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3 No.1 pp.17-25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17.13.1.03

The Influence of Applied Multiple Self-rehabilitation Hamstring Muscle Stretching on the Muscle Activation of Erector Spine Muscle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

Do-Hyung Kim1*
1Sahmyoo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hysical Therapy
교신저자: 김도형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bukiyo8130@gmail.com
May 29, 2017 June 13, 2017 June 19, 2017

Abstract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repeated, self-administered hamstring muscle stretching on activation of the erector spinae muscles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The study was performed on 24 patients with no other diagnosis or history of surgical treatment. Volunteers with right-sided back pain were recruited. All subjects performed 3 sets of self-administered hamstring muscle stretching exercises 10 times daily, in each of 3 directions. After the intervention, static and dynamic muscle activity of the erector spinae muscles was measured with the MyoVision 3G Wirefree system. Static muscle activation significantly changed after intervention at C7, T3, and T1 on the right side and at C4, T3, T6, T9, and T10on the left side. In addition, dynamic muscle activation for right side flexion-peak and flexionminchanged significantly after intervention. We conclude that self-administered hamstring stretching can indirectly reduce erector spinae muscle activation.


뒤넙다리근의 다방향 자가 재활 스트레칭의 적용이 만성 허리 통증 환자의 척주세움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 도형1*
1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초록


    Ⅰ서 론

    현대인들은 최근 과도한 스마트폰의 사용과 컴퓨터 작업으로 인해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급격히 늘 어나고 있다. 허리 통증은 12번째 갈비뼈(12th rib)와 아래 볼기근 사이(Inferior gluteal line)까지의 범위에 걸쳐서 통증이 발생하는 증후군을 광범위하게 지칭하 고 있다(Van Middlekoop M et al., 2010). 이러한 허리 통증은 허리 구조 및 주변 조직의 생체역학적 또는 퇴 행적 변화, 심리적 요인과 감염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날 수 있으며(신미숙, 2012; 배지혜 등, 2001; Kraus & Nagler, 2006), 대부분의 허리 통증은 허리 부 위의 연부조직 약화와 척추 주변 근육의 불균형으로 인해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과부화, 그리고 주위 근육 의 약화로 인해 주로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방현 수. 2015). 또한 허리 통증과 관련이 있는 척추와 골반 주변 근육들은 몸통 안정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 고 있으며, 허리 주변 근육들의 불균형 상태에서 근육 활동은 허리와 골반 관절의 불안정성을 초래하고 기능 적 활동 제한, 통증 유발 및 조직 손상을 유발한다.

    허리 통증을 유발 할 수 있는 척추와 골반의 근육 중 뒤넙다리근(Hamstrings)은 해부학적 구조상 골반과 척추의 위치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근육이며, 근육군 들 중에서 단축빈도가 가장 높은 근육이다(조민지 등, 2016). 또한 신체의 근육을 감싸고 있는 근막 (myofacial) 중 천층후면 근막경선(superficial back line)에서 뒤넙다리근과 척주세움근은 같은 근막 내에 서 존재하여 자세 유지를 위한 근육의 길이 유지에 서 로 영향을 주고 있다(Thomas W. M., 2009). 넙다리두 갈래근(Biceps femoris)의 짧은 갈래를 제외한 뒤넙다 리근은 몸쪽 궁둥뼈결절(Ischial tubercle)에 부착되어 있는 근육이며(Lopez-Minarro 등, 2012), 긴 시간 수축 된 뒤넙다리근은 허리뼈와 골반에 변형을 일으키는 원 인이 된다(박시현, 2012). 특히 의자에 앉아서 지내는 시간이 대부분인 직장인의 경우 뒤넙다리근의 단축이 일어나 유연성이 감소되고 나아가 허리 통증이나 나쁜 자세 등의 기능적인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오영택, 2013). 또한 허리뼈-골반 리듬의 움직임 중 골반의 앞 쪽경사를 제한하여 아래 허리뼈의 과운동성을 유발하 여 다양한 형태의 척추관련 질환이 일어날 수 있다(김 기철 & 황보각, 2012).

