publications,
    27. Moffett JK , Jackson DA , Gardiner ED (2006) Randomized trial of two physiotherapy interventions for primary care neck and back pain patients “McKenzie” vs brief physiotherapy pain management , Rheumatology, Vol.5 (12) ; pp.1514-1521
    28. Mosa AS , Yoo I , Sheets L (2012) A Systematic Review of Healthcare Applications for Smartphones , BMC Medical Informatics and Decision Making, Vol.12 ; pp.67
    29. Myhre K (2013) Fear-Avoidance Beliefs Associated With Perceived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at Work Among Patients With Neck and Back ,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Vol.14 ; pp.1-11
    30. Punnett L , Berqvist U (1997) Visual display unit work and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disorders , Arbete och hlsa, Vol.16
    31. Quyen Ngo-Metzger , Dara H , Sorkin Carol Mangione , Barbara Gandek , Ron D (2008) Evaluating the SF-36 health survey (version 2) in older Vietnamese Americans , Journal of Aging and Health, Vol.20 (4) ; pp.20-436
    32. Rasotto C , Bergamin M , Sieverdes JC (2015) A Tailored Workplace Exercise Program for Women at Risk for Neck and Upper Limb Musculoskeletal Disorders ,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Vol.57 (2) ; pp.178-183
    33. Rezasoltani A (2010) The effect of 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rogram to increase neck muscle strength in patients with chronic non-specific neck pain , World Journal of Sport Science, Vol.3 ; pp.59-63
    34. Salo P , Ylönen-Käyrä N , Häkkinen A , Kautiainen H , Mälkiä E , Ylinen J (2012) Effects of long-term home-based exercise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A randomized study with a 1-year follow-up , Disability Rehabilitation, Vol.34 ; pp.1971-1977
    35. Seppl P (2001) Experience of stress, musculoskeletal discomfort, and eyestrain in computer-based office work a study in municipal workplace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Computation Interaction, Vol.13 ; pp.279-304
    36. Stahl M (2004) Neck pain in adolescence. A 4-year follow-up of pain-free preadolescents , Pain, Vol.110 ; pp.427-431
    37. Tittiranonda P , Burastero S , Rempel D (1999) Risk factor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computer users , Occupational Medicine State of the Art Reviews, Vol.14 ; pp.17-38
    38. Palermo T.M , Valenzuela D , Stork (2004) A randomized trial of electronic versus paper pain diaries in children: impact on compliance, accuracy, and acceptability , Pain, Vol.107 ; pp.213-219
    39. Vernon H , Mior S (1991) The Neck Disability Index a study of reliability and validity , Journal of Manipulative and Physiological Therapeutics, Vol.14 ; pp.409-415
    40. Waddell G , Newton M , Henderson I , Somerville D , Main CJ (1993) A Fear-Avoidance Beliefs Questionnaire (FABQ) and the role of fearavoidance beliefs in chronic low back pain and disability , Pain, Vol.52 (2) ; pp.157-168
    41. Wang CH , Chou PC , Joa WC (2014) Mobile-phone-based home exercise training program decreases systemic inflammation in COPD a pilot study , BMC Pulmonary Medicine, Vol.14 (1) ; pp.142
    42. Ylinen J , Takala EP (2004) Kautiainen Association of neck pain, disability and neck pain during maximal effort with neck muscle strength and range of movement in women with chronic non-specific neck pain , European Journal of Pain, Vol.8 (5) ; pp.473-478
    43. Jamison RN , Gracely RH , Raymond SA (2002) Comparative study of electronic vs. paper VAS ratings: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utilizing healthy volunteers , Pain, Vol.99 ; pp.341-347
    44. Zmily A , Mowafi Y , Mashal E (2014) Study of the usability of spaced retrieval exercise using mobile devices for Alzheimer's disease rehabilitation , Journal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16 (8) ; pp.31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