    단축된 뒤넙다리근의 유연성 정도는 만성 허리 통증 환자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인데(이미화, 2007), 유연성 회복의 치료적 적용으로 주로 도수 수동 신장(Manual passive stretching)이 적용되고 있다(안 창식. 2000). 통증이 발생한 근육의 경우 근육의 긴장 이 초래되어 근육 신장이 제한되는데, 스트레칭을 통 해 근육의 긴장을 낮추거나 정상 상태로 회복시킬 경 우 근육의 이완과 함께 모세혈관이 확장되고 이로 인 해 근육세포의 혈액공급이 증가되고 대사산물의 제거 와 산소공급의 원활로 통증의 유발기전이 사라진다고 보고하였다(방현수, 2015). 또한 조민지 등(2006)은 골 반 중립을 유지한 뒤넙다리근 수동신장 운동이 유연성 과 족저압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하였 다. 장정훈, 정동혁, & 박래준(2002)는 스트레칭 방법 중 자가 스트레칭은 공간과 시간의 제한을 받지 않고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치료방법으로 근육이나 관절의 손상을 치료하는 목적뿐만 아니라 예방의 차원에서도 좋은 운동이 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뒤넙다리근의 신장운동이 뒤넙다 리근의 근 활성도, 유연성 및 족저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많은 언급이 있었으나, 자가 스트레칭의 방법 을 통해 척추의 주변 근육의 근 활성도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뒤넙다리 근의 자가 재활 스트레칭이 척추의 전반적인 근 활성 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만성 허리 통증 환자들 에게 효과적인 자가 재활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제공하 고자 한다.

    Ⅱ연구 방법

    1연구 대상자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S병원에 만성 허리 통증으로 통원 또는 입원 치료 경험이 있는 20~30대 남성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대 상자의 선정조건은 다음과 같다.

    • 첫째, 허리 통증 기간이 12주 이상 된 20~30대 남성.

    • 둘째, 정형외과적 문제로 척추 수술 경험이 없는 자.

    • 셋째, 추간판탈출증, 척주관협착증 등 신경외과적 의학 진단을 받지 않은 자.

    • 넷째, 우측 허리부위 통증을 지속적으로 호소하 는 자.

    넷째, 우측 허리부위 통증을 지속적으로 호소하 는 자.

    본 연구는 2017년 4월 5일부터 4월 26일까지 실시하 였으며, 모든 연구 대상자는 실험 전에 연구의 목적과 실험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인 설명을 듣고 실험에 동 의하였고 연구 참여 동의서에 서명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 1).

    2연구 방법

    1)자가 스트레칭 방법

    연구 대상자들은 바로 누운 자세에서 탄력성 없는 스트레칭 밴드를 이용하여 무릎관절을 편 상태로 운동 쪽 엉덩관절을 굽힘하여 통증이 일어나지 않는 최대의 범위 내에서 10초간 유지하는 운동을 실시하였다. 넙다 리두갈근(biceps femoris), 반힘줄모양근(semitendinosus), 반막모양근(semimembranosus)을 각각 선택적으로 스 트레칭 하기 위하여 엉덩관절 모음, 중립, 벌림 자세로 위의 운동을 한 다리당 10회씩 3set를 실시하였고, 이 때 비운동쪽 다리의 넙다리 먼쪽부를 고정하였다 (Figure 1A, 1B, 1C). 각 운동 세트 간 휴식시간은 10초 로 하였고, 스트레칭을 시행하는 근육 변경 시 휴식시 간은 60초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자가 재활 스 트레칭 프로그램을 포함한 연구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 다(Figure 2).

    3측정 방법

    1)정적 근 활성도 평가

    정적 근 활성도 평가를 위해 4채널 표면근전도 (Myovision 3G WireFree, Myovison Inc., USA) 시스템 을 사용하였으며, 원근전도(raw EMG)의 신호 저장과 처리를 위해 3G Wirefree physiomonitor computer interface(myovision, USA)를 사용하였다(Figure 3). 척 주세움근의 정적 근 활성도 측정을 위해 지름 1 cm의 원형 도자가 중앙을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에 4개의 은 염화물의 표면전극이 부착되어 있는 스틱형 전극 (stick-on electrodes)을 사용하였다. Table 2

    피험자는 모니터를 바라보지 않은 방향으로 바로 선 자세를 유지하게 하고 측정자는 실험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술적 오류(technical fault)를 피하기 위해 소 프트웨어를 모니터링 하면서 피험자의 척주세움근을 목뼈, 등뼈, 허리뼈의 순서로 측정하였다(Figure 4). 측 정 부위의 기준점은 선행 연구 결과를 참조하여 C3, C6, T2, T5, T8, T11, L2, L5로 선정하였으며, 기준점을 중심으로 위와 아래 수준의 척주세움근의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Sihoven et al., 1991). 측정 부위는 측정 전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털을 제거하고 피부 의 이물질 제거를 위해 알코올을 이용하여 깨끗이 소 독 후 측정하였다. Table 3

    2)동적 근 활성도 평가

    동적 근 활성도 평가를 위해 정적 근 활성도 평가 장 비와 동일한 측정 장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 으며, 표면 전극은 3cm 크기의 원형 모양의 Ag/Agcl 부착형 표면 전극을 사용하여 피험자 신체의 L2, L5 척주세움근 동적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Sihoven et al., 1991). 근전도의 잡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근육과 상관없는 주변조직에 잡음제거패드를 부착하였다.

    피험자는 모니터를 바라보지 않는 방향에서 바로 선 자세를 유지하다가 측정자의 “상체에 힘을 빼고 상체 를 앞으로 숙이세요”라는 구령에 맞춰 몸통 굽힘(trunk flexion)과 몸통 폄(trunk extension) 동작을 3번 반복 하여 측정하였고(Figure 5), 측정된 근 활성도의 평균 의 실효치 진폭을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 방법 의 측정과 재측정간의 신뢰도는 몸통 굽힘 0.92, 몸톰 폄 0.97로 보고되고 있다.

    근전도 신호의 표본 추출률(sampling rate)은 60 Hz 였고, 대역통과(band-pass) 필터는 25~500Hz를 사용 하였다. 수집된 근전도 자료는 완파정류(full wave rectification)후 55 ms의 제곱평균제곱근(Root Mean Square, RMS)을 이용하여 평활화하였다(Michael E. Geisser, 2007).

    4분석 방법

    본 연구는 Windows용 SPSS 21.0을 활용하여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대상자들의 다방향 자 가 스트레칭 운동에 따른 전·후 척주세움근의 정적·동 적 근 활성도 변화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 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한 유의수준은 p<.05로 정하였다.

    Ⅲ연구 결과

    1정적 근 활성도 평가

    대응표본 t-검정 결과, 우측 C2에서 S1까지의 척주 세움근 중 C7, T3, T10의 척주세움근에서 중재 전의 근 활성도와 중재 후의 근 활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자가 재활 스트레칭 중재 후 C7 수준의 척주세움근의 근 활성도는 증가하였고 (p=.015), T3 수준의 척주세움근의 근 활성도는 중재 후 감소하였다(p=.003). T10 수준의 척주세움근의 근 활성도는 중재 후 감소하였다(p=.005).

    대응표본 t-검정 결과, 좌측 C2에서 S1까지의 척주 세움근 중 C4, T3, T6, T9, T10의 척주세움근에서 중재 전의 근 활성도와 중재 후의 근 활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자가 재활 스트레칭 중재 후 C4의 근 활성도는 감소하였고(p=.028), T3 수 준의 척주세움근의 근 활성도도 중재 후 감소하였다 (p=.043). T6의 근 활성도는 중재 후 감소하였고(p= .048), T9의 근 활성도는 중재 후 증가하였다(p=.000). 또한 T10의 근 활성도는 중재 후 감소하였다(p=.010).

    2동적 근 활성도 평가

    대응표본 t-검정 결과, 우측 동적 근 활성도의 변화 는 굽힘 최대치(flex-peak)와 굽힘 최소치(flex-min) 값에서만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자 가 재활 스트레칭 중재 후 굽힘 최대치의 근 활성도는 증가하였고(p=.012), 굽힘 최소치의 근 활성도 역시 증 가하였다(p=.011). 하지만 신전 최대치(reex-peak), 중 립 최소치(neutral-min)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발견되지 않았다(p>.05).

    대응표본 t-검정 결과, 좌측 동적 근 활성도의 변화 는 굽힘 최대치, 굽힘 최소치, 신전 최대치, 중립 최소 치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 다(p>.05).

    Ⅳ논 의

    본 연구는 우측 만성 허리 통증을 가진 환자를 대상 으로 뒤넙다리근의 자가 재활 스트레칭 적용이 척주세 움근의 정적 근 활성도, 동적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중재 전과 후 SEMG를 이용한 근 활성도 를 비교분석하였다.

    첫 번째 주요 결과, 우측 정적 근 활성도에서는 중재 전 후에 T3, T10 수준의 척주세움근이 근 활성도 감소 가 있었으며, 좌측 정적 근 활성도에서는 중재 전 후에 C4, T3, T6, T10 수준의 척주세움근이 근 활성도 감소 가 나타났다.

    통증 기간에 따른 허리 통증 환자를 정의 하는 기준 으로 Van Tulder. et al (2006)은 0~3주까지의 통증 기 간을 급성 허리 통증, 3~12주까지의 통증 기간을 아급 성 허리 통증, 12주 이상의 통증을 만성 허리 통증으로 정의하였다. 이들 중 만성 허리 통증 환자는 허리 움직 임의 대부분을 배곧은근(rectus abdominis)과 척주세 움근(erector spine) 같은 대근육 수축을 위주로 실시하 여 몸통의 안정성과 운동성을 길러 주는 주변의 소근 육이 고르게 강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김명훈 & 한상완, 2011). 따라서 만성 허 리 통증 환자는 몸통 정렬을 바르게 하여 안정성을 기 반으로 한 운동성을 향상시켜 몸통의 안정성을 이루는 것을 중요한 재활의 목표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몸통 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활성화에 중점을 두고 운 동을 해야 하는 근육으로 밝혀진 근육은 뭇갈래근 (multifidus)과 배가로근(transversus abdominis)이며, 배곧은근과 척주세움근은 상대적으로 이들이 수축을 할 수 있도록 비활성화 되어야 한다(O'sullivan P. B. et al, 1997).

    신체 만곡은 바로 서있는 자세에서 척추 만곡을 보 는 시각을 인체 전체로 확장할 수 있으며, 두개골 만곡 (cranial curve)을 1차 만곡으로, 목 만곡(cervical curve)을 2차 만곡으로, 등 만곡(thoracic curve)을 1차 만곡으로, 허리 만곡(lumbar curve)을 2차 만곡으로, 꼬리뼈 만곡(sacral curve)을 1차 만곡으로 정의 할 수 있다(Thomas W. M., 2009). 모든 1차 만곡은 주변 뼈들 의 모양을 통해 유지되며, 2차 만곡은 위치를 만들고 다음 단계로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근육의 균형에 더 의존한다. 따라서 목뼈와 허리뼈는 안정성과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주변 근막의 당김줄(guy-wire)에 의존 하는 비율이 더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신체의 근육을 감싸고 있는 근막(myofacial) 중 천층후면 근막경선 (superficial back line)은 모상건막(Galea aponeurotica) 에서 짧은 발가락 굽힘근(Flexor digitorum brevis)까 지 연결이 되어 있는 근막이다(Thomas W. M., 2009). 이 연결경로 안에서 뒤넙다리근과 척주세움근은 같은 근막 내에서 존재하고 서로 영향을 주고 있다. 천층후 면 근막경선에서 근육의 긴장(tension)은 이 만곡들을 따라서 위아래로 돌아다니고, 한 만곡의 이상이 발생 하면 그 만곡을 따라서 위아래로 보상적 긴장이 만들 어진다(Peck, Buxton, Nitz, 1984). 본 연구의 결과에서 도 근 활성도가 등뼈 주위의 척주세움근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은 등뼈 주위의 만곡이 1차 만곡 이며, 주위의 근육 균형에 영향을 받지 않았기 때문으 로 사료된다. 뒤넙다리근의 자가 스트레칭 적용 시 발 생한 근 방추(muscle spindle)와 골지힘줄기관(Golgi tendon organ)의 작용에서 목 만곡과 허리 만곡은 골지 힘줄기관의 작용으로 나타나는 자발억제(autogenic inhibition)가 나타나지만(Blanke., 2002), 등 만곡은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 주요 결과, 우측 동적 근 활성도에서는 굽힘 최대 근 활성도와 굽힘 최소 근 활성도가 증가하였으 며, 좌측 동적 근 활성도에서는 근 활성도 변화가 나타 나지 않았다.

    바로 선 자세에서 몸통의 완전 굽힘(end-range flexion) 동작을 시행하면 정상적인 허리골반리듬의 작 용으로 후방 조직과 척주세움근의 근 활성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굽힘 이완 현상(flexion relaxation Phenomenon) 이라고 한다(Kaigle, Wessberg & Hansson, 1998). 굽힘 이완 현상은 굽힘 이완 비율(flexion-relaxation ratio, FRR)로 확인 할 수 있으며, 이 비율은 이완 근 활성도 수치를 굴곡 근 활성도 수치로 나눈 값에 해당된다 (Michael, 2007).

    본 연구에서 자가 재활 스트레칭을 적용하였을 때 굽힘 최대 근 활성도가 증가 한 것은 굽힘 이완 비율의 수치가 낮아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는 자가 재 활 스트레칭을 적용 후 몸통의 완전 굽힘 동작 시 허리 골반 리듬의 작용이 일어나지 않고 움직임의 제한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Watson, Booker, Main, & Chen, (1997)은 만성 허리 통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허 리 굽힘 동작을 분석한 결과, 굽힘 이완 비율의 수치가 낮아지는 것은 만성 허리 통증 환자의 굽힘 이완 현상 이 나타나는 빈도가 낮고, 허리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통증에 대한 근육의 적응 현상이 감소하는 것과 관련 있으며, 그 원인을 의지적인 보호 반응(volitional guarding response)에 의한 통증 관련 두려움(painrelated fear) 현상과 관련 있다고 보고하였다. Geisser et al, (2004)는 통증 관련 두려움, 관절 가동 범위, 표 면 근전도의 관련성 연구 결과, 이들 세 지표는 서로 관련성이 있으며, 통증 관련 두려움이 증가는 관절 가 동 범위를 감소시키고, 굽힘 이완 현상을 제한한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도 선행 연구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자가 재활 스트레칭의 적용 이 허리 통증 환자의 완전 굽힘 동작에는 통증 관련 두 려움으로 인한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연구 대상자들이 모두 남성이라 는 것은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기에는 잠재적 제한 이 존재한다. 추후 여성 만성 허리 통증 환자에게도 윤 리적인 문제점이 해결 된 상황에서 동일한 연구가 진 행된다면 허리 통증 환자의 재활에 도움이 되는 연구 가 될 것이다. 또한 대상자들이 모두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환자이므로 윤리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대조군을 설정하지 못한 것이 본 연구의 제한 요소이다.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여 만성 허리 통증 환자에게 자가 재 활 스트레칭의 효과를 연구한다면 좀 더 임상에서 활 용가치 있는 자가 재활 프로그램을 제안할 수 있을 것 이다.

    Ⅴ결 론

    본 연구에서는 뒤넙다리근의 자가 재활 스트레칭을 적용하여 목뼈, 등뼈, 허리뼈 수준에서의 척주세움근 의 정적 근 활성도, 동적 근 활성도를 알아보고자 하 였다. 결과적으로 정적 근 활성도의 변화는 목뼈와 허 리뼈 수준에서의 척주세움근 근 활성도 변화는 나타 나지 않았지만 등뼈 수준에서 근 활성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뒤넙다리근 자가 재활 스트레 칭이 척주세움근의 근 활성도와 정상 만곡 형성에 간 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동적 근 활성도의 변화는 굽힘 최대 근 활성도가 증가 하여 굽힘 이완 비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 는 통증 관련 두려움과 의지적 보호 반응에 의한 움직 임의 제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장기간 자가 재활 스트레칭 적용 효과를 확인한다면 만성 허리 통 증 환자에게 효과적인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 을 것이다.

    Figure

    AOSPT-13-17_F1.gif

    Self-rehabilitation hamstring muscle stretching exercise

    (A) : Hip joint neutral position

    (B) : Hip joint abduction position

    (C) : Hip joint adduction position

    AOSPT-13-17_F2.gif

    Flow chart of trial participants

    AOSPT-13-17_F3.gif

    3G Wirefree Physiomonitoring system

    AOSPT-13-17_F4.gif

    Measurement of Erector Spine static muscle activity

    AOSPT-13-17_F5.gif

    Measurement of Erector Spine dynamic muscle activity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mean±standard deviation.

    Changes of Erector Spine static muscle activity

    †mean±standard deviation.
    *p < .05.

    Changes of Erector Spine dynamic muscle activity

    †mean±standard deviation.
    *p < .05.

    Reference

    1. 김 기철 , 황 보각 (2012) 정상 성인의 슬괵근 유연성 정도에 따른 체간 굴곡시 요추의 운동학적 분석 , 대한물리의학회지, Vol.7 (4) ; pp.501-508
    2. 김 명훈 , 한 상완 (2011) 스위스 볼을 이용한 등장성 운동이 요부 안정화 근육의 근활성도 및 통증에 미 치는 영향 ,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Vol.9 (1) ; pp.9-14
    3. 박 시현 (2012) 중년여성의 슬괵근 마사지가 허리 유연성 과 주관적 통증에 미치는 영향 , 석사학위, 경원대학교 경원대학원, 한국,
    4. 방 현수 (2015) 요부안정화 운동이 만성요통여성 환자의 근활성도와 등속성 근력에 미치는 영향 , Journal of Korean Society Physical Medicin, Vol.10 (2) ; pp.63-71
    5. 배 지혜 , 나 진경 , 유 지연 (2001) 요통환자의 다열근 위축에 대한 논문 , 대한재활의학회지, Vol.25 (4) ; pp.51-57
    6. 신 미숙 , 송 제호 (2012) 수기요법이 여성의 체형 균 형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10 (2) ; pp.245-252
    7. 안 창식 (2000) 슬괵근 스트레칭운동이 만성요통 환자의 요부굴곡각도와 동작기능에 미친 영향 , 석사학위, 단 국대학교 대학원, 한국,
    8. 오 영택 (2013) 슬괵근 단축이 있는 대학생에 대한 유지-이완 기법의 효과 , 대한물리의학회지, Vol.8 (3) ; pp.433-441
    9. 이 미화 (2007) 슬괵근 스트레칭이 포함된 요통치료 운동 프로그램이 만성요통 환자의 요부근력과 주관적 통증 에 미치는 영향 , 석사학위,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 육대학원, 한국,
    10. 장 정훈 , 정 동혁 , 박 래준 (2002) 스포르 물리치료에 서의 스트레칭의 개념 및 발달과정 , 대한물리치료 학회지, Vol.14 (4) ; pp.317-331
    11. 조 민지 , 권 나영 , 박 수민 , 서 동현 , 정 재령 , 전 현주 (2016) 골반 중립에 따른 뒤넙다리근 수동 신장 운 동이 유연성과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 , 대한통합의 학회지, Vol.4 (1) ; pp.31-39
    12. Blanke D Hanley , Belfus (2002) flexibility , Sports Medicine Secrets, Mellion M, ; pp.452-478
    13. Geisser E , Haig A J , Wallbom A S , Wiggert E A (2004) Pain-related fear, limbar flexion, and dynamic EMG among persons with chronic musculoskeletal low back pain , Clinical Journal of Pain, Vol.20 ; pp.1-9
    14. Kaigle A M , Wessberg P , Hansson T H (1998) Muscular and kinematic behavior of the lumbar spine during flexion-extension , Journal of Spinal Disorders & Techniques, Vol.11 ; pp.163-74
    15. Kraus H , Nagler W (2006) Evaluation of an exercise program for back pain , American family Physician, Vol.28 ; pp.153-158
    16. Lopez-Minarro P A , Muyor J M , Belmonte F (2012) Acute effects of hamstring stretching on sagittal spinal curvantures and pelvic tilit , Journal of Human Kinetics, Vol.31 ; pp.69-78
    17. Michael E Geisser (2007) Surface Electromyography and Low Back Pain , Biofeedback, Vol.35 (1) ; pp.13-16
    18. O'sullivan P B , Phyty G D , Twomey L T (1997) Evaluation of specific stabilizing exercise in the treat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with radiologic diagnosis of spondylolysis or spondylolisthesis ,
    19. Parks J H , Kim D D (2012) The Physical Therapy of Musculoskeletal Diseases, Hanmimedical,
    20. Peck D , Buxton D (1984) Nitz A comparison of spindle concentrations of large and small muscles , Journal of Morphology, Vol.180 ; pp.245-252
    21. Sihoven T , Partanen J , Hanninen O , Soimakallio S (1991) Electric Behavior of Low Back Muscles During Lumbar Pelvic Rhythm in Low Back Patients and Healty Controls ,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72 (13) ; pp.1080-1087
    22. Thomas W M Thomas W M (2009) The Superficial Back Line , Anatomy trains, ; pp.73-95
    23. Van Middlekoop M , Rubinstein S M , Verhagen A P (2010) Exercise therapy for chronic nonspecific low back pain , Best Pract Res Clin Rheumatology, Vol.24 (1) ; pp.193-204
    24. Van Tulder M W , Becker , Bekkering T (2006) European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nonspecific low back pain in primary care , European Spine Journal, Vol.15 (2) ; pp.169-191
    25. Watson P J , Booker C K , Main C J , Chen A C (1997) Surface electromyography in the indentification of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The development of the flextion relaxation ratio , Clinical Biomechanics, Vol.12 ; pp.165-171

    저자소개